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377A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377A
KR20200072377A KR1020190023729A KR20190023729A KR20200072377A KR 20200072377 A KR20200072377 A KR 20200072377A KR 1020190023729 A KR1020190023729 A KR 1020190023729A KR 20190023729 A KR20190023729 A KR 20190023729A KR 20200072377 A KR20200072377 A KR 20200072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light source
image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0530B1 (en
Inventor
전원홍
박선경
강다일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21114703.1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0035343U/en
Priority to US16/530,194 priority patent/US20200189449A1/en
Priority to US16/530,207 priority patent/US10688914B1/en
Priority to DE202019003710.1U priority patent/DE202019003710U1/en
Publication of KR2020007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3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lamp for a vehicle, which can display images with various colors or shapes. The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mage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formed by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each of which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and a light guide unit emitt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 control unit allowing an image to be formed by at least one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include: a first image forming unit having a first light source unit and a first light guide unit emitting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a second image forming unit having a second light source unit and a second light guide unit emitting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where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guide unit is emitted by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light guide unit.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Vehicle lamp{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이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having various colors or shapes.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하는 다양한 램프가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lamps that provide a lighting function to easily identify objects located around the vehicle when driving at night, and a signal function to notify other vehicles or other road users of the vehicle's driving status.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For example, head lamps and fog lamps are mainly intended for lighting functions, and turn signal lamps, position lamps, tail lamps, and brake lamps are mainly intended for signal functions.

최근에는 환경 오염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전기 차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차량에는 조명 기능과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램프와 더불어 운전자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In recent years, research on electric vehicl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at it is an alternative that has a high possibility of solv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ergy problems. A lamp may be provided to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charge.

전기 차량은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차량으로서, 크게 배터리 전용 전기 차량(Electric Vehicle)과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으로 분류되며, 배터리 전용 전기 차량은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동력을 얻고,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소모되면 재충전하며,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은 내연 기관 엔진를 주동력으로 하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한 동력을 보조 동력으로 한다. An electric vehicle is a vehicle that mainly uses a battery power to drive a motor to obtain power, and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battery-only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Drives the motor to obtain power, recharges when the battery power is exhausted, and the hybrid electric vehicle uses the power of the motor as an auxiliary power while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ngine is the main power.

이러한 전기 차량은 배터리의 전원 부족 시, 충전소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며, 운전자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충전소 부근에서 대기하게 된다.When the battery power is insufficient, the electric vehicle charges the battery at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driver waits near the charging station until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through a lamp indicating the charging status of the battery.

이와 같이, 차량에는 다양한 램프가 구비되어 있는데, 각각의 램프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램프의 설치를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램프의 설치를 위하여 필요로 하는 공간을 줄이면서도 각 램프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this way,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lamps. If each lamp is provided separately,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lamp increases, so while reducing the spac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various lamp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fully demonstrate the function.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5392호 (2010.07.02.)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75392 (2010.07.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램프의 설치를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을 줄이면서도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can sufficiently exert each function while reducing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various lamps for different function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키는 광 가이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는, 제1 광원부와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제2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2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formed by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each including a light source unit and a light guide unit for emitt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form an image b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unit and a first light guide unit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is emitted. A first image forming unit; And a second image forming unit including a second light guide unit and a second light guide unit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s emitted, and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guide unit passes through the second light guide unit. Will be released.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 중 어느 하나의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다른 하나의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능의 램프에 적합한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줄이면서도 각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pace for installing various lamps because it is possible to form an image suitable for lamps of different functions by allowing light emit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to pass through one light guide unit and exit.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each function to be sufficiently exerted while reduc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조도 감지부가 도시된 개략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tical path by a first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tical path by a second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tical path by a third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optical path by a light b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images displayed by the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in which an image display uni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lluminance sensor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Includes and/or comprising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It is used not to exclude.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schematic drawing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 of the exemplary diagram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shap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lightly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describ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이미지 표시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lam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100 and a control unit 200.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 테일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거나 탑승하는 경우 차량이 운전자를 반기는 듯한 반응을 보이도록 하여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부각되도록 하는 웰컴 기능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전기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lamps installed in a vehicle, such as a head lamp, tail lamp, fog lamp, daytime running lamp, position lamp, turn signal lamp, backup lamp, etc. When approaching or boarding,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a welcome function that enables the vehicle to react to the driver,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is emphasized. Electricity that obtains power by driving the motor using battery power It can also be used to display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of the vehicle on the outside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check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ample.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100)는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표시부(100)는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2 to 6, the image display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and the image display unit 100 forms a plurality of images An image 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units 110, 120, and 130 may be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표시부(100)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표시부(100)는 차량의 배터리와 별도로 구비되는 배터리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unit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provided with a battery or pow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ehicle battery.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supp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는 전후방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가 전후방으로 배열된다는 것은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하는 경우의 방향으로서 이미지 표시부(100)가 설치되는 방향이나 위치에 따라 전후방이 실제로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are arranged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This is a direction in which it is assumed that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so that an image is display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a front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and rear actually means may vary according to a direction or a position in which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install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를 각각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이미지 형성부(110), 제2 이미지 형성부(120) 및 제3 이미지 형성부(130)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mage forming unit 110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toward the fron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respectively. , It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120 and the third image forming unit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표시부(100)가 3개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표시부(100)는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image display unit 100 includes three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two or more image forming units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제1 이미지 형성부(110)는 제1 광원부(111) 및 제1 광 가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원부(111)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제1 광 가이드부(112)에 의해 제1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mage forming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unit 111 and a first light guide unit 112, and when light is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By doing so, the first image can be formed.

