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430A -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430A
KR20200071430A KR1020180159156A KR20180159156A KR20200071430A KR 20200071430 A KR20200071430 A KR 20200071430A KR 1020180159156 A KR1020180159156 A KR 1020180159156A KR 20180159156 A KR20180159156 A KR 20180159156A KR 20200071430 A KR20200071430 A KR 20200071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granules
mixture
grain
mix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케이
Priority to KR1020180159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1430A/ko
Publication of KR2020007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곡물가루, 계면활성제,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얻어진 혼합물을 과립화하여 혼합물의 과립을 얻는 단계; (c) 상기 얻어진 혼합물의 과립에 소수성 코팅 기제로 코팅하여 코팅된 과립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코팅된 과립에 활택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곡물분말을 함유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립형 세정제는 천연 곡물 분말의 장점을 갖는 동시에 간편하고 세균에 안전한 무수분 제조 공정으로 제조되고, 적은 양의 물에 신속히 붕해되어 화장품 분야에서 휴대용 얼굴 및 전신 세정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grunulated cleanser comprising powder of grain}
본 발명은 곡물분말을 함유하는 과립형 얼굴 및 전신 세정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팥가루, 녹두가루 및 검정콩가루 등의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 형태의 세정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립형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팥가루, 녹두가루 및 검정콩가루 등의 천연 곡물분말을 사용한 피부관리 또는 세안은 삼국시대에서부터 '조두'라고 불리는 천연 곡물비누로 애용된 기록이 있으며, 이러한 각종 곡물을 이용한 피부 미용재료 또는 세안제는 지금까지도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판매되고 있는 팥가루, 녹두가루 및 검정콩가루를 이용한 천연 곡물 세정제는 액상, 젤 및 크림 형태가 대부분이고, 분말 타입의 제품이 출시되긴 했으나 거품을 풍성하게 생성하지 못하고 세정력이 약하여 모공브러쉬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어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분말 타입의 천연곡물 세정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천연 곡물분말 과립형 세정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66230호 (2006.06.16)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20120호 (2009.11.24)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52422호 (2011.05.18)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천연곡물을 포함하는 분말 세정제 제품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팥가루, 녹두가루 및 검정콩가루를 계면활성제와 혼합하고 표면을 코팅하는 경우에 천연곡물 특유의 장점을 갖는 동시에 적은 양의 물에도 쉽게 붕해되어 크리미한 거품을 형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a) 곡물가루, 계면활성제,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얻어진 혼합물을 과립화하여 혼합물의 과립을 얻는 단계; (c) 상기 얻어진 혼합물의 과립에 소수성 코팅 기제로 코팅하여 코팅된 과립을 얻는 단계 ; 및 (d) 상기 코팅된 과립에 활택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물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a) 단계에서 곡물분말은 팥가루, 녹두가루, 검정콩가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파파인(papain), 브로멜라인(bromelain), 판크레아틴(pancreat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형제는 당류, 당알코올류, 녹말, 다당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규화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분말상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c)에서 소수성 코팅 기제는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나우바왁스,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 올레이트, 비즈왁스,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RS, 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수성 코팅 기제 농도가 0.1 중량 % 내지 20 중량 %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d)에서 활택제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실리카, 전분, 탈크, 스테아르산, 이산화규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과립형 세정제가 제공된다.
일 구현 예에서, 상기 과립형 세정제 크기가 0.005 mm ~ 5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에 의해, 분말 혼합물의 과립을 코팅시킴으로써 가루 날림이 없어 제품의 보관이 용이하고,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며, 수분이 함유되지 않아 세균에도 안정하여 소분량으로 포장하여 휴대가 가능하며, 팥가루, 녹두가루 및 검정콩가루를 사용하여 노폐물 제거, 피부 진정, 피부 탄력에 효과가 있는 과립형 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과립형 세정제는 적은 양의 물에도 신속하게 붕해되어 크리미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립형 세정제는 화장품 분야에서 휴대용 얼굴 및 전신 세정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a) 곡물가루, 계면활성제,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얻어진 혼합물을 과립화하여 혼합물의 과립을 얻는 단계; (c) 상기 얻어진 혼합물의 과립에 소수성 코팅 기제로 코팅하여 코팅된 과립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코팅된 과립에 활택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물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곡물가루, 계면활성제,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즉, 단계(a)]를 포함한다.
