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881A - 다중 튜브 반응기용 분배기를 포함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튜브 반응기용 분배기를 포함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881A
KR20200070881A KR1020180158516A KR20180158516A KR20200070881A KR 20200070881 A KR20200070881 A KR 20200070881A KR 1020180158516 A KR1020180158516 A KR 1020180158516A KR 20180158516 A KR20180158516 A KR 20180158516A KR 20200070881 A KR20200070881 A KR 20200070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orming
raw material
pipe
distributor
reforming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581B1 (ko
Inventor
서동주
윤왕래
박상호
황영재
김우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5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8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Processes to increase or to retard the rate of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 B01J8/065Feeding reactive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 B01J8/067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96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893Feeding means for the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96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938Flow distribu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6Details of tube reactors containing solid particles
    • B01J2208/065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01B2203/0227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 C01B2203/0233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the reforming step being a steam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11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combustion of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33Heating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ot fluids, other than combustion gases, product gases or non-combustive exothermic reaction produc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66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combination of different heat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개질반응튜브를 구비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개질반응튜브에 반응 원료를 균일하게 분배하는 원료 분배관과 각 개질반응튜브에서 생성된 개질가스를 집속하는 배출 집속관을 일체화함으로써 장치의 컴팩트화와 열교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증기 개질장치 및 원료 개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튜브 반응기용 분배기를 포함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STEAM REFORMING DEVICE INCLUDING DISTRIBUTOR FOR MULTIPLE TUBE REACTOR AND METHOD FOR REFORMING FEEDSTOCK}
본 발명은 복수의 개질반응튜브를 구비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의 컴팩트화와 열교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증기 개질장치 및 원료 개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증기 개질장치는 메탄이 주성분인 천연가스를 원료로 수소를 제조하는 반응기이다. 반응기에 공급되는 원료와 수증기는 촉매 상에서 수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가 혼합된 개질가스(reformed gas)로 전환된다. 이때, 개질가스로의 전환 반응은 강한 흡열 반응으로, 별도로 반응열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반응열 공급을 비롯하여 열교환 공정은 전체 공정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장치 내 공정을 수행하는 각 부품들의 유기적인 연결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개질 장치는 복수의 반응기를 포함하며, 각 개별 반응기에는 반응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가스 도입관과 상기 반응기로부터 반응 후 생성된 개질 가스가 배출되는 생성가스 배출관이 구비된다. 원료가스 도입관은 원료 탱크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반응기에 반응 원료를 공급하며, 생성가스 배출관은 반응기에서 반응에 의해 생성된 개질 가스를 배출한다. 이들 원료가스 도입관과 생성가스 배출관은 각 개별 반응기로부터 집속된다.