제1 광원부(111)는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일측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 가이드부(112)는 제1 광원부(1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12a)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and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is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It can serve to be emitted to the exit surface (112a).

제1 광 가이드부(112)는 출사면(112a)의 반대측면에 제1 광원부(1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12a)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제1 반사 패턴(11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반사 패턴(112b)이 형성되는 영역은 제1 이미지 형성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may be formed with a first reflection pattern 112b that allows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o be reflected to the emission surface 112a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mission surface 112a. The region in which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112b is form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irst image formed by the first image forming unit 11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반사 패턴(112b)은 제1 광 가이드부(112)의 표면 가공에 의해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사 패턴(112b)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제1 광 가이드부(112)에 부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112b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light guide portion 112 is formed to have an uneven shape by surface proces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1 The reflective pattern 112b may be formed in a film form and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제2 이미지 형성부(120)는 제1 이미지 형성부(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이미지 형성부(120)는 제2 광원부(121) 및 제2 광 가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제2 광 가이드부(122)에 의해 제2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12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image forming unit 110, and 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120 may include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In addition, when light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the second image may be formed by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제2 광원부(121)는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일측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광 가이드부(122)는 제2 광원부(12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22a)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located at one end of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and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is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It can serve to exit the exit surface (122a).

제2 광 가이드부(122)는 출사면(122a)의 반대측면에 제2 광원부(12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22a)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제2 반사 패턴(12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 패턴(122b)이 형성되는 영역은 제2 이미지 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may be formed with a second reflection pattern 122b that allows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to be reflected on the emission surface 122a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mission surface 122a. The region in which the second reflective pattern 122b is formed may var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image formed by 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반사 패턴(122b)은 제2 광 가이드부(122)의 표면 가공에 의해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반사 패턴(122b)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제2 광 가이드부(122)에 부착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flection pattern 122b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light guide portion 122 is formed to have an uneven shape by surface proces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attern 122b may be formed in a film form and attached to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이때, 제1 광 가이드부(112) 및 제2 광 가이드부(122)는 서로 일면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과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제2 광 가이드부(122)를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and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are positioned so that one surface faces each other, and the exit surface 112a and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of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are The exit surface (122a) of the may be position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because of this,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exit surface (112a) of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Can be released.

제3 이미지 형성부(130)는 제2 이미지 형성부(1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이미지 형성부(130)는 제3 광원부(131) 및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광원부(131)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제3 광 가이드부(132)에 의해 제3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image forming unit 13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120, and the third image forming unit 130 may include a third light source unit 131 and a third light guide unit 132. In addition, when light is gener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a third image may be formed by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제3 광원부(131)는 제3 광 가이드부(132)의 일측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광 가이드부(132)는 제3 광원부(13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32a)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located at one end of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is light incident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It can serve to be emitted to the exit surface (132a).

제3 광 가이드부(132)는 출사면(132a)의 반대측면에 제3 광원부(13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32a)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제3 반사 패턴(13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반사 패턴(132b)이 형성되는 영역은 제3 이미지 형성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third light guide portion 132 may be formed with a third reflection pattern 132b that allows light incident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to be reflected on the emission surface 132a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mission surface 132a. The region where the third reflective pattern 132b is formed may var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hird image formed by the third image forming unit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 반사 패턴(132b)은 제3 광 가이드부(132)의 표면 가공에 의해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반사 패턴(132b)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제3 광 가이드부(132)에 부착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reflection pattern 132b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third light guide portion 132 is formed to have an uneven shape by surface proces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attern 132b may be formed in a film form and attached to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이때, 제2 광 가이드부(122) 및 제3 광 가이드부(132)는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과 제3 광 가이드부(132)의 출사면(132a)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are positioned so that one surface faces each other, and the exit surface 122a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of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The exit surface 132a may be position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whereby light emitted through the exit surface 122a of the second light guide part 122 passes through the third light guide part 132 Can be released.

