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468A - Automatic teller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teller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468A
KR20200070468A KR1020180156779A KR20180156779A KR20200070468A KR 20200070468 A KR20200070468 A KR 20200070468A KR 1020180156779 A KR1020180156779 A KR 1020180156779A KR 20180156779 A KR20180156779 A KR 20180156779A KR 20200070468 A KR20200070468 A KR 20200070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tray
roller
lifting
tra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8262B1 (en
Inventor
황진용
김경수
서영대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262B1/en
Publication of KR2020007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2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teller machine includes: a deposit and withdrawal unit for separating and accumulating a medium for deposit and withdrawal; and a tray part provided to be accessible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nd transferring the mediu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includes: a housing to which the tray part is provided to be accessible; and a separation and integr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transferring the medium accumulated in the tray par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en the tray part enters the housing. The separation and integration module may selectively lift a pre-accumulated medium inside the tray part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medium is introduced.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In general,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can provide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and withdrawal of cash and checks by using a card or passbook without a bank employe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It is an automated device.

최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Recently, the use of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is expanding in convenience stores, department stores, and public places as well as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s.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ATMs, ATMs, and ATMs depending on whether deposits or withdrawals are made. Recently,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clearing bankbooks, paying Giro rates, and issuing tickets. have.

한편, 종래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가 적층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에 적층된 매체는 롤러에 의해 트레이 외부로 반송될 수 있는데, 트레이에서 반송된 매체가 별도로 구비되는 센서부에 의해 스큐 상태 등의 이상 매체로 감지되는 경우, 이상 매체를 반송하는 롤러는 역회전 하여 이상 매체를 다시 트레이 내측으로 재반송하게 된다. Meanwhile, a conventional financial automation device may include a tray in which media are stacked. The medium stacked on the tray may be conveyed to the outside of the tray by a roller. When the medium conveyed from the tray is sensed as an abnormal medium such as a skew state by a sensor unit provided separately, the roller conveying the abnormal medium is reversed. By rotating, the abnormal medium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tray again.

그러나, 이와 같이 이상 매체를 트레이로 재반송하는 경우, 트레이에 기 적층되어 있는 매체에 의해 이상 매체의 재반송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abnormal medium is re-transferred to the tray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re-transfer the abnormal medium due to the media already stacked on the tray.

따라서, 이상 매체의 재반송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retransmission of an abnormal medium.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 각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매체의 재반송이 용이한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poses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that facilitates retransmission of media while solving the problems of each of the pocket type and the present ty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되고, 입출금을 위한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금부; 및 상기 입출금부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금부는, 상기 트레이부가 진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부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송하는 분리 집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집적 모듈은 상기 트레이부 내측에 기 집적된 매체를 선택적으로 거상시켜 매체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거상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eposit and withdrawa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for separating and accumulating media for deposit and withdrawal; And a tray part provided to allow access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part and for conveying a medium, where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tray part is accessible; And a separation integrated modul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transferring the medium accumulated in the tray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en the tray part enters the housing, wherein the separation integrated module is provided inside the tray part. It may include a lifting roller to selectively lift the accumulated medium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medium f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거상 롤러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거상 롤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트레이부에 기 집적된 매체와 접촉하여 거상시키는 거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roller,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lifting roller, the lif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medium previously accumulated in the tray unit to lift the lifting member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거상 부재는 양측 단부가 상기 거상 롤러의 외주면에 고리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ssal member may have both end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arse roller in a ring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거상 롤러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거상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거상 부재를 상기 거상 롤러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arse roll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arse member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coarse member with respect to the coarse roller.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트레이부는,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트레이 바디; 상기 트레이 바디의 하측에 결합되어 매체가 집적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진입한 경우 상기 리프팅 모듈에 결속되는 저판; 및 상기 트레이 바디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판에 집적되는 매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portion includes a tray body provid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A bottom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tray body to form a space in which a medium is integrated, and bound to the lifting module when the tray part enters the housing; And a clamping plate tha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tray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esses and fixes the medium accumulated in the bottom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입출금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진입되면 상기 트레이부 중 적어도 일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모듈이 상기 저판을 하강시켰을 때, 상기 저판이 상기 이송 롤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osit/withdrawal uni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module for lif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y unit when the tray unit enters the housing, wherein the lifting module When the bottom plate is lowered, the bottom plate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fer 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포켓 타입의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장치 내부로 유입될 것이 요구된다는 문제점과 프리젠트 타입의 취약한 보안과 한 번에 입출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소하여 실용화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problem that the body part of the user of the conventional pocket type is required to be introduced into the device, and the problem of the weak security of the present type and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media that can be entered at once. Although it can be solved, it has an effect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practic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도시한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부의 분리모드를 도시한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부에서 매체가 분리되는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부서 반출 대상 매체가 트레이부로 반송되는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eparation mode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dium is separated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dium to be taken out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is conveyed to the t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s of their own inventions in the best way. In order to explai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as a concept of terms. 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도시한 개략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본체(10), 입출금부(20), 트레이부(30) 및 접객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 입출금부(20)를 수용할 수 있다.1 and 2,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 a deposit and withdrawal section 20, a tray section 30, and a reception section 40. . The main body 10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 and can accommodate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20 therein.

