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247B1 -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247B1
KR102150247B1 KR1020180116634A KR20180116634A KR102150247B1 KR 102150247 B1 KR102150247 B1 KR 102150247B1 KR 1020180116634 A KR1020180116634 A KR 1020180116634A KR 20180116634 A KR20180116634 A KR 20180116634A KR 102150247 B1 KR102150247 B1 KR 10215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weight
carbon black
cooling hos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673A (ko
Inventor
박근수
강형국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2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4Triazines containing cyanurate groups; Tauto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는 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60~70 중량부, 가공조제 8~12 중량부, 가소제 3~5 중량부 및 가교제 5~10 중량부가 포함하며, 상기 카본블랙은 제 1 카본블랙 10~20% 및 상기 제1 카본블랙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2 카본블랙 80~90%로 이루어짐으로써, 금속 이온 용출의 발생을 제거하여 연료전지 스텍의 성능을 장기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RUBBER COMPOSITION OF FUEL CELL COOLING HOSE AND COOLING HO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호스의 이온 용출도가 낮추어 감전 위험을 방지하고 연료전지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 고출력, 고마력, 다운사이징된 엔진에서 고온 저감기술 개발 및 고온 만족 대체재료 필요성이 중요시된 엔진으로, 친환경, 고연비, 경량화 및 자율주행이 가능한 자동차에서 환경친화적이며 전자 제어기술이 확대된 자동차로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
환경친화적인 자동차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그 중에서 수소연료전지차(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가 각광받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차는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 결합으로 전기를 자체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동차로, 수소 충전시간이 짧으며 별도의 에너지 없이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만든자는 점에서 '친환경차'로 불리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차의 핵심부품인 연료전지는 스텍(stack)이라는 장치가 있는데, 상기 스텍은 수백개의 연료전지셀로 이루어져있고, 하나의 연료전지셀 사이에는 이온교환막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온교환막을 기준으로 한쪽으로는 산소가 주입되고 다른 쪽으로는 수소가 주입되어, 상기 이온교환막에서 화학적인 결합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 때, 전기 생산 시 열이 발생되게 되는데, 스텍 내부에 설치된 냉각호스 내의 냉각수를 통하여 열을 식히게 된다.
일반 자동차에 적용된 냉각호스는 금속무기필러를 포함하는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조성물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냉각호스는 열충격을 받게 되면 금속무기필러가 이온화되어 금속 이온이 냉각수에 녹아들게 된다. 이러한 냉각호스의 이온용출은 지속적으로 발생 가능하며, 이를 연료전지에 사용할 경우, 스텍에 이온이 침전되어 스텍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감전 위험까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이온 용출 발생을 제거하여 스텍의 성능을 장기간 확보할 수 있는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531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343호
금속무기필러를 포함하는 EPDM 조성물로 제조된 냉각호스을 연료전지 스텍에 적용할 경우, 열충격으로 인한 금속 이온이 용출되어 스텍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추후 위험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냉각호스가 금속무기필러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금속 이온 용출의 발생을 제거하여 스텍의 성능을 장기간 확보할 수 있는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제안하는 여러 해결 수단 중 하나는 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60~70 중량부, 가공조제 8~12 중량부, 가소제 3~5 중량부 및 가교제 5~10 중량부가 포함하며, 상기 카본블랙은 제 1 카본블랙 10~20% 및 상기 제1 카본블랙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2 카본블랙 80~90%로 이루어짐으로써, 금속 이온 용출의 발생을 제거하여 연료전지 스텍의 성능을 장기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는 금속 이온 용출의 발생을 제거하여 스텍의 성능을 장기간 확보함과 동시에 수소연료전지차 사용 시 추후 위험 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연료전지 냉각호스 및 종래의 냉각호스와 냉각수의 화학적 반응의 설명을 위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압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요소 등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은 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60~70 중량부, 가공조제 8~12 중량부, 가소제 3~5 중량부 및 가교제 5~10 중량부가 포함하며, 상기 카본블랙은 제 1 카본블랙 10~20% 및 상기 제1 카본블랙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2 카본블랙 80~9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금속무기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고무 조성물로, 이를 적용한 냉각호스 사용 시 금속 이온 용출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금속무기필러는 금속이온이 포함된 금속화합물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규소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가류 성형되어 냉각호스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냉각호스는 -50 내지 150℃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무기필러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금속 이온 용출 발생이 제거되어 연료전지 스텍의 성능을 장기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의 각 성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EPDM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를 포함한다.
