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070A -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070A
KR20200073070A KR1020180161352A KR20180161352A KR20200073070A KR 20200073070 A KR20200073070 A KR 20200073070A KR 1020180161352 A KR1020180161352 A KR 1020180161352A KR 20180161352 A KR20180161352 A KR 20180161352A KR 20200073070 A KR20200073070 A KR 20200073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polymer
weight
oil seal
rubb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임
Original Assignee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070A/ko
Publication of KR2020007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08K3/14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4Triazines containing cyanurate groups; Tauto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2Inorganic compounds
    • C09K2200/0204Elements
    • C09K2200/0208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17Polyalk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 고무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 고무 조성물은: 에틸렌 성분이 55w% 내지 60w%인 EPDM 소재로 이루어지며 무가공유 배합된 폴리머;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4 내지 10 중량부를 가지며,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를 포함하는 가교제; 및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90 중량부를 갖으며, 입자크기가 250nm 내지 350nm인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진 충진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Rubber composition of oil seal for cooling water opener of fuel cell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최근 자동차 시장의 중심에 있는 석유의 고갈 문제로 인하여 석유를 대체할 만한 에너지의 생산이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때문에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차 등의 친환경 자동차로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중 수소연료자동차(Fuel Cell Vehicle)는 기존에 사용하던 내연기관 대신 수소와 공기가 만나 산소 반응을 일으킨 후 발생하는 전기를 연료전지로 사용하는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를 뜻한다.
이러한 수소연료자동차의 냉각수 개폐기에는 냉각수를 씰링하기 위한 오일씰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상기 오일씰은 저온 환경 및 내부동액성이 우수하여야 하고, 장시간 부동액에 노출되더라도 노화로 인해 씰링력이 저하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오일씰에는 이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수로 사용되는 부동액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과, 저온 환경 및 이온용출이 없는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 고무 조성물은, 에틸렌 성분이 55w% 내지 60w%인 EPDM 소재로 이루어지며 무가공유 배합된 폴리머와,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4 내지 10 중량부를 갖고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을 구비한 가교제와,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90 중량부를 갖으며, 입자크기가 250nm 내지 350nm인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진 충진제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머의 무니 (Mooney) 점도가 25 MU(ML 1 + 4/ 125℃)일 수 있다.
상기 EPDM은 에틸렌 성분이 58w%이고, ENB(ethylidene norbornene) 성분이 4.7 wt%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2 중량부를 갖는 N,N'-Di-2-naphthyl-p-phenylenediamine으로 이루어진 노화방지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0.2 내지 1 중량부를 갖는 Triallyl isocyanurat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에 대한 씰링 특성이 우수하게 되고, 이온 용출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저온성 향상되며, 내부동액성이 향상된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이 제조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 고무 조성물은, 폴리머와, 가교제와, 노화방지제와, 충진제를 포함한다.
폴리머는 에틸렌 성분이 55wt% 내지 60wt%, 보다 바람직하게는 58w%인 EPDM 소재로 이루어지며, 가공유 없이 배합된다. 이 경우, 상기 EPDM의 무니(Mooney) 점도는 15 내지 35 MU(ML 1 + 4/125 ℃)인 EPDM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EPDM은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약간의 디엔 성분과의 3원 중합체로서,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이 경우, 상기 EPDM은 이온이 용출되지 않고, 전기절연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EPDM은 무니 (Mooney) 점도가 15 내지 35 MU(ML 1 + 4/125℃),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MU(ML 1 + 4/125 ℃)일 수 있다.
(ML 1+4/125℃)은 고무의 점도 (Mooney viscosity) 측정 하는 시험 조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125℃에서 큰 로터(100M)를 사용하여 1분간 예열하여 로터 시동 후 4분의 값을 읽은 값을 의미한다.
EPDM의 점도가 25 MU로서 낮은 점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서 가공유없이 배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금속 또는 이온 용출 성분을 포함하지 않게 된다.
종래에 일반내연기관에는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로는 FKM 불소고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FKM 고무는 내열성은 우수하나, 저온 환경 및 내부동액성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다. 따라서 장기간 부동액에 노출될 경우 노화로 인해 씰링력이 저하되어 냉각수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EPDM으로 폴리머를 교체함으로써, 저온환경 및 내부동액을 향상시켰다.
이 경우, 상기 EPDM은 에틸렌(ethylene) 성분이 50wt% 내지 65wt%, 보다 바람직하게는 55w% 내지 60w%이고, ENB(ethylidene norbornene) 성분이 3wt% 내지 6wt%일 수 있다. ENB는 디엔의 모노머의 일종으로서 황 가황이 가능하도록 소량 첨가된다. 이러한 성분으로 제조시에, 저온 특성이 우수하게 된다.
이 경우, EPDM으로 ㈜금호폴리켐의 KEP 2320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KEP 2320 제품은 에틸렌 성분이 58wt%이고, ENB 성분이 4.7wt%이다.
