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028B1 -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028B1
KR100812028B1 KR1020060054018A KR20060054018A KR100812028B1 KR 100812028 B1 KR100812028 B1 KR 100812028B1 KR 1020060054018 A KR1020060054018 A KR 1020060054018A KR 20060054018 A KR20060054018 A KR 20060054018A KR 100812028 B1 KR100812028 B1 KR 100812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broadcast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410A (ko
Inventor
황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5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028B1/ko
Publication of KR2007011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규 방송프로그램들의 중간에 나오는 광고방송의 음량이 갑자기 증대되는 경우에 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기록하고 일정한 시간 동안의 방송 신호 강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기록 및 계산부와 방송 신호 강도의 증가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가 포한된 TV를 제공하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기록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의 일정 시간(t)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록하며, 계산된 평균값과 일정 시간(t) 이후에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비교하고, 방송 신호 강도가 평균값보다 일정 한계 이상 증가되었을 경우 TV의 방송 음량을 하향 조절하는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중간에 나오는 광고방송의 증대된 음량을 자동으로 하향 조절하여 사용자의 청각적 불편함을 감소시키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량을 다시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60054018
광고, TV, 제어, 신호, 비교, 음량, 자동

Description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TV for controlling volume automatically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TV의 블록도.
도 2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 신호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 음량 조절 TV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IF 증폭부 40 : P/S 분리부
80 : 음성처리부 130 : 적분회로부
140 : PWM 발생부 150 : 제어부
160 : 비교부 170 : 기록 및 계산부
본 발명은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규 방송프로그램들의 중간에 나오는 광고방송의 음량이 갑자 기 증대되는 경우에 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뜻하는 것으로서,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하여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는 전자기기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TV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안테나(1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튜너(2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로 선국한다. 튜너(20)로부터 나오는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신호는 IF증폭부(30)에서 증폭되고 P/S분리부(40)에서 영상중간주파수신호와 음성중간주파수신호로 분리된다. 영상검파부(50)와 음성검파부(60)에서는 영상중간주파수신호와 음성중간주파수신호로 부터 각각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검파한다. 영상처리부(70)는 영상검파부(50)에서 검파되는 영상신호를 이에 대응되는 RGB(Red, Green, Blue)신호로 출력한다. 출력된 RGB신호는 CRT구동부(90)를 통해 영상출력부(110)에서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나타난다. 음성처리부(80)는 음성검파부(60)에서 검파되는 음성신호를 베이스(Bass), 트레블(Trable), 밸런스(Balance)등의 음성처리를 하며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증폭부(100)를 통해 음성출력부(120)에서 사용자에게 청취된다. 음성처리부(80)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150),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폭변조) 발생부(140), 적분회로부(130)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150)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의미한다. 제어부(150)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PWM발생부(140)에서 PWM신호가 생성되며, 적분회로부(130)에서 해당 PWM신호를 적분한다. 적분된 PWM신호를 통해 음성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TV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50)로 하여금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하여 TV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리모콘과 같은 외부 장치의 조작 또는 TV의 외부표면에 구비될 수 있는 조작스위치를 통해 키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제어부(150)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음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수직축은 게인(gain)을 나타내고 수평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P는 영상신호를 의미하며 S는 음성신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송 신호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함께 반송파에 실려 송출되는데, 송출되는 방송 신호의 레벨이 광고방송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더 높게 설정되어 송출되고 있다. 광고업자들이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TV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큰 불편함을 야기한다.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레벨로 음량을 조정해 놓은 상태에서 TV를 시청하다가, 광고로 전환될 때 갑자기 음량 레벨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는 수동으로 TV의 음량을 다시 조정해야 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TV 프로그램의 중간에 나오는 광고방송의 증대된 음량을 자동으로 하향 조절하여 사용자의 청각적 불편함을 감소시키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량을 다시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시키는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송국으로부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기록하고, 상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의 일정 시간(t)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록하는 기록 및 계산부; 상기 계산된 평균값과 상기 일정 시간(t) 이후의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방송 신호 강도가 상기 평균값보다 일정 한계 이상 증가되었을 경우 TV의 방송 음량을 하향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량 조절 TV를 제공한다.
