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495A -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495A
KR20200069495A KR1020180156597A KR20180156597A KR20200069495A KR 20200069495 A KR20200069495 A KR 20200069495A KR 1020180156597 A KR1020180156597 A KR 1020180156597A KR 20180156597 A KR20180156597 A KR 20180156597A KR 20200069495 A KR20200069495 A KR 2020006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rod
stirring
ground
rod 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관권
Original Assignee
송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관권 filed Critical 송관권
Priority to KR102018015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9495A/ko
Publication of KR2020006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by placing or applying sealing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는, 천공직경이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상호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 제2 및 제3 교반 롯드를 구비하는 교반 롯드 조립체;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조립체 가이드 리더; 상기 제1 및 제3 교반 롯드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된 상기 제2 교반 롯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교반 롯드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교반 롯드 배치방향 및 교반 롯드의 회전축에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출력축을 포함하는 회전운동 변환부; 및 상기 회전운동 변환부의 회전 출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확장 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utoff Sheathing Wall}
본 발명은,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체 두께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의 건축, 토목공사에 있어서의 연속 토류벽 시공이나 연약 점성토 지반에 가로 널말뚝을 끼울 때에 배면상의 안정 및 지수 목적으로 차수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SCW(Soil Cement Wall) 공법이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이와 유사한 DCM(Deep Cement Method) 공법 등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법들은 단축에서 최대 6축까지의(통상적으로는 3축) 오거(auger), 즉 교반 롯드를 사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동시에 교반 롯드 내부를 통하여 물이나 시멘트 밀크 등의 재료를 천공부에 주입하여 천공시에 발생된 토사와 혼합하고 양생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하는 것을 기본 뼈대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공법들은 저소음, 저진동 시공이 가능하고, 일반 토사층이나 점성토로 이루어진 지반에 시공하였을 때 차수 효과 또한 상당히 양호하며, 천공시에 발생된 토사를 골재로 활용함으로써 이토 배출이 적어 경제적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리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SCW 공법 등에 따른 교반 롯드 말단부 구성과 그에 의한 차수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SCW 공법 등에서 사용되는 교반 롯드(10)의 교반 날개는 그 회전구역(천공영역)이 인접한 교반 롯드(10) 간에 상호 겹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각 교반 롯드(10)에 의해 형성되는 천공홀(초기 시공단계) 또는 벽체부(완성단계)가 인접한 교반 롯드(10)에 의해 형성되는 천공홀 또는 벽체부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비록 벽체부가 연속적인 일체의 구조물로 형성된다고는 하지만 벽체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므로 벽체에 가해지는 응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벽체의 취약 부분, 즉 시공당시 인접한 교반 롯드(10)가 상호 겹치는 부위로서 벽체가 얇게 형성되는 부분이 파손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인접된 교반 롯드(10)가 상호 겹치는 부위는 좁은 유로 형성으로 인해 시멘트 밀크 등의 주입재료가 충실하게 채워지지 못하거나 충분히 교반되지 못할 우려도 있고, 이로 인해 누수층이 발생할 우려도 없지 않은 바, 이러한 취약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3434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2904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5990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00779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 두께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반 롯드가 상호 겹치는 부위에서도 시멘트 밀크 등의 주입재료가 토사와 충분히 교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수층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천공직경이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상호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 제2 및 제3 교반 롯드를 구비하는 교반 롯드 조립체;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조립체 가이드 리더; 상기 제1 및 제3 교반 롯드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된 상기 제2 교반 롯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교반 롯드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교반 롯드 배치방향 및 교반 롯드의 회전축에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출력축을 포함하는 회전운동 변환부; 및 상기 회전운동 변환부의 회전 출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확장 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확장 천공부는, 인접한 교반 롯드 사이의 축간거리에 대응하는 회전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출력축은 상기 제2 교반 롯드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확장 천공부는 상기 제2 교반 롯드의 상기 양측에서 각각 상기 회전 출력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운동 변환부는 다수의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립체 가이드 리더를 지지하는 자주식(自走式) 지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와 연결된 플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트는,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재료가 투입되는 싸일로; 재료가 믹싱되는 믹싱 플랜트; 아지테이터; 및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및 플랜트 등의 장비를 이동시켜 시공 위치에 배치하고 조립하는 장비 이동 및 조립 단계; 천공 깊이에 맞춰 조립체 가이드 리더를 조립한 후, 조립된 상기 조립체 가이드 리더에 교반 롯드 조립체를 조립하는 리더 조립 및 조립체 장착 단계;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하향 