입출금부(20)는 본체(10)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입출금을 위한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출금부(20)는 하우징(210), 분리 집적 모듈(220) 및 리프팅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may perform separation and accumulation of media for deposit and withdrawal. To this end,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may include a housing 210, a separate integrated module 220 and a lifting module 230.

하우징(210)은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입출금부(20)의 구성품들을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에는 후술할 트레이부(30)가 출입할 수 있는 트레이 삽입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분리 집적 모듈(220)이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2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components of the deposit/withdrawal part 20. In addition, a tray insertion hole 212 through which the tray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can enter and exit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210. In addition, a separate integrated module 2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10.

분리 집적 모듈(220)은 분리 롤러(223) 및 집적 롤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롤러(223)는 트레이부(30)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분리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롤러(223)는 트레이부(30)에 수용된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반송로를 통해 반송시킬 수 있다.The separation accumulation module 220 may include a separation roller 223 and an accumulation roller 224. The separation roller 223 may be provided to separate the medium conveyed by the tray part 30. It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10. In addition, the separation roller 223 may separate the media accommodated in the tray portion 30 into sheets and convey them through a conveyance path.

분리 롤러(223)는 트레이부(30)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트레이부(30) 외부로 반송하거나, 반출 대상 매체를 트레이부(30) 내측으로 반송시키는 이송 롤러(221) 및 이송 롤러(221)에 의해 반출 대상 매체가 트레이부(30) 내측으로 이송되는 경우 트레이부(30) 내측에 집적된 매체를 거상시켜 반출 대상 매체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거상 롤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거상 롤러(222)가 트레이부(30) 내측에 기 집적된 매체를 거상시키는 경우 이송 롤러(221)는 반출 대상 매체를 트레이부(30) 내측으로 재반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롤러(221)는 매체의 저면과 접촉하여 매체를 1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와 픽업롤러에서 분리된 매체를 반송로로 이송하는 피드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거상 롤러(222)와 동축선상에 설치되어 피드롤러와 함께 매체를 협지하되 2매 분리가 방지되도록 정지 또는 분리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게이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separating roller 223 conveys the medium conveyed by the tray part 30 to the outside of the tray part 30 or the conveying roller 221 and the conveying roller 221 for conveying the medium to be carried out inside the tray part 30. ), when the medium to be taken out is transported to the inside of the tray part 30, the medium accumulated inside the tray part 30 is lifted to include a lifting roller 222 that secures a space through which the medium to be taken out can be introduced. Can be. Therefore, when the coarse roller 222 lifts the pre-integrated medium inside the tray portion 30, the transfer roller 221 may re-transport the medium to be taken out into the tray portion 30. In addition, the transfer roller 221 may be composed of a pickup roller that separates the media one by on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edia, and a feed roller that transfers the media separated from the pickup roller to the transport path. In addition, a gate roller (not shown) that is installed on the coaxial line with the coarse roller 222 and holds the medium together with the feed roller, but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stopping or separating direc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wo sheets may be provided.

