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318A - Front crash structure of vehicle - Google Patents
Front crash structure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4318A KR20200074318A KR1020180161953A KR20180161953A KR20200074318A KR 20200074318 A KR20200074318 A KR 20200074318A KR 1020180161953 A KR1020180161953 A KR 1020180161953A KR 20180161953 A KR20180161953 A KR 20180161953A KR 20200074318 A KR20200074318 A KR 202000743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back beam
- connection
- pair
- connection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분야에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2개의 백빔을 통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capable of absorbing external impact through two back beam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in the field of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일반적으로 주행 중 전방 충돌시에는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가 우선적으로 충돌 하중을 받게 되어 충격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는 차량의 엔진 룸을 형성하는 구조로서의 기능과 탑승자를 전방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front collision occurs while driving, the vehicle's front body structure preferentially receives a collision load to alleviate the impact. Accordingly, the vehicle's front body structure serves as a structure that forms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and protects the occupant from the front collision.
전방 충돌시 차량의 전방 구조에 가해지는 충격은 차체의 전방 백빔을 통해 프런트사이드멤버로 전달된다. 이 경우 프런트사이드멤버는 충격에 의해 좌굴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흡수되지 아니한 나머지 충격이 프런트사이드멤버를 통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a front collision, the impact applied to the front structure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front side member through the front back beam of the vehicle body. In this case, the front side member absorbs the shock while buckling by the impact, and the rest of the shock that is not absorbed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ront side member.
한편, 전기차 등 차세대 차량은 실내 공간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서 엔진룸의 공간은 비교적 종래의 차량보다 작게 설계되고 있다. 결국 전방 충돌시 충격량을 흡수 할 프런트사이드멤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큰 충격량이 차체로 전달되어 실내공간이 압착됨으로써,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next-generation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tend to expand the interior space, and accordingly, the space in the engine room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vehicle.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front side member to absorb the amount of impact in the event of a front collision is shortened, so that a large amount of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interior space is compressed,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injury to the occupants.
따라서, 엔진룸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충격량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방 차체 구조가 필요한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size of the engine room is small, there is a need for a new structure of the front vehicle body capable of sufficiently absorbing the impact amount.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s as background arts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s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분야에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2개의 백빔을 통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n the field of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capable of absorbing external impact through two back beams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는,The vehicle front colli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차량 전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각각 차량 전방으로 연장된 프런트사이드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1백빔; 차량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휀더 에이프런의 전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멤버; 및 제1백빔의 상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한 쌍의 지지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백빔;을 포함할 수 있다.A first back beam dispos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respectively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extending in front of the vehicle; A pair of support members extending forward from each front end of a pair of fender aprons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back beam disposed above the first back beam and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제2백빔은 패널형상의 바디부 및 바디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차량의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구성되고, 제2백빔의 바디부의 후면은 지지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제2백빔의 상부 절곡부 및 하부 절곡부는 각각 지지멤버의 상면 및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back beam is composed of a panel-shaped body part and a bent part bent at the rear of the vehicle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body part of the second back beam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ack beam The bent portion and the lower bent portion may be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지지멤버는 상면과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 구성되고,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폐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may be formed as a hollow hollow end face.
지지멤버의 한 쌍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비드가 형성되고, 복수의 비드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eads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beads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 및 제1백빔에 연결된 커넥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extend fur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second back beam and the first back beam, respectively.
커넥션부는 제1백빔의 중앙 지점과 제2백빔의 중앙 지점을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may connect the central point of the first back beam and the central point of the second back beam.
커넥션부는 판넬 형상이며,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제2백빔의 바디부 및 제1백빔에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has a panel shape, and upper and lower ends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the first back beam of the second back beam, respectively.
커넥션부의 양측 측부에는 제1백빔과 제2백빔 사이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Flanges bent rearwar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ck beam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커넥션부의 전면부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vertically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커넥션부는 한 쌍이 마련되고, 한 쌍의 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 및 제1백빔에 연결될 수 있다.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may be provided, and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back beam and a first back beam, respectively.
한 쌍의 커넥션부는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The pair of connection portions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d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커넥션부는 판넬 형상이며, 제2백빔의 하방의 양측 측단에서 차량의 후방으로 절곡된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has a panel shape, and a wing portion be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may b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back beam.
커넥션부의 상부 후면부는 제2백빔의 바디부에 연결되고, 커넥션부의 하부 전면부는 제1백빔의 후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second back beam, and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back beam.
