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467A -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 Google Patents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467A
KR20200069467A KR1020180156524A KR20180156524A KR20200069467A KR 20200069467 A KR20200069467 A KR 20200069467A KR 1020180156524 A KR1020180156524 A KR 1020180156524A KR 20180156524 A KR20180156524 A KR 20180156524A KR 20200069467 A KR20200069467 A KR 20200069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isplay
screen
face
civil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340B1 (ko
Inventor
박경이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3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015Arrangements for entertainment or communications, e.g. radio, television
    • B64D11/00153Monitors mounted on or in the seat other than the seat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46Seat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stationary arms, foot or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좌석, 좌석의 상측 전방에 구비되며, 곡면으로 구성되는 스크린, 승객의 얼굴각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및 인식된 얼굴각도에 따라 곡면 상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은 착석한 승객의 얼굴각도를 인식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영상을 시청하면서 자세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SEATING FOR CIVIL AIRCRAFT WITH FACE RECOGNITION AND DISPLAY}
본 발명은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이 착석한 상태에서 운용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 착석하여 이동하는 민항기에는 승객의 편의를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다. 민항기의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좌석의 클래스별로 다른 위치에 구별되며, 공간이 좁은 이코노미 석에는 앞 좌석의 뒷면에 구비되며, 공간이 비교적 넓은 비즈니스 석 또는 퍼스트 클래스 석에는 좌석과 별도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민항기의 승객용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조절되거나 또는 손으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위치조절이 이루어지며, 별도의 위치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민항기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좌석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2416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기술은 승객의 자세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영상 표시위치가 조절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시 승객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2416호(2001.10.24.공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민항기용 좌석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좌석, 좌석의 상측 전방에 구비되며, 곡면으로 구성되는 스크린, 승객의 얼굴각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및 인식된 얼굴각도에 따라 곡면 상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은 사용자의 머리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린은 좌석의 양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피벗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산부는 얼굴각도에 따라 스크린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좌우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좌석은 승객의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헤드레스트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연산부는 얼굴각도에 따라 한 쌍의 스키퍼의 출력을 각각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은 착석한 승객의 얼굴각도를 인식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영상을 시청하면서 자세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의 평면도이다.
도 4은 얼굴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사용시와 보관시의 모습이 나타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얼굴방향에 따라 작동되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1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10)은 센서부(140), 스크린(130) 및 연산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좌석(10)에 착석된 승객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연산부(160)는 센서부(140)로부터 좌석(10)에 착석된 승객의 얼굴각도를 추출하며 스크린(13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1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디스플레이부(100)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10)은 좌석(10) 및 디스플레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석(10)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00)와 좌석(10)의 양측면에서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좌석(10)에는 사용자의 머리(20)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1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00)와 연동되는 연산부(1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차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얼굴각도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프레임(110), 연결부(120), 스크린(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중심부분에 스크린(130)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서브 프레임(111) 및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111)은 곡선으로 형성된 한 쌍의 부분과 이 두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연결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112)는 서브 프레임(111)의 양측의 일 지점에서 좌석(10)과의 연결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2)는 미사용시의 배치위치를 고려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 예로 서브 프레임(111)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의 사용시 착석한 승객의 얼굴각도가 달라지는 방향을 고려하여 소정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연장부(112)는 서브 프레임(111)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하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연장부(112)의 일측과 좌석(1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부(120)는 연장부(112)가 회전가능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부(120)는 디스플레이부(100)가 사용위치 및 보관위치에서 의도치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회전마찰력을 제공하면서 연장부(112)와 좌석(1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100)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 범위내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130)은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130)은 곡면형 스크린(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130)은 좌우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방향이 좌우로 전환되더라도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한 위치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크린(130)은 승객이 착석한 상태에서 화면제공을 목적으로 하므로 좌우방향으로 최대 180도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좌석(10)상에서 측면으로 돌아 앉은 상태에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스크린(130)은 전술한 서브 프레임(111)에 마련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브 프레임(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130)은 일 예로 LCD, OLED 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크린(130)은 플렉서블하게 구성되어, 일측이 프레임(110)과 고정되며, 타측은 돌돌 말아 보관시에 볼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좌석(10)에는 별도의 적재부가 마련되어 보관시에는 적재부에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사용자의 얼굴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서부(140)는 프레임(110)상에 구비되며, 적어도 한 쌍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는 프레임(110)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바라보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격된 각도에서 사용자의 얼굴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동기화되어 동일한 순간에 두 지점에서 얼굴을 바라본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영상을 연산부(160)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연산부(160)에서는 이를 분석하여 얼굴의 각도를 산출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부(140)는 프레임(110) 내부를 통하여 연산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산부(160)(미도시)는 센서부(14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스크린(130)에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얼굴의 각도는 승객의 머리(20)와 몸통을 따라 가로지르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좌우방향의 각도를 뜻한다. 연산부(160)는 획득되는 두 개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각도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콘트라스트 값을 이용하여 두 개의 안구의 위치를 파악하며, 안구의 위치차이를 이용한 각도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안구를 인식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안구의 면적차이를 계산하여 얼굴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얼굴의 각도 추출방법은 일 예일 뿐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어 얼굴각도가 추출될 수 있다.
연산부(160)는 추출된 얼굴각도를 근거로 스크린(130)상에 표시되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산부(160)에서는 실시간으로 화면의 영상을 전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무리한 집중을 요구하는 일이 될 수 있으므로 소정 시간간격을 두어 화면의 위치가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가 달라진 후 1초 내지 5초동안 얼굴의 방향이 유지되는 경우 화면을 전환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연산부(160)는 각각의 좌석(10)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착석된 승객의 얼굴각도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연산부(160)는 하나의 호스트로서 기능하여 복수의 좌석(1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위치를 제어하도록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4은 얼굴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좌측으로 얼굴방향이 달라진 것을 인식한 경우(①) 화면 표시영역(131)을 스크린(130)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얼굴방향이 정면을 향하는 경우(②) 화면 표시영역(131)을 스크린(130) 상에서 중간부분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얼굴방향이 우측으로 달라진 경우(③) 화면 표시영역(131)을 스크린(130)상에서 우측 부분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사용시와 보관시의 모습이 나타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는 좌석(10)과 연결되어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얼굴을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서 감사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120)를 중심으로 피벗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00)의 보관시에는 상측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뒷자석 승객의 움직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헤드레스트(11)의 상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객의 움직임과의 간섭을 최소화 하는 형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서브 프레임(111)과 연장부(112)간 피벗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보관시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10)은 헤드레스트(11)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스피커(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피커(150)는 헤드레스트(11)로부터 양측에서 전방 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피커(150)는 연산부(160)와 연결되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얼굴방향에 따라 작동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연산부(160)에서 사용자의 얼굴각도에 따라 영상 표시영역의 조절 및 스피커(150)의 출력조절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사용자의 양측 귀와 스피커(150)와의 거리는 대체로 사용자의 얼굴각도에 의존하게 되므로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얼굴각도에 따라 양측 스피커(150)의 출력을 각각 조절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20) 자세에 따라 음향이 왜곡되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도 7(a)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각도가 좌측을 향하는 경우 왼쪽 귀가 오른쪽 귀보다 스피커(150)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좌측 스피커(150)의 출력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우측의 스피커(150)의 출력을 높인다. 반대로 도 7(b)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각도가 우측을 향하는 경우 우측 스피커(150)의 출력을 줄이고 좌측 스피커(150)의 출력은 높여 음향 왜곡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은 착석한 승객의 얼굴각도를 인식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영상을 시청하면서 자세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별도의 장치를 작용하지 않고 영상표시 및 음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부
110: 프레임
120: 연결부
130: 스크린
131: 화면 표시영역
140: 센서
150: 스피커
160: 연산부
10: 좌석
11: 헤드레스트
20: 머리