이때, 상기 각 개별 반응기로부터 집속되는 원료가스 도입관 및 생성가스 배출관은 서로 별도로 집속되므로 배관들이 매우 복잡하게 위치하게 되고, 배관들끼리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므로 장치의 부피가 커져 장치 컴팩트화에 좋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료가스 도입관은 반응기에 투입되기 전 일정 온도 이상이 유지되어야 하고, 생성가스 배출관은 개질 가스로부터 발생된 열이 배출기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출될 수 있으므로 이들 배관들의 단열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고, 공정 전체의 열 운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중 튜브 반응기를 포함하는 개질장치에서, 각 개질반응튜브로 원료를 공급하는 라인 및 반응으로 생성된 생성가스가 배출되는 라인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장치 열교환은 물론 나아가 개질 반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치의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개질장치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반응열을 생성하는 연소기, 원료 가스의 개질반응이 실시되는 복수의 개질반응튜브 및 배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개질기로, 상기 개질반응튜브는 개질반응을 위한 촉매층을 포함하고, 일측면에 상기 촉매층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가스 도입관과 상단에 개질반응으로 생성된 생성가스를 배출하는 생성가스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개질반응튜브 각각의 원료가스 도입관과 연결되는 원료 분배관과 각각의 생성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배출 집속관이 접하여 일체화된 분배기를 포함하는 개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료 분배관이 내관에 위치하고, 배출 집속관이 외관에 위치하여 형성된 이중관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료 분배관 내부에 열전도체 또는 열전도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리형태의 관으로, 상기 고리 안쪽으로 복수의 각 개질반응튜브의 생성가스 배출관의 중심선상이 형성되도록 개질반응튜브를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배출 집속관에서의 유체가 흐르는 단면적이 원료 분배관에서의 유체가 흐르는 단면적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에 상기 개질반응튜브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질장치는 하우징의 일측면에 배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의 개질 장치를 포함하는 수소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반응열을 생성하는 연소기, 원료 가스의 개질반응이 실시되는 복수의 개질반응튜브, 배가스 배출관 및 상기 하우징 상단에 상기 복수의 개질반응튜브에 연결되어 원료 가스를 공급하고 개질된 가스를 집속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는 개질장치에서,
분배기 내의 원료 분배관을 통해 복수의 각 개질반응튜브의 원료가스 도입관으로 원료 가스가 공급되는 단계, 상기 공급받은 원료가 각 개질반응튜브 내 촉매와 개질 반응하는 단계 및 상기 개질 반응으로 생성된 개질가스가 생성가스 배출관을 통해 분배기 내의 배출 집속관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집속관으로 이송되는 개질가스의 열에너지가 인접하는 원료 분배관에 공급되는 열교환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튜브 반응기를 포함하는 개질장치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원료 개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료 분배관이 내관에 위치하고, 배출 집속관이 외관에 위치하여 형성된 이중관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원료 개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료분배관 내부에 열전도체 또는 열전도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질 장치는 다수의 튜브 반응기를 구비함에 있어서 각 개별 반응기에 원료를 공급하는 라인들과 반응으로 생성된 생성가스를 집속하는 라인들을 일체화함으로써 장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개별 반응기에 균일하게 반응 원료를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장치 내 열교환 효율 및 반응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증기 개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배기 내의 원료 가스 및 개질 가스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 수증기 개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배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증기 개질장치의 입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 및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개질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반응 원료’는 반응기에서 개질 반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탄소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액체상 또는 기체상 물질을 총칭하며, 일예로 반응 원료가스를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질 장치’는 수증기 개질장치를 일예로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포함하다’, ‘구비되다’ 또는 ‘가지다’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반응 원료를 개질하는 다중 튜브 반응기를 포함하는 수증기 개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증기 개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료 가스를 개질하는 둘 이상의 개질반응튜브(200)를 구비한 다중 튜브 반응기를 포함하는 개질 장치로, 하우징(500), 상기 하우징(500) 내부 중심에 반응열을 생성하는 연소기(100), 상기 연소기(100)를 기준으로 동심원 선상에 배치되는 개질반응튜브(200) 및 배가스 배출관(400)을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수증기 개질장치(1)는 개질반응이 실시되는 개질반응튜브(200)를 포함한다. 상기 개질반응튜브(200)는 공급된 원료가 반응하여 개질될 수 있는 촉매층을 포함한다. 