EPDM은 에틸렌(ethylene)과 프로필렌(propylene)으로 이루어진 EPM 고무에 제3 성분으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다이엔(diene)이 도입되어 가교가 가능하도록 만든 합성고무이다. 상기 제3 성분으로 사용되는 다이엔은 ENB(5-ethylidene-2-norbornene), DCPD(dicyclopentadiene) 및 HD(1,4-hexadiene) 등이 있으며, 상업적으로 가교속도가 빠른 ENB가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EPDM은 제3 성분이 ENB인 EPDM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PDM은 ENB 함량이 다른 2가지 EPD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총 함량에서 제1 EPDM 15~20% 및 상기 제1 EPDM 보다 ENB 함량이 높은 제2 EPDM 80~8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EPDM은 ENB 함량이 3~5 wt%일 수 있으며, 매우 빠른 가류 속도를 가지게 되어 가공성이 양호할 수 있다.
상기 제2 EPDM은 ENB 함량이 7~9 wt%일 수 있으며, 중간 가류 속도와 롤(roll) 작업성, 압출성, 전기절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
ENB 함량이 서로 다른 상기 제1 및 제2 EPDM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내열성, 작업성, 내부동액성 및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생산성 또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EPBM 고무는 점도가 낮으므로, 고무 조성물에서 가소제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카본블랙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본블랙(carbon black)은 호스 조성물의 보강재로서 냉각호스의 인장 강도, 경도 및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상기 카본블랙은 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7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이 60중량부 미만이면 냉각호스가 구현하고자 하는 강도 및 전기전도도를 확보할 수 없으며,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이 70%을 초과하면 호스 조성물의 흐름성이 낮아져 성형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신장률이 저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연료전지 냉각호스 및 종래의 냉각호스와 냉각수의 화학적 반응의 설명을 위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냉각호스는 금속무기필러를 포함하는 EPDM 조성물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냉각호스는 열충격을 받게 되면 금속무기필러가 이온화되어 금속 이온이 냉각수에 녹아들게 됨으로써 냉각호스의 이온용출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연료전지 스텍에 이온이 침전되어 스텍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작업자 및 사용자의 감전 위험까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은 서로 다른 입자 사이즈를 갖는 2종류의 카본블랙을 포함함으로써, 금속 이온 용출이 발생하지 않으며 금속무기필러를 대체할 수 있는 인장 강도, 경도 및 열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입자 사이즈가 다른 2종류의 카본블랙이 혼합된 것이며, 카본블랙 총 함량에 대하여 제 1 카본블랙 10~20% 및 상기 제1 카본블랙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2 카본블랙 80~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카본블랙의 함량에 따라 냉각호스의 인장강도, 경도 및 열전도성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본블랙은 상기 제2 카본블랙에 비하여 입자 사이즈가 큰 것으로, MT (medium thermal) 카본블랙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N990일 수 있다.
N990의 큰 입자 사이즈와 구조 특성으로 인하여 EPDM과 혼합 시 점성이 증가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나, 다량 혼합 시 냉각호스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 100%에서 상기 제1 카본블랙의 함량이 10% 미만이면 고무 조성물의 적절한 점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제1 카본블랙의 함량이 20%를 초과하면 확보하고자 하는 냉각호스의 경도 및 인장강도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본블랙은 상기 제1 카본블랙에 비하여 입자 사이즈가 작은 것으로 FEF(fast extruding furnace;양압출성) 카본블랙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N550일 수 있다.
