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795A - 소둔로 - Google Patents

소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795A
KR20200074795A KR1020180163588A KR20180163588A KR20200074795A KR 20200074795 A KR20200074795 A KR 20200074795A KR 1020180163588 A KR1020180163588 A KR 1020180163588A KR 20180163588 A KR20180163588 A KR 20180163588A KR 20200074795 A KR20200074795 A KR 2020007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nnealing furnace
atmosphere gas
injected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524B1 (ko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6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5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1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a controlled atmosphere or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005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005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es
    • F27B2009/3027Use of registers, part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nnel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소둔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로의 열처리 챔버는 제1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관을 갖는 제1 챔버와, 제2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는 제2 주입관을 갖는 제2 챔버와, 열처리 챔버 상부에서 제1 주입관과 제2 주입관 사이에 위치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제1 챔버와 제2 챔버의 벽면에는 제1 챔버로 주입된 제1 분위기가스와 제2 챔버로 주입된 제2 분위기가스가 각각 대응하는 챔버에서 맴돌이 현상을 일으키도록 하는 곡선안내면이 형성되어, 제1 챔버로 주입된 제1 분위기가스와 제2 챔버로 주입된 제2 분위기가스는 각각 대응하는 챔버에서 맴돌아 배기관을 통해 배기된다.

