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494A - 분리막을 이용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의 고순도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분리막을 이용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의 고순도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494A
KR20200070494A KR1020180157112A KR20180157112A KR20200070494A KR 20200070494 A KR20200070494 A KR 20200070494A KR 1020180157112 A KR1020180157112 A KR 1020180157112A KR 20180157112 A KR20180157112 A KR 20180157112A KR 20200070494 A KR20200070494 A KR 20200070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eawater
separation
module
separ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근
김정훈
강호철
장봉준
문수영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0494A/ko
Publication of KR2020007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58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7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의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바닷물을 공급받아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 및 상기 막분리부의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에서 배출되는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천일염 수득부;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분리막을 이용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의 고순도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High-purity sea salt purification apparatus and purification process from seawater by membrane process}
분리막을 이용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의 고순도 정제방법 및 그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天日鹽)은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두어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형성되는 소금 결정들을 모아 만든 것으로서 김장 김치를 만들거나 각종 장류를 담그는데 널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천일염은 사리 만조 때 해수를 저수조에 유입된 것을 증발지로 보내어 태양열과 바람에 의해서 건조되어 염도가 20 중량% 정도 되면 결정지로 보내어 석출되는 염을 갈퀴 모양의 고무래로 소금을 긁어모아 물이 빠진 것을 수레로 창고까지 운반하여 윗부분의 오염물질을 씻어낸 후에 포장하여 생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천일염에는 각종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간수에 추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종래 특허문헌 1(KR 10-2005-0099474) 등에는 천일염을 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광물을 이용하여 천일염을 정제 건조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심각한 환경오염 물질로 부각되는 것은 미세 플라스틱(micro plastic)이 있다. 통상 5 mm 이하의 플라스틱 조각을 지칭하는 미세 플라스틱은 페트병·일회용품·스티로폼 등 쓰고 버린 플라스틱이 잘게 부서져서 생긴다. 일회용품 사용량 세계 1위 배달 왕국인 우리나라로서는 중대한 위해물(危害物)이다.
이와 같은, 미세 플라스틱은 최근 천일염에서 다수 검출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의 인천, 경기, 해안과 낙동강 하구는 미세 플라스틱 농도가 세계에서 2번째, 3번째로 높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기술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염전에서 발생하는 천일염을 포함하는 용액을 그대로 적용하여 천일염 생산시 고효율 및 저비용으로 고부가가치의 천일염을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의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바닷물을 공급받아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 및
상기 막분리부의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에서 배출되는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천일염 수득부;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의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바닷물을 공급받아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 및
상기 막분리부의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에서 배출되는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천일염 수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분리부는 제1 분리막 모듈 및 제2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는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장치가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을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로 공급하여 바닷물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 및
미세 플라스틱이 분리된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이 제공된다.
더욱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을, 제1 분리막 모듈 및 제2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는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와 연결된 막분리부로 공급하여 바닷물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 및
미세 플라스틱이 분리된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천일염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은 고효율 및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천일염을 수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천일염 정제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의 공급부(100);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바닷물을 공급받아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분리막 모듈(210)을 포함하는 막분리부(200); 및
상기 막분리부(200)의 분리막 모듈(210)의 투과부에서 배출되는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천일염 수득부(300);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장치(1000)가 제공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의 모식도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천일염 정제장치(1000)의 일례를 나타내었으며,
이하, 도 1 내지 도 3의 모식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천일염 정제장치(10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천일염 정제장치(1000)는 공급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부(100)는 염전에서 천일염을 생산하기 전 바닷물 또는 바닷물을 염전 등에서 증발되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은 소금이 결정화되기 시작하기 전의 농도일 수 있으며, 고형분 함량이 2 중량% 내지 50 중량%인 바닷물일 수 있고, 고형분 함량이 5 중량% 내지 45 중량%인 바닷물일 수 있으며, 고형분 함량이 10 중량% 내지 40 중량%인 바닷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제공되는 상기 천일염 정제장치(1000)는,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바닷물을 공급받아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처리부(400)는,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바닷물을 부직포 및 여과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이용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400)를 통해 바닷물에 포함되는 모래 입자, 조류(algae)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제공되는 천일염 정제장치(1000)는 막분리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막분리부는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바닷물을 공급받아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막분리부(2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분리막 모듈(2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는 폐기 처리되고,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는 후술하는 천일염 수득부(300)로 배출되어 고순도의 천일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분리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분리막 모듈(210) 및 제2 분리막 모듈(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는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막분리부를 도 2 및 도 3과 같이 2단 분리막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천일염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막 모듈(210)은 정밀여과(microfiltration) 분리막, 한외여과(ultrafiltration) 분리막 및 나노여과(nanofiltration) 분리막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막 모듈(210)은 기공 크기가 100 nm 내지 1 ㎛인 정밀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고, 기공 크기가 10 nm 내지 100 nm인 한외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공 크기가 1 nm 내지 10 nm인 나노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분리막 모듈(220)은 한외여과(ultrafiltration) 분리막 및 나노여과(nanofiltration) 분리막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분리막 모듈(210)이 정밀여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분리막 모듈은 한외여과 분리막 또는 나노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이 한외여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분리막 모듈은 나노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리막 모듈(210) 또는 제2 분리막 모듈(220)에 적용되는 분리막은 폴리설폰, Polyvinyliden fluorid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amide, Polyester 등의 고분자 소재의 다공성 수처리용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또는 나노여과막이나, 제올라이트, 탄소막, 알루미나 등을 기반으로 하는 무기계 다공성 수처리용 분리막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막의 오염을 막고 분리성능의 향상을 위해 친수성 고분자나 세라믹 등의 친수성 성분이 박막형태로 코팅이 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리막 모듈(220)의 잔류부는 미세 플라스틱이 모여서 폐기물로서 버려질 수 있는데, 이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천일염 정제장치(1000)는 상기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에서 농축된 미세 플라스틱을 폐기하기 위한 제1 라인(221)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천일염 정제장치(1000)는 유입되는 천일염의 순도와 요구되는 천일염의 순도에 따라 상기 제2 분리막 모듈(220)의 잔류부를 제1 분리막 모듈(210)의 잔류부와 연결하여 재순환시키는 제2 라인(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막을 이용한 재순환라인을 통해 효율적으로 천일염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고 천일염을 경제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며 천일염을 얻는 수율이 향상된다.