단계(a)는 과립 생성에 필요한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먼저, 혼합기에 곡물가루, 계면활성제,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첨가물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균질한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곡물분말은 팥가루, 녹두가루, 검정콩가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곡물분말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 ~ 15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팥은 노폐물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어 모공속에 축적된 노폐물과 피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고, 팥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은 해독작용이 우수하여, 피부를 밝게 가꾸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피부를 윤기있게 해 줄 뿐 아니라 주근깨의 멜라닌 색소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녹두는 콩과류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써, 씨에는 비타민류, 단백질, 탄수화물, 필수유로 구성되어 있다. 녹두는 찬 성질이 강하며, 이러한 녹두를 물에 개어 얼굴에 바르면 칙칙한 피부 및 트러블이 심한 피부가 깨끗해지고 맑아진다. 녹두 추출물은 예로부터 한방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은 피부염 치료에 효과가 있어 의약품 및 화장품에서 화장독이나 여드름 예방제로 보급되고 있다. 검정콩은 피부의 콜라겐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성분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어 피부 콜라겐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피부탄력과 피부에 생기를 부여한다. 콩에는 단백질과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피부에 좋은 영양분이 골고루 함유되어 피부를 윤기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파파야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 분해효소인 파파인(papain), 파인애플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 분해효소인 브로멜라인(bromelain), 주로 돼지 췌장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분해효소인 판크레아틴(pancreat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고, 특히 파파인은 오래된 각질 및 모공 속 피지에 섞인 단백질을 분해하여 피지 조절 효과가 뛰어나고 모공속의 노폐물을 깨끗이 제거하는 역할을 하여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며,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중량 % ~ 5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는 당류, 당알코올류, 녹말, 다당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규화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분말상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만니톨은 물에 잘 용해되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비흡습성을 나타내므로 과립 제조시 분말 결합제로서 사용되며, 상기 결합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 ~ 15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단계(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과립화하여 혼합물의 과립을 얻는 단계[즉, 단계(b)]를 포함한다. 단계(b)는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과립화 공정은 유동층 과립기에서 원료 분말을 유동화시켜서 수행할 수 있다. 유동층 과립기의 상부에서 탑-스프레이 방식으로 분무하여 원료 분말이 아래 위로 이동하려는 힘(마찰력)에 의해 많은 유동 분말의 표면이 녹아 분말끼리 결합하게 됨에 따라 과립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단계(b)에서 얻어진 혼합물의 과립에 소수성 코팅 기제로 코팅하여 코팅된 과립을 얻는 단계[즉, 단계(c)]를 포함한다. 단계(c)는 과립이 포함된 혼합물을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단계이다. 바텀-스프레이 방식은 아래에서 위, 즉 유동되는 분말과 같은 방향으로 분무하여 마착력이 적고 이동방향이 같아 과립마다 분무액이 균일하게 입혀져 코팅이 된다. 상기 소수성 코팅 기제는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나우바왁스,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 올레이트, 비즈왁스,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RS, 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립은 에틸 셀룰로오스로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코팅 기제는 총 중량 대비 0.1 중량 % ~ 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1 중량 % ~ 1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단계(c)에서 코팅된 과립에 활택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즉, 단계(d)]를 포함한다. 단계(d)는 코팅된 과립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활택제를 첨가하는 단계이다. 유동층 과립기에서 배출된 코팅된 과립을 혼합기에 넣은 후 활택제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한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실리카, 전분, 탈크, 스테아르산, 이산화규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곡물 과립형 세정제를 제공한다. 상기 단계(a) ~ 단계(d)를 거쳐 모든 구성성분이 함유된 과립형 세정제는 흰색, 갈색 및 검정색을 나타내고, 구형 또는 펠렛형일 수 있으며, 0.005 mm ~ 5 mm, 바람직하게는 0.01 ~ 3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 1 mm 크기일 수 있다. 