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239A -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 Google Patents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239A
KR20200070239A KR1020207009830A KR20207009830A KR20200070239A KR 20200070239 A KR20200070239 A KR 20200070239A KR 1020207009830 A KR1020207009830 A KR 1020207009830A KR 20207009830 A KR20207009830 A KR 20207009830A KR 20200070239 A KR20200070239 A KR 20200070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response
respons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maximum qua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난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1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519A/ko
Publication of KR2020007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43Properties of the code 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을 제공하는 바,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오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단말이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단말이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단말이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단말이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중복 정보 전송을 감소시키고,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며,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하는데 유리하다.

Description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본 출원은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에 관한 것이다.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기술에서, 데이터 수신측은 데이터 송신측으로 응답 정보를 피드백하여, 데이터 송신측이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긍정 응답(Acknowledgement, ACK)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수신하였음을 지시하고, 부정 응답(Negative-acknowledgement, NACK)을 사용하여 잘못 수신하였음을 지시한다. 응답 정보는 또한 ACK/NACK 피드백 정보라 칭할 수도 있다.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접속(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시스템의 업링크(Uplink, UL) 방향에서, 사용자 장치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의 응답 정보를 피드백한다. 3GPP E-UTRA 시스템은 또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이라고도 칭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을 제공하여, 중복 정보 전송을 감소시키고,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며,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하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제1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오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며, 상기 최대 수량은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송신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을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은 상기 방법 설계 중의 단말의 동작을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하드웨어를 통하여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기능에 대응되는 모듈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에는 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이 상기 방법 중의 상응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단말에는 또한 송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송수신기는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나아가, 단말에는 또한 기억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기억장치는 프로세서와 커플링되며, 이는 단말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4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방법 설계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을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하드웨어를 통하여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기능에 대응되는 모듈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방법 중의 상응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송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나아가,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기억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기억장치는 프로세서와 커플링되며, 이는 네트워크 장치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5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을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 기억장치,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방면의 어느 한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된다.
제6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 기억장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방면의 어느 한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된다.
제7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방면의 어느 한 방법에 기재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제8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방면의 어느 한 방법에 기재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제9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방면의 어느 한 방법에 기재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제10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방면의 어느 한 방법에 기재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우선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그리고 해당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그리고 해당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한다.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동적으로 제1 정보 도메인의 길이를 확정할 수 있고,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정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사용하게 될 도면에 대하여 간단할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 도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단말의 구조도.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단말의 기능 유닛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유닛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단말의 구조도.
우선 본 출원 실시예와 관련된 일부 개념과 일반적인 조작 방식에 대하여 간략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제5세대 이동 통신 기술(5th-Generation, 5G) 엔알(New Radio, NR)은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조직에서 최근에 제시한 하나의 과제이다. 차세대 5G 기술의 토론이 점차적으로 깊어짐에 따라, 일 방면으로, 통신 시스템은 역방향 호환되기 때문에, 후에 연구 개발된 새 기술은 이전에 이미 표준화된 기술을 호환하는 것이 추세이며; 다른 일 방면으로, 4G LTE 시스템에 이미 대량의 종래의 설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호환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5G의 아주 많은 유연성을 희생시켜야 하여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현재 3GPP 조직에서는 두 방향으로 병행 연구를 진행하는 바, 그 중에서 역방향 호환을 고려하지 않는 기술 토론 그룹을 5G NR이라 칭한다.
5G NR 시스템의 연구 과정에,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5G NR 시스템에서는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을 기반으로 하는 피드백과 재전송을 지원하기로 확정하였는 바, 그 중에서 하나의 코드 블록 그룹에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이 포함되고, 하나의 전송 블록에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 그룹이 포함된다. 수신단은 각 코드 블록 그룹에 대하여 피드백 응답 정보를 송신하고, 송신단은 단지 디코딩에 실패한 코드 블록 그룹 내의 코드 블록을 재전송하기만 하면 되고, 전체 전송 블록을 재전송할 필요가 없다.
비 CBG를 기반으로 하는 전송 모드에 대하여, 5G NR 시스템은 동적으로 ACK/NACK 피드백 정보의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수량을 확정하는 방법을 지원하기로 확정하였다. 해당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너무 많은 중복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단말이 코드 블록 그룹을 기반으로 하는(CBG-based) 전송 모드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만일 단말이 언제나 지원하는 최대 CBG 수량으로 ACK/NACK 피드백 정보의 피드백을 진행한다면, 실제로 스케줄링하는 데이터 량이 최대 CBG 수량보다 작을 때, 너무 많은 중복 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전송 효율을 낮춘다. CBG-based의 전송 모드에 있어서, 어떻게 동적으로 ACK/NACK 피드백 정보의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수량을 확정하는 것을 구현할 것인가 하는 것은 아직까지 명확한 방안이 없다.
