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856A -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 샤워헤드 - Google Patents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 샤워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856A
KR20200068856A KR1020180155708A KR20180155708A KR20200068856A KR 20200068856 A KR20200068856 A KR 20200068856A KR 1020180155708 A KR1020180155708 A KR 1020180155708A KR 20180155708 A KR20180155708 A KR 20180155708A KR 20200068856 A KR20200068856 A KR 20200068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flow
opening
groove
puls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식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이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식 filed Critical 이용식
Priority to KR102018015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856A/ko
Publication of KR2020006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2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05B1/163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07Puls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3/041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샤워기의 분사구로 분사되는 수류의 변환과 수압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류와 수압으로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는 일 측이 공급호스와 연결되며, 타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공급된 수류의 배출을 안내하는 헤드본체부, 헤드본체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수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수류를 타측을 통해 배출하는 수류조절부, 수류조절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제1수류분사구, 제2수류분사구,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를 포함하여 선택된 수류의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담수관리부재를 포함하는 수류분사부, 그리고 수류조절부와 수류분사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의 배출과 수압을 조절하는 수류변환부와 반곡형의 원호형상의 임펠러를 포함하며, 담수관리부재는 제1수류분사구, 제2수류분사구 그리고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omitted}
본 발명은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에 관한 것이다.
샤워기는 급수관으로부터 연결된 호스의 단 부에 구비되며, 물이 분사되는 노출 면에 복수개의 분사구가 형성되어 물을 분사시킨다. 종래에는 샤워기가 단순히 물을 분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수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타격함으로써 안마 기능을 할 수 있었다. 안마 샤워기는 사용자의 피부에 안마효과를 발생하기 위해 강한 수압으로 연속적인 공급을 해야 함으로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며 강한 수압으로 유체를 분사하기 위해 추가 시설이 설치되었다.
한편, 근래에는 탈모방지나 두피건강을 위한 두피관리 장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들 장치의 대부분이 별도의 전력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있다. 더욱이 바쁜 현대인이 두피관리를 위해 별도의 시간, 노력, 비용을 투자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두피관리 기능을 갖는 샤워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샤워기의 분사구로 분사되는 변환된 수류와 수압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류와 수압으로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임펠러를 이용한 맥동제트분사, 그루브가 형성된 담수공간을 이용한 마이크로버블분사 등, 다양한 형태의 물의 분사로 좀 더 안정된 두피 세정을 할 수 있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는 일측이 공급호스와 연결되며, 타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공급된 수류의 배출을 안내하는 헤드본체부, 헤드본체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수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수류를 타 측을 통해 배출하는 수류조절부, 수류조절부의 타 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제1수류분사구와 제2수류분사구,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를 포함하여 선택된 수류의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담수관리부재를 포함하는 수류분사부, 그리고 수류조절부와 수류분사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의 배출과 수압을 조절하는 수류변환부를 포함하며, 담수관리부재는 제1수류분사구, 제2구류분사구, 그리고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수류분사부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갖고 수류변환부와 결합되며, 수류분사부는 원주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제1수류분사구와 제2수류분사구를 갖는 제1분사부, 제1분사부와 단차를 갖고 원주의 외곽에 구비되어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를 갖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는 분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담수관리부재는 분사부재에 결합되어 제1수류분사구와 제2수류분사구, 그리고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의 직접 노출을 제한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 마이크로버블수류, 맥동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수류분사구와 제2수류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수류를 안내하는 제1그루브와 제2그루브, 그리고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맥동수류를 안내하는 제3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담수관리부재는 중심부에서 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그루브를 형성하는 제1그루브격벽, 제1그루브격벽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일반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그루브를 형성하는 제2그루브격벽, 그리고 제2그루브격벽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맥동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3그루브를 형성하는 제3그루브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담수관리부재는 제3그루브격벽의 외주 면에 연장 형성되어 제3그루브면보다 돌출 형성되어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담수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담수격벽의 외주 면에는 나사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담수격벽의 나사체결부에 결합되는 샤워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류변환부는 원판 형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일반수류토출구, 일반수류토출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수류분사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마이크로버블발생홀, 마이크로버블발생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맥동수류분사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와류발생구를 갖는 수류변환판, 그리고 수류변환판과 수류변환부 사이에서 맥동수류분사구와 와류발생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 중 선택된 맥동수류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며,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를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회전시 해당되는 맥동수류분사구를 순차적으로 복수 번 개폐하는 임펠러를 포함한다.
