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601A - 도어락 - Google Patents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601A
KR20200070601A KR1020180157900A KR20180157900A KR20200070601A KR 20200070601 A KR20200070601 A KR 20200070601A KR 1020180157900 A KR1020180157900 A KR 1020180157900A KR 20180157900 A KR20180157900 A KR 20180157900A KR 20200070601 A KR20200070601 A KR 20200070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face
door
door lock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진
김현철
서기열
정정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7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0601A/ko
Publication of KR2020007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9Feeding by transfer between frame and wing
    • E05B2047/0061Feeding by transfer between frame and wing using ind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07C2009/00642Power supply for the lock by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문의 전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실장되는 가시광선 카메라; 출입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실장되며 바닥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프로젝터; 안면인식 거리에 위치하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장치; 잠금쇠(dead bolt)를 문의 측면에서 인입 또는 돌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안면인식장치가 기 등록된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잠금쇠를 인입하고, 상기 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쇠를 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 상기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로부터 입력 또는 감지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안면인식 거리(d)에 출입자의 적정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정거리에 출입자가 위치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도어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락{Door Rock}
본 발명은 출입자의 안면 인식기능을 탑재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출입자의 안면이 인식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탑재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보안상의 이유로 문에 잠금을 걸어놓는 장치로서 열쇠 대신에 인증 과정을 거치면 잠금장치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이다. 평상시에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문을 통과하는 시점에서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여 문을 열 수 있다.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경우 별도의 인증 없이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나, 밖에서 들어오는 경우 인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대부분의 가정의 현관에 장착되며 비밀번호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키패드나 가상 키패드를 출력하기 위한 터치패널이 구비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의 출입자 인증 기술이 개발되면서 그와 동시에 도어락에도 해당 기술을 접목하여 비밀번호를 외워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제3자에게 비밀번호가 노출되어 보안이 취약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지문인식, 홍채인증 및 안면 인식과 같은 출입자 인증 기술은 주로 모바일과 같은 이동 통신기기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도어락에 접목하는 경우 고정된 장치에 인증기술을 접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도어락은 손잡이 위치 또는 손잡이 위치에 인접하여 손으로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홍채인식이나 안면 인식은 출입자의 안면이 도어락의 카메라가 인식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출입자의 안면 인식기능을 탑재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출입자의 안면이 인식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탑재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의 전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실장되는 가시광선 카메라; 출입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실장되며 바닥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프로젝터; 안면인식 거리에 위치하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장치; 잠금쇠(dead bolt)를 문의 측면에서 인입 또는 돌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안면인식장치가 기 등록된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잠금쇠를 인입하고, 상기 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쇠를 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 상기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로부터 입력 또는 감지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안면인식 거리(d)에 출입자의 적정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정거리에 출입자가 위치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도어락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기초로 출입자의 안면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 수평높이부터 상기 출입자의 안면까지의 각도(α)를 산출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로 출입자까지의 제1 거리(e)를 측정하고, 상기 각도(α)와 제1 거리(e)를 기초로 안면까지 제1 높이(h)를 산출하며, 출입자의 안면이 상기 안면인식 거리에 위치하기 위한 상기 출입자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까지의 수평거리인 제2 거리(x)를 상기 적정거리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의 화각을 기초로 촬영된 이미지를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안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각도(α)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정거리와 상기 도어락의 높이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의 지향각(β)을 산출하고, 상기 지향각(β)에 상응한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의 높이는 바닥방향을 향하는 거리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적정거리는 상기 출입자의 키가 클수록 더 짧게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안면인식장치는, 상기 출입자의 안면에 소정 패턴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도트 프로젝터; 상기 도트 프로젝터와 함께 적외선을 혼합하여 사출하는 적외선 프로젝터; 및 상기 적외선 프로젝터에서 사출된 적외선을 감지하여 상기 출입자의 안면 형상을 읽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상기 거리측정센서,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 상기 안면인식장치,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문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제1 무선충전코일; 상기 문이 닫힌 경우, 상기 무선충전코일과 마주보는 문설주(door frame)에 위치하는 제2 무선충전코일; 및 상기 제2 무선충전코일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충전코일은 상기 잠금쇠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무선충전코일은 상기 잠금쇠가 삽입되는 잠금홈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은 안면인식에 있어서 최적의 위치에 출입자가 위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출입자의 키에 따라 적정위치를 산출하여 가이드함으로써, 안면인식의 이식율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교체없이 충전 가능하여 배터리 소모로 인하여 작동이 불가능하여 출입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도어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락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락이 출입자의 안면 인식 가능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락에 있어서, 출입자의 키에 따른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락의 무선충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락의 무선충전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도어락(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락(1)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어락(1)은 센싱부(40), 출력부(50), 입력부(60), 구동부(70), 제어부(80), 급전부(90)를 포함한다.