상기 문제에 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에는, 단말이 우선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그리고 해당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그리고 단말이 해당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진일보로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길이를 확정하기 때문에,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예시의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이다. 해당 예시의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5G NR 시스템 및 기타 이러한 유형의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해당 예시의 통신 시스템에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이 포함되고,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사이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고, 해당 통신 연결 방식은 단일 연결 방식 또는 이중 연결 방식 또는 다중 연결 방식일 수 있으며, 통신 연결 방식이 단일 연결 방식일 때, 네트워크 장치는 LTE 기지국 또는 NR 기지국(또한 gNB 기지국이라 칭함)일 수 있고, 통신 연결 방식이 이중 연결 방식이고(구체적으로는 캐리어 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통하여 구현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 또한 단말이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될 때, 해당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는 주 기지국(MCG)과 보조 기지국(SCG)일 수 있고, 기지국 사이는 백홀(backhaul)을 통하여 데이터 백홀을 진행하며, 주 기지국은 LTE 기지국일 수 있고, 보조 기지국은 LTE 기지국일 수 있거나, 또는 주 기지국은 NR 기지국일 수 있고, 보조 기지국은 LTE 기지국일 수 있거나, 또는 주 기지국은 NR 기지국일 수 있고, 보조 기지국은 NR 기지국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명사 “네트워크와 “시스템”은 경상적으로 번갈아 사용되지만, 당업계 기술자들은 그 뜻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단말에는 무선 통신 기능의 구비된 여러 가지 핸드핼드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설비,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및 여러 가지 형식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위에 언급된 장치를 단말로 통칭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해당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201 부분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오는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그 중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 중의 상위 계층 신호일 수 있다.
202 부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한다.
그 중에서,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은 코드워드, 코드 블록 그룹 등 수량에 대응될 수 있다.
203 부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한다.
그 중에서, 단말은 확정된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 수신 복조의 조작을 완성한다. 해당 제1 정보 도메인은 실제 전송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한다. 해당 제1 정보 도메인은 예를 들면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일 수 있다.
204 부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한다.
그 중에서, 시간 유닛은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등 시간 도메인 전송 단위일 수 있다.
205 부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우선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그리고 해당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그리고 단말이 해당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진일보로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한다.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길이를 확정하기 때문에,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다운링크가 사용하는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다운링크가 사용하는 두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2로 확정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시에서,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을 통하여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이 해당 최대 코드워드 수량에 의하여 동적으로 확정되도록 하고, 이로써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이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8로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8로 확정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시에서,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하나의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을 통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이 해당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동적으로 확정되도록 하고, 이로써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의 합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이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3과 4로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7로 확정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시에서,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각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통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이 각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의 합에 의하여 동적으로 확정되도록 하고, 이로써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8로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8로 확정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시에서,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통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이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동적으로 확정되도록 하고, 이로써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 및/또는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 중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시에서,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 및/또는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 중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하여, 정확하게 피드백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확보하고, 나아가 정확하게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확보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N비트로 확정하는 바, N은 양정수이며; 및/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제3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M비트로 확정하는 바, M은 양정수인 것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N과 제1 역치 간의 관계는, 2N>=제1 역치일 수 있다.
M과 제2 역치 간의 관계는, 2M>=제3 역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역치가 4라고 가정하면, 단말이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N=4로 확정하며, 단말이 나아가 네트워크 구성을 수신하고, 하나의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8로 확정하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 제1 정보 도메인의 카운터(counter) DAI와 토털(total) DAI의 비트 길이를 각각 4비트로 확정하고, 단말은 제1 정보 도메인을 수신 복조하는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그 중에서, total DAI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counter DAI는 각 PDSCH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또 예를 들면, 단말이 네트워크 구성을 수신하고, 하나의 PDSCH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한 후, 하기 표 1의 대응 관계에 따라 각각 counter DAI 및/또는 total DAI 정보 도메인의 길이를 확정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을 수신 복조하는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그 중에서, total DAI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counter DAI는 각 PDSCH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제2 역치 제3 역치 M
1 2 2
3 5 3
6 8 4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의 디폴트값이 T비트인 바, T는 양정수이며;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N비트일 때, T는 N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M비트일 때, T는 M보다 작거나 같다.