입출금부(20)를 통해 매체가 입금되는 경우, 트레이부(30)에서 배출된 매체가 유효한 매체인지 판단된 후 최종적으로 입금 처리가 되는데, 유효성 검사 단계에서 반출 대상(REJECT) 매체로 판단된 매체는 후퇴하여 다시 트레이부(30)로 유입된다. 이때, 트레이부(30)에 이미 집적되어 있던 매체들로 인해 반출 대상 매체가 다시 트레이부(30)로 유입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반출 대상 매체가 다시 트레이부(30)로 반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상 롤러(222)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거상 롤러(222)는 외주면에 매체와 접촉하여 매체를 거상시키는 거상 부재(222a)를 포함할 수 있다. 거상 부재(222a)는 탄성 소재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When the medium is deposited through the deposit/withdrawal unit 20, the medium ejected from the tray unit 30 is judged to be a valid medium, and finally the deposit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validation step, the medium determined as the REJECT medium Is retreated and flows into the tray part 30 again. At this time, due to the media already accumulated in the tray portion 30, it may be difficult for the medium to be taken out to flow into the tray portion 30 again. Therefore, the lifting roller 22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medium to be taken out can be conveyed back to the tray portion 30. The lifting roller 222 may include a lifting member 222a that contacts the medium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lift the medium. The coarse member 222a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film material.

또한, 거상 부재(222a)의 형상은 매체를 거상 시킬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하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거상 부재(222a)는 양측 단부가 거상 롤러(222)의 외주면에 연결된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거상 롤러(222)는 거상 부재(222a)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부재(222b)를 포함할 수 있다. 거상 부재 지지부(222b)는 일측 단부가 거상 롤러(222)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거상 부재(222a)에 결합되어 거상 부재(222a)가 매체를 거상시키는 경우 거상 부재(222a)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lifting member 222a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it corresponds to a structure capable of lifting the medium. For example, the lifting member 222a has both ends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roller 222. It may be provided in a connected ring shape. In addition, the lifting roller 222 may include a supporting member 222b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lifting member 222a. The coarse member support portion 222b has one end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arse roller 222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arse member 222a to support the coarse member 222a when the coarse member 222a lifts the medium. Can be.

매체가 트레이부(30)의 외부로 이송되는 경우, 거상 롤러(222)의 거상 부재(222a)가 구비되지 않은 외주면이 매체 경로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의 정상 반출의 경우 거상 부재(222a)와 매체의 간섭은 방지될 수 있다. 거상 롤러(222)는 반출 대상 매체가 발생하여 매체를 트레이부(30)로 투입해야하는 경우에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상 부재(222a)와 트레이부(30)의 최하측에 집적된 매체가 접촉하게되고, 거상 부재(222a)가 매체들을 거상시켜 반출 대상 매체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medium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tray portion 30,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not provided with the lifting member 222a of the lifting roller 22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medium path. Therefore, in the case of normal taking out of the medium,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ifting member 222a and the medium can be prevented. The lifting roller 222 can rotate when a medium to be taken out occurs and the medium needs to be fed into the tray unit 30, so that the medium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lifting member 222a and the tray unit 30 can be rotated. It is in contact, and the lifting member 222a lifts the medium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medium to be taken out can be introduced.

집적 롤러(224)는 매체를 트레이부(30)에 집적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ccumulation roller 224 may be provided to accumulate the media in the tray portion 30, and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10.

리프팅 모듈(230)은 하우징(210) 내에 제공되어 트레이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트레이부(30)는 트레이부(30)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가 본체(10) 내부의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거나, 본체(10) 내에 있던 매체가 트레이부(30)로 집적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트레이부(30)가 리프팅 모듈(230)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트레이부(30)가 분리 롤러(223) 중 일부와 중첩되어 분리 롤러(223)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부(30) 내에 집적된 매체가 본체(10) 내의 반송로를 통해 분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부(30)가 하강하여 분리 롤러(223)와 중첩된 상태를 "분리 모드"라고 말할 수 있다.Lifting module 230 is provided in the housing 210 is provided to selectively move the tray portion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the tray portion 30 is the medium accumulated in the tray portion 30 is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path inside the body 10, or the medium in the body 10 is the tray portion 30 It can be placed in a location that can be integrated into. In other words, when the tray portion 30 is lowered by the lifting module 230, the tray portion 30 overlaps with a part of the separation roller 223, thereby causing the tray portion 30 to be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roller 223. The integrated media can be stored separately through a transport path in the body 10. At this time, the state in which the tray portion 30 descends and overlaps with the separation roller 223 may be referred to as a “separation mode”.

