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652A - 줄기 파쇄기 - Google Patents

줄기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652A
KR20200070652A KR1020180158022A KR20180158022A KR20200070652A KR 20200070652 A KR20200070652 A KR 20200070652A KR 1020180158022 A KR1020180158022 A KR 1020180158022A KR 20180158022 A KR20180158022 A KR 20180158022A KR 20200070652 A KR20200070652 A KR 20200070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power transmission
crushing
ste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142B1 (ko
Inventor
최일수
김영근
최용
전현종
강태경
이상희
김진구
현창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8015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1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2/00Crop conditioners, i.e. machines for crushing or bruising stal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6Haulm-cut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Abstract

두둑의 형상에 관계없이 줄기 파쇄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줄기 파쇄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줄기 파쇄기는 지면을 임의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면에 배치된 임의의 작물의 줄기를 파쇄할 수 있는 농기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 프레임, 바퀴 장치, 줄기 파쇄 장치, 동력 전달 장치 및 한 쌍의 걷어올림 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부,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우측 프레임부, 및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은 상기 줄기 파쇄 장치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접혀짐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두둑에서의 걷어올림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줄기 파쇄기{STEM CRUSHER}
본 발명은 줄기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고구마 등의 밭작물 줄기를 파쇄하기 위한 줄기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기 파쇄기는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구근 작물의 줄기를 걷어올려 파쇄하는 기계장치로,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에 견인되어 이동하면서 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줄기 파쇄기는 크기 줄기를 걷어 올리는 걷어올림 장치와 이렇게 걷어 올려진 줄기를 파쇄하는 파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026511호(2011년 4월 1일, 공고)에는 '밭작물의 줄기 파쇄기'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트랙터, 경운기 등과 같은 견인 장치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경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줄기를 걷어올려 파쇄시킬 수 있는 줄기 파쇄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구근 작물은 보통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두둑에 심어져 재배되고 있다. 이때, 이러한 두둑 형상, 예를 들어 높이, 폭, 경사도 등은 재배하는 작물의 종류나, 지형의 형태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두둑의 형상이 다양하지만, 줄기 파쇄기는 거의 고정될 구조를 갖고 있어서 줄기를 걷어 올려 파쇄하는 작업, 특히 줄기를 걷어올리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둑의 형상에 관계없이 줄기 파쇄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줄기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줄기 파쇄기는 지면을 임의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면에 배치된 임의의 작물의 줄기를 파쇄할 수 있는 농기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 프레임, 바퀴 장치, 줄기 파쇄 장치, 동력 전달 장치 및 한 쌍의 걷어올림 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부,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우측 프레임부, 및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 장치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면에 대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이동을 도와준다. 상기 줄기 파쇄 장치는 상기 지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상기 우측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는 파쇄 회전축부, 및 상기 파쇄 회전축부에 장착되어 상기 파쇄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복수의 파쇄 회전날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회전축부,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외부의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동력으로 변환시켜 상기 메인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동력 연결부, 및 상기 메인 회전축부 및 상기 파쇄 회전축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상기 파쇄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파쇄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은 상기 파쇄 회전축부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 각각은 상기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고, 상기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 각각은 프레임 연결부,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 및 걷어올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회전 동력을 출력시킨다.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와 연결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걷어올림 모듈은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의해 복수의 걷어올림날들을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회전 라인을 따라 회전시킨다.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 각각은 내측 연결부 및 한 쌍의 전달축 지지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걷어올림 모듈과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연결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전달축 지지부들은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부 및 상기 내측 연결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를 지지하며,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달축 지지부들 각각은 내측 지지 유닛 및 외측 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지지 유닛은 상기 걸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와 마주하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를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외측 지지 유닛은 상기 걸어올림 동력 전달축부과 마주하는 상기 내측 연결부의 타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걸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연결 구조로 상기 내측 지지 유닛과 결합된다.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내측 연결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모듈은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상기 줄기 파쇄 장치와 마주하는 일측이 상기 내측 연결부의 일측면과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연결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의해 복수의 걷어올림날들을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회전 라인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는 외부의 유압 발생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 발생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3 회전 동력을 출력시키는 유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 각각은 상기 메인 회전축부와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로 전달하는 걷어올림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는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부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제3 회전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좌측단에 연결된 좌측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메인 회전축부 중 상기 우측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우측단에 연결된 우측 동력 전달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는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 중 상기 프레임 연결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일측단에 연결된 걷어올림 동력 수신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부는 상기 좌측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우측 동력 전달 풀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걷어올림 동력 수신 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걷어올림 동력 전달 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돌출된 일측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파쇄 동력 전달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줄기 파쇄 장치는 상기 파쇄 회전축부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돌출된 일측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파쇄 동력 수신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 동력 전달부는 상기 파쇄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파쇄 동력 수신 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파쇄 동력 전달 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줄기 파쇄기에 따르면, 한 쌍의 걷어올림 장치들이 파쇄 회전축부로부터 진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좌측 프레임부 및 우측 프레임부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하고자 하는 두둑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이 장착되는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은 두둑의 형상에 관계없이 줄기 걷어올림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안정적인 줄기 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줄기 파쇄기의 정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줄기 파쇄기의 측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줄기 파쇄기의 하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도 1의 줄기 파쇄기 중 걷어올림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도 4의 걷어올림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도 4의 걷어올림 장치 중 내측 연결부 및 걷어올림 모듈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태낸 사진이다.