배합제는 이온 용출 성분을 가지지 않는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오일씰과 냉각수가 반응하여 나오는 이온 용출에 의하여 오일씰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합제는, 순도가 95% 이상의 퍼옥사이드(peroxide) 계열의 가교제와, 입자경이 200 내지 500 nm인 카본블랙 MT로 이루어진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cross-linking agent)는 상기 폴리머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을 상호 가교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가황제라고도 불린다. 퍼옥사이드 계열의 가교제의 순도가 95%이상이다. 이에 따라서 순도가 낮은 퍼옥사이드 계열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제작된 EPDM 고무에서 용출되는 칼슘, 규소 이온이 용출되지 않는다. 주 가교제의 순도가 9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주 가교제는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로서 ㈜R.T. Vandervilt사의 DBPH 50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 가교제는 폴리머 100phr 대비 3.5 내지 9 phr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부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 가교제는 가황력을 촉진시키고, 가교 밀도를 향상시키며, 낮은 압축영구줄음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부 가교제로서는, 순도 95% 이상의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드(Triallyl Isocyanurate)일 수 있다. 상기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드의 순도가 95% 이상으로, 칼슘, 규소 이온이 용출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누레이드의 순도가 98% 이상인 것이 금속 이온 용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순도 98%이며 ㈜NIPPON KASEI CHEM.의 TAIC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 가교제는 폴리머 100phr 대비 0.2 내지 1 phr일 수 있다
한편, 충진제는, 입자경이 250nm 내지 350nm인 카본블랙 M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본 블랙은 오일씰로서의 요구 물성치, 예를 들어 경도, 인장강도 등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카본 블랙이란 천연가스, 석유계, 또는 석탄타아르계 중질유 등의 함탄소 물질을 불완전 연소 또는 열분해하여 만든 물질로서, 탄소원자들이 무질서한 육각형 꼴로 배열되어 있어서 보강성이 우수하다.
이 경우 카본블랙은 입자경이 클 것이 요구된다. 이는 전기절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본 블랙은 중립열분해(MT) 계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경이 250nm 내지 3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제는 폴리머 100phr 대비 80 내지 90phr일 수 있다. 이는 충진제의 충진률이 높을수록 마모성능의 향상 및 압에 대한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카본블랙의 충진률이 50phr 이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충진제와, 가교제와, 폴리머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충진을 종래보다 과하게 하면서도 고무의 필요한 성능이 확보되었다.
한편, 본 발명은 노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화방지제는 노화현상의 주요 인자인 산소에 의해서 자동 산화되는 연쇄반응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노화방지제가 N,N'-Di-2-naphthyl-p-phenylenediamine일 수 있다. 상기 N,N'-Di-2-naphthyl-p-phenylenediamine은 내열성과 내굴곡성 및 내오존성이 우수하고, 고무와 상용성도 좋아 블루밍(BLOOMING)이 없고, 고무의 스코치(Scorch)에 대한 영향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N,N'-Di-2-naphthyl-p-phenylenediamine은 폴리머 100phr 대비 1 내지 2 phr일 수 있다.
즉, 폴리머에 대한 각 배합제의 함량은, 상기 충진제는 80 내지 90phr이고, 상기 가교제는 3.5 내지 9 phr이고, 상기 부 가교제는 0.2 내지 1phr이며, 노화방지제가 1 내지 2phr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EPDM 고무는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로 적용 불가능하였다. 이는 EPDM에 널리 사용되는 가교조제들인 ZnO, MgO, Ca(OH)2 등으로 인하여, 냉각수에서 금속이온의 용출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오일씰 고무 조성물은, 저온 특성 및 내부동액성 특성이 우수한 EPDM을 폴리머로 함과 동시에, 금속 이온 용출이 되지 않는 배합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퍼옥사이드 가교제를 사용하였고, 마모성능 및 압에 대한 성능 향상을 위하여 충진제의 충진율을 높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 고무 조성물의 성질을 각종 테스트한 결과를 설명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이하, "실시예") 및 종래 적용된 오일씰(이하, "비교예")의 구성 성분을 나타낸다.
구성성분(중량부) 비교예 실시예
폴리머 FKM(VITON A500) 100 0
Ethylene content 58% EPDM POLYMER
(ENB contents 4.7%)
25MU(ML1+4, 125℃)
0 100
충진제 Nyad1) 30 0
N990(MT) 5 85
노화방지제 White F2) 0 0.7
가교제 MgO #1503) 4 0
Renofit CF4) 4 0
DBPH 505) 0 5
TAIC6) 0 0.5
1) Nyard 400 : CaO SiO2,NYCO
2) White F: N,N'-Di-2-naphthyl-p-phenylenediamine, Ouchi Shinko Chemical
3) MgO #150 : MgO, KYOWA CHEMICAL
4) Renofit CF: Ca(OH)2, RHEIN CHEMIE
5) DBPH 50: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 ㈜R.T. Vandervilt
6) TAIC: Triallyl Isocyanurate, ㈜NIPPON KASEI CHEM.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가공유 없이 오일씰을 제조하였고, 폴리머는 EPDM으로 ㈜금호폴리켐의 KEP 2320 제품을 사용하였다. 상기 KEP 2320 제품은 에틸렌 성분이 58wt%이고, ENB 성분이 4.7wt%이다. 노화방지제는 Ouchi Shinko Chemical사의 White F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물성시험 결과는 표 2와 같다.