임펠러는 반곡형의 원호형상을 갖고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맥동수류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길고, 3개의 맥동수류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이격 형성되며 외측격벽을 갖는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 그리고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격벽을 갖고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에 각각 격리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의 길이는 제1차단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위치에 별도의 수류흐름공간홀을 가진 보조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와류발생구는 서로 인접된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2개가 1조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수류변환판을 관통하는 구멍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본체부와 수류조절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에 포함된 제거대상 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는 수류분사부에 결합되어 외력에 따라 일반수류토출구를 개폐하는 수류분리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류분리개폐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수류분사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걸림 턱을 갖고 이동경로를 하부의 제1이동로와 상부의 제2이동로로 구분하는 고정부, 고정부의 제1이동로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일단의 눌림에 따라 제2이동로 방향으로 타단이 이동하는 눌림부, 그리고 제2이동로에 결합되어 눌림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하며 타단이 제2수류분사구에 접하여 일반수류토출구를 개폐 단속하는 수류분리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류분리개폐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2이동로에 결합되는 지지부, 그리고 지지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일반수류토출구를 개폐하는 실리콘이나 고무로 된 개폐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눌림부의 타단과 고정부의 걸림턱의 사이에 개재되어 눌림부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눌림부가 마그네트화 되거나 눌림부에 마그네트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류분리개폐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회전경로를 형성하고 수류분사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걸림턱을 갖고 회전경로인 회전로가 형성된 고정부, 고정부의 회전로를 수평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돌림부, 그리고 돌림부의 일단에 구성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일반수류 토출구에 접하여 탄성체를 가지고 일반수류토출구를 개폐 단속하는 개폐단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단속부에는 회전에 따라 일반수류토출구와 대응하여 수류를 토출하는 수류토출홀이 형성되며 돌림부의 타단과 회전로의 사이에 개재되어 돌림부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류분리개폐부의 돌림부가 마그네트화 되거나 돌림부에 마그네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루브를 통해 해당 샤워기의 분사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여 심미감을 줄 수 있고 레너드효과(Lenard effect)로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담수공간을 통한 물의 분사를 유도할 수 있으며, 맥동수류 분사를 이용한 직수관리와 마이크로버블수류를 이용한 담수관리, 그리고 미세분사를 이용한 두피관리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두피 세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에서 수류분리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류변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의 동작으로 수류 변환부의 맥동수류분사구를 개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에서 수류분리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에서 수류분리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에서 수류분리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류변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의 동작으로 수류변환부의 맥동수류분사구를 개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에서 수류분리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에서 수류분리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는 헤드본체부(100), 수류조절부(200), 수류분사부(300), 그리고 수류변환부(400)를 포함한다.
헤드본체부(100)는 일측이 공급호스와 연결되며, 타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공급된 수류의 배출을 안내한다. 헤드본체부(100)에는 손잡이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공급호스와 연결될 수 있다. 헤드본체부(100)와 수류조절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에 포함된 제거대상 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본체부(100)와 수류조절부(200), 그리고 수류분사부(300)의 체결부분에는 수류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실링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수류조절부(200)는 헤드본체부(100)의 타 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수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수류를 타측을 통해 배출한다. 수류조절부(200)는 수로를 변경하는 눌림버튼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조절부(200)의 외부에 수류를 변경하는 눌림버튼을 구비하고, 내부에 마이크로버블수로와 일반수로의 결합구조에서 눌림버튼의 작동으로 마이크로버블수로와 일반수로를 변경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수류조절부(200)는 수로를 변경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돌림구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조절부(200)와 수류분사부(300) 사이에 돌림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맥동수로와 마이크로버블수로를 포함한 일반수로의 결합구조에서 돌림부의 선택적 작동으로 맥동수로와 일반수로를 변경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수류분사부(300)는 양측이 개구되고, 내측에 복수의 수류가 분사되는 분사구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류분사부(300)는 수류조절부(200)의 타측에 개구된 일 측이 결합되며, 선택된 수류의 외부 배출을 안내한다. 수류분사부(300)는 원주방향을 따라 분사구가 형성될 수 있다. 수류분사부(300)는 원의 중심부에 제1수류분사구(322), 그리고 제1수류분사구(322)의 외곽으로 제2수류분사구(3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수류분사구(322)와 제2수류분사구(324)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원의 최외곽부에는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를 구비할 수 있다. 수류분사부(300)는 체결부재(310), 분사부재(320), 담수관리부재(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부재(310)와 분사부재(320), 그리고 담수관리부재(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10)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갖고 수류조절부(200)의 타측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310)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재(320)는 제1분사부, 제2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부는 체결부재(310)의 내측에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원주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제1수류분사구(322)와 제2수류분사구(324)를 갖는다. 제2분사부는 제1분사부와 단 차를 갖고 원주의 외곽에 구비되어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를 갖는다.
