KR20200075528A -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528A
KR20200075528A KR1020180164308A KR20180164308A KR20200075528A KR 20200075528 A KR20200075528 A KR 20200075528A KR 1020180164308 A KR1020180164308 A KR 1020180164308A KR 20180164308 A KR20180164308 A KR 20180164308A KR 20200075528 A KR20200075528 A KR 20200075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audio content
audio signal
hash address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476B1 (ko
Inventor
황인우
김선민
강기웅
김기범
허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476B1/ko
Priority to US16/713,231 priority patent/US10991383B2/en
Priority to PCT/KR2019/017790 priority patent/WO2020130526A1/en
Publication of KR2020007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90Pitch determination of speech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2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power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06F16/2255Hash tab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93Discriminating between voiced and unvoiced parts of speech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89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METHOD FOR MEASURING SOUND LEVEL OF AUDIO CONTENT AND DEVICE THEREOF}
본 개시의 실시예는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에 수신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측정을 통하여 단말 장치의 음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단말 장치의 보급 및 기술 개발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단말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TV 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AV(Audio Video) 컨텐츠들을 TV, Tablet, 휴대용 단말과 같은 다양한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재생 컨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해졌고, 컨텐츠 공급자들은 이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 때, 제공되는 재생 컨텐츠들은 영상 정보뿐만 아니라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 표준화된 정규 방송, 제작 환경이 다양한 개인 방송 컨텐츠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컨텐츠와 같은 소정 재생 컨텐츠들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컨텐츠들을 오디오 컨텐츠라 칭하도록 하겠다.
사용자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시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자신의 기호에 맞는 크기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를 공급하는 공급자 별로 제공되는 오디오 컨텐츠들의 기준 음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재생되는 오디오 컨텐츠가 변경될 때 마다 다시 음량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 음량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던 중간에 광고 방송이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지 않은 경우에도 자동으로 음량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갑자기 변경된 음량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를 사용자가 목적하는 음량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음량 측정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사용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음량을 갖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의 편리성 및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측정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에 근거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기초하여 제1 해시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음량이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면 상기 제1 해시 주소의 제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하는 단계; 및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은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시 해시 주소를 이용하여, 빠르게 오디오 음량을 측정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음량은, 소정 음량 범위를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구간들로 나누었을 때, 제1 구간에 포함되는 음량이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개의 구간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적 계수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일정 간격이 작을수록 큰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은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용량에 따라 측정되는 오디오 신호 음량의 측정 정밀도 또는 측정 정확도를 목표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량을 포함하는 음량 정보 및 상기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은 전체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계산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이 소정 오차 범위 내로 수렴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은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이 소정 오차 범위 내로 수렴하는 제1 시간 동안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함으로써, 안정적인 보상 이득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묵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은 오디오 컨텐츠의 전환이 발생된 시점은 묵음의 발생으로 검출할 수 있고, 오디오 컨텐츠의 전환이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오디오 컨텐츠 별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체 카운트 값을 0으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은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카운트 값만 0으로 변경함으로써 기존의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해 다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간 차이에 근거하여, 보상 이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상기 보상 이득만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은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이용하여,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기초하여 제1 해시 주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며, 제1 음량이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면 상기 제1 해시 주소의 제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하고,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음량 범위를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구간들로 나누었을 때,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대표 음량을 제1 음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개의 구간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따.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일정 간격이 작을수록 큰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음량을 포함하는 대표 음량 정보 및 상기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계산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이 소정 오차 범위 내로 수렴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묵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운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체 카운트 값을 0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간 차이에 근거하여, 보상 이득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상기 보상 이득만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는, 재생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목적하는 음량으로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용량에 따라 측정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의 측정 정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종래기술에 따라 산출되는 보상 이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산출되는 보상 이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보상 이득이 적용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모듈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A와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재생 컨텐츠들을 통칭하여 '오디오 컨텐츠'라 하겠다.