예를 들면, 단말이 counter DAI와 total DAI 정보 도메인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동시키기 전, counter DAI와 total DAI 정도 도메인의 기본 길이는 각각 2비트이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시에서, 디폴트값은 초기 접속, 재구성 등 과정에 단말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의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이며; 상기 DAI에는 토털(total) DAI와 카운터(counter) DAI가 포함되며; 상기 total DAI는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총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상기 counter DAI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하게, 도 3를 참조하면,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해당 방법에는,
301 부분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며, 상기 최대 수량은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한다.
302 부분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송신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수신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우선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며, 해당 최대 수량은 단말이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는데 이용되고, 제1 정보 도메인은 단말이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데 이용되며;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이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송신하는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수신한다.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길이를 확정하기 때문에,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다운링크가 사용하는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확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이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이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의 합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구체적으로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 및/또는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 중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는 N비트이고, N은 양정수이며; 및/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제3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는 M비트이고, M은 양정수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의 디폴트값이 T비트인 바, T는 양정수이며;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N비트일 때, T는 N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M비트일 때, T는 M보다 작거나 같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의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DAI에는 토털(total) DAI와 카운터(counter) DAI가 포함되며;
상기 total DAI는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총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각 counter DAI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또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하게,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해당 방법에는,
401 부분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며, 상기 최대 수량은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한다.
402 부분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오는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403 부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한다.
404 부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한다.
405 부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한다.
406 부분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한다.
407 부분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송신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수신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길이를 확정하기 때문에,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일치하게,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에는 프로세서, 기억장치,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하기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바, 즉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오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우선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그리고 해당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그리고 단말이 해당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진일보로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한다.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길이를 확정하기 때문에,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다운링크가 사용하는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확정하며;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으로 확정한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한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의 합으로 확정한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 및/또는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 중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하기 조작을 실행하는 바, 즉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N비트로 확정하는 바, N은 양정수이며; 및/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제3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M비트로 확정하는 바, M은 양정수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의 디폴트값이 T비트인 바, T는 양정수이며;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N비트일 때, T는 N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M비트일 때, T는 M보다 작거나 같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의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DAI에는 토털(total) DAI와 카운터(counter) DAI가 포함되며; 상기 total DAI는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총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상기 counter DAI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상기 실시예와 일치하게,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 기억장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하기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바, 즉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며, 상기 최대 수량은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송신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수신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우선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며, 해당 최대 수량은 단말이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제1 정보 도메인은 단말이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이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송신하는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수신한다.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길이를 확정하기 때문에, 제1 정보 도메인 중의 중복 비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고, 더욱 효과적으로 동적으로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다운링크가 사용하는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이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이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의 합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구체적으로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 및/또는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 중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는 N비트이고, N은 양정수이며; 및/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제3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는 M비트이고, M은 양정수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의 디폴트값이 T비트인 바, T는 양정수이며;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N비트일 때, T는 N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M비트일 때, T는 M보다 작거나 같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의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DAI에는 토털(total) DAI와 카운터(counter) DAI가 포함되며;
상기 total DAI는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총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각 counter DAI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위에서는 주요하게 각 네트워크 요소 간의 상호작용의 각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였다.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 기능을 실행하는 상응한 하드웨어 구조와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였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본 출원을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어느 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확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방법 예시에 의하여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에 대하여 기능 유닛의 구분을 진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각 기능에 대응되게 각 기능 유닛을 구분할 수도 있고,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기능을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직접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모듈의 형식으로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유닛에 대한 구분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단지 한 가지 논리적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집적된 유닛을 사용하는 상황 하에서, 도 7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언급된 단말의 일 가능한 기능 유닛 조성 블록도를 표시한다. 단말(700)에는 처리 유닛(702)과 통신 유닛(703)이 포함된다. 처리 유닛(702)은 단말의 동작에 대하여 제어 관리를 진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처리 유닛(702)은 단말이 도 2 중의 202-205 단계, 도 4 중의 402-406 단계를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및/또는 본문에 언급된 기술의 기타 과정에 사용된다. 통신 유닛(703)은 단말과 기타 장치의 통신을 지원하는 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단말에는 또한 저장 유닛(701)이 포함되어, 단말의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처리 유닛(702)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entral Processing Unit, CPU),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하드웨어 부품 또는 기타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 공개된 내용을 참조하여 언급된 각 예시적 논리 블록, 모듈과 회로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계산 기능을 구현하는 조합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조합,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등이 포함된다. 통신 유닛(703)은 송수신기, 송수신 회로 등일 수 있고, 저장 유닛(701)은 기억장치일 수 있다.