이 경우, 경도, 인장강도, 신율, 내부동액 압축영구줄음율, 내부동액성 시험은 각각 각각 KS M 6518의 규격을 만족하였고, 이 경우 내부동액 압축영구줄음율 시험 및 내부동액성 시험 조건은 120℃의 50%부동액에 70시간 담가 두었다.
이 경우, 경도, 인장강도, 신율 등의 기본 물성은 실시예 및 비교예가 서로 큰 차이가 없었다.
내부동액 압축영구줄음율은 실시예가 6으로서 비교예의 14보다 아주 우수하였다. 또한, 내부동액성에서도 경도변화, 인장강도변화율, 체적변화율, 신율변화율이 실시예의 경우가 비교예의 경우보다 훨씬 낮게 나와서, 아주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ompound 실시예 비교예
기본물성 경도(Shore A) 77 75
인장강도(kgf/㎠) 170 200
신율(%) 250 280
내부동액압축영구줄음률(%) 120℃ x 70h C/S(%) 6 14
내부동액성(LLC:H2O=5:5)
120℃ x 70h
경도변화(point) 0 +7
인장강도 변화율(%) +1 -22
신율변화율(%) +3 +8
체적변화율(%) +0.2 +3.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에틸렌 성분이 55w% 내지 60w%인 EPDM 소재로 이루어지며 무가공유 배합된 폴리머;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4 내지 10 중량부를 가지며,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를 포함하는 가교제; 및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90 중량부를 갖으며, 입자크기가 250nm 내지 350nm인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진 충진제;
    를 포함하는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의 무니 (Mooney) 점도가 25 MU(ML 1 + 4/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DM은 에틸렌 성분이 58w%이고, ENB(ethylidene norbornene) 성분이 4.7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2 중량부를 갖는 N,N'-Di-2-naphthyl-p-phenylenediamine으로 이루어진 노화방지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0.2 내지 1 중량부를 갖는 Triallyl isocyanurate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6. 에틸렌 성분이 55w% 내지 60w%인 EPDM 소재로 이루어지고, 무니 (Mooney) 점도가 25 MU(ML 1 + 4/ 125℃)인 무가공유 배합된 폴리머;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2 중량부를 갖는 N,N'-Di-2-naphthyl-p-phenylenediamine으로 이루어진 노화방지제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3.5 내지 9 중량부를 가지며,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으로 이루어진 주 가교제;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0.2 내지 1 중량부를 갖는 Triallyl isocyanurate로 이루어진 부 가교제; 및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90 중량부를 갖으며, 입자크기가 250nm 내지 350nm인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진 충진제;
    를 포함하는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KR1020180161352A 2018-12-13 2018-12-13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KR20200073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352A KR20200073070A (ko) 2018-12-13 2018-12-13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352A KR20200073070A (ko) 2018-12-13 2018-12-13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070A true KR20200073070A (ko) 2020-06-23

Family

ID=7113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352A KR20200073070A (ko) 2018-12-13 2018-12-13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0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72A (ko) 2020-11-27 2022-06-03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고압 및 저온 수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epdm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스켓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72A (ko) 2020-11-27 2022-06-03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고압 및 저온 수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epdm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스켓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9510B2 (ja) フッ素ゴム組成物
JP5435185B1 (ja) Nbr組成物
EP2682426B1 (en) Fluorine rubber composition
EP2479211B1 (en) Fluororubber composition
WO2017170190A1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ゴム成形品
KR20200073070A (ko) 수소연료자동차 냉각수 개폐기용 오일씰의 고무 조성물
KR20200141475A (ko) 고무 조성물
US8697782B2 (en) Rubber composition
KR10137312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인버터 케이스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
KR101664740B1 (ko) 연료전지용 가스켓
KR20150077497A (ko) 연료전지용 가스켓
CN107383578A (zh) 一种高阻燃耐漏电起痕伞裙套管及其生产方法
EP3425002A1 (en) Fluororubber composition and crosslinked fluororubber
KR20180126669A (ko) 불소고무를 포함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고무 블렌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0247B1 (ko)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JP3093579B2 (ja) リン酸型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法
KR102094757B1 (ko) 연료전지 가스켓용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가스켓
JP6210442B1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圧水素機器用シール部品
KR101263485B1 (ko) 금속 이온 용출이 없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절연 패킹 부재의 고무 조성물
KR102467058B1 (ko) 고온 영구압축줄음율 특성이 우수한 오링용 불소고무 조성물
KR20190080560A (ko) 수소전지차량의 수소저장탱크용 오링의 고무 조성물
WO2023176394A1 (ja) 電解液シール材料
KR20230138826A (ko) 전동식 압축기에 사용되는 가스켓용 고무 조성물
KR101107198B1 (ko) 리튬이온 전지용 절연 패킹 부재
WO2021124816A1 (ja) ゴム組成物および加硫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