나아가, 상기 천일염 정제장치(1000)는 2개 이상의 막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2개 이상의 막분리부는 교대로 작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막분리부는 유입되는 해수의 조성과 얻어지는 정제순도를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교대로 작동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고순도의 천일염을 높은 회수율로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천일염 정제장치(1000)의 구성으로 막분리부를 2개 이상 설치하고, 이를 교대로 작동하며 천일염 정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1개의 막분리부를 작동시켜 천일염 정제를 수행하고 난 후, 선작동한 막분리부를 정지시키고 다른 1개의 막분리부를 작동시켜 천일염을 정제하며 동시에 선작동하여 형성된 분리막 부착층(fouling layer)을 역세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일염 정제장치는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을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로 공급하여 바닷물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 및
미세 플라스틱이 분리된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제공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제공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은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을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로 공급하여 바닷물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천일염을 생산하기 전의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일정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여 제거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단계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을 막분리부로 공급하여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은 소금이 결정화되기 시작하기 전의 농도일 수 있으며, 고형분 함량이 2 중% 내지 50 중량%인 바닷물일 수 있고, 고형분 함량이 5 중량% 내지 45 중량%인 바닷물일 수 있으며, 고형분 함량이 10 중량% 내지 40 중량%인 바닷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일염의 정제방법은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을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처리는 부직포 및 여과포 중 1종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를 통해서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내 모래 입자, 조류(algae)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천일염의 정제방법은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1단 이상의 분리막 모듈을 적용하고자 하며, 일례로 2단 이상의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를 통해 미세 플라스틱을 고효율 및 저비용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막분리부(2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분리막 모듈(2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는 폐기 처리되고,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는 후술하는 천일염 수득부(300)로 배출되어 고순도의 천일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분리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분리막 모듈(210) 및 제2 분리막 모듈(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는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막분리부를 도 2 및 도 3과 같이 2단 분리막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천일염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막 모듈(210)은 정밀여과(microfiltration) 분리막, 한외여과(ultrafiltration) 분리막 및 나노여과(nanofiltration) 분리막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막 모듈(210)은 기공 크기가 100 nm 내지 1 ㎛인 정밀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고, 기공 크기가 10 nm 내지 100 nm인 한외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공 크기가 1 nm 내지 10 nm인 나노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분리막 모듈(220)은 한외여과(ultrafiltration) 분리막 및 나노여과(nanofiltration) 분리막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분리막 모듈(210)이 정밀여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분리막 모듈은 한외여과 분리막 또는 나노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이 한외여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분리막 모듈은 나노여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리막 모듈(210) 또는 제2 분리막 모듈(220)에 적용되는 분리막은 폴리설폰, Polyvinyliden fluorid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amide, Polyester 등의 고분자 소재의 다공성 수처리용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또는 나노여과막이나 제올라이트, 탄소막, 알루미나 등을 기반으로 하는 무기계 다공성 수처리용 분리막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막의 오염을 막고 분리성능의 향상을 위해 친수성 고분자나 세라믹 등의 친수성 성분이 박막형태로 코팅이 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분리막 모듈(220)의 잔류부는 미세 플라스틱이 모여서 폐기물로서 버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일염 정제방법은 유입되는 천일염의 순도와 요구되는 천일염의 순도에 따라 상기 제2 분리막 모듈(220)의 잔류부를 제1 분리막 모듈(210)의 잔류부와 연결하여 바닷물을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순환시키는 단계을 통해 효율적으로 천일염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고 천일염을 경제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며 천일염을 얻는 수율이 향상된다.