또한,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과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도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제2 광 가이드부(122) 및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it surface 112a of the first light guide part 112 and the exit surface 122a of the second light guide part 122 are also position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the exit of the first light guide part 112 Light emitted through the surface 112a may be emitted through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다시 말해서, 이미지 표시부(100)가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 중 어느 하나의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그 전방에 위치하는 모든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image display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it is understood that light emit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is transmitted through all the light guide units positioned in front thereof. Can be.

예를 들어, 이미지 표시부(100)가 2개의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이미지 형성부의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그 전방에 위치하는 1개의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고, 이미지 표시부(100)가 4개의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이미지 형성부의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그 전방에 위치하는 3개의 광 가이드부를 모두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image display unit 100 includes two image forming uni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unit of the image forming unit positioned at the rearmost por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one light guide unit positioned in front of it. In the case where the image display unit 100 includes four image forming uni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unit of the image forming unit located at the rearmost por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all three light guide units positioned in front of it. will b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tical path by a first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tical path by a second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tical path by a third image fo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1 광원부(111)로부터 제1 광 가이드부(112)로 입사되는 광(L1)은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제1 반사 패턴(112b)에 의해 출사면(112a)으로 반사되어 출사되고,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제2 광 가이드부(122) 및 제3 광 가이부(132)를 투과하여 출사되어 제1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light L1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o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is emitted by the first reflection pattern 112b of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 Light reflected by 112a) is emitted, and light emitted from the exit surface 112a of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to be emitted. 1 image may be formed.

도 8을 참조하면, 제2 광원부(121)로부터 제2 광 가이드부(122)로 입사되는 광(L2)은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제2 반사 패턴(122b)에 의해 출사면(122a)으로 반사되어 출사되고,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투과하여 출사되어 제2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light L2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to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is emitted by the second reflection pattern 122b of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exiting 122a) and emitted from the light exiting surface 122a of the second light guide part 122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third light guide part 132 to be emitted to form a second image.

도 9를 참조하면, 제3 광원부(131)로부터 제3 광 가이드부(132)로 입사되는 광(L3)은 제3 광 가이드부(132)의 제3 반사 패턴(132b)에 의해 출사면(132a)으로 출사되도록 반사되어 제3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light L3 incident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to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is emitted by the third reflection pattern 132b of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 A third image may be formed by being reflected to exit to 132a).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표시부(100)는 제1 이미지 형성부(110), 제2 이미지 형성부(120) 및 제3 이미지 형성부(130) 각각에 의해 이미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 중 광이 발생되는 광원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unit 100 may be image-formed by the first image forming unit 110, 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120, and the third image forming unit 130, respectively. At least one image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 unit from which light is generated among the light source units 111, 121, and 131.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색상은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display unit 1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lor of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광원부(111)로부터 제1 색상의 광이 발생되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제2 색상의 광이 발생되며, 제3 광원부(131)로부터 제3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light of different colors is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n embodiment, light of a first color is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light of a second color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light of a third color is gener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The cas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때, 제1 광원부(111)로부터 제1 색상의 광이 발생되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제2 색상의 광이 발생되며, 제3 광원부(131)로부터 제3 색상의 광이 발생된다는 것은 제1 이미지가 제1 색상을 가지고, 제2 이미지가 제2 색상을 가지며, 제3 이미지가 제3 색상을 가진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ght of the first color is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light of the second color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light of the third color is gener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image has a first color, the second image has a second color, and the third image has a third color.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 중 둘 이상의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When light of different colors is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two or more lamps among various lamps in which 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11)로부터 제1 색상으로서 백색광이 발생되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제2 색상으로서 황색광이 발생되며, 제3 광원부(131)로부터 제3 색상으로서 청색광이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주간 주행 램프나 포지션 램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는 소등시키고 제1 광원부(111)만 점등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턴 시그널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 광원부(111) 및 제3 광원부(131)는 소등시키고 제2 광원부(121)만 점등시킬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를 소정의 점등 순서 등에 따라 동시에 모두 점등되거나 순차 점등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ite light is generated as the first color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yellow light is generated as the second color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blue light is generated as the third color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When generated, when 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purpose such as a daytime running lamp or a position lamp, the second light source part 121 and the third light source part 131 are turned off and only the first light source part 111 is turned on. When 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turn signal lamp,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may be turned off and only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may be turned on. When 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 units 111, 121, and 131 may be simultaneously lit or sequentially l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ighting sequenc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기능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램프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각 램프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설치 공간에 비하여 요구되는 설치 공간이 감소될 수 있고, 구성이 간소화되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install a lamp used for different functions or a lamp for displaying a charge state of a battery, an installation space required when separately installing each lamp Compared to this, the required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표시되는 이미지의 색상은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 중 광이 발생되는 광원부에 따라 제1 색상, 제2 색상 및 제3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가질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색상이 혼합된 제4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the first color, the second color, and the third color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 unit from which light is generated among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It may have any one of colors, and may have a fourth color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colors of the first to third colors are mixed.