이동해서 지반을 천공하는 동시에 천공에 의해 발생된 토사를 교반하는 제1 교반 단계; 천공이 완료된 후에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의 하향 이동을 정지시킨 후, 천공홀에 주입재료를 투입하여 상기 토사와 함께 교반하는 제2 교반 단계;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상향 이동하는 동시에 하향 교반을 실시하는 제3 교반 단계; 및 교반 롯드 조립체를 천공홀에서 제거한 다음 양생하고 마감하는 양생 및 마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1 교반 단계에서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통해 에어, 물 및 시멘트 밀크를 상기 천공홀 내로 압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교반 단계에서 상기 주입재료는 에어, 시멘트 밀크, 혼화재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재료는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천공홀 내로 압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교반 단계 또는 상기 제3 교반 단계 시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상기 천공홀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천공홀 내에 보강재를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SCW 공법 등과 비교하여 교반 롯드가 상호 겹치는 좁은 부위에서도 시멘트 밀크 등의 주입재료와 토사와의 교반이 충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벽체 두께의 균일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벽체 취약 부분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SCW 공법 등에 따른 교반 롯드 말단부 구성과 그에 의한 차수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교반 롯드 말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확장 천공부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교반 롯드 말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확장 천공부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3c는 확장 천공부에 따른 천공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중에서 플랜트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흙막이 차수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의 구성도, 도 3a는 도 2의 교반 롯드 말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확장 천공부의 부분 확대 정면도, 도 3b는 도 2의 교반 롯드 말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확장 천공부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3c는 확장 천공부에 따른 천공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중에서 플랜트의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종래에 SCW 공법 등과 비교하여 교반 롯드가 상호 겹치는 좁은 부위에서도 시멘트 밀크 등의 주입재료와 토사와의 교반이 충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벽체 두께의 균일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벽체 취약 부분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는 상호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 제2 및 제3 교반 롯드(110~130)로 구성된 교반 롯드 조립체(100)와, 교반 롯드 조립체(100)를 지지하는 동시에 교반 롯드 조립체(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조립체 가이드 리더(1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체 가이드 리더(140)는 크레인 등의 자주식(自走式) 지지장치(14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시공현장에서 다수의 흙막이벽 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교반 롯드(110~130)는 천공직경이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일렬로 배치된다.
3개의 제1 내지 제3 교반 롯드(110~130) 중 가운데에 위치한 제2 교반 롯드(120)에는 회전운동 변환부(122)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내지 제3 교반 롯드(110~130)에 역회전 날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주자재 배토를 줄이고 슬라임 및 폐기물 저감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운동 변환부(122)는 제2 교반 롯드(120)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이와 같은 제2 교반 롯드(1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출력축(123)을 포함한다.
회전 출력축(123)에는 인접한 교반 롯드(110~130) 사이의 폭이 좁은 천공부(종래 기술에 따를 때)를 확장하여 천공하는 확장 천공부(124)가 결합된다. 확장 천공부(124)에 따른 천공홀(125)의 형상이 도 3c에 도시되었다.
제1 및 제3 교반 롯드(110,130) 양측으로 고르게 확장 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 출력축(123)은 제1 내지 제3 교반 롯드(110~130)가 이루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출력축(123) 및 확장 천공부(124)는 제2 교반 롯드(120)의 앞뒤 양측에 모두 배치됨으로써 앞뒤쪽 모두에 대하여 확장 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확장 천공부(124)는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결과적인 확장 천공 영역이 인접한 교반 롯드(110~130) 사이의 축간거리만큼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형의 확장 천공부(124)의 경우 인접한 교반 롯드(110~130) 사이의 축간거리에 대응하는 회전반경을 갖도록 하여야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할 것이다.
회전운동 변환부(122)는 제2 교반 롯드(120)의 수직축 중심 회전운동을 회전 출력축(123)의 수평축 중심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기구적 장치이다. 예를 들어 베벨기어의 조합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게 이러한 회전운동 변환부(122)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는, 천공홀, 예컨대 도 3c와 같은 확장 천공홀(125) 내에 시멘트 밀크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교반 롯드 조립체(100)와 연결되는 플랜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트(150)는 발전기(151), 콤프레셔(152), 물탱크(153), 싸일로(154), 믹싱 플랜트(155), 아지테이터(156), 펌프(158) 등을 포함한다. 플랜트(150)는 필요에 따라 혼화재(159) 및 혼화재용 믹서기(15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인 흙막이 차수벽체 시공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시공방법의 순서도, 그리고 도 6 내지 도 11은 흙막이 차수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시공방법은 장비 이동 및 조립 단계(S11), 리더 조립 및 조립체 장착 단계(S12), 제1 교반 단계(S13), 제2 교반 단계(S14), 제3 교반 단계(S15), 그리고 양생 및 마감 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 이동 및 조립 단계(S11)는 도 6처럼 위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예 따른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및 플랜트(150) 등의 장비를 이동시켜 시공 위치에 배치하고 조립하는 공정이다.