종래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은,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및 소정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일정 한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 자동으로 음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때, 오디오 신호가 측정되는 시간이 비교적 단기이므로 측정되는 구간에 따라 산출되는 보상 이득이 상이하며, 오디오 신호 전체적으로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보상 이득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시간에 따라서 변동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 전체적으로 보상 이득이 일정해 질 수 있는 시간 동안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음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측정 시스템(100)은 통신망(110), 오디오 컨텐츠 제공 서버(120), 단말 장치(130) 및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통신망(110)은 유선 및/또는 무선의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등의 다양한 통신망(110)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통신망(110)을 통해 단말 장치(130)과 통신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30)의 요청에 따라 오디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표준화된 정규 방송 서버, 케이블 방송 서버, 위성 방송 서버, 인터넷 포탈 서버 등과 같은 서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디오 컨텐츠를 단말 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30)이 TV인 경우, TV의 튜너(미도시)는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튜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오디오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튜닝된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사 서버가 될 수 있으며, 방송사 서버는 방송 프로그램, 즉 소정 오디오 컨텐츠를 통신망(110)을 통해 단말 장치(130)로 송출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130)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뿐만 아니라 오디오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드웨어(미도시됨), 예를 들어, 외장 하드 또는 DVD 플레이어와 같은 디지털 장치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30)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모든 오디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130)은 TV, 스마트 TV,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30)은 상술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140)는 오디오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단말 장치(130)에 전송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말 장치(130) 및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14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140)가 단말 장치(130) 내부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14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0),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2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미도시)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고, 제1 음량이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음량에 대응되면 제1 해시 주소의 제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하며,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210)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단말 장치에서 오디오 컨텐츠가 재생될 때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방송 수신을 수행하는 튜너, 블루투스,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등과 같은 통신 규격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뜻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각각은 메모리(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킴으로써, 소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 및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어부(23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미도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ROM(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소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 내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가 소정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더라도, 제어부(23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소정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230)가 소정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하는데 있어서, 제어부(230)의 프로세서(미도시)가 메모리(2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기초하여 제1 해시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소정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해시 주소화 함으로써 제1 해시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해시 주소는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탐색 키로, 배열(array)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인덱스를 탐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은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시 해시 주소를 이용하여, 빠르게 오디오 음량을 측정 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은 음압으로 음의 세기를 나타내는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로 표현될 수 있고, 음압 레벨은 데시벨(dB) 단위로 표현된다. 또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은 실효 출력(RMS: Root Mean Square)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실효 출력은 와트(Watt) 단위로 표현된다. 오디오 신호의 음량 표현 방식은 상기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는 방식이면 다른 방식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SPL로 측정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기준으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나, RMS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30)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30)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가 메모리(22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각각에 대응되는 카운트 값이 저장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은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오디오 신호가 가질 수 있는 소정 음량 범위를 일정한 간격의 복수개의 구간들로 나누었을 때, 제1 구간에 포함되는 하나의 대표 음량을 제1 음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제1 음량을 제1 해시 주소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오디오 신호가 가질 수 있는 음량 범위가 -100.5[dB] 내지 -0.5[dB] 인 경우, 음량 범위를 1[dB] 간격의 100개의 구간들로 나눌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0.5[dB]이하 -1.5[dB]초과인 구간을 제1 구간, -1.5[dB]이하 -2.5[dB]초과인 구간을 제2 구간,…, 및 -99.5[dB]이하 -100.5[dB]초과인 구간을 제100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 포함되는 중간 값을 대표 음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간의 제1 음량은 -1[dB], 제2 구간의 제2 음량은 -2[dB],…, 및 제100 구간의 제100 음량은 -100[dB]이 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21.23[dB]인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은 -20.5[dB]이하 -21.5[dB]초과인 제21 구간에 포함되므로, 제어부(23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21.23[dB]에 기초하여 제21 해시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구간을 나누는 일정 간격이 작을수록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일정 간격이 작을수록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용량이 커지게 된다. 