이때, 제4 색상은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색상이 혼합된 색상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제4 색상은 제1 내지 제3 색상 중 혼합된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th color refers to a color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colors of the first to third colors are mixed, and the fourth color can be understood to have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mixed color among the first to third colors. have.

이미지 표시부(100)는 제1 내지 제3 색상과 더불어 제4 색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색상의 이미지가 교대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시각적인 효과가 부여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전환될 때 이미지의 색상이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Since the image display unit 100 may display an image having a fourth color in addition to the first to third colors, a visual effect may be provided in the process of alternately forming the images of the first to third colors. When switching from one of the first to third colors to another, a visual effect in which the color of the image is gradually changed can be given.

예를 들어,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제1 내지 제3 색상의 이미지가 일정 주기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색상의 이미지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광원부(11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전환되는 동안 제1 색상과 제2 색상이 혼합된 제4 색상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images of the first to third colors are sequentially formed by the image display unit 100 in a predetermined cycle, the brightness of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gradually increases when the images of the first colors are formed. When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image of the fourth color in which the first color and the second color are mixed may be formed while switching from the first color to the second color. It is.

이와 유사하게, 제2 색상의 이미지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2 광원부(12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제3 광원부(13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전환되는 동안 제2 색상과 제3 색상이 혼합된 제4 색상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Similarly, when the image of the second color is formed, the brightness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gradually decreases, 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gradually increases. During the conversion to the third color, an image of the fourth color in which the second color and the third color are mixed may be 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표시되는 이미지가 제1 색상에서 제4 색상을 거쳐 제2 색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되고, 이와 유사하게 제2 색상에서 제4 색상을 거쳐 제3 색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효과와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gradually changes from the first color to the second color through the fourth color, and similarly, through the second color to the fourth color. It is possible to give a visual effect such as a gradation effect gradually changing to 3 colors.

한편, 제1 내지 제3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각각의 광 가이드부(112, 122, 132)에 반사 패턴(112b, 122b, 132b)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 중 둘 이상의 광원부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둘 이상의 이미지가 조합된 조합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mages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are formed in regions where reflection patterns 112b, 122b, and 132b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light guide units 112, 122, and 132. It may have a corresponding shape, and when light is genera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 units 111, 121, and 131, a combined image of two or more images combined may be formed.

이때, 조합 이미지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의 이미지가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일부가 중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1 내지 제3 이미지 전체가 중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mbined image may have a shape in which two or more images of the first to third imag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a portion of the two or more images of the first to third images may have a shape overlapping, and the first to third images 3 The entire image may have a superimposed shape.

조합 이미지로서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의 이미지가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조합 이미지는 제1 내지 제3 색상 중 둘 이상의 색상을 가지는 영역을 각각 포함하게 되며, 조합 이미지로서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조합 이미지는 제1 내지 제3 색상 중 둘 이상의 색상을 가지는 영역과 더불어 둘 이상의 색상이 혼합된 제4 색상을 가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wo or more images of the first to third images as a combination image have a shap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mbination image includes regions having two or more colors among the first to third colors, and the first to third images as the combination image When at least a part of two or more images among three images have overlapping shapes, the combination image may include regions having two or more colors among the first to third colors as well as regions having a fourth color mixed with two or more colors. have.