만약 과립의 크기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과립화 공정에서 유동성이 저하되어 과립 간 뭉침 현상이 발생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물에 닿는 표면적이 줄어들어 완전히 용해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크리미한 기포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한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과립형 세정제는 팥가루, 녹두가루 및 검정콩가루를 사용하여 노폐물 제거, 피부 진정, 피부 탄력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세정제는 분말을 과립화한 다음, 이를 코팅시킴으로써 가루 날림이 없어 제품의 보관이 용이하고,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며, 수분이 함유되지 않아 세균에도 안정하여 소분량으로 포장하여 휴대가 가능하며, 적은 양의 물에도 신속하게 붕해되어 크리미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0대에서 50대 이상인 200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상기 세정제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유용도 및 제품의 장점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족도 항목에서는 간편성, 사용의 편이성 및 피부개선 효과 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흥미도 항목에서는 기존의 비누 등의 세정제와의 차별성 및 사용법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식의 경험 등에서 흥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용도 항목에서는 여드름 진정 및 유분 조절용, 각질 제거용, 이중세안용 등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의 장점에 관한 질의에서 유분기를 조절하여 세안에 효과적이라는 답변이 가장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의 구성성분
과립형 세정제에 포함되는 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번호 원료명 혼합비
(중량 %)
1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부형제) 37.83
2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계면활성제) 20.69
3 소듐코코일글라이시네이트 (계면활성제) 15.45
4 만니톨 (부형제) 10
5 팥가루(곡물) 3.33
6 녹두가루 (곡물) 3.33
7 검정콩가루 (곡물) 3.33
8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계면활성제) 3.64
9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활택제) 1
10 파파인 (단백질 분해 효소) 0.9
11 에틸 셀룰로오스 (소수성 코팅 기제) 0.5
합계 100
2.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
상기 표 1의 구성성분을 하기와 같이 분류하여 제조 공정을 수행하였다(도 1 참조).
(1) 분말 혼합물: 팥가루, 녹두가루, 검정콩가루,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글라이시네이트,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파파인,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만니톨
(2) 소수성 코팅 기제: 에틸 셀룰로오스
(3) 활택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먼저, 미세저울로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원료를 칭량하고, 이 중 분말 혼합물에 해당하는 성분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메인믹서(Double corn Mixer)를 이용하여 혼합을 진행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메인믹서 2000 ~ 4000 rpm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균질한 분말 혼합물을 얻었다.
균질화된 혼합물을 유동층 과립기 내에 투입하고 유동화하여 상기 분말을 균질화한 후 유동층 과립기의 히터온도 20 ~ 70 ℃를 통과한 흡기공기를 유동층 과립기 내에 투입하고 멸균된 정제수를 탑스프레이(top-spray)로 20 ~ 50 Hz의 기력 및 1.2 mm의 노즐 크기로 분무하여 유동화하면서 과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의 과립을 1 ~ 2분 동안 건조한 후 배출하였다.
코팅 기제인 에틸 셀룰로오스를 물 및 에탄올 혼합액(10:90 v/v)에 용해 및 분산시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어 균질화된 과립을 유동층 과립기 내에 투입하고 유동화하여 바텀스프레이(bottom-spray)로 상기 코팅액을 분무하여 코팅된 과립을 얻은 후 1 ~ 2분 동안 건조한 후 배출하였다. 배출된 코팅 과립은 혼합기에 넣은 후 과립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스테아린산 마그네슘(활택제)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코팅된 과립형 세정제는 팥가루, 녹두가루 및 검정콩가루를 사용하여 노폐물 제거, 피부 진정, 피부 탄력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회분에 해당하는 분량(0.3 ~ 3 g)을 덜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소량의 물에도 신속하게 붕해되어 크리미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설문조사
1. 설문조사 분석 방법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한, 상기 세정제의 만족도, 흥미도 및 유용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상기 세정제의 장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카이제곱(χ2,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분석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고, 내적 일관성 계수인 크론바흐 알파(Cronbach’α)는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의 만족도 조사에서 0.86, 흥미도 조사에서 0.94 및 유용도 조사에서 0.92로 나타났다.