그 중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상기 통신 유닛(703)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오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또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또한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또한 상기 통신 유닛(703)을 통하여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한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는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다운링크가 사용하는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확정하며;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으로 확정한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한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의 합으로 확정한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 및/또는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 중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는 방면에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N비트로 확정하는 바, N은 양정수이며; 및/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제3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M비트로 확정하는 바, M은 양정수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의 디폴트값이 T비트인 바, T는 양정수이며;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N비트일 때, T는 N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M비트일 때, T는 M보다 작거나 같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의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DAI에는 토털(total) DAI와 카운터(counter) DAI가 포함되며;
상기 total DAI는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총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상기 counter DAI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처리 유닛(702)이 프로세서, 통신 유닛(703)이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 유닛(701)이 기억장치일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단말은 도 5에 도시된 단말일 수 있다.
집적된 유닛을 사용하는 상황 하에서, 도 8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언급된 네트워크 장치의 일 가능한 기능 유닛 조성 블록도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장치(800)에는 처리 유닛(802)과 통신 유닛(803)이 포함된다. 처리 유닛(802)은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제어 관리를 진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처리 유닛(802)은 네트워크 장치가 도 3 중의 301 내지 302 단계, 도 4 중의 401, 407 단계를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및/또는 본문에 언급된 기술의 기타 과정에 사용된다. 통신 유닛(803)은 네트워크 장치와 기타 장치의 통신을 지원하는 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단말과의 통신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저장 유닛(801)이 포함되어, 네트워크 장치의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처리 유닛(802)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고, 통신 유닛(803)은 송수신기, 송수신 회로, 무선 주파수 칩 등일 수 있고, 저장 유닛(801)은 기억장치일 수 있다.
그 중에서, 상기 처리 유닛(802)은, 상기 통신 유닛(803)을 통하여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며, 상기 최대 수량은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또한 상기 통신 유닛(803)을 통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송신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수신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다운링크가 사용하는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이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이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의 합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구체적으로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 및/또는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 중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는 N비트이고, N은 양정수이며; 및/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제3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는 M비트이고, M은 양정수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의 디폴트값이 T비트인 바, T는 양정수이며;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N비트일 때, T는 N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M비트일 때, T는 M보다 작거나 같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의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이다.
일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DAI에는 토털(total) DAI와 카운터(counter) DAI가 포함되며;
상기 total DAI는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총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각 counter DAI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한다.
처리 유닛(8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유닛(803)이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저장 유닛(801)이 기억장치일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네트워크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다른 일 단말을 제공하는 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만 도시하고, 구체적인 기술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해당 단말은 핸드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정보 단말기), POS(Point of Sales, 판매 단말), 차량용 컴퓨터 등 임의의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이 핸드폰인 것을 예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과 관련된 핸드폰의 부분 구조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핸드폰에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910), 기억장치(920), 입력 유닛(930), 디스플레이 유닛(940), 센서(950), 오디오 회로(960),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모듈(970), 프로세서(980) 및 전원(990) 등 부품이 포함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도 9에 도시된 핸드폰 구조가 핸드폰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이 포함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아래 도 9를 참조하여 핸드폰의 각 구성 부품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RF 회로(910)는 정보의 수신과 송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RF 회로(910)에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소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듀플렉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RF 회로(910)는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어떠한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이든 사용가능한 바, 글로벌 이동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전자 메일, 단문자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억장치(92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980)는 기억장치(9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는 것을 통하여, 핸드폰의 여러 가지 기능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장치(920)에는 주요하게 프로그램 저장 구역과 데이터 저장 구역이 포함될 수 있고, 그 중에서, 프로그램 저장 구역에는 운영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구역에는 핸드폰의 사용에 따라 구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기억장치(920)에는 고속 무작위 접속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기억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기억 소자이다.