센싱부(40)는 외부의 자극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출입자가 근접한 경우 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41), 또는 출입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센서(42)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41)는 위치센서의 일종으로 물체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 도어락(1)의 기능을 활성화 하는 역할을 한다. 적외선과 같은 광센서를 이용하여 사출 후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거리감지센서와 유사하나 거리감지센서는 정확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보다 정밀한 부품이 필요하고 이를 항상 활성화 상태로 두기에는 배터리(91) 소모가 심하다. 따라서, 적은 전력량으로 구동 가능한 근접센서(41)는 항상 활성화 상태로 두고, 출입자가 근접한 경우에만 도어락(1)을 활성화 하고 그 이전에는 도어락(1)을 절전 상태로 두어 배터리(91) 사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특히 근접센서(41) 구동 주기를 길게 하면 소비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42)는 레이저와 같이 직진성이 큰 빛을 사출하고 다시 돌아오는 빛을 감지하여 출입자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빛이 반사하여 돌아오는 시간을 정확히 계산 하기 위해 거리측정센서(42)에서 사출되는 빛의 세기는 근접센서(41)에 비해 더 큰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터치센서(43)는 디스플레이부(51)와 중첩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51)에 출력되는 키패드나 버튼의 터치여부를 감지하여 출입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안면인식기능이나 홍채인식과 같은 생체인식 가능한 도어락(1)의 경우도, 키패드를 이용한 인증도 병행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50)는, 디스플레이부(51), 적외선 프로젝터(52), 도트 프로젝터(53), LED프로젝터(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1)는 본체(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키패드를 출력하거나, 안면인식을 위한 가이드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1)는 입력부(60)의 터치센서(43)와 같이 층상구조를 이루면서 출입자가 키패드를 터치하거나 디스플레이부(51)에 출력된 버튼을 누를 때 이를 감지하여 출입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적외선 프로젝터(52)는 적외선을 소스로 하여 사출하는 장치이고, 도트 프린터는 출입자의 안면의 굴곡을 감지하기 위해 출입자의 안면에 격자형상과 같은 소정 패턴을 사출하는 프로젝터이다. 도트 프로젝터(53)가 출입자의 안면에 소정 패턴을 사출할 때, 적외선 프로젝터(52)에서 적외선을 혼합하여 사출하고, 후술할 적외선 카메라(62)가 이를 감지하여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다.
일반 가시광선 카메라(61)만으로 안면인식을 수해하고자 하는 경우 어두운 곳에 안면인식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적외선 프로젝터(52)와 도트 프로젝터(53) 및 적외선 카메라(62)를 이용하여 안면인식을 수행하는 것은 어두운 곳에서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LED프로젝터(54)는 바닥이나 벽면 등에 특정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프로젝터로 밝은 환경에서도 보일 수 있는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락(1)에서는 출입자가 안면인식을 위해 적정위치에 서있도록 위치를 가이드 하는 이미지를 바닥면에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60)는 가시광선 카메라(61)와 적외선 카메라(6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시광선 카메라(61)는 일반적인 카메라로 출입자의 안면 위치를 인식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출입자의 안면인식에도 활용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51)에 위치하는 터치센서(43)를 구비한 경우 터치센서(43)는 입력부(60)로서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구동부(70)는 도어락(1)의 잠금쇠(72)를 움직여 문(10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장치(71)를 포함한다. 잠금장치(71)는 문(100)이 닫힌 경우 도어락(1)의 잠금쇠(72)를 돌출시켜 문설주(110)에 있는 잠금홈(111)에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출입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잠금쇠(72)를 인입시켜 잠금홈(111)과의 체결을 해제한다.