리더 조립 및 조립체 장착 단계(S12)는 도 6처럼 천공 깊이에 맞춰 조립체 가이드 리더(140)를 조립한 후, 조립된 조립체 가이드 리더(140)에 교반 롯드 조립체(100)를 조립하는 공정이다.
조립체 가이드 리더(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 등에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교반 단계(S13)는 도 7 및 도 8처럼 교반 롯드 조립체(100)를 하향 이동해서 지반을 천공하는 동시에 천공에 의해 발생된 토사를 교반하는 공정이다.
제1 교반 단계(S13)는 벽체 형성을 위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단계이며, 동시에 천공에 의해 발생된 토사를 교반함으로써 다음 단계를 준비한다.
제1 교반 단계(S13)에서는 토사만을 교반하는 것이 아니며, 에어, 물, 벤토나이트, 시멘트 밀크 등을 천공홀(125) 내로 압송하여 1차적으로 토사와 교반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때, 벤토나이트 등의 압송은 교반 롯드 조립체(100)를 통하여 이루어질수 있다. 즉, 플랜트(150)로부터 중공의 교반 롯드(110~130) 내부를 통하여 벤토나이트 등을 이송하고 이를 교반 롯드(110~130) 말단부를 통하여 천공홀(125) 내로 압송할 수 있다.
제2 교반 단계(S14)는 도 9처럼 천공이 완료된 후에 교반 롯드 조립체(100)의 하향 이동을 정지시킨 후, 천공홀(125)에 주입재료를 투입하여 토사와 함께 교반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주입재료로서 혼화제, 혼화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약품일 경우에는 소량 주입하고, 몰탈같은 주재료 주입인 경우에는 대량 주입할 수 있다.
제2 교반 단계(S14)는 벽체 형성을 위한 토사와 시멘트 밀크 등의 본격적인 교반 단계로서, 에어, 시멘트 밀크, 혼화재 등의 주입재료를 교반 롯드(110~130) 내부를 통하여 플랜트(150)로부터 천공홀(125) 내로 압송하는 단계이다.
토질이나 지반 상태에 따라 모래나 기타 재료를 추가로 더 투입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제3 교반 단계(S15)는 도 10처럼 교반 롯드 조립체(100)를 상향 이동하는 동시에 하향 교반을 실시하는 공정이다.
제3 교반 단계(S15)는 교반 롯드 조립체(100)를 인상, 즉 상향 이동하면서 하향교반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아래쪽부터 위쪽으로 순차적으로 주입재료와 토사의 교반을 재차 점검하는 동시에 마무리한다.
양생 및 마감 단계(S16)는 도 11처럼 교반 롯드 조립체(100)를 천공홀(125)에서 제거한 다음 양생하고 마감하는 공정이다.
즉 제3 교반 단계(S15)가 완료되면 교반 롯드 조립체(100)를 천공홀(125)에서 제거하고 주입재료를 양생한 후 마감을 실시한다.
필요에 따라, 교반 롯드 조립체(100)를 천공홀(125)에서 제거한 후에 천공홀(125) 내에 H 빔 등의 보강재(미도시)를 투입하여 벽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SCW 공법 등과 비교하여 교반 롯드가 상호 겹치는 좁은 부위에서도 시멘트 밀크 등의 주입재료와 토사와의 교반이 충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벽체 두께의 균일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벽체 취약 부분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교반 롯드 조립체 110 : 제1 교반 롯드
120 : 제2 교반 롯드 122 : 회전운동 변환부
123 : 회전 출력축 124 : 확장 천공부
125 : 천공홀 130 : 제3 교반 롯드
140 : 조립체 가이드 리더 142 : 자주식 지지장치
150 : 플랜트

Claims (11)

  1. 천공직경이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상호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 제2 및 제3 교반 롯드를 구비하는 교반 롯드 조립체;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조립체 가이드 리더;
    상기 제1 및 제3 교반 롯드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된 상기 제2 교반 롯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교반 롯드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교반 롯드 배치방향 및 교반 롯드의 회전축에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출력축을 포함하는 회전운동 변환부; 및
    상기 회전운동 변환부의 회전 출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확장 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천공부는, 인접한 교반 롯드 사이의 축간거리에 대응하는 회전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출력축은 상기 제2 교반 롯드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확장 천공부는 상기 제2 교반 롯드의 상기 양측에서 각각 상기 회전 출력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변환부는 다수의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 가이드 리더를 지지하는 자주식(自走式)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와 연결된 플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재료가 투입되는 싸일로;
    재료가 믹싱되는 믹싱 플랜트;
    아지테이터; 및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장치 및 플랜트 등의 장비를 이동시켜 시공 위치에 배치하고 조립하는 장비 이동 및 조립 단계;
    천공 깊이에 맞춰 조립체 가이드 리더를 조립한 후, 조립된 상기 조립체 가이드 리더에 교반 롯드 조립체를 조립하는 리더 조립 및 조립체 장착 단계;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하향 이동해서 지반을 천공하는 동시에 천공에 의해 발생된 토사를 교반하는 제1 교반 단계;
    천공이 완료된 후에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의 하향 이동을 정지시킨 후, 천공홀에 주입재료를 투입하여 상기 토사와 함께 교반하는 제2 교반 단계;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상향 이동하는 동시에 하향 교반을 실시하는 제3 교반 단계; 및