한 쌍의 커넥션부는 제1커넥션부 및 제2커넥션부로 구성되고, 제1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의 좌측부 및 제1백빔의 우측부에 연결되며, 제2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의 우측부 및 제1백빔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제1커넥션부 및 제2커넥션부가 서로 교차될 수 있다.The pair of connection portions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eft portion of the second back beam and the right portion of the first back beam, respectively,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has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y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ight part of the second back beam and the left part of the first back beam,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cross each other.
제2커넥션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패널 및 베이스패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베이스패널에서 돌출되며 베이스패널을 따라 연장된 돌출홈이 형성되고, 제1커넥션부는 제2커넥션부의 베이스패널 중앙부에 교차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일측 돌출홈과 타측 돌출홈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from the base panel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pane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anel, and protruding grooves extending along the base panel are formed,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the bas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By being connected to cross the center of the panel, it can be disposed between one protruding groove and the other protruding groove.
본 발명의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2개의 백빔을 통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rnal shock can be absorbed through two back beam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특히, 기존의 차체 구조에 비해서 엔진룸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차량의 실내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록 엔진룸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2개의 백빔을 통해 차량의 전방 충돌에 대한 성능이 유지 내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engine room is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vehicle body structure, so there is an advantage of expand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n addition, although the size of the engine room is smal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erformance against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or improved through two back bea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커넥션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제2백빔이 지지멤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커넥션부가 제1백빔 및 제2백빔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지지멤버가 휀더 에이프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front collision structure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of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ack beam of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upport member.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collis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ack beams.
6 is a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member of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ender apr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커넥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제2백빔이 지지멤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커넥션부가 제1백빔 및 제2백빔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의 지지멤버가 휀더 에이프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coupled to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vehicle front collis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ond back beam of a vehicle front collis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support member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part of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first back beam and a second back beam, and FIG.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urface of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member of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fender apron.
최근 전기자동차 등 차세대 차량은 엔진룸의 공간을 축소하고, 차량의 실내 공간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서, 엔진룸의 공간을 축소하는 숏 오버행 차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차체 내부에 프런트사이드멤버의 길이도 짧아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경우 전방 충돌시 프런트사이드멤버가 충격량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게 된다. 결국, 큰 충격량이 차체로 전달되어 실내 공간으로 전달되면서, 탑승자에게 상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next-generation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are in a trend of reducing the space in the engine room and expand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ccordingly, since a short overhang vehicle body that reduces the space in the engine room is used, the length of the front side member inside the vehicle body is also shortened. On the other hand, in such a case, the front side member cannot sufficiently absorb the amount of impact during a front collision. As a result, a large amount of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and transmitted to the interior spa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sibility of injury to a passenger increase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는, 차량 전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각각 차량 전방으로 연장된 프런트사이드멤버(500)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1백빔(100); 차량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휀더 에이프런(600)의 전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멤버(300); 및 제1백빔(100)의 상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한 쌍의 지지멤버(300)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백빔(200);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extend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are respectively front side extending in front of the vehicle. A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는 프런트사이드멤버(500)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1백빔(100)이 마련된다. 