급전부(90)는 출입자 인증을 위해 또는 잠금쇠(72)가 풀리도록 구동부(70)의 동작을 위해 전원공급이 필요하며 배터리(91)를 내장할 수 있다. 배터리(91)는 건전지와 같이 교체 가능한 타입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출입자 인증방식이 종래에 비해 복잡해지면서 전력소비가 커지고, 잦은 교체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무선충전코일(92)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의 접근 및 출입자의 도어락(1)에서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근접센서(41)와 거리측정센서(42)는 도어락(1)의 본체(10)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 위치하는 거리측정센서 이외에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거리측정센서(42)를 추가로 구비하여 도어락(1)이 설치된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설치시 고정되고 가변되지 않는 바, 생략하고 평균적인 설치높이로 대체하거나 출입자가 직접 측정한 값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 2을 참고하면 본체(10)는 도어락(1)의 문(100) 외측면에 부착된 전면부와 문(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배면부(미도시) 및 문(100)의 양 면 사이에 위치하여 전술한 잠금장치(71) 및 제어부(80)가 실장된 내측부를 포함한다. 전면부에는 출입자 인증을 위한 각종 부품이 실장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20)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동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는 돌려서 여는 레버형 이외에, 밀거나 당겨서 여는 푸시앤풀(push and pull) 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락(1)이 출입자의 안면 인식 가능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락(1)에 있어서, 출입자의 키에 따른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출입자의 안면까지의 높이를 산출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고 도 5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기에 적정거리를 산출하고 적정거리에 출입자가 서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근접센서(41)에서 도어락(1)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출입자가 접근한 경우 절전을 위해 비활성화 했던 도어락(1)의 부품들을 활성화한다. 본체(10) 전면에 위치하는 가시광선 카메라(61)로 출입자의 안면위치를 파악(①)한다. 가시광선 카메라(61)의 화각 범위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면상 위치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부터 출입자의 안면까지의 각도(α)를 산출할 수 있다(②).
다음으로 카메라로부터 출입자의 안면까지의 제1 거리(e)를 거리측정센서(42)로 측정(③)하고, 제1 거리와 안면까지의 각도(α)를 기초로 제어부(80)는 카메라의 높이부터 안면까지의 제1 높이(h)를 산출할 수 있다(④).
안면인식 거리(d) 내에 출입자의 안면이 위치하도록 적정거리인 제2 거리(x)를 산출(⑤)하고 제2 거리(x)에 사람이 위치하도록 LED프로젝터(54)를 이용하여 발자국 과 같은 가이드 이미지를 바닥면에 출력할 수 있다(⑧).