한편, 전술한 제1 내지 제3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는 제1 내지 제3 광 가이드부(112, 122, 132)가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가 제1 내지 제3 광 가이드부(112, 122, 132)의 일측단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에서 발생되는 광은 제1 내지 제3 광 가이드부(112, 122, 132)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광 가이드부로 입사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요구되는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first to third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o third light guide units 112, 122, and 132 emit light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Since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 parts 111, 121, and 131 are located near one end of the first to third light guide parts 112, 122, and 132,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 parts 111, 121, The light generated in 131) may be incident to the first to third light guide units 112, 122, and 132 as well as other adjacent light guide units, in which case an image formed by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required You can have a different color from the color.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광원부(111, 121) 사이와 제2 및 제3 광원부(121, 131)에 각각 광 차단부(140, 150)를 위치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대응되는 광 가이드부 이외의 다른 광 가이드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light blocking units 140 and 15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units 111 and 121 and the second and third light source units 121 and 131, respectively, the first to the first 3 Light generated from each of the light source units 111, 121, and 131 may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light guide unit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light guide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광원부(111, 121) 사이에 위치하는 광 차단부(140)를 제1 광 차단부라 칭하고,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 사이에 위치하는 광 차단부(150)를 제2 광 차단부라 칭하기로 하며, 이미지 표시부(100)에 포함되는 이미지 형성부의 개수에 따라 광 차단부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Hereinafte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blocking unit 14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units 111 and 121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light block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will be described. The light blocking part 150 positioned between the two parts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light blocking part, and the number of light blocking parts may also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image forming parts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part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광 차단부(140)와 제2 광 차단부(150)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제1 광 차단부(140)와 제2 광 차단부(150)를 각각 별도로 조립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광 차단부(140)와 제2 광 차단부(150)의 조립을 간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here both ends of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which is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may be understood to simplify assembly of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a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is separately assembl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차단부 및 제2 광 차단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light blocking unit and a second light b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광 차단부(140)는 제1 광 가이드부(112)와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일측단 부근에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제1 광 가이드부(112)와 제2 광 가이드부(1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 광 가이드부(112)와 제2 광 가이드부(122)의 타측단을 향하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includes a first light guide unit from one end located near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unit 112 and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It may b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art 112 and the second light guide part 122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112 and the second light guide part 122.

제1 광 차단부(140)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면(141, 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광 차단부(14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면(141, 142) 중 제1 광원부(111)를 향하는 면을 제1 면(141)이라 하고, 제2 광원부(121)를 향하는 면을 제2 면(142)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may include surfaces 141 and 142 conne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hereinafter,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among the surfaces 141 and 142 connecting is referred to as a first surface 141 and a surface facing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is referred to as a second surface 142.

제1 광 차단부(140)는 제1 면(141)이 제1 광원부(111)로부터 발생되는 광(L11, L12) 중 제2 광 가이드부(122)로 향하는 광(L12)을 차단하고, 제2 면(142)이 제2 광원부(121)로부터 발생되는 광(L21, L22, L23) 중 제1 광 가이드부(112)로 향하는 광(L22)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blocks the light L12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o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among the light L11 and L12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second surface 142 serves to block the light L22 directed to the first light guide part 112 among the light L21, L22, and L23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part 121.

이와 유사하게, 제2 광 차단부(150)는 제2 광 가이드부(122)와 제3 광 가이드부(132)의 일측단 부근에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제2 광 가이드부(122)와 제3 광 가이드부(13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2 광 가이드부(122)와 제3 광 가이드부(132)의 타측단을 향하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has a second light guide unit 122 from the one end located near one end of the second light guide unit 122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 And the third light guide part 132 may b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ght guide part 122 and the third light guide part 132.

제2 광 차단부(150)는 제2 광원부(121)를 향하는 제1 면(151)과 제3 광원부(131)를 향하는 제2 면(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면(151)이 제2 광원부(121)로부터 발생되는 광(L21, L22, L23) 중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향하는 광(L23)을 차단하고, 제2 면(152)이 제3 광원부(131)로부터 발생되는 광(L31, L32) 중 제2 광 가이드부(122)를 향하는 광(L32)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51 facing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a second surface 152 facing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and the first surface 151 Of the light L21, L22, and L23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the light L23 directed to the third light guide unit 132 is blocked, and the second surface 152 is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Of the light (L31, L32) generated from it serves to block the light (L32) toward the second light guide portion 122.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는 블랙 색상 계열의 광 흡수 부재가 사용되어 광을 차단할 수도 있고,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에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광을 차단할 수도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may use a black color light absorbing member to block light, and the first surfaces 141 and 151 and the second surfaces 142 and 152 ) A reflective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such as aluminum or chromium may be formed to block light, an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ve layers are formed on the first surfaces 141 and 151 and the second surfaces 142 and 152. The case where this is form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때,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는 도 11과 같이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 사이의 간격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먼 위치까지 도달되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141, 151) and the second surface (142, 152) as shown in Figure 11 is the other end It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so as to decrease toward, this is to ensure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to reach a relatively distant position to be.