구분 문항수 크론바흐 알파 계수
만족도 7 0.86
흥미도 7 0.94
유용도 7 0.92
2. 조사 대상자 분석 및 설문조사 결과
2-1. 조사 대상자 분석 결과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하여 하기 표 3의 특성을 갖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 45 22.5
155 77.5
연령 10대 20 10.0
20대 90 45.0
30대 40 20.0
40대 35 17.5
50대 이상 15 7.5
200 100.0
총 200명 중 성별로는 여자가 77.5 %로 남자 22.5 %보다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5.0 %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0대 20.0 %, 40대 17.5 %, 10대 10.0 %, 50대 이상 7.5 % 순으로 나타났다.
2-2. 설문조사 결과
(1)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의 만족도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만족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평균값이 3.96으로 나타나, 조사 대상자들이 상기 세정제에 대한 만족도를 높게 평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만족도에 대한 질의 문항 중에서 "제품에 전반적으로 만족했다"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① 제품에 전반적으로 만족했다 4.06 0.67
② 간편하고 사용하기 쉬웠다 3.97 0.81
③ 한국 전통 체험적 지식을 증가시킬 수 있는
좋은 제품이었다
3.81 0.78
④ 다시 사용할 기회가 되면 선택하겠다 4.02 0.80
⑤ 체험해보니 효과에 만족한다 3.96 0.81
만족도(① ~ ⑤) 3.96 0.77
또한, 조사 대상자들의 성별에 따른 상기 세정제의 만족도 및 연령에 따른 상기 세정제의 만족도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각각 나타내었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값
(t-test)
p 값
성별 45 3.64 0.59 -2.33 0.002
155 3.88 0.58
전체 200 3.82 0.59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자가 남자보다 상기 세정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1). 따라서, 조사대상자들의 성별에 따라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만족도 항목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F 값
(One way-ANOVA)
p 값
연령 10대 20 3.96 0.53 1.89 0.132
20대 90 3.75 0.52
30대 40 3.75 0.69
40대 이상 50 3.95 0.61
전체 200 3.82 0.59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0대와 40대 이상인 조사 대상자가 20대와 30대인 조사 대상자보다 상기 세정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따라서, 조사 대상자들의 연령에 따라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만족도 항목에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의 흥미도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흥미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평균값이 3.82로 나타나, 조사 대상자들이 상기 세정제에 대한 흥미도를 높게 평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흥미도에 대한 질의 문항 중에서 "제품 사용은 새로운 경험을 주었다"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① 제품이 흥미로웠다 3.89 0.82
② 제품 사용은 새로운 경험을 주었다 3.94 0.83
③ 평소 나의 관심거리와 관련된 것이다 3.74 0.96
④ 기존의 제품 방식에서 벗어나서 제품이 흥미로웠다 3.83 0.91
⑤ 일상생활 경험과 평소 생각해 본 것과 관련시킬 수 있었다 3.76 0.91
⑥ 기존 비누나 세안제 제품과는 차별화된 제품이다 3.87 0.91
⑦ 제품의 색상이나 컨셉이 재미있고 마음에 든다 3.75 0.92
흥미도(① ~ ⑦) 3.82 0.77
또한, 조사 대상자들의 성별에 따른 상기 세정제의 흥미도 및 연령에 따른 상기 세정제의 흥미도를 하기 표 8 및 표 9에 각각 나타내었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값
(t-test)
p 값
성별 45 3.69 0.75 -1.33 0.187
155 3.86 0.77
전체 200 3.82 0.77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자가 남자보다 상기 세정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따라서, 조사대상자들의 성별에 따라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흥미도 항목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F 값
(One way-ANOVA)
p 값
연령 10대 20 4.18 0.73 2.95 0.034
20대 90 3.71 0.75
30대 40 3.73 0.74
40대 이상 50 3.97 0.79
전체 200 3.82 0.77