가이드 이미지가 문(100)으로부터 제2 거리(x)에 위치하도록 LED프로젝터(54)의 지향각을 계산하기 위해 도어락(1)의 바닥부터 제2 높이(p)를 도어락(1)의 하단에 위치하는 거리측정센서(42)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⑥). 다만, 도어락(1)은 처음 설치시 높이가 결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거리측정센서(42)를 생략하고 출입자가 설치시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일반 카메라의 화각을 넓은 것을 사용하면 출입자의 안면부터 발까지 모두 촬영이 가능하며, 안면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발까지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바닥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어, 도어락(1)까지 제2 높이(p)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높이(p)와 제2 거리(x)를 기초로 LED프로젝터(54)의 지향각(β)를 산출할 수 있다(⑦). 산출된 지향각으로 LED프로젝터(54)의 각도를 조절하여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출입자는 해당 가이드 이미지를 보고 안면인식 거리(d)내로 위치하면, 도트 프로젝터(53)와 적외선 프로젝터(52)를 이용하여 안면의 형상을 파악하기 위한 빛을 사출하고, 적외선 카메라(62)가 이를 이용하여 안면 형상을 인식하고, 제어부(80)는 기 등록된 안면과 일치하면 잠금장치(71)를 구동하여 문(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처럼 도어락(1)의 부품이 많아짐에 따라 전력소모량이 증가함에 따라, 교체하는 건전지 방식보다 충전 가능한 배터리(91)를 이용하고 외부전력을 이용하여 도어락(1)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문(100)은 힌지를 통해 여닫기 때문에 힌지를 통과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신뢰성 및 설치의 난이도가 증가하므로, 무선충전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키가 작은 출입자의 경우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순서로 진행된다. 다만, 출입자의 키가 작아 제1 높이(h')가 작은 경우 제2 거리(x')도 더 길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의 키에 따라 제2 거리(x)는 달라지므로 전술한 과정을 통해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해야 정확히 출입자의 안면인식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락(1)의 무선충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락(1)의 무선충전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1)은 문(100)의 측면에 잠금쇠(72)가 돌출 및 인입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에 상응하는 문설주(110)에 잠금쇠(72)가 체결될 수 있는 잠금홀이 형성되어 있다. 문(100)의 측면과 문설주(110)는 문(100)이 닫혀있는 경우 항상 동일한 위치에 마주보고 있는 바, 문(100)과 문설주(110)에 무선충전코일(92)을 배치하여 도어락(1)의 배터리(91)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충전코일(92)의 위치는 제한이 없으나, 도어락(1)의 본체(10)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내측부에 구비하여 문(100)의 측면을 향하도록 제1 무선충전코일(921)이 배치되고 그에 대향하는 문설주(110)에 제1 무선충전코일(92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무선충전코일(92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선충전코일(921)은 잠금쇠(72)의 둘레에 형성하고, 제2 무선충전코일(922)은 잠금홀의 둘레에 형성하면 크기가 정확히 대응될 수 있다. 제2 무선충전코일(922)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제1 무선충전코일(921)과 제2 무선충전코일(922)이 정 위치, 즉 문(100)이 닫힌 상태에서 제2 무선충전코일(922)에 전류가 흐르면 제1 무선충전코일(921)을 통해 도어락(1)의 배터리(91)를 충전할 수 있다.
도 8은 무선충전을 위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외부 전력(AC power)와 연결된 어댑터(931)이 제어회로(932)를 통해 제2 무선충전코일(922)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2 무선충전코일(922)를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에 의해 제1 무선충전코일(921)에 전류가 흐른다.
정류기(941), 필터(942), 컨버터(943), 충전기(944)를 통해 배터리(91)가 충전되며, 배터리가 과충전 되지 않도록 전압전류센서(945)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1)은 안면인식에 있어서 최적의 위치에 출입자가 위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출입자의 키에 따라 적정위치를 산출하여 가이드함으로써, 안면인식의 이식율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교체없이 충전 가능하여 배터리 소모로 인하여 작동이 불가능하여 출입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도어락 10: 본체
20: 손잡이 40: 센싱부
41: 근접센서 42: 거리측정센서
43: 터치센서 50: 출력부
51: 디스플레이부 52: 적외선 프로젝터
53: 도트 프로젝터 54: LED프로젝터
60: 입력부 61: 가시광선 카메라
62: 적외선 카메라 70: 구동부
71: 잠금장치 80: 제어부
90: 급전부 91: 배터리
92: 무선충전코일 100: 문
110: 문설주

Claims (9)

  1. 문의 전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실장되는 가시광선 카메라;
    출입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실장되며 바닥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프로젝터;
    안면인식 거리에 위치하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장치;
    잠금쇠(dead bolt)를 문의 측면에서 인입 또는 돌출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안면인식장치가 기 등록된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잠금쇠를 인입하고, 상기 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쇠를 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 상기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로부터 입력 또는 감지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안면인식 거리(d)에 출입자의 적정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정거리에 출입자가 위치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기초로 출입자의 안면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 수평높이부터 상기 출입자의 안면까지의 각도(α)를 산출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로 출입자까지의 제1 거리(e)를 측정하고,