즉,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측정의 정확도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용량과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구간을 나누는 일정 간격이 0.5[dB]인 경우 대표 음량은 각각 -0.5[dB], -1[dB], -1.5[dB],…, -100[dB]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0.5[dB]의 간격으로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1[dB]의 간격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획득할 때 보다 측정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은 정확해질 수 있다. 한편, 1[dB] 간격으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경우, 필요한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해시 주소들은 100개인 반면, 0.5[dB] 간격으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경우, 필요한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해시 주소들은 200개가 된다. 즉,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용량이 클수록, 많은 해시 주소들을 가질 수 있고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의 정확도는 증가하지만 필요한 메모리와 계산량이 많아진다는 이율 배반성(trade-off)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음량 범위를 나누는 간격을 조절하여, 측정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에 대한 정확도를 목표값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소정 음량 범위를 일정 간격으로 구간을 나누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음량에 대응되는 제1 해시 주소를 획득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되는 제1 음량을 설정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의 근삿값이 제1 음량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1 해시 주소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어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의 음량 범위를 복수개의 구간으로 나누거나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근삿값을 구하는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음량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떤 방법이든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오디오 신호가 가질 수 있는 음량 범위가 -100.5[dB] 내지 -0.5[dB]이고, 음량 범위가 -1[dB] 간격의 100개의 구간들로 나누어 지며, 제1 구간의 제1 음량은 -1[dB], 제2 구간의 제2 음량은 -2[dB],…, 및 제100 구간의 제100 음량은 -100[dB]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음량이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음량에 대응되면 제1 해시 주소의 제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오디오 신호가 최초로 수신되기 이전에, 먼저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카운트 값을 0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해시 주소 각각에 대응되는 카운트 값을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1.23[dB]의 음량을 갖는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21.23[dB]의 음량이 제2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제21 해시 주소의 제2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함으로써 제21 카운트 값을 0에서 1로 변경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제1 카운트 값이 누적 계수될 때,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카운트 값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제1 음량을 포함하는 해시 주소 및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오디오 컨텐츠의 일부 구간에 대해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측정하여, 측정 구간에 따라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이 상이하게 측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제1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을 충분히 길게 설정하는 경우, 일정한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 시간 및 평균 음량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300)는 도 1,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3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300)는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 해시 주소 획득부(320),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 묵음 검출부(340) 및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230)는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 해시 주소 획득부(320), 묵음 검출부(340) 및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해시 주소 획득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은 입력 신호의 최소 단위인 한 프레임에 대응되는 음량일 수 있다. 최소 단위인 한 프레임은 짧은 시간 구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0 FPS(Pixel Frame Per Second)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경우, 1초에 60프레임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의 예에서, 최소 단위인 1 프레임은 1/60초 간격으로 짧은 시간 구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에서 측정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단기 음량'으로 칭하도록 한다.
해시 주소 획득부(320)는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로부터 수신된 단기 음량에 근거하여 해시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된 단기 음량에 대응되는 해시 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는 단기 음량에 대응되는 해시 주소를 인덱스로 하고, 해시 주소에 대응되는 카운트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530)는 도 2,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해시 주소(510)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즉 단기 음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해시 주소는 -1[dB], 제2 해시 주소는 -2[dB],…, 및 제100 해시 주소는 -100[dB]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530)는 해시 주소(510)에 대응되는 카운트 정보(520)을 저장할 수 있다. 