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929A -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929A
KR20200072929A KR1020180161049A KR20180161049A KR20200072929A KR 20200072929 A KR20200072929 A KR 20200072929A KR 1020180161049 A KR1020180161049 A KR 1020180161049A KR 20180161049 A KR20180161049 A KR 20180161049A KR 20200072929 A KR20200072929 A KR 2020007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holder
connector housing
sides
termin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2929A/ko
Publication of KR2020007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프론트홀더를 체결시 프론트홀더와 커넥터하우징 내측면 사이의 유격에 의해 프론트홀더가 비스듬하게 끼워진 상태로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림돌기와 지지편으로 구성된 걸림지지수단을 통해 커넥터하우징 내부의 양측면과 프론트홀더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프론트홀더를 커넥터하우징 내부에 삽입시 비스듬하게 끼워진 상태로 경사체결되는 문제를 해결한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TILT JOINING PREVENTION STRUCTURE FOR FRONT HOLDER}
본 발명은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하우징에 프론트홀더를 체결시 커넥터하우징 내측면과 프론트홀더 사이의 유격에 의해 프론트홀더가 비스듬하게 끼워진 상태로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하우징 내부에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랜스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랜스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터미널을 상기 커넥터하우징 내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들이 있다. 예를 들면, 프론트홀더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개구된 선단쪽에서 장착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 내에 형성된 상기 랜스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차단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하우징(10)에 프론트홀더(20)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1a는 프론트홀더(20)의 1차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프론트홀더(20)의 2차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커넥터하우징(10)의 내측 상부에는 터미널삽입부(12)가 형성되고, 터미널삽입부(12)는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성된다. 커넥터하우징(10)의 개방된 선단을 통해 프론트홀더(20)가 삽입되어 터미널삽입부(12)에 결합된다. 즉, 프론트홀더(20)는 커넥터하우징(10)에 삽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 양측면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고, 내부 전후면에는 각각 다수의 랜스지지부(22)가 형성된다. 도 1a에 도시된 프론트홀더(20)에서는 전면(도면상 보이는 내부면)에 형성된 랜스지지부(22)의 개략적인 위치와 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미도시 하였으나 프론트홀더(20)의 후면에도 랜스지지부(미도시)가 전면의 형상과 대향된 위치에 대향된 형태로 구성된다.
프론트홀더(20)의 내부 양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도 1a와 같은 1차결합상태시 걸림돌기(21)는 터미널삽입부(12)의 양측에 형성된 제1결합부(12-1)에 걸려 지지된다. 제1결합부(12-1)는 홈 또는 홀의 형태일 수 있다.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방향으로 프론트홀더(20)를 밀어넣으면 도 1b와 같이 2차결합상태가 되며, 도 1b에서 탈거방향으로 프론트홀더(20)를 잡아당기면 다시 도 1a와 같은 1차결합상태가 된다.
2차결합상태는 도 1a의 1차결합상태에서 터미널삽입부(12)와 연결된 터미널삽입공(미도시)으로 터미널(미도시)을 체결하고, 체결된 상기 터미널이 상기 랜스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프론트홀더(20)를 체결방향으로 밀어넣으면 프론트홀더(20)의 랜스지지부(22)가 상기 터미널이 결합된 터미널삽입부(12)로 인입되면서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랜스의 탄성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터미널을 터미널삽입부(12) 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걸림돌기(21)는 터미널삽입부(12)의 양측에 형성된 제2결합부(12-2)에 걸려 지지되며, 제2결합부(12-2)는 제1결합부(12-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홈 또는 홀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론트홀더(20)의 1차결합상태와 2차결합상태 결합시 프론트홀더(20)와 커텍터하우징(10)의 내부 양측면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하므로 상호간의 체결시 유격에 의해 프론트홀더(20)가 정위치되어 결합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비스듬하게 끼워져 경사체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커넥터하우징(10)에 결합된 프론트홀더(20)는 1차결합상태로 체결되어 고객사에 납품하게 된다. 그러나, 납품과정에서 차량 이동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충격 등에 의해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에서 경사체결된 프론트홀더(20)의 걸림돌기(21)는 상기 터미널을 체결하기도 전에 터미널삽입부(12)의 제1결합부(12-1)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2차결합상태로 이동하거나 1차결합상태에서도 경사체결에 의한 고정력의 약화로 프론트홀더(20)가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국내등록특허번호 제10-0804262호 국내등록특허번호 제10-1441045호 국내공개특허번호 제10-2017-007819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경사체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넥터하우징의 내부 양측면과 프론트홀더 간의 유격을 최소화시킨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이 유격을 최소화하면서도 걸림돌기의 탄성변형을 위한 이동반경공간을 확보한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는, 터미널삽입부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의 내부로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삽입부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홀더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개구된 선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측 둘레면 사이로 결합되며,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는 상기 프론트홀더가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시 삽입 위치에 따라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지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지지수단은, 상기 프론트홀더의 내부 양측 둘레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삽입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에 대한 탄성변형 간격을 제한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은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접촉시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의 길이를 상기 프론트홀더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되는 길이방향으로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인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걸림돌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편의 구성으로 프론트홀더와 커넥터하우징의 내부 양측면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프론트홀더를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결합시 경사체결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유격으로 인한 문제점 해소로 인해 결합력이 증대됨으로써, 1차결합상태와 2차결합상태에 대한 체결력이 향상되어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편을 프론트홀더의 양측면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2차결합상태로 이동시 프론트홀더의 걸림돌기의 탄성변형으로 인한 이동반경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1차결합상태에서 2차결합상태로 변경시 걸림돌기의 뭉개짐 현상이 개선되므로 재작업성이 증대된다.