상기 촉매층은 원료를 개질할 수 있는 촉매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질반응튜브(200)는 일측면에 원료를 공급받는 원료가스 도입관(201)이 구비되고, 개질반응튜브(200)의 상단 중심에 개질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성가스로 개질 가스가 배출되도록 생성가스 배출관(20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500)의 상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개질반응튜브(200) 각각의 원료가스 도입관(201)과 연결되는 원료 분배관(303)과 각각의 생성가스 배출관(202)과 연결된 배출 집속관(304)이 접하여 일체화된 분배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기(300)는 개질 장치(1)의 전체 부피를 줄여 장치의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상기 원료 분배관(303)과 배출 집속관(304)이 접하여 일체화된 구조를 가져, 개질 가스가 생성가스 배출관(202)과 연결된 배출 집속관(304)을 통해 이송되면서 개질 가스가 갖고 있는 열에너지가 인접한 원료 분배관(303)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개질반응튜브(200)에 반응 원료 가스가 투입되기 전에, 상기 반응 원료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 개질 장치의 운전 초기에 안정적인 반응에 도달되기까지의 부하를 줄일 수 있어 신속한 운전 및 반응 안정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열교환 효율을 높여 장치 내 열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장치 내 열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개질 반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배기(300) 내의 원료 가스 및 개질 가스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분배기(300) 내에는 생성가스 배출관(202)과 연결되는 배출 집속관(304) 및 각 개질반응튜브에 원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원료가스 도입관(201)과 연결되는 원료 분배관(303)이 인접하여 구비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원료 분배관(303) 및 배출 집속관(304)을 각각 원료 가스 및 개질 가스의 흐름으로 표시한 것이나, 가스의 흐름은 배관을 따라 흐르는 것이므로 각각 명명된 것으로 이해한다. 상기 원료 분배관(303)은 외부의 원료를 공급하는 수단으로부터 원료가 주입되는 원료 주입관(301)과 연결되며, 상기 배출 집속관(304)은 개질 가스가 생성가스 배출관(202)로부터 개질 가스를 이송 받아 연결된 생성가스 배출관(202)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 3은 종래 개질 장치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반응튜브(10)와 연결된 원료 도입관(22) 및 생성가스 배출관(31)은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배관끼리 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반응튜브(10)에 반응 원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원료 주입관(21)로부터 원료 도입관(22)에 이르기까지 원료 도입관끼리 제1 배관(원료 분배관)(20)에 집속되고, 생성가스 배출관은 반응튜브(10)에서 반응으로 생성된 생성가스를 가스 배출관(32)까지 이송하기 위하여 생성가스 배출관끼리 제2 배관(배출가스 집속관)(30)에 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제1 배관(20) 및 제2 배관(30)을 별도로 구비하게 되는데, 하우징 상단이 배관들로 인해 복잡하고 인접하는 배관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이격시켜야 하므로 장치 컴팩트화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각 배관들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운전 및 관리 작업 시 손상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들 배관들의 열손실은 현저히 상승하는데, 생성가스 배출관이 보유하는 열에너지의 일부가 외부 방열로 손실된다. 또한, 원료가스 도입관은 반응기의 신속한 운전을 위하여 별도로 열을 공급하거나 단열해야하는 부담을 갖게 된다.
반면,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분배기(300)는 내부에 원료 분배관(303) 및 배출 집속관(304)을 일체화함으로써 생성가스 배출관으로부터 개질 가스가 보유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작업성 및 구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장치의 컴팩트화율을 높일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분배기(300)는 내관 및 외관의 이중관인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제1 구체예로, 상기 분배기(300)는 내관에 배출 집속관(304)이, 외관에 원료 분배관(303)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제2 구체예로, 상기 분배기는 내관에 원료 분배관(303)이, 외관에 배출 집속관(304)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구체예에 따른 이중관의 구조는 제2 구체예에 따른 것과 비교 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배출 집속관(304)을 내관으로 하여 개질 가스가 가지고 있는 열이 온전히 외관의 원료 분배관(303)으로 전달되어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배출 집속관에서의 유체가 흐르는 단면적이 원료 분배관에서의 유체가 흐르는 단면적보다 큰 것인 것일 수 있다. 이는 개질 가스로부터 열에너지의 열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원료를 각 개별 개질반응튜브에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 원료 분배관(303)은 원료 주입관(301)으로부터 공급받은 원료를 각 개별 개질반응튜브(200)에 균일하게 분배 및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집속관(304)은 개질 반응으로 생성된 개질 가스를 집속하여 가스 배출관(30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후속 공정과 연계될 수 있다. 후속 공정은 전환된 가스 내 성분들의 분리 공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분배기(300)는 원료 분배관(303) 내 에 열전도체 또는 열전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배출 집속관(304)으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장치 내 전체 열효율을 극대화하는 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열전도체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일예로 다공성 전도성 충진물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전도성 충진물은 다공성 세라믹 충진물 또는 다공성 금속 충진물일 수 있으며, 일구체예로 금속펠트, 발포금속, 격자금속, 직조금속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열전도층은 원료 가스가 원활히 투과될 정도로 관 내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들이 충진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열전도체는 우수한 열전도도로 공급받게 되는 