    상기 각도(α)와 제1 거리(e)를 기초로 안면까지 제1 높이(h)를 산출하며,
    출입자의 안면이 상기 안면인식 거리에 위치하기 위한 상기 출입자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까지의 수평거리인 제2 거리(x)를 상기 적정거리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의 화각을 기초로 촬영된 이미지를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안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각도(α)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정거리와 상기 도어락의 높이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의 지향각(β)을 산출하고,
    상기 지향각(β)에 상응한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높이는 바닥방향을 향하는 거리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거리는
    상기 출입자의 키가 클수록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인식장치는,
    상기 출입자의 안면에 소정 패턴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도트 프로젝터;
    상기 도트 프로젝터와 함께 적외선을 혼합하여 사출하는 적외선 프로젝터; 및
    상기 적외선 프로젝터에서 사출된 적외선을 감지하여 상기 출입자의 안면 형상을 읽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상기 거리측정센서,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 상기 안면인식장치,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문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제1 무선충전코일;
    상기 문이 닫힌 경우, 상기 무선충전코일과 마주보는 문설주(door frame)에 위치하는 제2 무선충전코일; 및
    상기 제2 무선충전코일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충전코일은 상기 잠금쇠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무선충전코일은 상기 잠금쇠가 삽입되는 잠금홈의 둘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KR1020180157900A 2018-12-10 2018-12-10 도어락 KR20200070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00A KR20200070601A (ko) 2018-12-10 2018-12-10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00A KR20200070601A (ko) 2018-12-10 2018-12-10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01A true KR20200070601A (ko) 2020-06-18

Family

ID=7114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900A KR20200070601A (ko) 2018-12-10 2018-12-10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06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8374A (zh) * 2021-01-11 2021-04-30 陈炼铭 一种便携式的智能楼宇用人脸识别器
CN113780061A (zh) * 2021-07-26 2021-12-10 张国栋 一种分离式人脸识别系统
WO2022045562A1 (en) * 2020-08-28 2022-03-03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a door opening/closing device disposed to the door, and a method therefor
CN114220204A (zh) * 2021-12-10 2022-03-22 山东黄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酒店的身份证阅读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562A1 (en) * 2020-08-28 2022-03-03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a door opening/closing device disposed to the door, and a method therefor
CN112728374A (zh) * 2021-01-11 2021-04-30 陈炼铭 一种便携式的智能楼宇用人脸识别器
CN113780061A (zh) * 2021-07-26 2021-12-10 张国栋 一种分离式人脸识别系统
CN114220204A (zh) * 2021-12-10 2022-03-22 山东黄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酒店的身份证阅读机
CN114220204B (zh) * 2021-12-10 2024-01-26 山东黄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酒店的身份证阅读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0601A (ko) 도어락
CN109057550A (zh) 智能锁及智能门
KR20130117459A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US11746564B2 (en) Systems for smart security
CN113436375A (zh) 一种过闸检测通行方法及设备
JP4936918B2 (ja) 電気錠用取手及び該取手を用いた電気錠システム
KR20190101853A (ko) 정확하고 신속한 안면인식 도어락 장치
US9779567B1 (en) Door lock using a mobile device as an input interface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CN208441644U (zh) 一种内嵌式智能门锁
US9390570B1 (en) Virtual touch-control lock
KR101064970B1 (ko) 얼굴인식 도어개폐 시스템
CN205670316U (zh) 一种室内智能门禁设备
KR100943822B1 (ko) 허위거치 방지수단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대
JP4588466B2 (ja) 電子キー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駆動式電気錠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100009347U (ko) 얼굴인식 디지털 도어록
US11993974B2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sliding door with a gesture control function
JP3240170U (ja) 顔認証式ドア錠前装置の改良構造
CN209538867U (zh) 智能锁及智能门
TWM502723U (zh) 虛擬觸控鎖具
JP2006138162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206773789U (zh) 客房门锁和系统
KR20190131247A (ko)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는 출입 관리 시스템
CN215182184U (zh) 一种用于门禁识别的智能控制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