    교반 롯드 조립체를 천공홀에서 제거한 다음 양생하고 마감하는 양생 및 마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 단계에서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통해 에어, 물 및 시멘트 밀크를 상기 천공홀 내로 압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반 단계에서 상기 주입재료는 에어, 시멘트 밀크, 혼화재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재료는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천공홀 내로 압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반 단계 또는 상기 제3 교반 단계 시
    상기 교반 롯드 조립체를 상기 천공홀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천공홀 내에 보강재를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KR1020180156597A 2018-12-07 2018-12-07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KR20200069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97A KR20200069495A (ko) 2018-12-07 2018-12-07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97A KR20200069495A (ko) 2018-12-07 2018-12-07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495A true KR20200069495A (ko) 2020-06-17

Family

ID=7140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597A KR20200069495A (ko) 2018-12-07 2018-12-07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94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6763A (zh) * 2021-03-24 2021-06-25 中铁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软塑状地质槽壁加固方法
KR102318604B1 (ko) 2021-01-07 2021-10-29 주식회사 예승종합기술공사 개량체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심층혼합처리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4342A (ko) 1994-04-28 1995-12-28 롤프 코우신 스위칭가능 회로차단기
KR20030029042A (ko) 2000-03-17 2003-04-11 에니켐 에스.피.에이. 방향족 우레탄의 연속 합성법
KR20110059907A (ko) 2008-09-29 2011-06-07 바스프 에스이 종이의 코팅 방법
KR20150007791A (ko) 2013-07-12 2015-01-21 케이아이에스정보통신 주식회사 개인정보 보호가 가능한 제휴카드 할인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4342A (ko) 1994-04-28 1995-12-28 롤프 코우신 스위칭가능 회로차단기
KR20030029042A (ko) 2000-03-17 2003-04-11 에니켐 에스.피.에이. 방향족 우레탄의 연속 합성법
KR20110059907A (ko) 2008-09-29 2011-06-07 바스프 에스이 종이의 코팅 방법
KR20150007791A (ko) 2013-07-12 2015-01-21 케이아이에스정보통신 주식회사 개인정보 보호가 가능한 제휴카드 할인 결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604B1 (ko) 2021-01-07 2021-10-29 주식회사 예승종합기술공사 개량체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심층혼합처리공법
CN113026763A (zh) * 2021-03-24 2021-06-25 中铁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软塑状地质槽壁加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723B1 (ko) 복합형 지반개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KR20200069495A (ko) 흙막이 차수벽체 및 지반보강, 지반개량 시공방법
KR101824049B1 (ko) 지반개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KR101441929B1 (ko) 복합 파일을 형성하는 기초 공법
JP2019039140A (ja) 地盤改良体の造成方法および杭の施工方法
JP6076383B2 (ja) 地盤改良杭の施工方法、及び地盤改良杭の施工装置
JP4236119B2 (ja) 山留め壁の構築工法
KR20110035515A (ko) 교반날개와 노즐이 구비된 오거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강화 시공방법
JP6730121B2 (ja) 地中壁の施工法
JP2011012443A (ja) ソイルセメント構造体の構築方法、ソイルセメント構造体
KR101511653B1 (ko) 역회전 교반장치와 이를 이용한 고강도 심층혼합처리 및 가설흙막이 벽체 형성공법
JPH09273150A (ja) 地中連続壁の構築工法
JPH09317373A (ja) 立坑構築工法
KR101756639B1 (ko) 말뚝기초 시공방법
JP2010209547A (ja) 壁杭及び壁杭の造成工法
KR102260596B1 (ko) 지반 강화용 팽이 기초파일의 현장 시공방법
KR102189669B1 (ko) 복합노즐을 포함하는 지반 확대굴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확대굴착 시공방법
KR101069031B1 (ko) 지반 개량용 굴착교반장치
KR20160109395A (ko) Sem 굴착용 교반 로드 및 이를 이용한 sem 굴착 교반 혼합 장치
JP3210800U (ja) 柱状改良体
JP2006118215A (ja) 拡頭杭の施工方法
JP2008127863A (ja) 繊維補強セメント系地盤改良工法
JPH018587Y2 (ko)
CN115467375A (zh) 布置在支护结构与现有建筑之间的隔振结构的施工方法
KR20160130539A (ko) 연약지반 개량용 1축 천공 교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9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807

Effective date: 2021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