입력 유닛(930)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핸드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입력 유닛(930)에는 지문 식별 모듈(931) 및 기타 입력 장치(932)가 포함될 수 있다. 지문 식별 모듈(931)은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채집할 수 있다. 지문 식별 모듈(931) 외, 입력 유닛(930)에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932)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입력 장치(932)에는 터치스크린,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94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및 핸드폰의 여러 가지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940)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이 포함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서 지문 식별 모듈(931)과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핸드폰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였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지문 식별 모듈(931)과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을 집적시켜 핸드폰의 입력과 플레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핸드폰에는 또한 적어도 한 가지 센서(950)가 포함되는 바, 예를 들면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광 센서에는 환경 광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환경 광 센서는 환경 관성의 명암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핸드폰이 귀가에 가까와질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941) 및/또는 백라이트를 닫을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 상(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탐지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탐지할 수 있으며, 핸드폰 자세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가로/세로 스크린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조절),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를 들면 계보기, 두드림)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핸드픈에 또 포함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 기타 센서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오디오 회로(960), 스피커(961), 마이크(962)는 사용자와 핸드폰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96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전환 후의 전기 신호를 스피커(961)로 전송할 수 있고, 스피커(961)가 소리 신호로 전환시켜 플레이하며; 다른 일 방면으로, 마이크(962)가 수집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시키고, 오디오 회로(960)가 수신한 후 오디오 데이터로 전환시키며, 이어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서(980)로 방송하여 처리한 후, RF 회로(910)를 거쳐 예를 들면 다른 하나의 핸드폰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장치(920)로 방송하여 진일보 처리하도록 한다.
WiFi는 근거리 무선 전송 기술에 속하는 바, 핸드폰은 WiFi 모듈(970)을 통하여 사용자를 도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페이지에 접속하며, 스트림 미디어를 방문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무선의 광대역 인터넷 방문을 제공한다. 비록 도 9에서 WiFi 모듈(970)을 도시하기는 하였지만, 하지만 이는 핸드폰에 반드시 필요한 구조에 속하지 않고, 완전히 수요에 의하여 발명의 본질을 개변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세서(980)은 핸드폰의 제어 센터로서,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와 선로를 이용하여 전체 핸드폰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기억장치(92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작동 또는 실행하며, 기억장치(92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하여, 핸드폰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핸드폰에 대하여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80)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8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98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핸드폰에는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990)(예를 들면 배터리)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980)와 록직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기는 하였지만, 핸드폰에는 또한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단계 방법 중의 단말 측의 과정은 해당 핸드폰의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도 5,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유닛 기능은 해당 핸드폰의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와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와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과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와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프로세서가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은 상응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전기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이동 하드디스크, 시디롬(CD-ROM) 또는 기술분야 내에 공지된 임의의 기타 형식의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저장 매체가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서가 해당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어 들이고, 또한 해당 저장 매체로 정보를 쓰게 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또한 프로세서의 구성 부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ASIC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목표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또한 분리 모듈로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 목표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기능은 전부 또는 일부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때, 전부 또는 일부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명령이 포함된다. 컴퓨터 상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로딩 및 실행할 때, 전부 또는 일부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과정 또는 기능을 생성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컴퓨터 명령은 하나의 컴퓨터 스테이션,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컴퓨터 스테이션,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가능한 매체 집적체를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하드웨어, 자기 테이프), 광 매체(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과 유익한 효과에 대하여 진일보의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는 하였지만, 상기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지나지 않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바탕으로 진행한 어떠한 수정,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6)

  1.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오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다운링크가 사용하는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의 합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 및/또는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 중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N비트로 확정하는 바, N은 양정수이며; 및/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제3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M비트로 확정하는 바, M은 양정수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의 디폴트값이 T비트인 바, T는 양정수이며;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N비트일 때, T는 N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M비트일 때, T는 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의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AI에는 토털(total) DAI와 카운터(counter) DAI가 포함되며;