Description

소둔로{ANNEALING FURNACE}
본 발명은 소둔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둔로내 존별 분위기 가스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소둔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규소강판은 냉간압연후 1차 재결정 소둔에 이은 2차 재결정 소둔 과정을 겪게 된다. 1차 재결정 소둔은 2차 재결정시 결정립이 균일하면서도 적정한 크기로 성장하는데 유리한 결정립 조직 형성을 위해 중요하며, 1차 재결정 소둔시 분위기가스와 온도패턴의 제어가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안정된 고스 집합조직을 확보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자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1차 재결정은 탈탄소둔에 이은 질화 소둔 공정설비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혹은 탈탄과 질화가 동시에 행해지는 공정설비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소와 질소를 일정비율로 혼합시켜 분위기가스로 사용하는 소둔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소둔로(10)는 규소강판등의 스트립(S)를 수소와 질소 가스를 혼합시킨 분위기에서 대략850℃ 정도의 고열로 가열하는 가열대(11)와, 일정시간 머무는 동안 조직이 세로운 조직으로 변화되는 균열대(12)와 가열 소둔된 강판을 냉각시키는 냉각대(13)로 크게 3 부위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소둔로(10)의 각 존(11,12,13)에는 수소 및 질소를 혼합한 환원성 분위기 가스가 적정비율로 투입되는데, 냉각대(11), 균열대(12), 가열대(13) 상호간 분위기가스 유동(화살표 방향)으로 인하여 존(11,12,13)간 분위기가스 비율의 정량화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소둔로 각 존별로 공급되는 분위기 가스가 체류 구간에서 요구하는 비율로 유지되지 않아 진행되는 스트립 표면부 산화층 두께가 일정치 못해 후공정 MgO 코팅 시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져 피막이 박리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일본공개특허 제1999-80842호(1999.03.26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소둔로 존(냉각대, 균열대, 가열대) 상호간에 분위기가스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소둔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는 열처리 챔버를 갖는 소둔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챔버는 제1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도록 상부에 마련된 제1 주입관을 갖는 제1 챔버와, 제2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도록 상부에 마련된 제2 주입관을 갖는 제2 챔버와, 상기 열처리 챔버 상부에서 상기 제1 주입관과 상기 제2 주입관 사이에 위치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벽면에는 상기 제1 챔버로 주입된 상기 제1 분위기가스와 상기 제2 챔버로 주입된 상기 제2 분위기가스가 각각 대응하는 챔버에서 맴돌이 현상을 일으키도록 하는 곡선안내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로 주입된 상기 제1 분위기가스와 상기 제2 챔버로 주입된 상기 제2 분위기가스는 각각 대응하는 챔버에서 맴돌아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배기관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챔버는 스트립의 이송경로 상하에 위치되는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영역에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하부를 구분하기 위한 하부격벽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격벽은 상기 배기관의 수직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영역의 벽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상기 곡선안내면은 각각 호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격벽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각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곡선안내면은 각각 반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입관과 상기 제2 주입관의 하부에는 토출되는 분위기가스를 각각 인접한 상기 곡선안내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벽면유동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격벽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상기 곡선안내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분위기가스를 각각 대응하는 챔버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중앙유동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소둔로 존 간의 분위기가스 혼입을 차단하여 스트립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층을 균일하게 할 수 있어 후 공정 MgO 코팅 시 접착력 확보 및 최종 규소강판 표면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소둔로에서 분위기 가스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로에서 분위기 가스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로의 분위기가스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둔로(20)는 스트립(S)의 이송경로를 따라 복수개의 열처리 챔버(30)가 마련된다.
복수개의 열처리 챔버(30)는 스트립(S)의 진행방향을 따라 가열대, 균열대, 냉각대의 3개의 존(zo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열처리 챔버(30)는 각각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 이웃하는 열처리 챔버(30) 상호간에 분위기가스 혼입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복수의 열처리 챔버(30)는 각각 제1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는 제1 챔버(30a)와, 제2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는 제2 챔버(30b)로 구분된다. 제1 분위기가스와 제2 분위기가스는 수소와 질소를 포함한다.