상기 제2 카본블랙은 압출시 수축변형이 작고 외관의 평활성이 매우 우수하며 발열이 낮고 양호한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카본블랙이 첨가된 고무 조성물로 냉각호스를 제조할 경우, 냉각호스의 표면을 매끄럽게할 수 있으며 경도, 인장강도 및 열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 100%에서 상기 제2 카본블랙의 함량이 80% 미만이면 냉각호스의 표면, 경도, 인장강도 및 열전도도를 확보할 수 없으며, 상기 제2 카본블랙의 함량이 90%를 초과하면 고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압출성이 감소하여 냉각호스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가공조제
고무 조성물에 카본블랙만 포함할 경우 압출 성형 시 흐름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무 조성물의 압출 성형 시 흐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공조제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조제는 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8~12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가공조제의 함량이 8중량부 미만이면 고무 조성물의 압출 성형 시 흐름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가공조제의 함량이 12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한 흐름성으로 인하여 양품 제품 성형이 불가할 수 있으며, 물성을 저해시키고 블루밍(blooming) 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가공조제는 스테아린 산(stearic acid),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 에틸렌 글리콜 및 석유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린 산은 상기 카본블랙의 분산을 개선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 에틸렌 글리콜을 고무 조성물의 압출 가공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fatty acid esters)는 구체적으로 WB 220일 수 있으며, 물성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고무 조성물의 분산제 역할을 하여 각 성분들을 빠르게 작용하게 해 믹싱 시간을 단축시켜줄 수 있다. 특히, 고무 조성물의 성형 시 롤 등에 달라 붙는 현상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poly(ethylene glycol))은 구체적으로 PEG-4000(분자량 4000)일 수 있으며, 점조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무 성형에서 윤활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석유계 수지는 고무가 갈라지지 않도록 하는 점착 부여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석유계 수지는 구체적으로 연화점이 90~100℃인 방향족계 석유 수지일 수 있으며, 방향족계 올레핀의 중합을 통해 얻어지는 연노란색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가소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파라핀계 오일 또는 파라핀계 왁스로 이루어진 가소제를 첨가하여 냉각 호스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분자량이 높은 것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낮은 함량을 포함하더라도 가소제의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3중량부 미만이면 작업성에 문제가 있어 압출 성형 시 흐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으로 성형된 후 상온 상태에서 저분자 물질(가공조제 등)이 가소제로부터 이행되어 연료전지용 부동액의 이온용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교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를 서로 화학결합시켜 그물구조를 취하기 위하여 가교제(cross-linking agent)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제는 디-2-티-부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Di-2-t-butylperoxyisopropyl benzene)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Trimethallyl isocyanur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각호스는 황이 첨가되지 않는 과산화물(peroxide) 가교로 진행되어 제작되도록 한다. 상기 과산화물 가교는 황 가교보다 배합에 용이하며 가교된 제품의 색상 변화가 없고, 블룸(blooming) 현상이 없으며, 포화 및 불포화 고무의 동시가교가 가능하며, 경도 및 강도조절을 위하여 첨가된 중합성 가소제나 기타 첨가제와의 공중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교제는 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미가교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스코치(scorch)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은 추가로 금속화합물을 제외한 물성 개선용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호스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을 가교시켜 제조되며, 내부에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냉각호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및 그 배합물을 과산화물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교 온도 및 시간 조건은 가교 고무의 제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또는 일부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형법으로는 압출 성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각호스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고무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치수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용도에 따라 적절한 치수로 할 수 있다.
상기 냉각호스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의 경우,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수는 에틸렌글리콜과 증류수의 혼합액일 수 있으며, 사용하는 냉각호스의 분야에 따라 혼합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호스는 내부에 상기 냉각수를 사용함으로써, 냉각호스의 이온용출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발명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은 EPDM, 카본블랙, 가공조제, 가소제 및 가교제의 조성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하였다.