담수관리부재(330)는 제1그루브(332), 제2그루브(334), 그리고 제3그루브(336)를 포함할 수 있다. 홈이 길게 파이게 형성된 그루브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에서 샤워홀이 잘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심미감을 줄 수 있으며 직수 분사시 레너드효과(Lenard effect)를 주어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레너드효과는 폭포수효과(waterfall effect)라고도 한다. 폭포수 음이온이란, 폭포수에서 음이온이 다량 발생되어 주변공기가 정화되어 먼지가 없고 세균이 없으며 유해기체성분이 없어 공기가 맑고 청량하여 상쾌한 기분이 깃들게 해준다.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필립 레너드(Phillip Lenard)박사가 폭포수에서 음이온이 다량 생성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원리를 규명한 이래로 레너드효과(Lenard effect, 일명 폭포수 효과, waterfall effect)로 부른다. 그리고 그루브의 형태를 다양한 모양의 도형과 기호, 상표, 또는 전통을 포함한 문양, 숫자, 그리고 캐릭터, 이모티콘 및 세계 각 언어에 따른 문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수류가 잔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그루브(332)는 분사부재(320)에 결합되어 제1수류분사구(322)의 직접 노출을 제한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제1담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그루브(334)는 제2수류분사구(324)의 직접 노출을 제한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제2담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그루브(336)는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의 직접 노출을 제한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맥동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제3담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담수관리부재(330)는 제1그루브(332), 제2그루브(334), 그리고 제3그루브(336)를 형성하기 위해 제1그루브격벽(331), 제2그루브격벽(333), 그리고 제3그루브격벽(33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수류분사구(322), 제2수류분사구(324),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는 수류분사부(300) 내부에서 제1그루브격벽(331), 제2그루브격벽(333), 제3그루브격벽(335)을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수류분사구(322), 제2수류분사구(324), 맥동수류분사구(326)는 제1그루브격벽(331), 제2그루브격벽(333), 제3그루브격벽(335)을 통해 제1그루브(332), 제2그루브(334), 제3그루브(336)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수류분사구(322), 제2수류분사구(324), 맥동수류분사구(326)를 통해 분사되는 해당 수류는 제1그루브(332), 제2그루브(334), 제3그루브(336)를 통과하면서 그루브의 벽면이나 끝에 수류가 부딪치며, 레너드효과(Lenard effect)를 주어 음이온이 발생할 수 있다. 제1그루브격벽(331)은 중심부에서 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그루브(3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그루브격벽(333)은 제1그루브격벽(331)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이크로버블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그루브(334)를 형성할 수 있다. 제3그루브격벽(335)은 제2그루브격벽(333)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맥동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3그루브(336)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담수관리부재(330)는 제3그루브격벽(335)의 외주 면에 연장 형성되어 제3그루브(336) 면보다 돌출 형성되어 담수공간(330a)을 형성하는 담수격벽(3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담수공간(330a)은 제1그루브(332)의 제1담수공간, 제2그루브(334)의 제2담수공간, 그리고 제3그루브(336)의 제3담수공간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수류분사구(322), 제2수류분사구(324), 맥동수류분사구(326)를 통해 분사되는 해당 수류는 제1그루브(332), 제2그루브(334), 제3그루브(336)를 통과하면서 담수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담수격벽(337)의 외주면에는 나사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담수격벽(337)의 나사체결부에 결합되는 샤워캡(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류변환부(400)는 수류조절부(200)와 수류분사부(300)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의 배출과 수압을 조절한다. 수류변환부(400)는 수류변환판(410)과 임펠러(420)를 포함한다.