    상기 total DAI는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총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상기 counter DAI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1.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며, 상기 최대 수량은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송신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다운링크가 사용하는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확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 하의 최대 코드워드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단일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다중 코드워드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각 전송 블록 중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의 합으로 확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고, 및 상기 하나의 물리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포함된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수량으로 확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구체적으로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비트 길이 및/또는 각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 중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는 N비트이고, N은 양정수이며; 및/또는
    만일 상기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이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제3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는 M비트이고, M은 양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의 디폴트값이 T비트인 바, T는 양정수이며;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N비트일 때, T는 N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가 M비트일 때, T는 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의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AI에는 토털(total) DAI와 카운터(counter) DAI가 포함되며;
    상기 total DAI는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의 총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상기 counter DAI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에서의 비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21. 단말로서,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오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및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며; 및 상기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에 의하여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며; 및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의하여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네트워크 장치로서,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하나의 물리 공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응답 정보의 최대 수량을 확정하도록 하며, 상기 최대 수량은 제1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목표 시간 유닛 중의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확정하며;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목표 시간 유닛 중에서 송신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피드백 응답 정보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3. 단말로서,
    프로세서, 기억장치,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네트워크 장치로서,
    프로세서, 기억장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제11항 내지 제20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5.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1항 내지 제20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09830A 2017-10-26 2017-10-26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KR20200070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9426A KR20230088519A (ko) 2017-10-26 2017-10-26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7873 WO2019080059A1 (zh) 2017-10-26 2017-10-26 反馈应答信息传输方法及相关产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426A Division KR20230088519A (ko) 2017-10-26 2017-10-26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239A true KR20200070239A (ko) 2020-06-17

Family

ID=658643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426A KR20230088519A (ko) 2017-10-26 2017-10-26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KR1020207009830A KR20200070239A (ko) 2017-10-26 2017-10-26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426A KR20230088519A (ko) 2017-10-26 2017-10-26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438108B2 (ko)
EP (2) EP3985904A1 (ko)
JP (1) JP7201676B2 (ko)
KR (2) KR20230088519A (ko)
CN (2) CN113037438A (ko)
AU (1) AU2017436757A1 (ko)
BR (1) BR112020006090A2 (ko)
CA (1) CA3074328C (ko)
ES (1) ES2908953T3 (ko)
MX (1) MX2020003148A (ko)
RU (1) RU2745791C1 (ko)
SG (1) SG11202001734XA (ko)
WO (1) WO2019080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2394B (zh) * 2019-04-30 2023-05-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反馈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
CN110505042B (zh) * 2019-08-16 2022-03-22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对上行数据harq反馈方法和设备
CN112584531B (zh) * 2019-09-30 2022-12-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控制方法、控制设备及用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3617B (zh) 2010-05-31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控制信息在物理上行共享信道上的发送方法及装置
AU2011303345B2 (en) * 2010-09-16 2015-08-13 Sun Patent Trust Terminal device and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KR101975851B1 (ko) * 2011-05-31 201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Ack/nack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CN103188061B (zh) 2011-12-31 2017-1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应答信息的发送方法和装置
CN104253677A (zh) * 2013-06-25 2014-12-3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处理上行传输的方法和设备
JP2018101823A (ja) * 2015-04-28 2018-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6182387A1 (en) 2015-05-14 2016-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hared band, and device therefor
US9717079B2 (en) * 2015-07-14 2017-07-2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esource assignment
CN108289015B (zh) * 2017-01-09 2023-04-0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发送harq-ack/nack的方法和设备及下行传输方法和设备
CN110546903B (zh) * 2017-06-16 2022-05-10 富士通株式会社 反馈信息的发送和接收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WO2019033384A1 (en) 2017-08-18 2019-02-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AND METHOD OF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5373A (zh) 2019-04-02
WO2019080059A1 (zh) 2019-05-02
BR112020006090A2 (pt) 2020-09-29
ES2908953T3 (es) 2022-05-04
SG11202001734XA (en) 2020-05-28
JP2021503197A (ja) 2021-02-04
KR20230088519A (ko) 2023-06-19
JP7201676B2 (ja) 2023-01-10
EP3503448B1 (en) 2022-02-09
AU2017436757A1 (en) 2020-03-12
CA3074328C (en) 2022-09-27
MX2020003148A (es) 2020-10-01
RU2745791C1 (ru) 2021-04-01
CN109565373B (zh) 2021-02-26
CN113037438A (zh) 2021-06-25
US11438108B2 (en) 2022-09-06
EP3985904A1 (en) 2022-04-20
EP3503448A1 (en) 2019-06-26
CA3074328A1 (en) 2019-05-02
US20210328729A1 (en) 2021-10-21
EP3503448A4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13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US1111517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length of feedback response information and related product
JP7029474B2 (ja) データ指示方法及び関連製品
KR20200070239A (ko) 피드백 응답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TWI759471B (zh) 數據重傳控制方法及相關產品
CN109964432B (zh) 多比特信息复用传输方法及相关产品
US20200178214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2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609

Effective date: 2024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