도 7은 도 4의 걷어올림 장치에서 걷어올림 모듈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도 4의 걷어올림 장치에서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 및 전달축 지지부들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줄기 파쇄기의 정면을 나타낸 사진이고,도 2는 도 1의 줄기 파쇄기의 측면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도 1의 줄기 파쇄기의 하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줄기 파쇄기는 지면을 진행 방향(D1)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면에 배치된 임의의 작물, 예를 들어 구근 작물의 줄기를 파쇄할 수 있는 농기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 프레임(100), 바퀴 장치(200), 줄기 파쇄 장치(300), 동력 전달 장치(400) 및 한 쌍의 걷어올림 장치들(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프레임부(100)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파쇄기 몸체부(10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좌측 프레임부(110),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와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우측 프레임부(120), 및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와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부(130)는 상기 진행 방향(D1)을 기준으로 앞측에 해당하는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와 대향하는 후단부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면을 향하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130)의 하부에는 상기 줄기 파쇄 장치(300) 및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50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바퀴 장치(200)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130)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면에 대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100)을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100)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퀴 장치(200)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130) 중 상기 진행 방향(D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회전축 방향(D2)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결합된 제1 및 제2 바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면에는 상기 진행 방향(D1)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D2)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고랑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제1 및 제2 바퀴 모듈들은 상기 고랑들 중 서로 이웃하는 고랑들에 각각 배치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줄기 파쇄 장치(300)는 파쇄 회전축부(310), 복수의 파쇄 회전날부들(320) 및 적어도 하나의 파쇄 동력 수신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 회전축부(310)는 상기 지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진행 방향(D1)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상기 회전축 방향(D2)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 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와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파쇄 회전날부들(320)은 상기 회전축 방향(D2)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파쇄 회전축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파쇄 회전축부(3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쇄 회전날부들(320)은 파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Y형의 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쇄 동력 수신 풀리는 상기 파쇄 회전축부(310)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돌출된 일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파쇄 동력 수신 풀리들이 상기 파쇄 회전축부(310)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를 각각 관통하여 돌출된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장치(400)는 메인 회전축부(410), 동력 연결부(420), 적어도 하나의 파쇄 동력 전달 풀리 및 파쇄 동력 전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는 상기 회전축 방향(D1)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상기 연결 프레임부(130)의 선단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 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와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부(420)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130)의 선단부 중 상기 회전축 방향(D2)으로의 중앙에 장착되고, 외부의 동력 발생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트렉터, 경운기 등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D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회전축 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동력으로 변환시켜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파쇄 동력 전달 풀리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돌출된 일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파쇄 동력 전달 풀리들이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를 각각 관통하여 돌출된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쇄 동력 전달부(430)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와 상기 파쇄 회전축부(31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상기 파쇄 회전축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쇄 동력 전달부는 상기 파쇄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파쇄 동력 수신 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파쇄 동력 전달 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은 상기 연결 프레임부(130)의 하부에 상기 파쇄 회전축부(310)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D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각각에 서로 마주하여 대칭이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 예를 들어 상기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고, 상기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걷어올림 장치를 별도의 도면들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1의 줄기 파쇄기 중 걷어올림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도 4의 걷어올림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진이며, 도 6은 도 4의 걷어올림 장치 중 내측 연결부 및 걷어올림 모듈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태낸 사진이고, 도 7은 도 4의 걷어올림 장치에서 걷어올림 모듈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8은 도 4의 걷어올림 장치에서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 및 전달축 지지부들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500) 각각은 프레임 연결부(510), 내측 연결부(520),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530),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 한 쌍의 전달축 지지부들(550) 및 걷어올림 모듈(5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510)는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진행 방향(D2)을 향하도록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510)는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중 어느 하나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내측 연결부(520)는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와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사이이면서 상기 연결 