수류변환판(410)은 수류분사부(300)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류변환판(410)은 원판형의 중심부에 일반수류토출구(40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류변환판(410)은 일반수류토출구(402)를 중심으로 외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2수류분사구(324)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은 작은수로(404a)와 확장된수로(404b)가 함께 형성되며 이곳을 지나는 수류가 작은수로(404a)에서 압력을 받은 후 확장된수로(404b)에서 수류가 확산되어 마이크로버블수를 발생시킨다. 수류변환판(410)은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맥동수류분사구(326)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와류발생구(406)를 갖는다. 여기서, 복수의 와류발생구(406)는 서로 인접된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2개가 1조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수류변환판(410)을 관통하는 구멍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420)는 반곡형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호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단부와 개구부(420a),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와 격벽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420a)는 양측의 차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수류변환판(410)의 와류발생구(406)를 통해 경사면을 따라 공급되는 수류가 해당되는 격벽을 밀어 임펠러(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임펠러(420)는 전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갖고 원호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임펠러(420)는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맥동수류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길고, 3개의 맥동수류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420)는 제1차단부(422)와 제2차단부, 그리고 개구부(4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차단부(422)는 일측 단 부에 형성되며 제1외측격벽(421)을 갖는다. 제2차단부는 타측 단 부에서 제1차단부(422)와 이격 형성되며 제2외측격벽(423)을 갖는다. 제1차단부(422)와 제2차단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420a)는 제1차단부(422)와 제2차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격벽(425, 427)을 갖고 제1차단부(422)와 제2차단부에 각각 격리될 수 있다. 개구부(420a)의 길이는 제1차단부(42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4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420a)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위치에 별도의 수류흐름공간홀(429-h)을 가진 보조격벽(4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격벽(429)은 임펠러(420)가 수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보조격벽(429)에는 수류흐름공간홀(429-h)이 형성되는데 이는 임펠러(420)가 회전할 때 멈추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수로를 만들어 맥동수류가 분사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는 수류분사부(300)에 결합되어 외력에 따라 일반수류토출구(402)를 개폐하는 수류분리개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류분리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통로인 일반수류토출구(402)를 막게 되면 내부 압력이 커지게 되고 높은 압력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의 작은수로(404a)에서 압력을 받은 후 확장된수로(404b)에서 수류가 확산되어 통과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버블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수류토출구(402)의 크기는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의 크기 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은 원주방향을 따라 작은 구멍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수류는 계속해서 제1수류분사구(322)와 제2수류분사구(324)를 통과하며, 담수공간(330a)을 거쳐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다시 수류분리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 통로인 일반수류토출구(402)를 열게 되면 일반수류를 더 많이 분사하게 된다. 일반수류토출구(402)가 열리게 되면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낮은 압력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버블의 발생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일반수류토출구(402)와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을 통과하는 일반수류는 계속해서 제1수류분사구(322)와 제2수류분사구(324)를 통과하며, 담수공간(430a)을 거쳐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1수류분사구(322)와 제2수류분사구(324)에서 수류가 분사되어질 때 일반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가 수류합류공간(403)을 통해 합류하고 선택에 따라 두 분사구에서 한가지의 수류가 분사된다. 또한 제1수류분사구(322)와 제2수류분사구(324)가 서로 독립된 형태를 가지고 일반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를 토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원의 최외곽부에는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류분리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 통로인 일반수류토출구(402)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부 압력의 변화로 일반수류토출구(402) 또는 마이크로버블발생수홀(404) 주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의 크기는 일반수류토출구(402)의 크기보다 작게 구비되어 이물질이 끼이거나 막힐 수 있다. 