제1백빔(100)은 전방 충돌시 좌굴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나머지 충격은 프런트사이드멤버(5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 양 측의 프런트사이드멤버(500)가 좌굴되면서 많은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프런트사이드멤버(5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근 숏 오버행 차체로 엔진룸이 작아지는 추세에 비추어 프런트사이드멤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멤버(300)를 통해 전방 충돌에 대해서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것이다. 한 쌍의 지지멤버(300)는 차량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휀더 에이프런(600)의 전단부에서 각각 차량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As shown in FIG. 1,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도 2, 4 및 7에서와 같이 휀더 에이프런(600)의 전단부에서 지지멤버(300)는 차량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휀더 에이프런(600)의 전단부에는 판넬 형상의 플레이트(62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멤버(300)의 후단부는 플레이트(620)에 용접 등의 공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620)는 휀더 에이프런(600)의 전단부에 볼팅(B) 결합될 수 있다.2, 4 and 7, the
한 쌍의 지지멤버(300)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백빔(200)은 전방 충돌시 좌굴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나머지 충격은 한 쌍의 지지멤버(3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지지멤버(300)들이 좌굴되면서 많은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지지멤버(300)를 통해 휀더 에이프런(6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The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제2백빔(200)은 패널형상의 바디부(220) 및 바디부(220)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차량의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40)로 구성되고, 제2백빔(200)의 바디부(220)의 후면은 지지멤버(300)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제2백빔(200)의 상부 절곡부(240) 및 하부 절곡부(240)는 각각 지지멤버(300)의 상면(320) 및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2백빔(200)을 바디부(220)와 절곡부(240)로 구성하여 단면2차모멘트가 증가하여 전방 충돌시 제2백빔(200)이 충돌에 대한 강성이 높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1, the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플레이트(620)가 휀더 에이프런(600)의 전단부에 볼팅(B)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2백빔(200)의 상부 절곡부(240)와 플레이트(620)의 상단부는 지면을 기준으로 높이차가 생기도록 단면이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620)의 상단부와 제2백빔(200)의 상부 절곡부(240)의 높이 차는 5mm 이상이 바람직하나 볼트의 직경 또는 결합 공정에 따라서 높이 차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620)의 하단부와 제2백빔(200)의 하부 절곡부(240) 사이에도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의 높이차가 생기도록 단면이 설정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물론, 제2백빔(200)의 하부 절곡부(240)가 플레이트(620)의 하단부보다 지면을 기준으로 높은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plate 620, the
한편, 도 4 및 7과 같이 지지멤버(300)는 상면(320)과 하면 및 상면(320)과 하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360)으로 구성되고,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폐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멤버(300)의 한 쌍의 측면(360)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비드(380)가 형성되고, 복수의 비드(380)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지지멤버(300)가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폐단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전방 충돌시 지지멤버(300)의 좌굴이 더 잘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전방 충돌시 지지멤버(300)가 흡수하게 되는 충격량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지지멤버(300)의 한 쌍의 측면(360)에는 복수의 비드(380)가 형성되어 전방 충돌시에 좌굴이 쉽게 발생되도록 유도된다. 전방 충돌시에 차량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의 비드(360)를 기준으로 지지멤버(30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단계적으로 구겨지면서 좌굴되므로 충격량을 많이 흡수하게 되어 차체로 유입되는 충격량이 줄어들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4 and 7, the
그리고, 도 4와 같이 복수의 비드(380)는 지지멤버(300)의 내부를 향해 만입되도록 형성된 일정 길이의 홈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한편, 도 1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는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200) 및 제1백빔(100)에 연결된 커넥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션부(400)가 제1백빔(100) 및 제2백빔(200)을 연결함으로써 로드패스가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션부(400)가 전방 충돌시 차량의 내측으로 좌굴되면서 충격량을 흡수하므로 차량의 충돌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그리고, 도 2 내지 3과 같이 커넥션부(400)는 제1백빔(100)의 중앙 지점과 제2백빔(200)의 중앙 지점을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커넥션부(400)가 연결됨으로써 제1백빔(100)과 제2백빔(200)간에 상호 로드패스가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제1백빔(100) 또는 제2백빔(200)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충돌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커넥션부(400)를 통해 충격이 다른 백빔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2 to 3, the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커넥션부(400)는 판넬 형상이며,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제2백빔(200)의 바디부(220) 및 제1백빔(1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션부(400)의 양측 측부에는 제1백빔(100)과 제2백빔(200) 사이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플랜지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션부(400)의 전면부에는 복수의 돌출부(440)가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션부(400)의 양측 측부에 플랜지부(420)를 형성하며 커넥션부(400)의 전면에 복수의 돌출부(440)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충돌시에 충돌에 대한 강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커넥션부(400)가 제2백빔(200)의 바디부 및 제1백빔(100)에 연결됨으로써, 충돌시 충돌 에너지가 커넥션부(400)를 통해 제2백빔(200) 및 제1백빔(100)에 적절하게 분산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2 to 3, the