프레임부(13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상기 진행 방향(D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530)는 상기 내부 공간과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510)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회전 동력을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510)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 연결부(510)를 관통하여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53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내측 연결부(5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는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달축 지지부들(550)은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부(510) 및 상기 내측 연결부(520)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축 지지부들(550) 각각은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와 대응되게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달축 지지부들(550) 각각은 내측 지지 유닛(552) 및 외측 지지 유닛(5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지지 유닛(552)은 상기 걸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와 마주하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5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를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지지 유닛(554)은 상기 걸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과 마주하는 상기 내측 연결부(520)의 타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걸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연결 구조로 상기 내측 지지 유닛(55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지지 유닛(552) 및 상기 외측 지지 유닛(554)은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내측 지지 유닛(552) 및 상기 외측 지지 유닛(554)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나사홀이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복수개로 존재하거나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걷어올림 모듈(560)은 일 방향, 예를 들어 상기 진행 방향(D1)에서 아래로 약간 기울어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상기 줄기 파쇄 장치(300)와 마주하는 일측이 상기 내측 연결부(520)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와 연결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의해 복수의 걷어올림날들을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회전 라인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걷어올림 모듈(560)은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 및 상기 내측 연결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걷어올림 모듈(560)은 상기 내측 연결부(520)와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연결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걷어올림 모듈(560) 및 상기 내측 연결부(520)가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걷어올림 모듈(560) 및 상기 내측 연결부(52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나사홀은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복수개로 존재하거나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530)는 외부의 유압 발생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트랙터, 경운기 등과 연결되어 상기 유압 발생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3 회전 동력을 출력시키는 유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530)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제3 회전 동력을 출력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500) 각각은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와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53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530)로 전달하는 걷어올림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동력 전달 장치(400)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를 관통하여 돌출된 좌측단에 연결된 좌측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 중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를 관통하여 돌출된 우측단에 연결된 우측 동력 전달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530)는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540) 중 상기 프레임 연결부(510)를 관통하여 돌출된 일측단에 연결된 걷어올림 동력 수신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부는 상기 좌측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우측 동력 전달 풀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걷어올림 동력 수신 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410)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걷어올림 동력 전달 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파쇄 동력 전달 풀리들은 상기 좌측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우측 동력 전달 풀리와 별도로 배치되거나, 상기 좌측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우측 동력 전달 풀리와 각각 일체화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좌측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우측 동력 전달 풀리 각각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걷어올림 장치들(500)이 상기 파쇄 회전축부(310)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D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110)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120)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회전 방향 및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하고자 하는 두둑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500)이 장착되는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500)은 두둑의 형상에 관계없이 줄기 걷어올림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안정적인 줄기 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프레임 110 : 좌측 프레임부
120 : 우측 프레임부 130 : 연결 프레임부
200 : 바퀴 장치 300 : 줄기 파쇄 장치
310 : 파회 회전축부 320 : 파쇄 회전날부
400 : 동력 전달 장치 410 : 메인 회전축부
420 : 동력 연결부 430 : 파쇄 동력 전달부
500 : 걷어올림 장치 510 : 프레임 연결부
520 : 내측 연결부 530 :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
540 :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 550 : 전달축 지지부
552 : 내측 지지 유닛 554 : 외측 지지 유닛
560 : 걷어올림 모듈

Claims (12)

  1. 지면을 임의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면에 배치된 임의의 작물의 줄기를 파쇄할 수 있는 줄기 파쇄기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부,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우측 프레임부, 및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몸체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면에 대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이동을 도와주는 바퀴 장치;
    상기 지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프레임부와 상기 우측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는 파쇄 회전축부, 및 상기 파쇄 회전축부에 장착되어 상기 파쇄 회전축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복수의 파쇄 회전날부들을 포함하는 줄기 파쇄 장치;