수류분리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 통로인 일반수류토출구(402)를 열어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 주변에 작은수로(440a) 보다 큰 이물질이나 작은수로(440a)에 끼인 이물질들은 제거될 수 있다. 일반수류토출구(402)는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 보다 크므로 일반수류토출구(402)가 열렸을 때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로 빠져나가지 못한 이물질이 일반수류토출구(402)를 통해 나오는것이다. 다시말해서 수류분리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 통로인 일반수류토출구(402)를 열어 내부 압력이 낮은 경우 좀 더 넓은 크기의 일반수류토출구(402)를 통해 많은 양의 일반수류가 분사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 주변에 있는 이물질이 일반수류의 흐름에 포함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수류분리개폐부(500)를 작동하여 마이크로버블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담수상태에서 마이크로버블수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두피관리 시 샤워기의 수류가 분사되는 샤워캡(340) 부분을 머리카락이 있는 두피에 밀착시키면 샤워캡(340)과 두피 사이에 담수공간이 생기는데 담수 상태에 마이크로버블수의 마이크로화된 버블들이 두피와 머리카락의 노폐물에 붙어 터져서 두피를 깨끗이 한다. 직수상태에서는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수류분리개폐부(500)에 마그네트(M)를 설치하면 담수관리시 두피에 흐르는 혈류가 원할하게되어 탈모관리에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수류분리개폐부(500)는 눌림구조 또는 돌림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분리개폐부(500)를 눌림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수류분리개폐부(500)는 고정부(510), 탄성부(524)와 누름판(522)을 가진 눌림부(520), 그리고 개폐단속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체결부(510a)를 통해 수류분사부(3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510)는 내부에 걸림턱(516)을 갖고 이동경로를 하부의 제1이동로(512)와 상부의 제2이동로(514)로 구분할 수 있다. 눌림부(520)는 고정부(510)의 제1이동로(512)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일단의 눌림에 따라 제2이동로(514) 방향으로 타단이 이동할 수 있다. 눌림부(520)는 사용자의 두피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탄성부(524)와 누름판(522)을 가진 눌림부(520)를 이동후 고정되는 구조로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눌림부(520)는 체결부(510a)를 통해 고정부(5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눌림부(520)의 외측면에는 체결부(510a)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눌림부(520)를 눌림구조로만 사용하거나 나사 체결구조로 고정하여 고정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눌림부(520)는 폽업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눌림부(520)에 마크네트(M)를 설치하거나 눌림부(520)를 마크네트화하여 두피에 자기장마사지를 할 수도 있다. 수류분리개폐부(500)의 일부를 마그네트화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탄성부(524)는 눌림부(520)의 타단과 걸림턱(516)의 사이에 개재되어 눌림부(520)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단속부(530)는 제2이동로(514)에 결합되어 눌림부(520)의 타단에 일단이 접하며 타단이 일반수류토출구(402)에 접하여 일반수류토출구(402)를 단속할 수 있다. 개폐단속부(530)는 지지부(532), 그리고 개폐탄성체(53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32)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2이동로(514)에 위치되고 타단이 눌림부(52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532)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눌림부(520)에는 지지부(532)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위치에 암나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이에 마그네트(M)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탄성체(534)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지지부(532)의 타단에 결합되어 일반수류토출구(402)와 제2이동로(514)를 상하 이동하며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개폐탄성체(534)와 결합된 지지부(532)가 눌림부(520)는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눌림부(520)와 지지부(532)가 하나로 가공되고 타단에 실리콘이나 고무로 된 개폐탄성체(534)가 끼워질 수 있다.
수류분사부(300)에 일체화된 고정부(510)는 개폐단속부(530)의 눌림부(52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암나사(s-1)가 형성되고 눌림부(520)에는 대응하는 부분으로 수나사(s-2)가 형성되어 눌림부(520)를 누름과 동시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개폐단속부(530)는 제2이동로(514)에 결합되어 눌림부(520)의 타단에 일단이 접하며 타 단의 개폐탄성체(534)가 일반수류토출구(402)에 접하여 일반수류토출구(402)를 단속할 때 고정되어 마이크로버블수류가 계속해서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부(510)는 체결부(510b)없이 수류분사부(300)과 일체화되어 형성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부(510)가 수류분사부(300)에 일체화되면 조립공정이 간편화되고 일반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가 선택적으로 합류되는 수류합류공간(403)이 넓어져 수류의 수용공간이 많아지며 분사량이 커진다.
