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864A - 케이블 연결기기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864A
KR20200073864A KR1020180162510A KR20180162510A KR20200073864A KR 20200073864 A KR20200073864 A KR 20200073864A KR 1020180162510 A KR1020180162510 A KR 1020180162510A KR 20180162510 A KR20180162510 A KR 20180162510A KR 20200073864 A KR20200073864 A KR 20200073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ignal
switch terminal
cab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359B1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18016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3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기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회로 및 상기 회로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가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을 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연결기기 {APPARATUS CONNECTING A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을 때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버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기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하여 케이블을 이용한다.
이러한 케이블의 단부는 케이블 연결기기에 연결되는데, 대표적인 방법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아서 처리하는 회로(10) 및 회로(10)와 케이블(C)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20)가 내장된 케이스(1) 내부에 케이블(C)이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C)이 케이블 연결기기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케이블(C)을 케이스(1)로부터 이탈시켜 신호단자(20)와의 연결을 끊었을 때 이물질이 케이스(1) 내부로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C)이 신호단자(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 케이스(1)의 일부분을 덮는 커버(2)가 마련되는데, 이와 같이 커버(2)가 덮여져 있는 경우(도 2로 도시됨)에는 케이스(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충분히 방지하지만, 사용자가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신호가 아닌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단순한 스위칭신호를 넣는 경우라 하더라도 케이블(C)을 연결해야 하기에 커버(2)를 다시 제거해야 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이와 같은 새로운 문제는, 야외에서 많이 이용되는 자전거에 장착되는 여러 전자기기들과 연계된 케이블 연결기기와 같이, 외부에 노출이 많이 케이블 연결기기에 수시로 케이블을 연결하였다가 이를 해제하여야 하는 경우에 더 심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대한 발명자는 "유럽 수출을 위한 전기 자전거용 0°컷오프를 갖는 전조등 내장 핸들바와 110°측면 조사각을 갖는 후미등 내장 싯포스트 개발"을 과제명으로 하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관하는 연구과제(과제 고유번호: 2016-1-014)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새로운 문제까지도 해결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기기에 대한 발명을 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을 때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버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회로 및 상기 회로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가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을 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할 때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 변형과 무관하게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치단자 및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단자에 대향하는 제2 스위치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제1 스위치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단자는 일단부가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스위치단자는 일단부가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스위치단자의 타단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상기 제1 스위치단자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스위치단자의 타단부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회로에서 별도로 분기된 한 쌍의 회로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할 때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연결기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정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신호로 입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터치 신호 인식부를 통해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스위칭 신호로 해석하여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연결기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인 스위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각각의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을 때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버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커버를 제거하여 다시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야외에서 많이 이용되는 자전거에 장착되는 여러 전자기기들과 연계된 케이블 연결기기와 같이, 야외와 같이 이물질이 많은 상황에서 케이블을 연결하였다가 해제하는 경우가 빈번한 경우에 더욱 큰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연결기기에서 케이블이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연결기기에서 케이블이 신호단자와 연결되지 않을 때 커버가 케이스를 덮고 있는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가 변형될 수 있는 일례를 제4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가 변형될 수 있는 다른 일례를 제5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1 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로 나눠서 상세하게 설명을 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지만 각각의 실시예들 사이에서는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오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의 명칭과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하더라도, [도면]에서의 부호는 "-(번호)"형태로 구분하여 두기로 한다. (예를 들어, 버튼(100)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명칭 및 부호(100)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부호는 100-1로 표기하고,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부호는 100-2로 표기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는 케이스(1) 및 커버(2)를 포함하고, 커버(2)는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1) 및 커버(2)는 앞서 설명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스(1) 및 커버(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와 같은 케이스(1) 및 커버(2)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즉, 케이스(1)는 케이블(C)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회로(10) 및 회로(10)와 케이블(C)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20)가 내장되고, 케이블(C)이 신호단자(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커버(2)는 케이블(C)이 신호단자(20)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스(1)의 개방된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커버(2)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스(1)의 개방된 일부를 덮을 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를 포함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결정되는 바,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버튼(100)은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스위칭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면 형상이나 크기, 재질이나 구조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는 고무와 같이 재질이 갖는 고유의 특성으로 탄성을 보유하는 부재일 수도 있고, 스프링과 같이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 갖는 특성으로 탄성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재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100)이 형성되면 사용자가 가압하면 탄성부재로 형성되었기에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형상이 변경되게 될 것이다. (이때, 중공부를 차지하고 있는 공기가 압축되거나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 등의 세부적인 기술적 특징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서 상세한 설명하지는 않는다.)