표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조사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상기 세정제에 대한 흥미도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특히, 10대인 조사 대상자에서 흥미도가 가장 높고, 20대인 조사 대상자에서 흥미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 대상자들의 연령에 따라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흥미도 항목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의 유용도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유용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평균값이 3.93으로 나타나, 조사 대상자들이 상기 세정제에 대한 유용도를 높게 평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유용도에 대한 질의 문항 중에서 "여드름 피부나 유분이 많은 피부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및 "사용해 보니 나에게 필요한 제품이며 도움이 되었다"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① 제품 사용에 대한 이해가 쉬웠다 3.84 0.75
② 여드름 피부나 유분이 많은 피부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3.98 0.74
③ 제품 사용으로 각질 제거에 도움을 받았다 3.97 0.82
④ 피부 트러블이 있는 피부에 도움이 되었다 3.83 0.85
⑤ 피부 전반에 관련된 향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좋은 제품이다 3.98 0.83
⑥ 이중세안이 필요한 상황에서 간편하고 유용하다 3.92 0.84
⑦ 사용해 보니 나에게 필요한 제품이며 도움이 되었다 3.98 0.81
유용도(① ~ ⑦) 3.93 0.66
또한, 조사 대상자들의 성별에 따른 상기 세정제의 흥미도 및 연령에 따른 상기 세정제의 흥미도를 하기 표 11 및 표 12에 각각 나타내었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값
(t-test)
p 값
성별 45 3.75 0.62 -2.16 0.034
155 3.98 0.67
전체 200 3.93 0.66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자가 남자보다 상기 세정제에 대한 유용도가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따라서, 조사대상자들의 성별에 따라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유용도 항목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F 값
(One way-ANOVA)
p 값
연령 10대 20 4.13 0.71 4.75 0.003
20대 90 3.83 0.65
30대 40 3.74 0.64
40대 이상 50 4.17 0.63
전체 200 3.93 0.66
표 1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조사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상기 세정제에 대한 유용도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1). 특히, 40대 이상인 조사 대상자에서 흥미도가 가장 높고, 30대인 조사 대상자에서 유용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 대상자들의 연령에 따라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에 대한 유용도 항목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의 장점
상기 세정제의 장점에 대해 조사 대상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유분 및 세안 효과성"이 제품의 장점이라고 인식하는 조사 대상자가 38.5 %로 가장 많았고, "각질 제거 효과성"이 34.0 %, "사용 편의성"이 18.5 %, "포장 및 전통컨셉"이 9.0 % 의 순으로 장점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사용 편의성"이 상기 세정제의 장점이라고 인식하였고, 여자는 남자보다 "각질 제거 효과성"이 장점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연령별로는 10대인 조사 대상자가 다른 연령대 조사 대상자보다 "유분 및 세안 효과성"이 상기 세안제의 장점이라고 인식하였고, 40대 이상인 조사 대상자는 다른 조사 대상자보다 "각질 제거 효과성"이 장점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연령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구분 사용
편의성
각질제거
효과성
유분 및 세안 효과성 포장 및
전통컨셥
카이제곱
(df)
p 값
성별 13
(28.9)
11
(24.4)
17
(37.8)
4
(8.9)
45
(22.5)
4.96
(3)
0.175
24
(15.5)
57
(36.8)
60
(38.7)
14
(9.0)
155
(77.5)
연령 10대 3
(15.0)
8
(40.0)
9
(45.0)
0
(0.0)
20
(10.0)
15.10
(9)
0.088
20대 21
(23.3)
26
(28.9)
39
(43.3)
4
(4.4)
90
(45.0)
30대 5
(12.5)
13
(32.5)
16
(40.0)
6
(15.0)
40
(20.0)
40대 이상 8
(16.0)
21
(42.0)
13
(26.0)
8
(16.0)
50
(25.0)
37
(18.5)
68
(34.0)
77
(38.5)
18
(9.0)
200
(100.00)
따라서, 200 명의 조사 대상자들은 성별과 연령에 따른 별다른 차이 없이 "유분 및 세안 효과성"을 곡물분말을 함유한 과립형 세정제의 가장 큰 장점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a) 곡물가루, 계면활성제, 단백질 분해 효소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얻어진 혼합물을 과립화하여 혼합물의 과립을 얻는 단계;
    (c) 상기 얻어진 혼합물의 과립에 소수성 코팅 기제로 코팅하여 코팅된 과립을 얻는 단계 ; 및