그리고, 또다른 형태의 구조로 수류분리개폐부(600)를 돌림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수류분리개폐부(600)는 회전로(612)를 가진 고정부(610), 탄성부(614)와 회전판(622)을 가진 돌림부(620), 그리고 개폐단속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회전경로를 형성하고 수류분사부(3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610)는 내부에 걸림턱(616)을 갖고 회전로(612)로 구분할 수 있다. 회전로(612)에서는 돌림부(620)가 지지부(621)를 가지고 수평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621)의 일측은 돌림부(620)가 연결되고 지지부의(621)이 타측에는 개폐단속부(630)가 결합된다. 지지부(621)와 돌림부는 일체화되어 형성되지만 또다른 구조로 지지부(621)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림부(620)에는 지지부(621)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위치에 암나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이에 마그네트(M)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단속부(630)는 회전구조로 되어있으며 회전에 따라 일반수류토출구(402)의 열림과 닫힘을 반복하는 할 수 있도록 수류토출홀(630h)과 막힘부가 함께 형성된다. 수류분리개폐부(600)가 돌림구조일 때에는 일반수류토출구(402)의 개수는 중앙부분으로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단속부(630)에는 수류가 막혔을때 지지부(621)가 수류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고정부와의 사이에 탄성부(614)가 설치되며 누수가 되지 않도록 일반수류토출구(402)와의 사이에는 실리콘이나 고무로된 탄성체(631)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631)는 개폐단속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기도하지만 일반수류토출구(402)에 고정되어 설치되어질수도 있다. 수류토출홀(630h)은 개폐단속부(630)가 회전하면서 일반수류토출구(402)에 접하여 일반수류토출구(402)를 단속할 때 고정되어 일반수류토출구(402)를 막았을 대에는 마이크로버블수류가 계속해서 발생되고 일반수류토출구(402)를 열었을 때에는 일반수류만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610)는 체결부없이 수류분사부(300)과 일체화되어 형성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를 이용하여 맥동수류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수류조절부(200)를 통해 수류변환판(410)의 와류발생구(406)로 유입된 물은 와류발생구(406)의 경사면을 통해 임펠러(420) 거치면서 맥동수류분사구(32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경사진 와류발생구(406)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은 임펠러(420)의 구간 반복 회전을 유도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임펠러(420)는 경사진 와류발생구(406)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회전되면서 물의 와류현상을 발생시킨다. 즉, 수류변환판(410)과 임펠러(420)의 결합구조로 임펠러(420)는 수류변환판(410)에 경사지게 구비된 와류발생구(406)를 통해 임펠러(420)로 전달되는 수압의 영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임펠러(420)의 회전을 통해 수류변환판(410)과 수류변환부(400) 사이에서 물이 맥동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임펠러(420)의 회전으로 임펠러(420)의 1회전시 수류분사부(300)에 구비된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 중 해당되는 맥동수류분사구를 적어도 2회 이상 개폐함으로써 수압과 맥동수류 분사주기를 향상시켜 두피 스케일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임펠러(420)는 수류변환판(410)과 수류변환부(400) 사이에서 맥동수류분사구(326)와 와류발생구(406)의 사이에 개재되어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 중 선택된 맥동수류분사구(326)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임펠러(420)는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를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회전시 해당되는 맥동수류분사구(326)를 순차적으로 복수번 개폐할 수 있다. 즉, 맥동수류 분사에 관계되는 임펠러(420) 구조를 개선하여 임펠러(420) 1회전시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 중 선택된 맥동수류분사구(326)를 적어도 2회 이상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분사부(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8개의 맥동수류분사구(326)가 있으며, 임펠러(420)는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회전시 해당되는 맥동수류분사구(326)를 순차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420)의 제1차단부(422)의 이동으로 2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b)가 닫힌 상태이고 1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a)가 개구부(420a)를 통해 열린 상태를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임펠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부(422)의 이동으로 2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b)는 열린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2차단부의 이동으로 1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a)는 닫힌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임펠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부(422)의 이동으로 3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c)는 닫힌 상태로 되고, 2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b)는 개구부(420a)를 통해 열린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임펠러(420)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부(422)의 이동으로 3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c)는 열린 상태로 되고 제2차단부(424)의 이동으로 2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b)는 다시 닫힌 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임펠러(420)가 2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차단부(422)로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를 1회 막고, 개구부(420a)를 통해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이어서 제2차단부(424)로 2번째 맥동수류분사구(326b)를 1회 더 막게 된다. 