또한, TV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의 일정 시간(t)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평균값과 상기 일정 시간(t) 이후의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 강도가 상기 평균값보다 일정 한계 이상 증가되었을 경우 TV의 방송 음량을 하향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일정 시간(t)은 3초 이상 10초 이하의 시간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일정 한계는 상기 평균값의 1.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일정 시간(t)과 일정 한계(t)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 음량 조절 TV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의 TV의 블록도에 기록 및 계산부(170)와 비교부(160)가 더 포함된 것이다. 따라서 기록 및 계산부(170)와 비교부(160)의 작동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1의 TV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록 및 계산부(170)는 IF증폭부(30)에서 시계열적으로 나오는 중간주파수신호의 강도를 계속적으로 기록한다. 또한 일정 시간(t) 간격으로 기록된 방송 신호 강도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여기서 중간주파수신호의 강도는 방송국으로부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송 신호 강도는 도 2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영상신호의 경우에는 70데시벨 이하, 음성신호의 경우에는 40데시벨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동된다. 그러므로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의 일정 시간 평균값을 계산하면, 그 값을 기준으로 방송 신호 강도의 증가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일정 시간(t)은 바람직하게는 3초 이상 10초 이하가 적절하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시간간격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교부(160)는 IF증폭부(30)에서 시계열적으로 나오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조합되어 있는 중간주파수신호의 강도를 수신하며, 이와 동시에 기록 및 계산부(170)에서 계산한 일정 시간 방송 신호 강도의 평균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비교부(160)는 기록 및 계산부(170)에서 계산한 방송 신호 강도의 일정 시간(t) 평균값과 그 일정 시간 직후의 방송 신호 강도를 비교한다. 다만 정규의 프로그램 방송이 광고방송으로 전환되는 시간적 격차를 고려한다면 일정 시간 직후가 아닌 일정 시간 직후로부터 수 초(seconds) 또는 수 밀리 초(mili seconds) 이후의 방송 신호 강도가 적절할 수도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의해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의 일정 시간(t) 평균값과 비교되는 방송 신호 강도는 상술한 일정 시간(t) 이후에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가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록 및 계산부(170)와 비교부(160)의 기록, 계산, 비교는 제어부(150)에 의해 전체적으로 통제된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통제는,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를 원격으로 조정하는 리모콘 장치나 TV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는 키입력부에서 사용자가 키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조작없이 TV의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항상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TV 음량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로세스(process)의 개시는 사용자의 키입력 신호 또는 TV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개시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개시 이후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록 및 계산부(170)는 수신되는 중간주파수신호의 강도를 기록하여 저장한다(S1). 기록된 데이터를 근거로 기록 및 계산부(170)에서는 방송 신호 강도의 일정시간(t)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록한다(S2). 일정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제어부에 설정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비교부(160)에서는 수신된 평균값과 일정 시간 이후의 방송 신호 강도를 비교하며 증가여부를 판단한다(S3). 여기서 일정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가 평균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다시 방송 신호 강도의 기록 단계(S1)로 복귀하며, 증가된 경우에는 증가량을 판단한다(S4). 여기서 일정 한계 이상 증가 되었을 경우에 TV의 P/S 분리부(40)를 통해서 분리된 음성신호를 적분회로부(130)가 조절하는 방식으로 방송 음량을 하향 조절하며(S5), 일정 한계 이상 증가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다시 방송 신호 강도 기록 단계(S1)로 복귀한다. 여기서 일정 한계는 광고방송의 신호 강도가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정규 프로그램 방송 신호 강도 보다 큰 정도를 의미한다. 광고방송의 신호 강도가 정규 프로그램 방송 신호 강도의 1.2배 이상인 경우에 TV의 시청자는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송 신호 강도 증가량의 폭은, 반드시 1.2배일 필요는 없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범위로, 예를 들면 1.1배 내지 1.5배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TV의 방송 음량을 하향 조절하는 단계(S5)에서는 제어부(150)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PWM발생부(140)에서 PWM신호가 생성되며, 적분회로부(130)에서 해당 PWM신호를 적분하여 적분된 PWM신호를 통해 음성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프로세스는 제어부(150)에 의해서 전반적으로 제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에 의하면, TV 프로그램의 중간에 나오는 광고방송의 증대된 음량을 자동으로 하향 조절하여 사용자의 청각적 불편함을 감소시키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량을 다시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방송국으로부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조합되어 있는 방송 신호 강도를 기록하고, 상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의 일정 시간(t)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록하는 기록 및 계산부;
    상기 계산된 평균값과 상기 일정 시간(t) 이후에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일정 시간(t) 이후에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가 상기 평균값보다 일정 한계 이상 증가되었을 경우 TV의 방송 음량을 하향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량 조절 TV.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t)은 3초 이상 10초 이하의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량 조절 TV.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한계는 상기 평균값의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량 조절 TV.