상기 고무 조성물을 배합한 후, 호스 압출 후 160℃ 온도에서 20분 동안 증기 솥(oven presure)을 이용해 제품을 성형하여 냉각호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기존의 냉각 호스용 고무 조성물의 배합비율로 제조한 것이고,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5는 비교예의 배합물 중에서 충전제인 금속무기필러를 제외하고, 카본블랙, 가공조제, 가소제 및 가교제의 함량을 변경, 조절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냉각호스에 대해 미가교 특성, 기계적 특성(경도, 인장, 압축) 및 노화 특성을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냉각 호스의 미가교 특성은 일정온도에서 스코치 시간을 측정하여 배합 고무에 대한 작업성을 평가할 수 있는 무니 스코치(mooney scorch) 시험 및 로터(rotor)의 정현 진동을 일으켜 고무를 변형시킴으로써 고무 변형시 토크(torque)를 평가할 수 있는 레오미터(rheometer) 두가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냉각호스의 기계적 특성은 경도계,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UTM)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노화 특성은 열 노화 후 기계적 특성 변화 및 오존 노화로 인한 크랙(crack) 발생 유무 확인으로 평가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EPDM 제1 EPDM - - - - - 20 20 20 15
제2 EPDM 100 100 100 100 100 80 80 80 85
카본블랙 제1 카본블랙 - 70 40 - - 10 15 10 10
제2 카본블랙 50 60 30 60 60 50 50 55 50
충전제 금속무기필러 25 - - - - - - - -
가공조제 스테아린 산 1 1 1.5 1.5 1 1 1 1 1
지방산 에스테르 2 1 1 2 2 2 2 2 2
폴리 에틸렌 글리콜 5 3 2 - 5 5 5 3 3
석유계 수지 3 3 5 5 3 3 3 5 3
가소제 파라핀계 오일 5 5 5 8 - 5 5 5 3
가교제 디-2-티-부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 6.5 6.5 6.5 6.5 6.5 6.5 6.5 6.5 6.5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2 2 2 2 2 2 2 2 2
* 함량범위는 중량부 이며, EPDM 100중량부에 대한 함량임.
구분 규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상태 물성 경도
(shore A)
60±5,70±5 67 66 68 70 80 67 67 66 60
인장강도
(kgf/cm2)
100 이상 128 156 113 185 172 176 181 163 125
신장율
(%)
300 이상 367 426 151 290 200 346 344 339 440
M100 - 23 19 37 44 65 33 33 32 19
비중 - 1.24 1.15 1.14 1.15 1.06 1.11 1.10 1.13 1.09
노화성 경도변화 0~+20 +16 +11 +9 +3 +1 0 +1 +3 +4
인장강도 변화율
(%)
-25 이내 -24 -20 -25 -24 -23 -8 -13 -15 -11
신장
변화율
(%)
-60 이내 -57 -51 -55 -34 -25 -14 -21 -28 -25
내액성 경도변화 -5
~+10
-4 -3 -3 -4 -3 -4 +3 +1 +4
인장강도 변화율
(%)
-20 이내 -19 -15 -14 -13 -21 -11 -16 -15 -15
신장 변화율
(%)
-40 이내 -38 -34 -32 -26 -21 -13 -25 -28 -34
부피변화율
(%)
-5~
+15
+14 +13 +12 +5 +3 +1 +5 +6 +4
압출줄음성 시험 결과
(%)
65 이내 +43 +35 +33 +36 +36 +35 +34 +37 +33
이온용출도 시험결과
(㎛/㎝)
10 이내 25 3.1 3.3 4.0 5.8 2.3 3.5 3.1 4.5
실시예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고무 조성물로 제작된 냉각호스이며, 비교예 1 내지 5는 본 발명의 고무 소성물의 함량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고무 조성물로 제작된 냉각호스이다.
비교예 1은 금속무기필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예 1 내지 4 대비 이온용출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며, 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 및 3은 실시예 1 내지 4 대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 에틸렌 글리콜의 함량을 작은 것으로, 도 2의 압출 사진을 참조하면 압출 가공성이 실시예 대비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교예 3의 경우, 제1 카본블랙이 제2 카본블랙 대비 함량이 높은 것으로 인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현저히 낮아 규격에 도달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4 및 5는 제1 카본블랙이 포함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확보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각 폴리 에틸렌 글리콜 및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가공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은 금속무기필러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상기 조성물의 함량을 만족함으로써, 스텍의 성능을 장기간 확보함과 동시에 수소연료전지차 사용 시 추후 위험 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Claims (6)

  1. EPDM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60~65 중량부, 가공조제 11 중량부, 가소제 3~5 중량부 및 가교제 8.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본블랙은 제 1 카본블랙 10~20 중량% 및 상기 제1 카본블랙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2 카본블랙 80~9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가공조제는 스테아린 산(stearic acid),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 에틸렌 글리콜 및 석유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가소제는 파라핀계 오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가교제는 디-2-티-부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인, 수소연료전지차의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DM은 제1 EPDM 15~20 중량% 및 상기 제1 EPDM보다 ENB 함량이 높은 제2 EPDM 80~85 중량%로 이루어진 수소연료전지차의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수소연료전지차의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을 가교시켜 제조되며, 내부에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소연료전지차의 연료 전지 냉각호스.