제1 챔버(30a)의 상부에는 제1 분위기가스가 주입되기 위한 제1 주입관(41)이 설치되고, 제2 챔버(30b)의 상부에는 제2 분위기가스가 주입되기 위한 제2 주입관(42)이 설치된다.
제1 주입관(41)에 수소가 주입되는 경우, 제2 주입관(42)에는 질소가 주입될 수 있다. 제1 주입관(41)과 제2 주입관(42) 사이에는 열처리 챔버(30)의 분위기가스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관(43)이 설치된다.
배기관(43)은 분위기가스에 포함된 수소와 같은 연소성 물질을 연소하여 배출하기 위한 연소부(44)가 설치된다. 연소부(44)는 번 오프(Burn-Off) 설비 또는 가스 블리더(Gas Bleeder) 설비를 포함한다.
제1 챔버(30a)와 제2 챔버(30b)는 배기관(43)의 수직 연장선(y)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둔로(20)는 모듈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제1 챔버(30a)와 제2 챔버(30b)로 유입된 분위기가스는 각각 대응하는 챔버(30a,30b)에서 맴돌이 현상을 일으킨 후 배기관(43)을 통해 배기되도록 제1 챔버(30a)와 제2 챔버(30b)의 벽면에는 곡선안내면(60)이 형성된다.
제1 챔버(30a)와 제2 챔버(30b)로 형성되는 열처리 챔버(30)는 스트립(S)의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상하에 위치되는 상부영역(31)과 하부영역(32)으로 구분된다.
열처리 챔버(30)의 하부영역(32)에는 제1 챔버(30a)와 제2 챔버(30b)의 하부를 구분하기 위한 하부격벽(50)이 상부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다.
하부격벽(50)은 배기관(43)의 수직 연장선(y)상에 위치되어 열처리 챔버(30)의 하부영역(32)을 양측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곡선안내면(60)은 열처리 챔버(30)의 상부영역(31)의 벽면(60a)을 형성하는 부분과 하부격벽(50)에 의해 구분된 제1 챔버(30a)와 제2 챔버(30b)의 바닥면(60b)을 형성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부영역(31)의 벽면(60a)을 형성하는 제1 챔버(30a)와 제2 챔버(30b)의 곡선안내면(60)은 각각 호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격벽(50)에 의해 구분된 제1 챔버(30a)와 제2 챔버(30b)의 각 바닥면을 형성하는 곡선안내면(60)은 반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열처리 챔버(30)의 상부영역(31)을 형성하는 벽면은 전체적으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챔버(30a)와 제2 챔버(30b)의 각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주입관(41)과 제2 주입관(42)의 하부에는 주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분위기가스가 인접한 곡선안내면(60)을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벽면유동안내부(45,46)가 마련된다.
제1 주입관(41)의 하부에 배치된 제1 벽면유동안내부(45)는 제1 주입관(41)에서 배출되는 분위기가스가 제1 챔버(30a)의 상부벽면을 형성하는 곡선안내면(60a)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제2 주입관(4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벽면유동안내부(46)는 제2 주입관(42)에서 배출되는 분위기가스가 제2 챔버(30b)의 상부벽면을 형성하는 곡선안내면(60a)을 향하도록 안내한다.
하부격벽(50)의 상단 양측에는 각 챔버(30a,30b)의 바닥에 형성된 곡선안내면(60b)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분위기가스를 대응하는 챔버(30a,30b)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중앙유동안내부(51,52)가 마련된다.
제1 챔버(30a)를 형성하는 하부격벽(50) 상단에 형성된 제1 중앙유동안내부(51)는 제1 챔버(30a)의 바닥을 형성하는 곡선안내면(60b)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분위기가스를 제1 챔버(30a)의 중앙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제2 챔버(30b)를 형성하는 하부격벽(50) 상단에 형성된 제2 중앙유동안내부(52)는 제2 챔버(30b)의 바닥을 형성하는 곡선안내면(60b)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분위기가스를 제2 챔버(30b)의 중앙을 향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입관(41)을 통해 주입된 제1 분위기가스(H2)는 제1 벽면유동안내부(45)에 의해 안내되어 제1 챔버(30a)의 상부벽면을 형성하는 곡선안내면(60a)을 따라 하부로 유동한 후 제1 챔버(30a)의 바닥면에 도달하고, 제1 챔버(30a)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곡선안내면(60b)에서 방향이 전환된 후 하부격벽(50)을 형성하는 벽면을 타고 상부로 유동한다. 그리고 하부격벽(50) 상단에 마련된 제1 중앙유동안내부(51)에 의해 제1 챔버(30a)의 중앙을 향해 유동하여 제1 챔버(30a) 내에서 회전하는 맴돌이 현상을 일으킨 후 배기관(43)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주입관(42)을 통해 주입된 제2 분위기가스(N2)도 제2 벽면유동안내부(46)에 의해 안내되어 제2 챔버(30b)의 상부벽면을 형성하는 곡선안내면(60a)을 따라 하부로 유동한 후 제2 챔버(30b)의 바닥면에 도달하고, 제2 챔버(30b)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곡선안내면(60b)에서 방향이 전환된 후 하부격벽(50)을 형성하는 벽면을 타고 상부로 유동한다. 그리고 하부격벽(50) 상단에 마련된 제2 중앙유동안내부(52)에 의해 제2 챔버(30b)의 중앙을 향해 유동하여 제2 챔버(30b) 내에서 회전하는 맴돌이 현상을 일으킨 후 배기관(43)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따라서, 복수의 열처리 챔버(30) 각각에 주입되는 분위기가스는 각 열처리 챔버(30) 내에서 맴돌아 배기관(43)을 통해 배기됨에 따라 이웃하는 열처리 챔버(30) 내의 분위기가스가 유입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열처리 챔버(30)는 정량의 분위기가스 순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20: 소둔로, 30: 열처리 챔버,
30a: 제1 챔버, 30b: 제2 챔버,
31: 상부영역, 32: 하우영역,
41: 제1 주입관, 42: 제2 주입관,
43: 배기관, 44: 연소부,
45: 제1 벽면유동안내부, 46: 제2 벽면유동안내부,
50: 하부격벽, 51: 제1 중앙유동안내부,
52: 제2 중앙유동안내부, 60: 곡선안내면.