  4. TV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조합되어 있는 방송 신호 강도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시계열적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의 일정 시간(t)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평균값과 상기 일정 시간(t) 이후에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t) 이후에 수신되는 방송 신호 강도가 상기 평균값보다 일정 한계 이상 증가되었을 경우 TV의 방송 음량을 하향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t)은 3초 이상 10초 이하의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한계는 상기 평균값의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KR1020060054018A 2006-06-15 2006-06-15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KR100812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18A KR100812028B1 (ko) 2006-06-15 2006-06-15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18A KR100812028B1 (ko) 2006-06-15 2006-06-15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10A KR20070119410A (ko) 2007-12-20
KR100812028B1 true KR100812028B1 (ko) 2008-03-10

Family

ID=3913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018A KR100812028B1 (ko) 2006-06-15 2006-06-15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1383B2 (en) 2018-12-18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easuring sound level of audio content and device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794B1 (ko) * 2012-10-16 2013-02-25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방송 광고 음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6852A (ko) 2019-07-30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볼륨 조절 장치 및 이의 조절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335A (ko) * 1994-12-27 1996-07-22 김광호 볼륨제어장치
KR19980028306U (ko) * 1996-11-22 1998-08-05 구자홍 텔레비젼 수신 시스템의 음성신호레벨 자동제어장치
KR19980040387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광고방송 검파에 의한 비트스트림 튜너 접속의 음량자동조정장치
KR19980055832A (ko) * 1996-12-28 1998-09-25 구자홍 티브이 시스템의 음성 출력 레벨 보상 방법 및 장치
KR20000043651A (ko) * 1998-12-29 2000-07-15 전주범 음량 자동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KR20050000087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동이득제어에 의한 볼륨 균일화장치
KR20050076959A (ko) * 2004-01-26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335A (ko) * 1994-12-27 1996-07-22 김광호 볼륨제어장치
KR19980028306U (ko) * 1996-11-22 1998-08-05 구자홍 텔레비젼 수신 시스템의 음성신호레벨 자동제어장치
KR19980040387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광고방송 검파에 의한 비트스트림 튜너 접속의 음량자동조정장치
KR19980055832A (ko) * 1996-12-28 1998-09-25 구자홍 티브이 시스템의 음성 출력 레벨 보상 방법 및 장치
KR20000043651A (ko) * 1998-12-29 2000-07-15 전주범 음량 자동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KR20050000087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동이득제어에 의한 볼륨 균일화장치
KR20050076959A (ko) * 2004-01-26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1383B2 (en) 2018-12-18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easuring sound level of audio content and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10A (ko)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9951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12028B1 (ko) 자동 음량 조절 tv 및 tv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JP2007515881A (ja) 一定のサウンドレベル
JP2002101002A (ja) 放送受信装置
KR101067775B1 (ko) 티브이의 우퍼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20575B1 (ko) 주변 노이즈에 따라 음성모드에서 텍스트모드로 전환하는텔레비전 세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60024827A (ko) 영상재생기기가 부가된 텔레비전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KR0184967B1 (ko) 음량 및 음질 자동조절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19990019261A (ko)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메뉴 선택 방법
JPH105170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72479B1 (ko) 청취력 테스트에 의한 자동음량조정장치와 방법
KR100245123B1 (ko) 텔레비전 음량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9980047368A (ko) 볼륨 레벨의 증감 폭 변동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KR100222322B1 (ko)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무선 스피커 제어 장치
KR0128018Y1 (ko) 텔레비디오수상기의 두 종류방송녹화장치
KR19990031456A (ko) 텔레비전의 무신호시 또는 약신호시 화면 및 음성 제어방법
KR100233982B1 (ko) 적응적 음성조절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20000027977A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음량자동 조정방법
KR20000003689A (ko) 티 브이의 음성레벨 조절장치
KR20050056665A (ko)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제어 방법
KR19980036766A (ko) 조도/시청거리 적응형 음량제어장치를 갖춘 텔레비전
KR20000037659A (ko) 텔레비젼에서의 화면 자동 제어 방법
KR19980051731A (ko) 무선 스피커 적정 거리 표시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KR19980047376A (ko) 알람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 및 알람 발생방법
KR20080067220A (ko) 텔레비전의 좌우독립 음량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