트레이부(30)가 리프팅 모듈(230)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트레이부(30)가 집적 롤러(224)와 중첩되어 집적 롤러(224)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부(30)의 내로 매체가 투입되어 집적될 수 있다. 트레이부(30)가 상승하여 집적 롤러(224)와 중첩된 상태를 "집적 모드"라고 말할 수 있다.When the tray portion 30 is raised by the lifting module 230, the tray portion 30 overlaps the accumulation roller 224, and the medium is introduced into the tray portion 30 by the operation of the accumulation roller 224. Can be integrated. The state in which the tray portion 30 rises and overlaps with the accumulation roller 224 may be referred to as a "integration mode".

한편, 분리 모드 상태에서 트레이부(30) 내에 집적된 매체는 이송 롤러(221)에 의해 트레이부(30)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트레이부(30) 외부로 이송된 매체는 별도의 매체 유효성 검사 모듈(미도시)을 통과한 후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 검사 모듈에서 불량권으로 판별된 매체의 경우 반출 대상 매체로 분류되어 다시 트레이부(30)로 반입될 수 있다. 반출 대상 매체가 트레이부(30)로 반입되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Meanwhile, the medium accumulated in the tray unit 30 in the separation mode state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tray unit 30 by the transfer roller 221. The medium transferred to the tray 30 may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after passing through a separate medium validation module (not shown). However, in the case of a medium determined as a bad ticket in the validation module, it can be classified as a medium to be taken out and brought back into the tray unit 30. The means for carrying the medium to be carried out into the tray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later.

트레이부(3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트레이부(30)는 접객부(40)에서 고객으로부터 매체를 공급받아 입출금부(20)로 이동하여 해당 매체를 분리 저장하고, 입출금부(20)에서 출금 대상 매체를 공급받아 접객부(40)로 이송하여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부(30)는 트레이 삽입구(212)를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하우징(210)에 투입되었을 때 리프팅 모듈(23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The tray portion 30 may be provided to transfer the medium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20 and the reception portion 40. That is, the tray unit 30 receives the media from the customer from the reception unit 40, moves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to store and store the medium, and receives the medium to be withdrawn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20 to receive the medium. Media can be delivered to the customer. The tray portion 30 is provided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10 through the tray insertion hole 212, and may be seated on the lifting module 230 when it is input to the housing 210.

트레이부(30)는 트레이 바디(300), 저판(310) 및 클램핑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바디(30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저판(310)은 트레이부(30)의 저면을 구성하며 트레이바디(30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저판(310)은 트레이 바디(300)가 하우징(210)에 투입되었을 때 리프팅 모듈(230)에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판(310) 상에 매체가 집적되는 매체 집적공간(S)이 형성된다. 클램핑 플레이트(320)는 트레이 바디(30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매체 집적공간(S) 상에 집적된 매체를 가압하여 트레이 바디(300)에 대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부(30)에는 클램핑 플레이트(320)의 상하 구동을 위한 구동 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The tray part 30 may include a tray body 300, a bottom plate 310 and a clamping plate 320. The tray body 300 is provided to be able to reciproc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20 and the reception portion 40. The bottom plate 310 constitutes a bottom surface of the tray part 30 and may be provided to be lifted on the tray body 300. The bottom plate 310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lifting module 230 when the tray body 300 is put into the housing 210. In addition, a medium accumulation space S in which a medium is accumulated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310. The clamping plate 320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tray body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esses the media accumulated on the media accumulation space S so as to prevent the tray body 300 from moving against it. Perform. To this end, a driving member (not shown) for vertically driving the clamping plate 3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tray 30.