그리고, 도 1 및 6과 같이 커넥션부(400)는 한 쌍이 마련되고, 한 쌍의 커넥션부(40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200) 및 제1백빔(100)에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6, a pair of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한 쌍의 커넥션부(400)는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제1백빔(100), 제2백빔(200) 및 한 쌍의 커넥션부(400)가 연결되어 사각형의 지지체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충돌시 충돌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즉, 충돌 초기시에 사각형의 지지체가 좌굴되면서 우선적으로 충격을 감쇄시키고 난 후, 프런트사이드멤버(500) 및 지지멤버(300)를 통해서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게 된다. 특히, 커넥션부(400)가 좌측 및 우측에 한 쌍이 배치됨으로써 프런트사이드멤버(500) 및 지지멤버(300)에 더욱 효과적으로 충격을 전달하는 장점이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pair of
또한, 도 1 및 5와 같이 커넥션부(400)는 판넬 형상이며, 제2백빔(200)의 하방의 양측 측단에서 차량의 후방으로 절곡된 날개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션부(400)의 상부 후면부는 제2백빔(200)의 바디부(220)에 연결되고, 커넥션부(400)의 하부 전면부는 제1백빔(100)의 후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커넥션부(400)는 날개부(450)가 형성됨으로써 단면2차모멘트가 증대되고, 따라서, 판넬 형상이라 하더라도 전방 충돌에 대한 저항 강성이 높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넥션부(400)의 상부 후면부는 제2백빔(200)의 바디부(220)에 연결되고, 커넥션부(400)의 하부 전면부는 제1백빔(100)의 후면부에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로드패스가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5, the
또한, 도 6과 같이 한 쌍의 커넥션부(400)는 제1커넥션부(460) 및 제2커넥션부(480)로 구성되고, 제1커넥션부(46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200)의 좌측부 및 제1백빔(100)의 우측부에 연결되며, 제2커넥션부(48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200)의 우측부 및 제1백빔(100)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제1커넥션부(460) 및 제2커넥션부(480)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커넥션부(460) 및 제2커넥션부(480)가 서로 교차됨으로써 충격에 대한 로드패스가 다양하게 형성된다. 즉, 전방 충돌시 충격이 제1커넥션부(460) 및 제2커넥션부(480)가 서로 교차된 지점에서 각각 제1백빔(100) 및 제2백빔(200)으로 전달되면서 충격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pair of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제2커넥션부(48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패널(485) 및 베이스패널(485)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베이스패널(485)에서 돌출되며 베이스패널(485)을 따라 연장된 돌출홈(490)이 형성되고, 제1커넥션부(460)는 제2커넥션부(480)의 베이스패널(485) 중앙부에 교차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일측 돌출홈(490)과 타측 돌출홈(4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 돌출홈(490)과 타측 돌출홈(490)의 사이에 제1커넥션부(460)가 배치되게 함으로써 조립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커넥션부(480)에 돌출홈(490)이 형성됨으로써 전방 충돌에 대한 저항 강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제1커넥션부(460)가 좌굴되는 경우, 제2커넥션부(480)가 이를 받쳐줌으로써 충격을 더욱 흡수하게 되고, 베이스패널(485) 및 돌출홈(490)을 따라서 제1백빔(100) 및 제2백빔(200)으로 충격이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이처럼, 본 발명의 경우 숏 오버행 차체라 하더라도 프런트사이드멤버(500) 및 지지멤버(300)를 통해서 전방 충돌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충격 흡수량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넥션부(400)를 통해 다양한 로드패스가 형성되어 제1백빔(100) 및 제2백빔(200)으로 효과적으로 충돌 에너지가 분산되므로 전방 충돌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 short overhang vehicle body, the impact on the front collision is absorbed through the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100 : 제1백빔
200 : 제2백빔
300 : 지지멤버
400 : 커넥션부
500 : 프런트사이드멤버
600 : 휀더 에이프런100: first back beam 200: second back beam
300: support member 400: connection unit
500: front side member 600: fender apron
Claims (15)
차량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휀더 에이프런의 전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멤버; 및
제1백빔의 상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한 쌍의 지지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백빔;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A first back beam dispos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respectively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extending in front of the vehicle;
A pair of support members extending forward from each front end of a pair of fender aprons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It is disposed above the first back beam and extend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back beam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제2백빔은 패널형상의 바디부 및 바디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차량의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구성되고, 제2백빔의 바디부의 후면은 지지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제2백빔의 상부 절곡부 및 하부 절곡부는 각각 지지멤버의 상면 및 하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 지지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ack beam consists of a panel-shaped body part and a bent part bent at the rear of the vehicle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body part of the second back beam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ack beam The front support for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and the lower bent por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지지멤버는 상면과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 구성되고,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폐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hollow hollow end face.