Claims (6)

  1. 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좌석;
    상기 좌석의 상측 전방에 구비되며, 곡면으로 구성되는 스크린;
    상기 승객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얼굴각도를 인식하며, 상기 얼굴각도에 따라 상기 곡면 상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사용자의 머리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좌석의 양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피벗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얼굴각도에 따라 상기 스크린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승객의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얼굴각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키퍼의 출력을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KR1020180156524A 2018-12-07 2018-12-07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KR10217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24A KR102179340B1 (ko) 2018-12-07 2018-12-07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24A KR102179340B1 (ko) 2018-12-07 2018-12-07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467A true KR20200069467A (ko) 2020-06-17
KR102179340B1 KR102179340B1 (ko) 2020-11-16

Family

ID=7140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524A KR102179340B1 (ko) 2018-12-07 2018-12-07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3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416A (ko) 1998-10-15 2001-10-24 추후보정 좌석 장치
KR200369681Y1 (ko) * 2004-09-09 2004-12-20 차상안 비가상현실 몰입도 증강장치
KR20080092028A (ko) * 2007-04-10 2008-10-15 서준영 컴퓨터 내장형 의자
KR20090053464A (ko) * 2007-11-23 200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39297A (ko) * 2015-05-27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42742A (ko) * 2016-10-18 2018-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80128767A (ko) *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모아텍 가상증강현실 영상기기가 장착된 헤드레스트 및 이를 갖는 좌석 시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416A (ko) 1998-10-15 2001-10-24 추후보정 좌석 장치
KR200369681Y1 (ko) * 2004-09-09 2004-12-20 차상안 비가상현실 몰입도 증강장치
KR20080092028A (ko) * 2007-04-10 2008-10-15 서준영 컴퓨터 내장형 의자
KR20090053464A (ko) * 2007-11-23 200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39297A (ko) * 2015-05-27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42742A (ko) * 2016-10-18 2018-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80128767A (ko) *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모아텍 가상증강현실 영상기기가 장착된 헤드레스트 및 이를 갖는 좌석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340B1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3412A1 (en) Control method, control system, and smart glasses for first person view 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EP3032847B1 (en) Adjusting speakers using facial recognition
CN110583013B (zh) 远程呈现系统
US10198622B2 (en) Electronic mirror device
US20200066055A1 (en) Shared environment for a remote user and vehicle occupants
US6784916B2 (en) Video conferencing apparatus
JP5874920B2 (ja) 車両周囲確認用モニター装置
US1011270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collaboration
KR20110028760A (ko) 차량의 미러 각도 자동 조정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04814A1 (en) Rear view mirror-like perspective change system and method
US201803169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420117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107789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reoscopic 3D image in vehicle
JP2017196911A (ja) 画像表示装置
US1047393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and virtual reality system
US1198718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WO2018112838A1 (zh) 头戴式显示设备及其视觉辅助方法
KR20200069467A (ko) 얼굴인식 기능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민항기용 좌석
US20190028690A1 (en) Detection system
US2022003017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6571553B2 (ja) 車載表示システム
US20180316868A1 (en) Rear view display object referents system and method
WO2019176035A1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生成方法
WO2020143546A1 (zh) 增强现实系统及控制方法
US11731643B2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