또한, 지지편이 커넥터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접촉시 면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점접촉 구조에 비해 경사체결문제를 더욱 안전하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의 길이를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걸림돌기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커넥터하우징에 프론트홀더가 1차결합상태로 비스듬하게 경사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커넥터하우징에 프론트홀더가 2차결합상태로 비스듬하게 경사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가 채용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하우징과 프론트홀더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홀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돌기가 형성된 프론트홀더 양측부의 길이조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의 A-A' 부분의 1차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7은 도 2의 A-A' 부분의 2차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삽입부(120)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100)의 내부로 결합되어 터미널삽입부(120)에 결합되는 터미널(미도시)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프론트홀더(200)의 경사체결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홀더(200)의 경사체결 방지구조는 커넥터하우징(100)과의 유격을 최소화시킨 프론트홀더(200) 및 프론트홀더(200)가 결합되는 커넥터하우징(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하우징(100)의 후단에는 터미널삽입공(130)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총 10개의 터미널삽입공(130)이 도시되었으나 터미널삽입공(130)의 개수와 형태 등은 사용환경 및 적용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터미널삽입공(130)을 통해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며, 삽입된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삽입공(130)을 통해 터미널삽입부(120)로 삽입되므로 터미널삽입공(130)을 터미널삽입부(120)의 구성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하우징(100)의 내측에는 터미널삽입공(130)과 연결된 터미널삽입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터미널삽입부(120)는 커넥터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커넥터하우징(100)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터미널삽입공(130)을 통해 터미널삽입부(120)의 내부로 결합된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삽입부(120)에 구비된 랜스(미도시)에 의해 1차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랜스는 상기 터미널 결합시 인입되는 상기 터미널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터미널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본디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터미널에 형성된 단턱 부분에 걸려 상기 터미널이 인입된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상기 터미널이 상기 랜스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랜스가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프론트홀더(200)의 일측, 즉 랜스지지부(220)가 상기 랜스를 지지하게 된다.
터미널삽입부(120)의 양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홀더(200)가 결합되는 길이 방향 동일선상에 제1결합부(120-1) 및 제2결합부(120-2)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홈 또는 홀의 형태로 구성되며, 제1결합부(120-1) 및 제2결합부(120-2)의 구성 자체는 종래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론트홀더(200)는 커넥터하우징(100)의 개방된 선단으로 삽입되어 커넥터하우징(100)의 내측 둘레면과 터미널삽입부(120)의 외측 둘레면 사이로 프론트홀더(200)의 둘레부가 결합된다. 프론트홀더(200)의 내측 둘레부 전면과 후면에는 터미널삽입공(130)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하여 랜스지지부(220)가 형성된다. 랜스지지부(220)는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상기 랜스의 탄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터미널삽입부(120) 내부의 상기 랜스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여유 공간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랜스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랜스지지부(220)가 삽입되어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랜스가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론트홀더(200)의 양측에는 걸림지지수단(210)과 보조지지수단(220)이 형성된다.