즉,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530)는 제1 내지 제100 해시 주소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100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520)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제1 내지 제4 단기 음량이 각각 -2.3[dB], -1.9[dB], -21[dB], -20.45[dB]라 가정하면, 해시 주소 획득부(320)는 제1 내지 제4 단기 음량에 대응되는 해시 주소를 각각 -2[dB], -2[dB], -21[dB], -20[dB]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53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2[dB]에 대응되는 제2 해시 주소의 제2 카운트 값을 2만큼 누적 계수, -21[dB]에 대응되는 제21 해시 주소의 제21 카운트 값을 1만큼 누적 계수, -20[dB]에 대응되는 제20 해시 주소의 제20 카운트 값을 1만큼 누적 계수함으로써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는 묵음 검출부(340)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묵음 검출부(340)는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에서 측정한 단기 음량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묵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에 저장된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묵음 검출부(340)는 단기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묵음이 발생한 경우, 카운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체 카운트 값을 0으로 변경함으로써,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에 저장된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컨텐츠가 전환될 때 단기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묵음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묵음 검출부(340)는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할 때, 채널이 변경되는 순간에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없으므로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에서 측정된 단기 음량은 소정 값 이하인 묵음일 수 있다. 묵음은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이 끝나고 광고가 재생되는 경우, 즉 하나의 오디오 컨텐츠가 재생된 후 다음 오디오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묵음 검출부(340)는 상술된 경우에 제한되지 않고, 오디오 컨텐츠가 전환되는 순간의 묵음을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묵음 검출부(340)는 오디오 컨텐츠가 전환 또는 종료되는 시점을 판단하고,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의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 시킬 수 있다.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는 오디오 컨텐츠가 전환되는 경우, 초기화 이후에 상술한 동작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전환된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음량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는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는 제1 음량을 포함하는 음량 정보 및 제1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는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하는 방식에는 상술된 수식 외에도,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에 저장된 음량 정보 및 카운트 정보를 이용하는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는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므로,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에서 소정 프레임 단위로 측정된 단기 음량에 비해 장기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편의상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에서 측정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장기 음량'으로 칭하도록 한다. 또한, 측정된 장기 음량은 자동 음량 조절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장기 음량 측정 시 제어부(230)가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메모리(220)에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시간대 별 사용자의 시청 음량을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300)는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3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3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에서 측정된 장기 음량과 목표 음량의 차이를 보상하는 보상 이득을 산출하고, 제1 시간 이후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적용하여 음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기 음량이 -20[dB]로 측정되고 목표 음량이 -15[dB]인 경우,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는 5[dB]만큼의 보상 이득을 산출하고, 산출된 5[dB]의 음량을 제1 시간 이후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에서 측정된 장기 음량과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간 차이에 기초하여, 보상 이득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기 음량이 -20[dB]로 측정되고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15[dB]인 경우,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는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장기 음량과 동일하게 -20[dB]로 조절하기 위하여, -5[dB]만큼의 보상 이득을 산출하고, 산출된 -5[dB]의 음량을 제1 시간 이후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적용할 수 있다.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보상 이득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는 단말 장치(130)의 신호 단 또는 출력 단에서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보상 이득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130)의 신호 단은 오디오 컨텐츠가 입력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30)의 출력 단은 단말 장치(130)의 마스터 볼륨을 조절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볼륨은 단말 장치(130) 전체의 음량을 결정하는 볼륨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믹서 또는 앰프에 의해 결정된 오디오 컨텐츠의 볼륨을 최종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마스터 볼륨이 0 내지 100으로 조절 가능한 경우에,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는 마스터 볼륨이 고정된 상태에서 단말 장치(130)의 신호 단에 보상 이득을 적용함으로써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는 입력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때, 단말 장치(130)의 출력 단에서 마스터 볼륨을 조절함으로써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마스터 볼륨을 조절하지 않아도 단말 장치(130)의 보상 이득 산출 및 적용부(460)에 의해 산출된 보상 이득의 크기만큼 마스터 볼륨을 조절함으로써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60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140, 200, 또는 300)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140, 200, 또는 300)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600)에 포함되는 단계 동작들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600)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600)은, 통신부(210),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22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량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600)은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의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 장치(13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610).
또한, 제어부(23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기초하여 제1 해시 주소를 획득한다(S620).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SPL 또는 RMS 방식으로 단기 음량을 측정하고, 해시 주소 획득부(320)는 소정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측정된 단기 음량을 제1 해시 주소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한다(S630).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해시 주소 획득부(320)에서 획득된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각각에 대응되는 카운트 값이 저장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를 생성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은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가 메모리(22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제1 음량이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음량에 대응되면 제1 해시 주소의 제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한다(S640).