열에너지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 원료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장치의 운전 초기에 신속한 반응 안정화를 통해 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분배기(300)는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리형태의 관으로, 상기 고리 안쪽으로 복수의 각 개질반응튜브의 생성가스 배출관의 중심선상이 형성되도록 개질반응튜브를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장치 내 전체적인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상기 개질반응튜브(200)는 하우징(500)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연소기(100)를 기준으로 동심원의 위치 선상에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개질 반응기의 개수 및 배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개질 장치의 부피 최소화 및 열교환 효율을 위하여 동심원 선상에 각 개질 반응기가 균형을 이루도록 대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심원의 위치 선상’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이 그려지는 선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500)은 상단 중심에 연소기(100)를 비롯하여 각종 부속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500)은 복수개의 개질반응튜브의 조밀한 배치를 통해 장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그 형태가 원통형인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소기(100)는 개질 반응에 필요한 반응열을 공급한다. 상기 연소기(100)는 외부로부터 연료 공급관(102) 및 연소공기 공급관(103)을 통해 각각 연료와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연소기(100)의 일 구체예는 버너(burn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연소기(100)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는 복수개의 개질반응튜브(200)들에 열을 전달하고, 배가스 배출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 배가스 배출관(400)은 개질 반응기의 양태 또는 공정에 따라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나, 일예로 하우징 하단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연소기(100)는 연소열이 수직 하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연소 가이드(101)가 상기 연소기(1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소기(100)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는 일예로 연소에 의해 화염 형태로 열을 분사할 수 있다. 분사된 화염은 연소기(100)에 인접한 개질반응튜브(200)의 일부 측면을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연소 가이드(101)는 상기 화염으로부터 개별 개질반응튜브(200)로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음으로써 이러한 국부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소 가이드(101)는 개질반응튜브(200)이 위치되어 있는 내부 공간에 연소 가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500)의 중심부에 이격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연소 가이드(101)는 연소기(100)의 하단인 하우징(500)의 내부 중심 상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연소 가이드(101)는 고온에서 열팽창에 의해 변형이나 산화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금속 혹은 세라믹 재질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0)은 상단에 상기 개질 반응기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단에 상기 개질반응튜브(200)이 관통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개질반응튜브(200)은 상기 홀과 접합되어 고정되며, 개질반응튜브(200)에 연결된 원료가스 도입관(201) 및 생성가스 배출관(202)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노출된 부위의 단열을 위하여 하우징(500)의 외부에 추가 하우징을 구비하거나 단열재를 이용하여 노출 부위를 단열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500)은 내측이 철골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측이 단열재를 포함하여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철골구조 내부에도 단열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그 재질이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내부에 구비된 단열재는 세라믹 섬유 단열재이며, 외부에 구비된 단열재는 미세 다공성 단열재일 수 있으며,이에 제한받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세라믹 섬유 단열재로는 세라크울(cerakwool)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미세 다공성 단열재로는 마이크로썸(microtherm)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질 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500)의 내부 중심에는 연소기(100)가 위치하며, 상기 연소기(100)에서 일정 거리의 동심원 선상에 위치하는 개질반응튜브(200)이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 개질반응튜브(200)는 측면에 원료가스 도입관(201)이, 상단면에 돌출되는 생성가스 배출관(202)이 구비되고, 상기 원료가스 도입관(201) 및 생성가스 배출관(202)과 연결되는 원료 분배관 및 배출 집속관은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분배기(300) 내에 일체화되어 구비된다. 