한편, 스위치단자(200)는 버튼(100)의 동작에 따라 회로(10) 또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 역시 버튼(100)의 동작에 따라 회로(10) 또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될 수 있다면 형상이나 크기, 재질이나 구조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 역시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스위치단자(200)는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신호단자(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중공부의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는 한 쌍의 신호단자(20)와 연결되면서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한 쌍의 신호단자(20)와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오프(off)상태 및 온(on)상태는 2진법으로 처리되는 0과 1을 대변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 특정 기기에서 전원을 켜거나 끄는 것 등으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도 안될 것이다.
또한, 연결부와 한 쌍의 신호단자(20)가 이격되는 소정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100)이 가압될 때 감소되는 중공부의 크기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연결부와 한 쌍의 신호단자(20)가 연결되는 방향대로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지 않을 가능성까지도 고려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2)는, 사용자가 회로(10)에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케이스(1)로부터 제거되지 않더라도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가 있기에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회로(10)에 입력하기 위해서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은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버튼(100)에 포함된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신호단자(20)는 스위치단자(200)에 포함된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맞춰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회로(10)에 전달될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하여는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서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는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할 때 케이스(1)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위치단자(200)는 케이스(1) 내부에 마련된 한 쌍의 신호단자(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케이스(1)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어 구성된 커버(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는,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이 케이스(1)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신호단자(20)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것이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2 실시예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케이스(1)와 커버(2)를 포함하고 커버(2)는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를 포함하는 바, 아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에서의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경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단자(200)는 제1 스위치단자(210)와 제2 스위치단자(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단자(210)는 버튼(100)의 형상 변형과 무관하게 회로(10)와 항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단자(220)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되어 제1 스위치단자(210)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버튼(100)의 형상이 변형될 때 제1 스위치단자(2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단자(210)는 일단부가 회로(10)와 항시 연결되고 타단부가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단자(220)는 일단부가 신호단자(2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에서 제1 스위치단자(210)의 타단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제1 스위치단자(210)의 타단부와 제2 스위치단자(220)의 타단부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대로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것이다.
계속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3 실시예 또한 제1 실시예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케이스(1)와 커버(2)를 포함하고 커버(2)는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를 포함하는 바, 아래에서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서의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경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단자(200)는 버튼(100)의 형상이 변형될 때 회로(10)에서 별도로 분기된 한 쌍의 회로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위치단자(200)는 각각의 일단부가 회로(10)와 항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회로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는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버튼(100)의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회로단자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할 때 케이스(1) 내부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단자(200)는 한 쌍의 회로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와 관련된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 따르면,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이 케이스(1)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회로단자가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대로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가 변형될 수 있는 일례를 제4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가 변형될 수 있는 다른 일례를 제5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아래 상세하게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에 모두 공통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에 설명으로, 모두 공통적으로 변형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의 변형에 해당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4 실시예에서의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하지 않더라도 스위치단자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정전기를 이용하여 스위칭 신호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신호로 입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100)이 형성되면, 스위치단자(200) 또한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1)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터치 신호 인식부(300)를 통해 버튼(100)을 통해 입력된 터치 신호를 스위칭 신호로 해석하여 회로(10) 또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가 버튼(100)이 갖는 탄성보다 큰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아나 노인들이 사용하는 자전거에 이용하면 유리할 것이지만, 반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갑을 낀 경우와 같이 버튼(100)에 정전기 신호를 가하지 못하면 터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추운 기후에 수출되는 자전거에 이용되면 불리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5 실시예에서의 버튼(100)은 사용자가 선택적인 스위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스위치단자(200)는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버튼(100)의 동작에 따라 회로(10) 또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스위칭 신호를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것이지만, 반대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있는 중에 스위칭 신호를 넣는 경우 헷갈릴 수 있다는 점에서 불리할 것이다.