걸림지지수단(210)은 커넥터하우징(100)에 결합시 삽입 위치에 따라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제1결합부(120-1)와 제2결합부(120-2)에 걸려 지지되는 것으로 걸림돌기(211)와 지지편(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돌기(211)는 프론트홀더(200)의 내측 둘레부 양측면에서 걸림돌기(211)가 형성되는 부위의 상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걸림돌기(211)는 제1결합부(120-1) 및 제2결합부(120-2)와의 결합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지지편(212)은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프론트홀더(200)의 외측 둘레면에서 일정 간격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지지편(212)은 커넥터하우징(100)에 프론트홀더(200)를 삽입시 커넥터하우징(100)의 내부 양측면(110)에 지지되면서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프론트홀더(200)의 양측면에 대한 탄성변형 간격을 제한한다. 즉,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프론트홀더(200)는 커넥터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면서 터미널삽입부(120)의 양측에 형성된 제1결합부(120-1) 및 제2결합부(120-2)에 걸려 지지되는데, 이때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프론트홀더(200)의 양측면이 탄성변형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최대 간격이 지지편(212)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지지편(212)은 프론트홀더(200)를 커넥터하우징(100)에 삽입시 커넥터하우징(100)의 내부 양측면(110)에 지지되면서 프론트홀더(200)와 커넥터하우징(10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킨다. 따라서,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프론트홀더(200)의 외측면과 지지편(212) 사이의 이격된 간격은 프론트홀더(200)와 커넥터하우징(100) 사이의 유격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지편(212)은 프론트홀더(200)가 커넥터하우징(100) 내부에 결합시 경사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커넥터하우징(100)의 내부 양측면(110)에 접촉시 점점촉보다는 면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경사체결을 방지하는데 보다 유리하다. 또한, 지지편(212)과 프론트홀더(200)의 양측면은 일정 간격 이격된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지지수단(230)은, 프론트홀더(200)의 내부 양측에, 걸림지지수단(210)의 후방으로 걸림지지수단(21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보조지지수단(230)은 외팔보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내측으로는 걸림돌기(231)가 형성된다. 보조지지수단(230)의 걸림돌기(231)는 걸림지지수단(210)의 걸림돌기(211)보다 후방 상부에 위치한다. 보조지지수단(230)의 걸림돌기(231)는, 도면상에 표시되진 않았으나, 터미널삽입부(120)의 제1결합부(120-1)와 제2결합부(12-2)가 형성된 후방으로 보조지지수단(230)의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된 홈 또는 홀 형태의 결합부(미도시)를 따라 이동한다. 보조지지수단(230)의 동작 상태는 후술할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서 좀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프론트홀더(200)의 양측면의 길이 'L'을 조절하여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프론트홀더(200)의 양측면에 대한 대한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길이 'L'을 길게 구성하면 터미널삽입부(120)의 제1결합부(120-1)와 제2결합부(120-2)에 결합시 탄성력(결합력)이 약해지고, 길이 'L'을 짧게 구성하면 터미널삽입부(120)의 제1결합부(120-1)와 제2결합부(120-2)에 결합시 탄성력이 강해진다. 한편, 길이 'L'의 형성 방향은 프론트홀더(200)가 커넥터하우징(10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길이 'L'의 조정과 함께 지지편(212)의 길이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프론트홀더(200)의 경사체결 방지구조에 따른 1차결합상태 및 2차결합상태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상기 터미널이 터미널삽입공(130)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랜스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상기 랜스의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랜스지지부(220)의 삽입 구조 및 프론트홀더(200)가 커넥터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기본적인 구조 등은 종래 공지된 기술들과 동일하다 할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염려가 있다고 판단되어 본 발명의 핵심인 프론트홀더(200)의 걸림지지수단(210)에 대한 동작 상태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프론트홀더(200)는 커넥터하우징(100)의 개방된 선단을 통해 커넥터하우징(100)의 내측 상부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때, 프론트홀더(200)의 지지편(212)은 커넥터하우징(100)의 내부 양측면(110)에 지지되면서 프론트홀더(200)가 비스듬하게 끼워지거나 비스듬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프론트홀더(200)의 걸림돌기(211)는 커넥터하우징(100)과 터미널삽입부(120)의 사이로 결합되면서 도 6과 같이 터미널삽입부(120)의 제1결합부(120-1)에 걸려 지지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를 1차결합상태라 한다. 이때, 보조지지수단(230)의 걸림돌기(231)는 터미널삽입부(120)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부(미도시)에 걸린 상태이다. 즉, 걸림지지수단(210)의 걸림돌기(211)는 터미널삽입부(120)의 전방(도 6의 보이는 앞쪽)에 형성된 제1결합부(120-1)에 걸려 지지되고, 보조지지수단(230)의 걸림돌기(231)는 도 6엔 도시되지 않았으나 터미널삽입부(120)의 후방(도 6의 보이지 않는 뒷쪽)에 형성된 결합부(미도시)에 걸려 지지된 상태이며, 이를 1차결합상태라 한다.
상기와 같은 1차결합상태에서 터미널삽입공(130)을 통해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어 상기 랜스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프론트홀더(200)가 2차결합상태로 이동한다.