즉,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 사이의 간격이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동일한 경우 도 11의 점선과 같이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도달되는 위치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되고,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 사이의 간격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우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도달되는 위치가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141, 151) and the second surface (142, 152) is the sam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as shown in FIG. When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reflected by the unit 150 reaches is relatively clos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141, 151) and the second surface (142, 152) de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position at which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reaches is relatively distant.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의 형상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도달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s of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It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inclination angles depending on the position to be reached.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광 차단부(140, 150)로서 2개의 광 차단부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복수이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로서 3개의 이미지 형성부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며, 이미지 형성부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광 차단부의 개수도 늘어날 수 있고, 일 예로 이미지 형성부의 개수가 n(n≥2)인 경우 광 차단부는 n-1(n≥2)개가 사용될 수 있게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wo light blocking units are used as the light blocking units 140 and 15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three image forming units are used as the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This is because, as the number of image forming units increases, the number of light blocking units may also increas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image forming units is n (n≥2), n-1 (n≥2) light blocking units may be used.

또한,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광이 반사되는 경우,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에는 각각 확산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산 패턴은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제3 광원부(131) 각각에 포함되는 광원의 배치 간격으로 인한 밝기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light is reflected by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diffusion patterns are formed on the first surfaces 141 and 151 and the second surfaces 142 and 152, respectively. This diffusion pattern may be to prevent a difference in brightness due to an arrangement interval of light source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즉,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제3 광원부(131) 각각에 포함되는 광원은 구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접한 광원 사이의 간격 사이에서는 상대적으로 광의 밝기가 낮아지게 되어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밝기가 균일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the light source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or more so that structural interference does not occur, and in this case, adjacent light sources Between the intervals therebetween, the brightness of the light may be relatively low,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image formed by the image display unit 100 may not be uniform.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광이 반사되는 경우,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에 반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광원 사이의 간격으로 인한 밝기 차이를 감소시켜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ght is reflected by the first light block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blocking unit 150, the first surface 141, 151 and the second surface 142, 152 By forming a diffusion pattern that diffuses the light reflected on the light,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due to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light sources can be reduced to have the overall uniform brightness of the image formed by the image display unit 100.

제어부(200)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는 기설정된 순서에 따른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allow an image to be 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and the control unit 200 may allow images in a predetermined order to be sequentially formed. Can be.

제어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와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이 조합된 조합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The image formed by the control unit 200 i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images and the first to third images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image forming units 110, 120, and 130, respectively. Images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도 12와 같이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개별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13과 같이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중첩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4와 같이 제1 이미지,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 제2 이미지, 제2 이미지와 제3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 제3 이미지, 제1 이미지와 제3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200 may allow the first to third images to be sequentially displayed as shown in FIG. 12, or the first to third images to be sequentially displayed as shown in FIG. 13, and 14, the first imag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ombined image, the second image,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combined image, the third image, the first image and the third image combined image May be displayed sequentially.

이때, 도 12는 점등 상태인 제1 광원부(111)의 소등 이후 제2 광원부(121)가 점등되고, 제2 광원부(121)의 소등 이후 제3 광원부(131)가 점등되도록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어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경우의 일 예이며, 도 13은 제1 광원부(111)가 점등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광원부(121)가 점등되고, 제1 광원부(111) 및 제2 광원부(121)가 함께 점등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제3 광원부(131)가 점등되어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가 순차적으로 중첩 표시되는 경우의 일 예이고, 도 14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 광원부(111, 121, 131)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되어 현재 이미지로부터 다음 이미지로 전환되는 동안 두 이미지가 조합된 조합 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In this case, FIG. 12 is the first to third so that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is turned on after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is turned off and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is lighted after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is turned off.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images are individually displayed as the light source units 111, 121, and 131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and FIG. 13 shows a first time after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is lit.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is turned on, an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1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21 are lit together,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third light source unit 131 is lit, and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 units 111 , 121 and 131 are sequentially overlapped, and FIG. 14 gradually decreases or increases the brightness of each light source unit 111, 121, and 131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to third images are sequentially formed. This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a combined image is formed in which two images are combined while being converted from the current image to the next image.

제어부(200)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는 전술한 도 12 내지 도 14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ed by the control unit 2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IGS. 12 to 14, and an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image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as necessary. The third image may be displayed simultaneously.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이미지 표시부(100), 제어부(200) 및 상태 검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15, the vehicle lamp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100, a control unit 200, and a state detection unit 300, Figure 15 is a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xample in the case of indicat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4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ol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 검출부(300)는 배터리(400)의 충전 여부와 배터리(400)의 충전량 등과 같이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detection unit 300 may serve to detect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400 such as whether the battery 400 is charged and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400.