    (d) 상기 코팅된 과립에 활택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곡물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곡물분말이 팥가루, 녹두가루, 검정콩가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단백질 분해효소가 파파인(papain), 브로멜라인(bromelain), 판크레아틴(pancreat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부형제가 당류, 당알코올류, 녹말, 다당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규화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분말상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소수성 코팅 기제가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나우바왁스,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 올레이트, 비즈왁스,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RS, 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소수성 코팅 기제가 농도 0.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활택제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실리카, 전분, 탈크, 스테아르산, 이산화규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과립형 세정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형 세정제가 크기 0.005 mm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세정제.
KR1020180159156A 2018-12-11 2018-12-11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KR20200071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56A KR20200071430A (ko) 2018-12-11 2018-12-11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56A KR20200071430A (ko) 2018-12-11 2018-12-11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430A true KR20200071430A (ko) 2020-06-19

Family

ID=7113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156A KR20200071430A (ko) 2018-12-11 2018-12-11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143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30A (ko) 2004-12-13 2006-06-16 김진영 천연곡물 세안제 조성물
KR20090120120A (ko) 2008-05-19 2009-11-24 홍경숙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천연곡물 혼합분말 및 화장품혼합원료 제조방법
KR20110052422A (ko) 2009-11-10 2011-05-18 (주)아모레퍼시픽 곡물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30A (ko) 2004-12-13 2006-06-16 김진영 천연곡물 세안제 조성물
KR20090120120A (ko) 2008-05-19 2009-11-24 홍경숙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천연곡물 혼합분말 및 화장품혼합원료 제조방법
KR20110052422A (ko) 2009-11-10 2011-05-18 (주)아모레퍼시픽 곡물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3005B2 (en) Personal care formulations with simultaneous exfoliant, cleansing and moisturizing properties
CN110327235B (zh) 一种弹密绵柔洁面慕斯及其制备方法
US1088978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cat allergens in the environment
CN107184407B (zh) 一种柔滑保湿造粒洁颜粉及其制备方法
JP2023138656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JP2981975B2 (ja) 化粧料組成物
Walters et al. Designing cleansers for the unique needs of baby skin
CN108135790A (zh) 三相清洁组合物
CN109966166A (zh) 一种健康安全有效的氨基酸洁面产品及其制备方法
KR102074306B1 (ko) 세안용 스킨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6074215A (zh) 一种橡皮泥沐浴剂
KR20200071430A (ko) 곡물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세정제의 제조방법
CN112274467A (zh) 一种温和保湿的洁颜粉及其制备方法
US20230000753A1 (en) Encapsulated Cleansing Composition
CN110151666A (zh) 一种超微粒清洁泥浆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102356157B1 (ko) 원터치 멀티 위생 필터 시스템
CN101164519B (zh) 含特别感觉机能的护发洗发组合物
JP4544735B2 (ja) 爪及び手足用洗浄剤
JP2002179528A (ja) ピーリング化粧剤およびピーリング石鹸
JP2001524506A (ja) ヒトおよび動物のための髪および/または身体ケア製品
JPH06321728A (ja) スクラブ化粧料
JP3080877B2 (ja) ワックスカプセル及び洗浄剤組成物
US2015030602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Natural Waxes
JPH11269496A (ja) 植物エキス配合の石けん
JPS63185914A (ja) 洗顔用スクラブ洗浄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