접객부(40)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매체를 투입 또는 수취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입금 또는 출금이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객부(40)에는 매체가 금융 자동화 기기(1)의 내부로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입출금 셔터(4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입출금 셔터(410)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 될 수 있다. 또한, 입출금 셔터(410)를 통해 사용자는 금융 자동화 기기(1)에 매체를 입금하거나 금융 자동화 기기(1)로부터 매체를 출금할 수 있다.The reception unit 40 may be provided to input or receive a medium such as a bill or check, and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to facilitate deposit or withdrawal. In addition, the reception and withdrawal shutter 410 may be provided in the reception unit 40 so that the medium can be inserted or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 and the deposit and withdrawal shutter 41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have. In addition,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shutter 410, the user can deposit the medium in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 or withdraw the medium from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레이부(30)에서 매체가 외부로 이송되는 구성 및 반출 대상 매체가 트레이부(30)로 반입되는 구성에 대해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dium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from the tray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dium to be taken out is carried into the tray unit 3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부의 분리모드를 도시한 개략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부에서 매체가 분리되는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 장칭체서 반출 대상 매체가 트레이부로 반송되는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eparation mode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dium is separated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dium to be taken out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yed to the tray portion.

트레이부(30)는 접객부(40)에서 매체를 공급받아 입출금부(20)의 하우징(2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트레이부(30)가 하우징(210) 내부로 이동하면 트레이부(30)는 리프팅 모듈(23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트레이부(30)의 저판(310)은 리프팅 모듈(230)과 결속될 수 있다. 분리 모드의 경우 리프팅 모듈(230)은 트레이부(30)의 저판(310)을 하강시킬 수 있으며, 저판(310)과 분리 롤러(223)는 중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tray unit 30 may receive the medium from the reception unit 40 and move inside the housing 210 of the deposit/withdrawal unit 20. When the tray portion 30 moves into the housing 210, the tray portion 30 may be seated on the lifting module 230, and the bottom plate 310 of the tray portion 30 is bound to the lifting module 230. Can be. In the case of the separation mode, the lifting module 230 may lower the bottom plate 310 of the tray portion 30, and the bottom plate 310 and the separation roller 223 may be disposed in an overlapped state.

이어서, 이송 롤러(22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집적된 매체(M) 중 최하측에 있는 매체(M)부터 순차적으로 저판(310)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 때, 외부로 이송된 매체가 매체 유효성 판단 모듈에서 반출 대상 매체로 판단이 된 경우, 거상 롤러(222)는 회전할 수 있고, 거상 롤러(222)가 회전함에 따라 거상 부재(222a)는 트레이부(30) 내측에 집적된 매체(M)를 거상시키게 되고, 반출 대상 매체(M1)는 매체(M)와 저판(310) 사이의 공간으로 반입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veying roller 22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medium M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ntegrated medium M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plate 310. At this time, when the medium transferred to the outside is judged as the medium to be taken out by the medium validity determination module, the coarse roller 222 can rotate, and as the coarse roller 222 rotates, the coarse member 222a is a tray The medium M integrated inside the unit 30 is raised, and the medium M1 to be taken out can be brought into the space between the medium M and the bottom plate 310.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reveal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금융 자동화 기기 10: 본체
20: 입출금부 30: 트레이부
40: 접객부 210: 하우징
220: 분리집적 모듈 221: 이송 롤러
222: 거상 롤러 222a: 거상 부재
222b: 지지부재
1: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0: Main body
20: deposit and withdrawal section 30: tray section
40: waiting area 210: housing
220: separation integration module 221: transfer roller
222: lifting roller 222a: lifting member
222b: support member

Claims (8)