즉, 임펠러(420)의 회전동작을 통해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 중 해당되는 맥동수류분사구(326)의 물 분사가 서로 엇갈림을 반복하면서 맥동수류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의 개수를 조절하여 맥동수류분사구(326)를 막는 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맥동수류분사구(326)의 크기와 수량 및 위치는 일반적인 가정의 상수도 수전의 압력과 두피 세정효과를 고려하여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임펠러(420)의 구조를 개선하여 맥동수류 형성 수압을 좀 더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맥동수류분사구(326)를 통해 배출되는 맥동수류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맥동수류분사구(32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주기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맥동형태의 워터펀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두피 스케일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를 이용하여 두피를 세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공급호스가 연결된 수전의 손잡이를 통해 수전을 개방시키면,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상당 수압의 물은 헤드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헤드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수류조절부(200)와 수류변환부(400), 그리고 수류분사부(3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수류조절부(200)와 수류변환부(400) 사이에 개재되는 수류변환부(400)를 통해 헤드본체부(10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일정 수압을 유지하면서 선택된 수류로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호스를 통해 헤드본체부(10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선택된 수류조절부(200)의 동작에 따라 수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된 수류가 수류변환부(400)를 통해 일반수류, 마이크로버블수류, 맥동수류 등으로 변환되어 수류분사부(3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류분사부(300)에 구비되는 제1수류분사구(322), 제2수류분사구(324),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326)는 제1그루브(332), 제2그루브(334), 그리고 제3그루브(336)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사구를 통과하는 물은 폭이 좁은 부위를 지난 후 계속하여 내경이 넓어진 각각의 그루브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폭이 좁은 수류분사구를 통과한 물은 폭이 넓은 그루브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분사되는 물은 분사압력에 의해 외곽으로 확산되려는 힘이 작용하나 그루브가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형성됨에 따라 외곽 방향으로 확산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분사됨과 동시에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루브를 통해 분사되는 물은 확산이 방지될 수 있으며 물의 분사압력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를 통한 물의 분사로 음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외부공기가 일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그루브에서 일정 수압의 물과 합쳐지면서 담수공간(330a)을 거쳐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결국, 그루브와 담수공간(330a)을 통해 항상 공기가 혼입된 일정 수압의 물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으며 물의 분사 수압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좀 더 안정된 두피 세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수류분사부(300)에 눌림구조의 수류분리개폐부(500)을 설치하거나 돌림구조의 수류분리개폐부(600)를 설치하여 일반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를 분리 선택하여 수류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를 이용하여 두피관리 기능에 대한 단계별(맥동수류 분사, 마이크로버블수류 분사, 미세분사) 관리 내용을 설명한다. 사용자의 두피를 관리하기 위해 수류분사부(300)로부터 분사되는 수류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는 맥동수류분사를 이용한 직수관리로 두피를 관리하고, 2단계에서 마이크로버블수류를 이용한 담수관리로 두피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3단계에서 미세분사를 이용한 두피관리로 단계별로 사용자의 두피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로 두피관리를 할 때
1차로 수류조절부(200)의 옆에 있는 누름버튼을 1에 마추어 누르면 수류조절부(200)의 수류가 수류변환부(400)의 일반수류토출구(402)와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을 통해 제1수류분사구(322)와 제2수류분사구(324)로 동시에 일반수류를 분사시켜 1차세정을 한다.