또한, 제어부(230)는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한다(S650). 구체적으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부(350)는 해시 주소 및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70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140, 200, 또는 300)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140, 200, 또는 300)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700)에 포함되는 단계 동작들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700)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700)은 도 6에서 설명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600)을 더욱 상세화한 것이다. 따라서, 도 7의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700)에 있어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600)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제어부(23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지 판단한다(S710). 구체적으로, 묵음 검출부(340)는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10)에서 측정된 단기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기 음량이 소정 값 이하가 아닌 경우, 제어부(230)는 계속하여 S610 내지 S6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묵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에 저장된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한다(S720).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묵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오디오 컨텐츠에서 제2 오디오 컨텐츠로 전환된 것으로 보아 이후에 수신되는 제2 오디오 컨텐츠에 대하여 다시 S610 내지 S6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디오 컨텐츠 재생 시,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19[dB], -20[dB], -20[dB], -20[dB], -20[dB], -20[dB], -20[dB], -20[dB], -20[dB], -20[dB], -20[dB], -22[dB], -18[dB], -21[dB], -100[dB], -100[dB], -3[dB], -5[dB] 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제1 시간 동안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제어부(23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기초하여 제1 해시 함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제19 해시 주소, 제20 해시 주소, 제 20 해시 주소, ?, 제22 해시 주소, 제18 해시 주소, 제21 해시 주소, 제100 해시 주소, 100 해시 주소, 제3 해시 주소, 제5 해시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18.5[dB] 이하 -19.5[dB] 초과에 해당되는 제19 음량이 제19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19[dB]는 제19 음량에 대응되므로, 제19 해시 주소의 제19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 할 수 있다. 즉, 제19 카운트 값은 0에서 1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30)는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제18 카운트 값이 1, 제19 카운트 값이 1, 제20 카운트 값이 10, 제21 카운트 값이 1, 제22 카운트 값이 1, 제100 카운트 값이 2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30)가 -100[dB] 이하의 오디오 신호 음량에 대해 묵음으로 판단한다면, 제100 카운트 값이 1이 되는 순간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330)에 포함되는 전체 카운트 값은 0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음량 측정부(350)는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은 다음의 수식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제어부(230)는 전체 카운트 값이 0으로 변경된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3[dB], -5[dB]에 대해서는, 전술한 동작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제2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8A 내지 도 9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산출되는 보상 이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는 단기 음량 측정 방식에 따라 오디오 신호에 대해 산출되는 보상 이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오디오 신호에 대해 산출되는 보상 이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구간에서의 오디오 신호를 기준으로 산출된 보상 이득을 0[dB]라 가정한다. 이 때, 제2 구간에서의 오디오 신호 음량이 제1 구간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보다 더 크므로, 제2 구간에서의 오디오 신호를 기준으로 산출된 보상 이득은 제1 구간을 기준으로 산출된 보상 이득보다 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구간 또는 제4 구간에서의 오디오 신호를 기준으로 보상 이득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를 측정하는 시간 또는 구간마다 산출되는 보상 이득이 상이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단기 음량 측정 방식에 따르면, 이전 프레임에서 산출된 보상 이득을 다음 오디오 신호에 적용하므로, 오디오 신호 파형의 형태(미도시)는 그대로 유지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오디오 컨텐츠 제1 시간 동안의 음량을 기준으로 보상 이득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측정하는 제1 시간을 소정 시간 이상으로 하는 경우, 보상 이득은 일정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프레임에 대해 보상 이득을 산출하면, 보상 이득은 다음 프레임에 의해 약 10%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1000개의 프레임에 대해 보상 이득을 산출하면, 즉, 오디오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시간을 소정 시간 이상으로 하여 보상 이득을 산출하면, 다음에 입력되는 프레임에 의해 약 0.1%의 영향만을 받게 된다. 즉, 제1 시간은 계산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이 소정 오차 범위 내로 수렴하는 시간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안정적인 보상 이득을 측정 및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보상 이득이 적용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B에서 산출된 일정한 보상 이득을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보상 이득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오디오 신호 파형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오디오 신호의 음량만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술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 및 다중언어 번역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에 포함되는 단어들 각각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벡터 값들을 목표 언어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벡터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측정 시스템
110: 통신망
120: 오디오 컨텐츠 제공 서버
130: 단말 장치
140: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200: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210: 통신부
220: 메모리
230: 제어부

Claims (20)

  1.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기초하여 제1 해시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음량이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면 상기 제1 해시 주소의 제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하는 단계; 및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음량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량은, 소정 음량 범위를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구간들로 나누었을 때, 제1 구간에 포함되는 음량이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개의 구간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음량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계수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음량 측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일정 간격이 작을수록 큰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량을 포함하는 음량 정보 및 상기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계산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이 소정 오차 범위 내로 수렴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묵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체 카운트 값을 0으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간 차이에 근거하여, 보상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상기 보상 이득만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방법.