즉,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는 유리하고 불리한 점이 각각 있을 수 있으므로,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 : 케이블
1 : 케이스
2 : 커버
10 : 회로
20 : 신호단자
100 : 버튼
200 : 스위치단자
210 : 제1 스위치단자
220 : 제2 스위치단자
300 : 터치 신호 인식부
본 발명은 하기 대한민국 정부지원과제의 개발 결과물이다.
- 과제 고유번호: 2016-1-014
- 중앙행정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과제명: "유럽 수출을 위한 전기 자전거용 0° 컷오프를 갖는 전조등 내장 핸들바와 110° 측면 조사각을 갖는 후미등 내장 싯포스트 개발"

Claims (11)

  1.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회로 및 상기 회로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가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을 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할 때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 변형과 무관하게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치단자 및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단자에 대향하는 제2 스위치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제1 스위치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단자는 일단부가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스위치단자는 일단부가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스위치단자의 타단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상기 제1 스위치단자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스위치단자의 타단부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회로에서 별도로 분기된 한 쌍의 회로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할 때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정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신호로 입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터치 신호 인식부를 통해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스위칭 신호로 해석하여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인 스위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각각의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KR1020180162510A 2018-12-14 2018-12-14 케이블 연결기기 KR10215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510A KR102154359B1 (ko) 2018-12-14 2018-12-14 케이블 연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510A KR102154359B1 (ko) 2018-12-14 2018-12-14 케이블 연결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864A true KR20200073864A (ko) 2020-06-24
KR102154359B1 KR102154359B1 (ko) 2020-09-09

Family

ID=7140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510A KR102154359B1 (ko) 2018-12-14 2018-12-14 케이블 연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3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550Y2 (ja) * 1993-06-29 2000-03-15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
KR200303190Y1 (ko) * 2002-10-30 2003-02-06 에이디반도체(주) 터치 스위치
JP2003141965A (ja) * 2001-08-24 2003-05-16 Yazaki Corp スイッチ用表シート及びスイッチ
JP2004031185A (ja) * 2002-06-27 2004-01-29 Yazaki Corp 薄型スイッチ
JP2004194037A (ja) * 2002-12-12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2017062231A (ja) * 2015-09-21 2017-03-30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ケーブルの試験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550Y2 (ja) * 1993-06-29 2000-03-15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
JP2003141965A (ja) * 2001-08-24 2003-05-16 Yazaki Corp スイッチ用表シート及びスイッチ
JP2004031185A (ja) * 2002-06-27 2004-01-29 Yazaki Corp 薄型スイッチ
KR200303190Y1 (ko) * 2002-10-30 2003-02-06 에이디반도체(주) 터치 스위치
JP2004194037A (ja) * 2002-12-12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2017062231A (ja) * 2015-09-21 2017-03-30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ケーブルの試験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359B1 (ko)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8852B1 (en) Switch assembly and hand-held device
US20130313087A1 (en) Watertight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5190816A (zh) 按键开关及开关模块
CN102624948A (zh) 可供套合移动终端装置的套合式路由器
CN103471695A (zh) 称重装置
CN106227357B (zh) 一种防水按键模组
CN104267781B (zh) 扩展坞可复用的移动终端及其扩展坞复用的方法
KR20200073864A (ko) 케이블 연결기기
CN102244321A (zh) Usb连接线
WO2001035429A8 (fr) Piece electrique et systeme d'arret d'urgence e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comportant cette piece
CN105048203A (zh) 连接器
EP3116010B1 (en) Switch apparatus
CN105869940B (zh) 电子装置
WO2013012239A2 (ko)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CN201754463U (zh) 一种电路转接板
US20140173159A1 (en) Expresscard adapter and electronic device
KR100888311B1 (ko)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CN213123798U (zh) 一种新型录音笔
CN201754330U (zh) 一种蜂鸣模块
CN113485088B (zh) 一种键盘切换电路和键盘切换电路的控制方法
CN215527240U (zh) 一种语音智能开关
JP2008251194A (ja) スイッチ装置
US20230333512A1 (en)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JP2008301455A (ja) キー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20170087076A (ko) 2단 작동식 스위치 기구를 가진 전자기기의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