예를 들어, 상태 검출부(300)는 배터리(400)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가 배터리(400)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통해 배터리(400)의 충전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배터리(400)의 전압 검출 등을 통해 배터리(400)의 충전량을 검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ate detection unit 300 may detect whether the battery 400 is charged through whether the connector for charging the battery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battery 400, and the battery (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400 may be detected through voltage detection of 4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배터리(400)가 충전되는 동안 전술한 도 12 내지 도 14 등과 같은 순서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display images while the battery 400 is being charged in the same order as in FIGS. 12 to 14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미지 표시부(100)는 도 16과 같이 헤드 램프(2)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표시부(100)는 외부에서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unit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it is installed in the head lamp 2 as shown in FIG. 16,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a battery from the outside.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to easily check the state of charge of the (400).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이미지 표시부(100), 제어부(200), 상태 검출부(300) 및 조도 감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7, the vehicle lamp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unit 100, a control unit 200, a state detection unit 300, and an illumination detection unit 50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ol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도 감지부(500)는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는 조도 감지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조도에 따라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nce sensor 500 may serve to sense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200 may display the image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transmitted from the illuminance detector 50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ight generated from.

이때, 조도 감지부(500)는 일정 시간동안 감지된 조도의 평균치를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조도가 높아지는 경우 등으로 인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illuminance detecting unit 500 may transmit the average value of the illuminance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the control unit 200, which is intended to reduce the influence due to a temporary increase in illuminance due to external factors.

제어부(200)가 차량 주변의 조도에 따라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은 차량 주변 조도가 높은 경우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시인성이 저하되거나 차량 주변 조도가 낮은 경우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높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눈부심 등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ontrol unit 20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according to the ambient light intensity of the vehicle. When the ambient light intensity of the vehicle is high, the brightness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becomes relatively low, thereby deteriorating visibility. This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iscomfort such as glare to surrounding vehicles or pedestrians because the brightness of light genera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relatively high when the ambient light level is low.

제어부(200)는 차량의 주변 조도가 높아질수록 시인성 저하가 방지되도록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높이게 되고, 이와 반대로 차량의 주변 조도가 낮아질수록 눈부심 등이 방지되도록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낮추게 된다.The control unit 200 increases the brightness of light genera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so as to prevent a decrease in visibility as the surrounding illumination of the vehicle increases, and conversely, as the surrounding illumination of the vehicle decreases, the image display unit 100 prevents glare, etc. It lowers the brightness of light generated from.

이때, 조도 감지부(500)는 도 18과 같이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인지할 수 있는 방향에서의 조도를 감지하여 밝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500 may be locat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genera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as shown in FIG. 18, which indicates the illuminance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genera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can be recognized. This is to detect and adjust the brightness.

즉, 조도 감지부(500)가 이미지 표시부(100)가 설치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조도 감지부(500)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가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인지하는 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조도 감지부(500)를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방향에 위치시켜 보다 정확한 밝기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500 is loca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display unit 100 is installed,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500 recognizes light genera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Since it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ligh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rightness by positioning the illuminance detector 500 in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genera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100.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태 검출부(300)를 포함하는 경우와 조도 감지부(500)를 포함하는 경우를 각각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들 각각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상호 간에 차용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ase in which the state detector 300 is included and the case in which the illuminance sensor 500 is included are described, respectively, but the components includ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each other. Can be borrow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이미지 표시부
110: 제1 이미지 형성부
111: 제1 광원부
112: 제1 광 가이드부
120: 제2 이미지 형성부
121: 제2 광원부
122: 제2 광 가이드부
130: 제3 이미지 형성부
131: 제3 광원부
132: 제3 광 가이드부
200: 제어부
300: 상태 검출부
400: 배터리
500: 조도 감지부
100: image display unit
110: first image forming unit
111: first light source unit
112: first light guide unit
120: second image forming unit
121: second light source unit
122: second light guide unit
130: third image forming unit
131: third light source unit
132: third light guide unit
200: control unit
300: state detection unit
400: battery
500: illuminance detector