또한, 분배기(300)에는 원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원료 주입관(301) 및 개질가스를 집속하여 배출하는 가스 배출관(302)을 포함하며, 하우징(500)의 일측면에는 배가스 배출관(400)이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배기의 입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원료 주입관(301) 및 가스 배출관(302)을 구비하며, 분배기(300)와 연결된 원료가스 도입관(201) 및 생성가스 배출관(202)을 포함하나, 이들 구성 장치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원료 개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원료 개질 방법은 상술한 개질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으로, 분배기 내의 원료 분배관을 통해 복수의 각 개질반응튜브의 원료가스 도입관으로 원료 가스가 공급되는 단계, 상기 공급받은 원료가 각 개질반응튜브 내 촉매와 개질 반응하는 단계 및 상기 개질 반응으로 생성된 개질가스가 생성가스 배출관을 통해 분배기 내의 배출 집속관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집속관으로 이송되는 개질가스의 열에너지가 인접하는 원료 분배관에 공급되는 열교환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배기는 원료 분배관이 내관에 위치하고, 배출 집속관이 외관에 위치하여 형성된 이중관 구조를 가짐으로써 생성가스 배출관으로부터 이송된 개질 가스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는 장치 내 전체 열효율을 극대화하는 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배출 집속관 내부에 열전도체 또는 열전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우수한 열전도도 특성으로 공급받은 열에너지를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 원료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개질 장치의 운전 초기에도 높은 효율을 가지며, 신속한 반응 안정화를 확보할 수 있는 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개질 장치(1)를 포함하여 수성가스전이반응(WGS; Water Gas Shift)을 수행함으로써 수소를 생성하는 수소 제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상기 개질 장치(1)는 내부 중심에 연소기(100)에 공기와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가 실시되고, 고온의 배가스를 발생시킨다. 상기 배가스는 연소 가이드(101)에 의해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동심원 구조에 배열된 개질반응튜브(200)의 외면들을 통과한다. 이를 통해 배가스의 열은 개질반응튜브(200) 내 촉매층에 고르게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개질반응튜브(200)에는 원료가스가 내부에 충진된 촉매층의 개질 촉매와 접촉하여 개질 반응이 수행된다. 이때, 개질 반응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1]
CH4 + H2O → CO + 3H2
[반응식 2]
CO + H2O → CO2 + H2
상기 개질 반응으로 수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미반응물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하는 개질가스가 발생되며, 개질반응튜브(200) 내 생성가스 배출관(202)을 통해 배출되고, 분배기(300)에서 집속된 후 가스 배출관(302)를 통해 후속 공정에 연결된다.
상기 개질 반응 온도는 500 내지 9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850℃이며, 반응압력은 0.2 내지 1.5 MPa,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0 MPa의 범위일 수 있으며,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상기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개질 가스는 중심부의 생성가스 배출관을 따라 수직 상승하여 배출되며, 배출 시 온도가 도입 시의 온도보다 높아 열전도에 의해 촉매의 활성 온도를 유지시키고, 열교환을 높일 수 있다. 즉, 촉매 활성 온도 유지로 인해 촉매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개질 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개질 반응으로 생성된 개질 가스는 수소 가스가 함유한 합성 가스로, 수소 가스를 분리하는 공정을 통해 고순도의 수소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개질장치
100 : 연소기 101 : 연소 가이드
102 : 연료 공급관 103 : 연소공기 공급관
200 : 개질반응튜브 201 : 원료가스 도입관
202 : 생성가스 배출관 300 : 분배기
301 : 원료 주입관 302 : 가스 배출관
303 : 원료 분배관 304 : 배출 집속관
400 : 배가스 배출관 500 : 하우징
10 : 반응튜브 20 : 제1 배관(원료 분배관)
21 : 원료 주입관 22 : 원료 도입관
30 : 제2 배관(배출가스 집속관) 31 : 생성가스 배출관
32 : 가스 배출관 40 : 연소기
41 : 연료 공급관 42 : 연소공기 공급관
50 : 배가스 배출관 60 : 하우징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반응열을 생성하는 연소기, 원료 가스의 개질반응이 실시되는 복수의 개질반응튜브 및 배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개질기로,
    상기 개질반응튜브는 개질반응을 위한 촉매층을 포함하고, 일측면에 상기 촉매층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가스 도입관과 상단에 개질반응으로 생성된 생성가스를 배출하는 생성가스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개질반응튜브 각각의 원료가스 도입관과 연결되는 원료 분배관과 각각의 생성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배출 집속관이 접하여 일체화된 분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료 분배관이 내관에 위치하고, 배출 집속관이 외관에 위치하여 형성된 이중관 구조를 갖는 것인 개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료 분배관 내부에 열전도체 또는 열전도층을 포함하는 것인 개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리형태의 관으로, 상기 고리 안쪽으로 복수의 각 개질반응튜브의 생성가스 배출관의 중심선상이 형성되도록 개질반응튜브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배출 집속관에서의 유체가 흐르는 단면적이 원료 분배관에서의 유체가 흐르는 단면적보다 큰 것인 개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에 상기 개질반응튜브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개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장치는 하우징의 일측면에 배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개질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개질장치를 포함하는 수소 제조 시스템.