즉, 프론트홀더(200)를 커넥터하우징(100)의 내측 터미널삽입부(120)가 형성된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프론트홀더(200)의 걸림돌기(211)는 터미널삽입부(120)의 제1결합부(120-1)에서 이탈하여 터미널삽입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다가 도 7과 같이 제2결합부(120-2)에 걸려 지지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를 2차결합상태라 한다. 이때, 보조지지수단(230)의 걸림돌기(231)는 터미널삽입부(120)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부(미도시)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이다. 즉, 걸림지지수단(210)의 걸림돌기(211)는 터미널삽입부(120)의 전방(도 7의 보이는 앞쪽)에 형성된 제2결합부(120-2)에 걸려 지지되고, 보조지지수단(230)의 걸림돌기(231)는 도 7엔 도시되지 않았으나 터미널삽입부(120)의 후방(도 7의 보이지 않는 뒷쪽)에 형성된 결합부(미도시)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이며, 이를 2차결합상태라 한다.
2차결합상태에서 프론트홀더(200)를 커넥터하우징(10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프론트홀더(200)의 걸림돌기(211)는 터미널삽입부(120)의 제2결합부(120-2)에서 다시 이탈되어 터미널삽입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다가 다시 제1결합부(120-1)에 걸려 지지되면서 1차결합상태로 이동하며, 보조지지수단(230)도 1차결합상태로 이동한다. 1차결합상태에서는 상기 랜스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결합된 상기 터미널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211)는 제1결합부(120-1) 및 제2결합부(120-2) 사이를 이동하므로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면서 분리 및 결합되도록 각진 형태가 아닌 만곡진 형태 또는 이동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1차결합상태와 2차결합상태로 이동하면서 지지편(212)이 커넥터하우징(100)의 내부 양측면(110)에 접촉지지되면서 함께 이동하므로 프론트홀더(200)의 경사체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편(212)이 프론트홀더(200)의 외측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이격된 거리만큼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프론트홀더(200)의 양측면이 탄성변형 가능함은 물론, 프론트홀더(200)와 커넥터하우징(10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면서도 탄성변형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걸림돌기(211)의 뭉개짐 현상도 함께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커넥터하우징 11 : 내부 양측면
12 : 터미널삽입부 12-1 : 제1결합부
12-2 : 제2결합부
20 : 프론트홀더 21 : 걸림돌기
22 : 랜스지지부
100 : 커넥터하우징 110 : 내부 양측면
120 : 터미널삽입부 120-1 : 제1결합부
120-2 : 제2결합부 130 : 터미널삽입공
200 : 프론트홀더 210 : 걸림지지수단
211 : 걸림돌기 212 : 지지편
220 : 랜스지지부 230 : 보조지지수단
231 : 걸림돌기

Claims (4)

  1. 터미널삽입부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의 내부로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삽입부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홀더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개구된 선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측 둘레면 사이로 결합되며,
    상기 터미널삽입부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는 상기 프론트홀더가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시 삽입 위치에 따라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지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지지수단은,
    상기 프론트홀더의 내부 양측 둘레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삽입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에 대한 탄성변형 간격을 제한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접촉시 면접촉되는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의 길이를 상기 프론트홀더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되는 길이방향으로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정하는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KR1020180161049A 2018-12-13 2018-12-13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KR20200072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49A KR20200072929A (ko) 2018-12-13 2018-12-13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49A KR20200072929A (ko) 2018-12-13 2018-12-13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29A true KR20200072929A (ko) 2020-06-23

Family

ID=7113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049A KR20200072929A (ko) 2018-12-13 2018-12-13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292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62B1 (ko) 2006-08-1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KR101441045B1 (ko) 2008-07-25 2014-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20170078199A (ko) 2015-12-29 2017-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62B1 (ko) 2006-08-1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KR101441045B1 (ko) 2008-07-25 2014-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20170078199A (ko) 2015-12-29 2017-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305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869402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7014905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US6893292B2 (en) Connector
US5573432A (en) Press-connecting connector
US20110275234A1 (en) Clearance compensation unit
US9563025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fitting structure
WO2003018357A3 (en) Airbag module with latching connection
US6048226A (en) Front holder-incorporating connector
US8668532B2 (en) Connector for low profile fuse
US6786756B2 (en) Connector
KR20200072929A (ko) 프론트홀더의 경사체결 방지구조
WO2017006491A1 (ja) 電線収容プロテクタ
US675870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759123B1 (ko)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KR101760803B1 (ko) 차단기용 받침대
WO2011046118A1 (ja) 取り付け構造、及び取り付け具
US6953369B2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inhibiting insertion of a thinner card with a simple structure
US9675173B2 (en) Drawer sidewall assembly
US9627869B2 (en) Block for vehicle
US11457738B2 (en) Drawer side wall
WO2012029483A1 (ja) コネクタ
US20060035534A1 (en) Connector
CN102231461A (zh) 包括具有韧性紧固部件的引导凸起或凹槽的电连接器
US5800198A (en) Connector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