KR1020180116634A 2018-09-28 2018-09-28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KR102150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34A KR102150247B1 (ko) 2018-09-28 2018-09-28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34A KR102150247B1 (ko) 2018-09-28 2018-09-28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673A KR20200036673A (ko) 2020-04-07
KR102150247B1 true KR102150247B1 (ko) 2020-09-01

Family

ID=7029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634A KR102150247B1 (ko) 2018-09-28 2018-09-28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864A (ko) 2020-09-21 2022-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냉각호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29B1 (ko) * 2005-11-07 2007-04-25 평화산업주식회사 냉각기 호스용 고무 조성물
JP2014125614A (ja) * 2012-12-27 2014-07-07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組成物
KR101684137B1 (ko) * 2015-06-29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렉시블 커플링용 고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827B1 (ko) * 2008-07-15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유성을 향상시킨 에어인테이크 호스용 고무 조성물
KR101438828B1 (ko) 2008-07-22 2014-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호스의 전기화학적 분해 개선 고무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37599B1 (ko) * 2010-08-25 2016-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기흡입구 호스용 epdm 고무 조성물
KR20150125816A (ko) * 2014-04-30 2015-11-10 (주) 세흥 자동차 냉각호스용 내열 절연 epdm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냉각호스
KR101658393B1 (ko) 2014-11-28 2016-09-22 (주)금강알텍 자동차 라디에이터 호스 고무용 나노 콤포지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29B1 (ko) * 2005-11-07 2007-04-25 평화산업주식회사 냉각기 호스용 고무 조성물
JP2014125614A (ja) * 2012-12-27 2014-07-07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組成物
KR101684137B1 (ko) * 2015-06-29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렉시블 커플링용 고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673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0551A (zh) 三元乙丙橡胶组合物及软管
KR100878877B1 (ko) 이피디엠을 주재로 한 판형 열교환기용 고무 가스켓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무 가스켓 제조방법
KR102150247B1 (ko)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KR101338005B1 (ko) 이피디엠에 하이브리드 가류시스템을 적용한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차 엔진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US6388015B1 (en) Rubber composition, electric wire coating material, and electric wire
CN105968872B (zh) 无卤阻燃热塑性弹性体新能源汽车用线缆材料
CA1147088A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materials
EP3971241B1 (en) Rubber composition for fuel-cell cooling hose and fuel-cell cooling hose using same
CN111019244A (zh) 橡胶胶料及其制得的冷却胶管以及包含该冷却胶管的汽车发动机
KR102249833B1 (ko)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웨더스트립 조인트용 tpv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9466844B2 (en) Blended rubber gasket for fuel cells
KR102142118B1 (ko)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아이오노머계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적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 방법
EP3822313B1 (en) Highly insulated rubber composi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and uses thereof
KR100330917B1 (ko) 고무 블렌드 조성물
KR102620352B1 (ko) 고내열성 및 고유연성을 가지며 블루밍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산업용 케이블
KR20160150607A (ko) 내한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시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시스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20040048097A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123933A (ko)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119543B1 (ko) 고내열성/고내구성 냉각계 고무 호스
KR102207649B1 (ko) 전기절연성이 향상된 라디에이터 호스 조성물
KR102551824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30061041A (ko) 전력 케이블용 친환경 절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KR20210074445A (ko) 갈바닉 부식 개선을 위한 전기절연성 향상 고무 조성물
JP2640089B2 (ja) 導電性ゴム組成物
CN115028927A (zh) 一种超低硬度高回弹低压变三元乙丙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