  9.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반응열을 생성하는 연소기, 원료 가스의 개질반응이 실시되는 복수의 개질반응튜브, 배가스 배출관 및 상기 하우징 상단에 상기 복수의 개질반응튜브에 연결되어 원료 가스를 공급하고 개질된 가스를 집속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는 개질장치에서,
    분배기 내의 원료 분배관을 통해 복수의 각 개질반응튜브의 원료가스 도입관으로 원료 가스가 공급되는 단계,
    상기 공급받은 원료가 각 개질반응튜브 내 촉매와 개질 반응하는 단계 및
    상기 개질 반응으로 생성된 개질가스가 생성가스 배출관을 통해 분배기 내의 배출 집속관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집속관으로 이송되는 개질가스의 열에너지가 인접하는 원료 분배관에 공급되는 열교환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튜브 반응기를 포함하는 개질장치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료 분배관이 내관에 위치하고, 배출 집속관이 외관에 위치하여 형성된 이중관 구조를 갖는 것인 원료 개질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원료 분배관 내부에 열전도체 또는 열전도층을 포함하는 것인 원료 개질 방법.
KR1020180158516A 2018-12-10 2018-12-10 다중 튜브 반응기용 분배기를 포함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KR10215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16A KR102155581B1 (ko) 2018-12-10 2018-12-10 다중 튜브 반응기용 분배기를 포함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16A KR102155581B1 (ko) 2018-12-10 2018-12-10 다중 튜브 반응기용 분배기를 포함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881A true KR20200070881A (ko) 2020-06-18
KR102155581B1 KR102155581B1 (ko) 2020-09-14

Family

ID=7114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516A KR102155581B1 (ko) 2018-12-10 2018-12-10 다중 튜브 반응기용 분배기를 포함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8698A1 (en) * 2021-09-01 2023-03-09 Golu Hydrogen Technologies Inc. Reforming units for hydrogen produ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401B1 (ko) * 2005-04-11 2012-06-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열교환기 일체형 원통형 수증기 개질 장치
KR20140120070A (ko) * 2013-04-02 2014-10-13 한국가스공사 수소개질 시스템의 개질기
KR20150028295A (ko) * 2012-06-14 2015-03-13 누베라 퓨엘 셀스, 인크. 증기 개질기, 모듈 및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401B1 (ko) * 2005-04-11 2012-06-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열교환기 일체형 원통형 수증기 개질 장치
KR20150028295A (ko) * 2012-06-14 2015-03-13 누베라 퓨엘 셀스, 인크. 증기 개질기, 모듈 및 사용 방법
KR20140120070A (ko) * 2013-04-02 2014-10-13 한국가스공사 수소개질 시스템의 개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8698A1 (en) * 2021-09-01 2023-03-09 Golu Hydrogen Technologies Inc. Reforming units for hydrogen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581B1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023B1 (ko) 원료 예열부 일체형 수증기 개질기
CN112265962B (zh) 一种电气协同供热重整反应系统
KR101624359B1 (ko) 배기가스 배출이 개선된 수증기 개질 반응을 이용한 수소발생장치
JP2015514654A (ja) 水素生成のための触媒燃焼式熱統合型改質器
KR101266673B1 (ko) 수증기 개질방식에 의한 수소발생장치
KR20150143080A (ko) 열전달 성능이 향상된 연료전지용 개질 반응 시스템
CN110114923B (zh) 燃料处理装置
KR102155581B1 (ko) 다중 튜브 반응기용 분배기를 포함한 수증기 개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KR102315289B1 (ko) 다중 개질 반응기 구성이 가능한 수증기 개질장치
KR20090068427A (ko)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용 고속 시동 플라즈마 개질장치
US20070028522A1 (en) Fuel reformer
JP2011220666A (ja) バーナーノズ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燃料改質装置
TWI626784B (zh) 氣體燃料重組裝置及其發電整合系統
KR101895927B1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연료 개질장치
KR101194244B1 (ko) 수증기 개질기
JP2008159373A (ja) 水素製造装置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20190025381A (ko) 연료 개질 장치
CN109798508B (zh) 原料预热部一体型水蒸气改质器及含其的氢制备系统
JPS63126539A (ja) 燃料改質器
KR101316042B1 (ko) 연료전지용 통합형 개질기 시스템
JP2007031249A (ja) 改質器
US20140369900A1 (en) Heat exchange type prereformer
JP2005053733A (ja) 液体炭化水素燃料改質装置
KR20060106436A (ko) 컴팩트형 플라즈마트론 개질기 시스템
KR102449006B1 (ko) 스팀 발생 개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