Claims (19)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키는 광 가이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는,
제1 광원부와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제2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2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되는 차량용 램프.
An image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formed by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each including a light source unit and a light guide unit for emitt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form an image b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A first image forming unit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unit and a first light guide unit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is emitted; And
And a second image forming unit including a second light source unit and a second light guide unit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s emitt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guide portion is a vehicle lamp that is emitted through the second light gui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Vehicle lamps with different colors of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드부는,
서로 일면이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부는,
출사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gh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guide portion,
They are positioned so that one side faces each other,
The first ligh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guide portion,
A vehicle lamp positioned so that the exit surface faces the sam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상,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상, 및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혼합된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display unit,
A vehicle lamp having at least one color of a color of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 color of light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nd a color in which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s mix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드부 각각은,
일면에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 패턴 및 제2 반사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 각각은,
상기 제1 반사 패턴 및 상기 제2 반사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ligh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guide portion,
A first reflection pattern and a second reflection pattern for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o an emission surface are formed on one surface,
Each of the first image form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A vehicle lamp that allows an imag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n area in which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and the second reflective pattern are form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패턴 및 상기 제2 반사 패턴은,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and the second reflective pattern,
A vehicle lamp formed in an area such that images formed by each of the first image form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ar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패턴 및 상기 제2 반사 패턴은,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and the second reflective pattern,
A vehicle lamp formed in an area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an image formed by each of the first image form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overla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드부의 일측단 부근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 사이에 위치하는 광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Located near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guide portion,
A vehicle lamp further comprising a light block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8,
The light blocking unit,
A vehicle lamp that absorbs at least a portion of ligh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par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pa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8,
The light blocking unit,
A vehicle lamp that reflects at least a portion of ligh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par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pa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드부의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면은,
상기 광 차단부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8,
The light blocking unit,
The other end from one end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from the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guide portion toward the other end,
The surface connect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 vehicle lamp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ight blocking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면은,
상기 제1 광원부를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2 광원부를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광 차단부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rface connect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It includes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light sour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 vehicle lamp that becomes smaller from one end of the light blocking section to the other en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 각각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 차단부는,
적어도 일면에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패턴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8,
Each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ight blocking unit,
A vehicle lamp having a diffusion pattern that diffuses light genera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on at least on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표시부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와 조합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t least one of a first image formed by the first image forming unit, a second image formed by the second image forming unit, and an image combined with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from the image display unit Vehicle lamp to be displa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lamp for sequentially lighting the first light source par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가 동시에 점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lamp that allows the first light source par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part to light simultaneously.
제 1 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이미지 표시부로부터 상기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at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The control unit,
A vehicle lamp that allows the image to be form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etected charging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ambient light around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A vehicle lamp that adjusts the brightness of an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illuminan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감지부는,
상기 이미지 표시부가 설치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18,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A vehicle lamp positio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display unit is installed.
KR1020190023729A 2018-12-12 2019-02-28 Lamp for vehicle KR102160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114703.1U CN210035343U (en) 2018-12-12 2019-07-16 Vehicle lamp
US16/530,194 US20200189449A1 (en) 2018-12-12 2019-08-02 Vehicle lamp
US16/530,207 US10688914B1 (en) 2018-12-12 2019-08-02 Vehicle lamp
DE202019003710.1U DE202019003710U1 (en) 2018-12-12 2019-09-06 vehicle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827 2018-12-12
KR20180159827 2018-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377A true KR20200072377A (en) 2020-06-22
KR102160530B1 KR102160530B1 (en) 2020-09-28

Family

ID=7114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729A KR102160530B1 (en) 2018-12-12 2019-02-28 Lam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5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327B1 (en) * 2021-10-28 2024-02-05 주식회사 서연이화 Lamp apparatus for an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63A (en) *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테크자인 Lamp for vehicle
KR20100075392A (en) 2008-12-24 2010-07-02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harge indicator for electric vehicles
WO2016190702A1 (en) * 2015-05-28 2016-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including same
KR20180068393A (en) *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63A (en) *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테크자인 Lamp for vehicle
KR20100075392A (en) 2008-12-24 2010-07-02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harge indicator for electric vehicles
WO2016190702A1 (en) * 2015-05-28 2016-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including same
KR20180068393A (en) *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530B1 (en)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914B1 (en) Vehicle lamp
EP1411291B1 (en) Vehicle lamp with light emitting diodes
CN104296037A (en) Vehicle lamp
US20190347966A1 (en) Light emitting sign apparatus using optical fiber
KR101405385B1 (en) 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KR20180043038A (en) headlamp having matrix static bending light optical system
US10906453B2 (en) Vehicular detection device and vehicular lamp
CN210591427U (en) Charging displa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2160530B1 (en) Lamp for vehicle
CN1690507A (en)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using side-emitting light-emitting diode
CN115560263A (en) Optical module and method for reducing color desaturation in an optical module
KR101423668B1 (en) Lamp for vehicle
KR20130123199A (en) 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KR20180061928A (en) Lamp for vehicle
KR101970654B1 (en) Light emitting sign apparatus using optical fiber
KR20150107332A (en) Lamp for vehicle
KR102624786B1 (en) Charging state display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KR102327022B1 (en) Lamp for vehicle
KR102031833B1 (en) Lamp for vehicle
KR20210028372A (en) Lamp for vehicle
KR20150125808A (en) Lamp for vehicle
US11982418B2 (en) Lighting module for a vehicle headlamp
KR102327018B1 (en) 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KR102526208B1 (en) Lamp for electric vehicle
US11358522B2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