지지멤버의 한 쌍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비드가 형성되고, 복수의 비드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plurality of beads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side surface of a pair of support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beads are spaced forward and backward in a vehicle, characterized by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 및 제1백빔에 연결된 커넥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and first back beams, respectively, by the upper and lower ends.
커넥션부는 제1백빔의 중앙 지점과 제2백빔의 중앙 지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unit connects the central point of the first back beam and the central point of the second back beam.
커넥션부는 판넬 형상이며,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제2백빔의 바디부 및 제1백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onnection part has a panel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the first back beam of the second back beam, respectively, and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커넥션부의 양측 측부에는 제1백빔과 제2백빔 사이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flange portion bent rearwar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ck beams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커넥션부의 전면부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A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o extend up and down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커넥션부는 한 쌍이 마련되고, 한 쌍의 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 및 제1백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are provided, and the pair of connection portions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back beam and the first back beam, respectively.
한 쌍의 커넥션부는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in relation to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커넥션부는 판넬 형상이며, 제2백빔의 하방의 양측 측단에서 차량의 후방으로 절곡된 날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nection part has a panel shape, and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wing portion bent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is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back beam.
커넥션부의 상부 후면부는 제2백빔의 바디부에 연결되고, 커넥션부의 하부 전면부는 제1백빔의 후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second back beam, and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back beam.
한 쌍의 커넥션부는 제1커넥션부 및 제2커넥션부로 구성되고, 제1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의 좌측부 및 제1백빔의 우측부에 연결되며, 제2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2백빔의 우측부 및 제1백빔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제1커넥션부 및 제2커넥션부가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pair of connection portions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eft portion of the second back beam and the right portion of the first back beam, respectively,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has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which is connected to the right part of the second back beam and the left part of the first back beam, and intersects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respectively.
제2커넥션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패널 및 베이스패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베이스패널에서 돌출되며 베이스패널을 따라 연장된 돌출홈이 형성되고, 제1커넥션부는 제2커넥션부의 베이스패널 중앙부에 교차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일측 돌출홈과 타측 돌출홈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from the base panel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pane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anel, and protruding grooves extending along the base panel are formed,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the bas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front collision structur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groove on one side and the other protruding groove by being connected so as to intersect at the center of the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953A KR20200074318A (en) | 2018-12-14 | 2018-12-14 | Front crash structure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953A KR20200074318A (en) | 2018-12-14 | 2018-12-14 | Front crash structure of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4318A true KR20200074318A (en) | 2020-06-25 |
Family
ID=7140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1953A KR20200074318A (en) | 2018-12-14 | 2018-12-14 | Front crash structure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74318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1110B1 (en) | 2015-07-09 | 2017-01-09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Front bumper system with divided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
2018
- 2018-12-14 KR KR1020180161953A patent/KR20200074318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1110B1 (en) | 2015-07-09 | 2017-01-09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Front bumper system with divided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71983B2 (en) | Battery module protection structure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 |
EP3305628B1 (en) | Automobile engine compartment assembly | |
KR102691483B1 (en) | Front support for vehicle | |
CN110481477B (en) | Energy-absorbing structure and vehicle with same | |
WO2016148635A1 (en) | Progressive crash box member and its arrangement | |
KR101458702B1 (en) | sub frame for automobile | |
CN213862434U (en) | Threshold roof beam and car floor structure | |
CN113165697B (en) | Front cabin structure assembly for automobile body | |
CN215398951U (en) |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for side collision of automobile body and automobile | |
KR100932672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EP0677436B1 (en) | Arrangement for absorbing vehicle collision energy | |
KR102371242B1 (en) |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 |
CN110962936B (en) | Cross member structure and vehicle frame | |
US11691579B2 (en) | Vehicle shock absorbing structure | |
JP2007008346A (en) | Vehicle rear part structure | |
JPH058755A (en) | Front structure for automobile | |
CN215244716U (en) | Preceding crashproof roof beam assembly and vehicle that has it | |
KR20200074318A (en) | Front crash structure of vehicle | |
CN106275087B (en) | A kind of car engine room assembly | |
CN110316251B (en) | Front frame and passenger car | |
KR101057986B1 (en) | Bumper Unit for Vehicle | |
KR102588953B1 (en) | Front lower crash body-structure of vehicle | |
CN219857063U (en) | Crash-proof structur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 |
CN220374636U (en) | Front engine room assembly and automobile with same | |
KR101523851B1 (en) | Front side member with collision avoidance structur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