Claims (7)

  1.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는 열처리 챔버를 갖는 소둔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챔버는 제1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도록 상부에 마련된 제1 주입관을 갖는 제1 챔버와, 제2 분위기가스가 주입되도록 상부에 마련된 제2 주입관을 갖는 제2 챔버와, 상기 열처리 챔버 상부에서 상기 제1 주입관과 상기 제2 주입관 사이에 위치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벽면에는 상기 제1 챔버로 주입된 상기 제1 분위기가스와 상기 제2 챔버로 주입된 상기 제2 분위기가스가 각각 대응하는 챔버에서 맴돌이 현상을 일으키도록 하는 곡선안내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로 주입된 상기 제1 분위기가스와 상기 제2 챔버로 주입된 상기 제2 분위기가스는 각각 대응하는 챔버에서 맴돌아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배기관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둔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챔버는 스트립의 이송경로 상하에 위치되는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영역에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하부를 구분하기 위한 하부격벽이 마련되는 소둔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격벽은 상기 배기관의 수직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소둔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역의 벽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상기 곡선안내면은 각각 호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격벽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각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곡선안내면은 각각 반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소둔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입관과 상기 제2 주입관의 하부에는 토출되는 분위기가스를 각각 인접한 상기 곡선안내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벽면유동안내부가 마련되는 소둔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격벽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상기 곡선안내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분위기가스를 각각 대응하는 챔버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중앙유동안내부가 마련되는 소둔로.
KR1020180163588A 2018-12-17 2018-12-17 소둔로 KR102642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588A KR102642524B1 (ko) 2018-12-17 2018-12-17 소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588A KR102642524B1 (ko) 2018-12-17 2018-12-17 소둔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795A true KR20200074795A (ko) 2020-06-25
KR102642524B1 KR102642524B1 (ko) 2024-03-04

Family

ID=7140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588A KR102642524B1 (ko) 2018-12-17 2018-12-17 소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5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842A (ja) 1997-09-05 1999-03-26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炉の炉内雰囲気仕切装置
CN1326068A (zh) * 2001-06-12 2001-12-12 管理 一种无冷炉逆旋道膛水裂解氢氧成火受助于煤(油、气、电)技术
KR100330814B1 (ko) * 2000-11-22 2002-04-03 (주)씨디에스글로벌 모든 가연성 물질을 초 고온, 고속으로 연소시키는 연소방법
KR101721312B1 (ko) * 2015-03-17 2017-03-29 김종헌 와류현상을 감소시킨 이중 원통형 공냉식 화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842A (ja) 1997-09-05 1999-03-26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炉の炉内雰囲気仕切装置
KR100330814B1 (ko) * 2000-11-22 2002-04-03 (주)씨디에스글로벌 모든 가연성 물질을 초 고온, 고속으로 연소시키는 연소방법
CN1326068A (zh) * 2001-06-12 2001-12-12 管理 一种无冷炉逆旋道膛水裂解氢氧成火受助于煤(油、气、电)技术
KR101721312B1 (ko) * 2015-03-17 2017-03-29 김종헌 와류현상을 감소시킨 이중 원통형 공냉식 화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524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23603A (en) Equipment for heat treating
US20240102124A1 (en) Method and furnace for thermally treating a high-resistance steel strip comprising a temperature homogenisation chamber
KR20200074795A (ko) 소둔로
JPS61114522A (ja) 半導体ウエハ加熱装置
JP6724617B2 (ja) 鋼管の製造方法及び焼入れ装置
JP5330651B2 (ja) 熱処理方法
US1867318A (en) Tunnel kiln
US3189336A (en) Metallurgical heating furnace
JP2017166721A (ja) 熱処理炉
US2594876A (en) Apparatus for carburizing steel
JPH0477234B2 (ko)
US1768486A (en) Contintjous-cab-tttnnel ftjbnace and method of opebating the same
KR940003784B1 (ko) 침탄 · 침질대를 구비한 연속 어닐링로
US2886303A (en) Carburizing furnaces with recuperative heating
US362371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furnace
KR100551465B1 (ko) 순차식 냉각 장치와 진공단열 어닐링 오븐으로 구성되는에나멜 코팅 공정용 어닐링 장치
JP7253438B2 (ja) カーテンバーナーおよび熱処理設備
US1556208A (en) Salt glazing and klin for same
US2151190A (en)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carbide and nitride case on steel articles
US4596610A (en) Hardening metal parts
US1525725A (en) Furnace construction and operation
JP2006144104A (ja) 溶融亜鉛メッキ用鋼板の連続焼鈍装置及び連続焼鈍方法
KR102043785B1 (ko) 전기강판 소둔로의 실링장치
US2184972A (en) Process for treating metal
KR101486906B1 (ko)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