매체가 집적되는 트레이부; 및
상기 트레이부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트레이부 외부로 반송하거나 상기 트레이부에서 외부로 반송된 매체 중 반출 대상 매체를 상기 트레이부 내측으로 재반송하는 분리 집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집적 모듈은 상기 트레이부 내측에 기 집적된 매체를 거상시켜 반출 대상 매체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거상 롤러; 및
상기 거상 롤러가 상기 트레이부 내측에 기 집적된 매체를 거상시키는 경우, 반출 대상 매체를 상기 트레이부 내측으로 반송하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A tray unit in which the medium is accumulated; And
It includes; a separate integrated module for conveying the media accumulated in the tray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tray portion or re-transporting the medium to be taken out of the media conveyed from the tray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tray portion,
The separation and integration module includes a coarse roller forming a space in which a medium to be taken out flows by lifting a pre-integrated medium inside the tray part; And
And a transfer roller for conveying the medium to be taken out to the inside of the tray when the lifting roller raises the medium previously accumulated inside the tra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가 진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입출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집적 모듈은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부에 집적된 매체를 외부로 반송하거나, 상기 트레이부에서 외부로 반송된 매체 중 반출 대상 매체를 상기 트레이부 내측으로 재반송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portion further includes a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including a housing provided to be accessible;
The separation integrated module transfers the media accumulated in the tray portion to the outside when the tray portion enters the housing, or re-transports the medium to be taken out of the media transferred from the tray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tray portion. Automation equipm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상 롤러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거상 롤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트레이부에 기 집적된 매체와 접촉하여 매체를 거상시키는 거상 부재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comprising a coarse member connec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arse roller, having a shape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coarse roller, and in contact with the pre-integrated medium in the tray portion to enclose the medium.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상 부재는 양측 단부가 상기 거상 롤러의 외주면에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oarse member is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having both ends connected in an annular shap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arse roller.
제3 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거상 롤러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거상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거상 부재를 상기 거상 롤러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According to claim 3,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ing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roll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to support the lif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lifting roll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트레이 바디;
상기 트레이 바디의 하측에 결합되어 매체가 집적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 바디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저판; 및
상기 트레이 바디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판에 집적되는 매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According to claim 2,
The tray portion,
A tray body provided for reciprocating movement;
A bottom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tray body to form a space in which a medium is integrated, and provided to the tray body to be liftable; And
And a clamping plate which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tray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esses and fixes the medium accumulated in the bottom plat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진입되면 상기 저판과 결속되어 상기 저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모듈이 상기 저판을 하강시켰을 때, 상기 저판이 상기 이송 롤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deposit and withdrawal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when the tray portion enters into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module that is bound to the bottom plate to elevate the bottom plate,
When the lifting module lowers the bottom plate,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is disposed so that the bottom plate is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transfer roll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는 매체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거상 롤러는 매체 분리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roller rotates in the direction of media separation,
The lifting roller is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that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medium separation direction.
KR1020180156779A 2018-12-07 2018-12-07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588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779A KR102588262B1 (en) 2018-12-07 2018-12-07 Automatic teller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779A KR102588262B1 (en) 2018-12-07 2018-12-07 Automatic teller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468A true KR20200070468A (en) 2020-06-18
KR102588262B1 KR102588262B1 (en) 2023-10-12

Family

ID=7114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779A KR102588262B1 (en) 2018-12-07 2018-12-07 Automatic teller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26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069A (en) * 2008-12-16 2010-06-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Sheet roller
KR20140077440A (en) * 2012-12-14 2014-06-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KR20140085679A (en) * 2012-12-27 2014-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KR20180112206A (en) * 2017-03-31 2018-10-12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Bill separating and stacking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069A (en) * 2008-12-16 2010-06-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Sheet roller
KR20140077440A (en) * 2012-12-14 2014-06-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KR20140085679A (en) * 2012-12-27 2014-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KR20180112206A (en) * 2017-03-31 2018-10-12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Bill separating and stack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262B1 (en)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72083A1 (en) Paper-slip handl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KR101250693B1 (en)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CN103890817A (en) Media case and banking machine
WO2014155645A1 (en) Paper-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KR101016245B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2255918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of paper money
KR102165719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paper money thereof
WO2014155644A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KR101226348B1 (en) Medium cassette,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70468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280658B1 (en)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KR20100080027A (en) A bill deposit/withdrawal apparatus of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399016B1 (en) An apparatus for receving and dispensing banknotes/checks in ATM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3172084A1 (en) Paper-slip handl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KR20070051989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two or more bill drawing parts
KR101099900B1 (en) Device for drawing bill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0411493Y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2157693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247080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cassette
KR200389004Y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2157697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152896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120967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152899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123683B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