나아가, 상기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막분리부는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막분리부를 교대로 작동하여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되, 작동하지 않는 막분리부는 분리막 모듈에 형성된 부착층(fouling layer)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천일염 정제방법은 막분리부를 2개 이상 포함하여, 1개의 막분리부를 작동시켜 천일염 정제를 수행하고 난 후, 선작동한 막분리부를 정지시키고 다른 1개의 막분리부를 작동시켜 천일염을 정제하며 동시에 선작동하여 형성된 분리막 부착층(fouling layer)을 역세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일염 정제장치는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제공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은 미세 플라스틱이 분리된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는 미세 플라스틱을 막분리부를 통해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일염을 수득하는 단계는 미세 플라스틱이 분리된 바닷물을 증발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미세 플라스틱이 분리된 바닷물을 태양광 아래에서 증발을 거치거나 가마솥에서 물을 증발시켜 고순도의 천일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제방법으로 정제된 천일염의 순도는 99 중량% 이상일 수 있고, 99.9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99.99 중량% 이상일 수 있고, 99.999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천일염 정제장치
100 : 공급부
200 : 막분리부
210 : 제1 분리막 모듈
220 : 제2 분리막 모듈
221 : 제1 라인
222 : 제2 라인
300 : 수득부
400 : 전처리부

Claims (10)

  1.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의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바닷물을 공급받아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 및
    상기 막분리부의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에서 배출되는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천일염 수득부;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부는,
    제1 분리막 모듈 및 제2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는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은 정밀여과(microfiltration) 분리막 또는 한외여과(ultrafiltration)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리막 모듈은 한외여과 분리막 또는 나노여과(nanofiltration) 분리막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 정제장치는,
    상기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에서 농축된 미세 플라스틱을 폐기하기 위한 제1 라인;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 정제장치는,
    상기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를 제1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와 연결하여 재순환시키는 제2 라인;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 정제장치는 2개 이상의 막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막분리부는 교대로 작동하는 천일염 정제장치.
  7.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소정의 농도로 농축된 바닷물을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막분리부로 공급하여 바닷물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 및
    미세 플라스틱이 분리된 바닷물에서 천일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부는,
    제1 분리막 모듈 및 제2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막 모듈의 투과부는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일염 정제방법은,
    제2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가 제1 분리막 모듈의 잔류부와 연결되어 바닷물을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막분리부는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막분리부를 교대로 작동하여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되, 작동하지 않는 막분리부는 분리막 모듈에 형성된 부착층(fouling layer)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되는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 정제방법.
KR1020180157112A 2018-12-07 2018-12-07 분리막을 이용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의 고순도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KR20200070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12A KR20200070494A (ko) 2018-12-07 2018-12-07 분리막을 이용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의 고순도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12A KR20200070494A (ko) 2018-12-07 2018-12-07 분리막을 이용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의 고순도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494A true KR20200070494A (ko) 2020-06-18

Family

ID=7114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112A KR20200070494A (ko) 2018-12-07 2018-12-07 분리막을 이용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의 고순도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04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905B1 (ko) * 2021-04-20 2021-11-18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여과막, 부분증발법 및 결정화법을 적용한 청정한 천일염 생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905B1 (ko) * 2021-04-20 2021-11-18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여과막, 부분증발법 및 결정화법을 적용한 청정한 천일염 생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45788B (zh) 高含盐废水处理回用零排放集成工艺
AU2012211928B2 (en) Food waste concentration system and related processes
US8197693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electricity using pressure retarded osmosis during desalination of sea water
AU200836606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waste water
AU2009326257B2 (en) Improved solvent removal
US20120231535A1 (en) Organic Forward Osmosis System
BRPI0709332A2 (pt) módulo, sistema e processo de membrana hìbrida para tratamento de água servida industrial
EP2692417A1 (en) Organic forward osmosis system
CN102659612A (zh) 一种l-苯丙氨酸提纯工艺
CN105198141A (zh) 一种高温高盐废水的零排放方法
KR20050001895A (ko) 막분리를 이용한 하수 및 침출수의 순수화 재이용 시스템
Chao et al. A Review of Ultrafiltration and Forward Osmosis: application and modification
KR20200070494A (ko) 분리막을 이용한 바닷물로부터 천일염의 고순도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TW593161B (en) System for producing purified water
US20110309016A1 (en) Desalin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1139151A (zh) 聚氯乙烯工艺废水的脱盐及浓缩方法
AU2008247333B2 (en) Desal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bdel-Fatah et al.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by membrane process
CN208829331U (zh) 一种纳滤去除有机物系统
KR20170089230A (ko) 유도용액을 이용한 역삼투법 및 나노여과법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방법
CN207418431U (zh) 一种用于木糖生产中树脂再生废水的处理装置
Yang et al. A Mini Review on Antiwetting Studies in Membrane Distillation for Textil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2021, 9, 243
Ezugbe et al. Direct Membrane Filtration for Wastewater Treatment
Lyly et al. 16 Hybrid Nanofiltration Membrane Technology
Lyly et al. Hybrid Nanofiltration Membrane Technology for Water Recla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