  11.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에 기초하여 제1 해시 주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며, 제1 음량이 제1 해시 주소에 대응될 때,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면 상기 제1 해시 주소의 제1 카운트 값을 누적 계수하고,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제1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음량 범위를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구간들로 나누었을 때,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대표 음량을 제1 음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해시 주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개의 구간들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하는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제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상기 제1 음량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일정 간격이 작을수록 큰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음량을 포함하는 대표 음량 정보 및 상기 카운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을 계산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계산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평균 음량이 소정 오차 범위 내로 수렴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묵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해시 주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카운트 정보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운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체 카운트 값을 0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간 차이에 근거하여, 보상 이득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상기 보상 이득만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컨텐츠 음량 측정 장치.
KR1020180164308A 2018-12-18 2018-12-18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0257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08A KR102574476B1 (ko) 2018-12-18 2018-12-18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US16/713,231 US10991383B2 (en) 2018-12-18 2019-12-13 Method of measuring sound level of audio content and device therefor
PCT/KR2019/017790 WO2020130526A1 (en) 2018-12-18 2019-12-16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sound level of audio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08A KR102574476B1 (ko) 2018-12-18 2018-12-18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28A true KR20200075528A (ko) 2020-06-26
KR102574476B1 KR102574476B1 (ko) 2023-09-05

Family

ID=7107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308A KR102574476B1 (ko) 2018-12-18 2018-12-18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91383B2 (ko)
KR (1) KR102574476B1 (ko)
WO (1) WO202013052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578A (ko) * 2000-08-22 2002-02-28 구자홍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 및 방법
KR20170140188A (ko) * 2015-04-27 201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컨텐츠 인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515A (ko) 1997-05-23 1998-12-05 배순훈 브이시알의 재생음량 자동 조절방법
US7242784B2 (en) 2001-09-04 2007-07-10 Motorola Inc. Dynamic gain control of audio in a communication device
JP4583781B2 (ja) 2003-06-12 2010-11-1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音声補正装置
KR100812028B1 (ko) 2006-06-15 2008-03-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KR101520938B1 (ko) 2013-04-26 2015-05-18 미디어젠(주) 음량 크기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음량측정방법
KR101679712B1 (ko) 2014-12-10 2016-11-28 전자부품연구원 오디오 음량 측정 방법 및 장치
US10795637B2 (en) 2017-06-08 2020-10-06 Dts, Inc. Adjusting volume levels of speak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578A (ko) * 2000-08-22 2002-02-28 구자홍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 및 방법
KR20170140188A (ko) * 2015-04-27 201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컨텐츠 인식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상운 et.al, 디지털 TV 방송음량에 대한 연구, 통신위성우주산업연구회논문지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Dec. 2013, Vol.8, no.4, pp.105-1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526A1 (en) 2020-06-25
KR102574476B1 (ko) 2023-09-05
US10991383B2 (en) 2021-04-27
US20200194030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8978B2 (en) Country-specific content recommendations in view of sparse country data
JP7001588B2 (ja) オブジェクトベースのオーディオ信号バランシング法
US2014020112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00313993A1 (en) Generating Playback Configurations Based on Aggregated Crowd-Sourced Statistics
CN110312167B (zh) 一种计算影视内容评分的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20160019448A (ko) 사용자 행동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윈도우의 크기를 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25219A (ko) 라우드니스 레벨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9120954A (zh) 视频消息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23197933A1 (zh) 信号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4954824B (zh) 一种用于进行视频设置的方法、设备与系统
US20220036427A1 (en) Method for managing immersion level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N114943006A (zh) 歌单展示信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40105188A1 (en) Downmixed signal calcul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574476B1 (ko) 오디오 컨텐츠의 음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CN114286172A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210011893A1 (en) Deduplication across multiple different data sources to identify common devices
JP2009182410A (ja) 視聴反応共有システム、視聴反応管理サーバ及び視聴反応共有方法
TW202032482A (zh) 針對視障群體的保險推薦方法和裝置
WO2020062743A1 (zh) 视频码率调整方法以及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20264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djusting quality levels for transmitting content based on context
CN112464075A (zh) 智能音箱的应用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701957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d content based on network load distribution
EP2439741B1 (en) Video playing apparatus and location search method thereof
TW201931862A (zh) 動態調整串流播放的系統及方法
JP6924108B2 (ja) プラン作成装置、プラン作成方法及びプラン作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