    상기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회전축부,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외부의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동력으로 변환시켜 상기 메인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동력 연결부, 및 상기 메인 회전축부 및 상기 파쇄 회전축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상기 파쇄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파쇄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및
    상기 파쇄 회전축부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한 쌍의 걷어올림 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 각각은
    상기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고, 상기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 각각은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프레임 연결부;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회전 동력을 출력시키는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
    일측이 상기 프레임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와 연결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 및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의해 복수의 걷어올림날들을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회전 라인을 따라 회전시키는 걷어올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 각각은
    상기 걷어올림 모듈과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연결 구조로 결합된 내측 연결부; 및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부 및 상기 내측 연결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를 지지하며,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전달축 지지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축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걸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와 마주하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를 따라 길게 연장된 내측 지지 유닛; 및
    상기 걸어올림 동력 전달축부과 마주하는 상기 내측 연결부의 타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걸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연결 구조로 상기 내측 지지 유닛과 결합되는 외측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내측 연결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걷어올림 모듈은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고, 상기 줄기 파쇄 장치와 마주하는 일측이 상기 내측 연결부의 일측면과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연결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3 회전 동력에 의해 복수의 걷어올림날들을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회전 라인을 따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는
    외부의 유압 발생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 발생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3 회전 동력을 출력시키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걷어올림 장치들 각각은
    상기 메인 회전축부와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로 전달하는 걷어올림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는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부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제3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좌측단에 연결된 좌측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메인 회전축부 중 상기 우측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우측단에 연결된 우측 동력 전달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걷어올림 동력 발생부는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축부 중 상기 프레임 연결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일측단에 연결된 걷어올림 동력 수신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걷어올림 동력 전달부는
    상기 좌측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우측 동력 전달 풀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걷어올림 동력 수신 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걷어올림 동력 전달 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돌출된 일측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파쇄 동력 전달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줄기 파쇄 장치는
    상기 파쇄 회전축부 중 상기 좌측 프레임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돌출된 일측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파쇄 동력 수신 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쇄 동력 전달부는
    상기 파쇄 동력 전달 풀리 및 상기 파쇄 동력 수신 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부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파쇄 동력 전달 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 파쇄기.
KR1020180158022A 2018-12-10 2018-12-10 줄기 파쇄기 KR10222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22A KR102226142B1 (ko) 2018-12-10 2018-12-10 줄기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22A KR102226142B1 (ko) 2018-12-10 2018-12-10 줄기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52A true KR20200070652A (ko) 2020-06-18
KR102226142B1 KR102226142B1 (ko) 2021-03-10

Family

ID=7114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022A KR102226142B1 (ko) 2018-12-10 2018-12-10 줄기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1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546A (ja) * 1995-12-22 1996-09-10 Kubota Corp 根菜類用収穫機の収穫部構造
KR101741125B1 (ko) * 2015-06-25 2017-05-30 이권재 두둑재배 뿌리 작물 수확기
KR101797935B1 (ko) * 2015-10-22 2017-11-17 대한민국 줄기 파쇄기
KR101885529B1 (ko) * 2018-04-04 2018-08-06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546A (ja) * 1995-12-22 1996-09-10 Kubota Corp 根菜類用収穫機の収穫部構造
KR101741125B1 (ko) * 2015-06-25 2017-05-30 이권재 두둑재배 뿌리 작물 수확기
KR101797935B1 (ko) * 2015-10-22 2017-11-17 대한민국 줄기 파쇄기
KR101885529B1 (ko) * 2018-04-04 2018-08-06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142B1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6410A (en) Tractor mounted rotary disc cutting assembly
CN107124964A (zh) 一种起垄覆盖式茎茬细碎还田机
KR101804684B1 (ko) 로터베이터용 복합 작업기
KR101234685B1 (ko)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CN105850347B (zh) 立轴对切式香蕉茎秆粉碎还田机
KR20200070652A (ko) 줄기 파쇄기
KR101066047B1 (ko) 농기계용 쟁기장치
CN206542726U (zh) 一种甜菜打秧切顶机
KR102029899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덩굴류 파쇄기
CN103125213B (zh) 一种稻麦秸秆根茬切碎还田机
US4291524A (en) Method of defoliating
CN206879362U (zh) 一种深耕机
CN2101359U (zh) 多功能分体组合式农机具
CN206728622U (zh) 一种残留秸秆根茬粉碎还田机
US1113684A (en) Agricultural apparatus.
CN202005127U (zh) 一种旱地旋耕秸秆还田机
CN110313310A (zh) 一种粉碎揉丝螺旋压缩密化秸秆还田机
CN206165101U (zh) 山地陡坡耕地机
JP2000125604A (ja) 縦軸ロータリ式耕耘機
KR20190014851A (ko) 구근 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CN107371579A (zh) 一种收割翻土一体式农用车
KR20150048480A (ko) 구근작물 수확장치
US922246A (en) Sulky-plow and attachment.
CN108124518A (zh) 一种振动犁地装置
KR200311292Y1 (ko) 진동형 심토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