그리고 2차로는 수류조절부(200)의 옆에 있는 누름버튼을 2에 마추어 누르면 수류조절부(200)의 수류가 수류변환부(400)의 일반수류토출구(402)와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에 연결된다. 이때 눌름구조의 수류분리개폐부(500)나 돌림구조의 수류분리개폐부(600)를 동작하면 일반수류토출구(402)만 막아 수류는 마이크로버블발생홀(404)의 작은수로(404a)와 확장된수로(404b)를 지나 압력의 의해 제1수류분사구(322)와 제2수류 분사구(324)를 통해 동시에 마이크로버블수류를 분사시킨다. 발생된 마이크로버블수류는 사용자가 탈모관리 기능을 갖는 워터랩샤워기의 샤워캡(440)을 머리카락이 있는 두피에 밀착시켰을 때 샤워캡(440)과 두피 사이에 담수관리부재(330)를 통해 형성된 담수공간(330a)과 수류분사부(300)에 형성된 그루브의 요홈에 마이크로버블수류가 담기게 되어 수류내에 발생된 마이크로버블들이 터지며 두피에 노폐물과 분비물이 2차 제거되며 두피의 2차 세정을 하게된다
또한 3차로 수류조절부(200)의 옆에 있는 누름버튼을 3에 마추어 누르면 수류조절부(200)의 수류가 수류변환부(400)를 지나 와류발생구(306)로 흘러 들어 임펠러(320)를 회전시키며 맥동수류분사구(426)에서 맥동수류를 분사시킨다. 이 때 두피와 워터 랩 샤워헤드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거리를 두었을 때 발생된 맥동수류는 두피를 두드리 듯 때리게 되고 두피에 노폐물과 분비물이 1차 제거된다. 또한 분사되는 맥동수류는 수류분사부(400)에 형성된 그루브의 격벽에 부딪치며 레너드 효과로 음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맥동수류로 두피의 3차 세정을 하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헤드본체부 200 ; 수류조절부
300 ; 수류분사부 310 ; 체결부재
320 ; 분사부재 322 ; 제1수류분사구
324 ; 제2수류분사구 326 ; 맥동수류분사구
330 ; 담수관리부재 330a ; 담수공간
331 ; 제1그루브격벽 332 ; 제1그루브
333 ; 제2그루브격벽 334 ; 제2그루브
335 ; 제3그루브격벽 336 ; 제3그루브
337 ; 담수격벽 400 ; 수류변환부
402 ; 일반수류토출구 404 ; 마이크로버블발생홀
404a ; 작은수로 404b ; 확장된수로
406 ; 와류발생구 410 ; 수류변환판
420 ; 임펠러 500 ; 수류분리개폐부

Claims (13)

  1. 일측이 공급호스와 연결되며, 타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공급된 수류의 배출을 안내하는 헤드본체부,
    상기 헤드본체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수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수류를 타 측을 통해 배출하는 수류조절부,
    상기 수류조절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제1수류분사구, 제2수류분사구,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를 포함하여 선택된 수류의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담수관리부재를 포함하는 수류분사부, 그리고
    상기 수류조절부와 상기 수류분사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의 배출과 수압을 조절하는 수류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담수관리부재는 상기 제1수류분사구와 상기 제2수류분사구의 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맥동수류에 레너드효과를 주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2. 제1항에서,
    상기 수류분사부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갖고 상기 수류 조절부의 타측과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원주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류분사구와 제2수류분사구를 갖는 제1분사부, 상기 제1분사부와 단차를 갖고 원주의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를 갖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고 분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3. 제2항에서,
    상기 담수관리부재는
    분사부재인 제1수류분사구에 형성되는 제1그루브와 상기 제1그루브를 통해 음압분사되는 일반수류, 상기 제1수류분사부와 이격되어 제2수류분사구가 형성되고 제2그루브와 상기 제2그루브를 통해 담수공간을 가지고 토출되는 마이크로버블수류, 상기 제2수류분사부와 이격되어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가 형성되고 제3그루브를 통해 레너드효과를 이용한 음이온과 맥동제트수류를 분사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4. 제3항에서,
    상기 담수관리부재는
    중심부에서 상기 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그루브를 형성하는 제1그루브격벽, 상기 제1그루브격벽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그루브를 형성하는 제2그루브격벽, 그리고 상기 제2그루브격벽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맥동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3그루브를 형성하는 제3그루브격벽을 더 포함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5. 제1항에서,
    상기 수류변환부는
    원판형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일반수류토출구, 상기 일반수류토출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일반수류토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마이크로버블발생홀, 상기 마이크로버블발생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맥동수류분사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와류발생구를 갖는 수류변환판, 그리고 상기 수류변환판과 상기 수류변환부 사이에서 상기 맥동수류분사구와 상기 와류발생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 중 선택된 맥동수류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를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회전시 해당되는 맥동수류분사구를 순차적으로 복수 번 개폐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6. 제5항에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반곡형의 원호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분사구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맥동수류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길고, 3개의 맥동수류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이격 형성되며 외측격벽을 갖는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 그리고 상기 제1차단부와 상기 제2차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격벽과 수류흐름공간홀이 형성된 보조격벽을 갖고 상기 제1차단부와 상기 제2차단부에 각각 격리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7. 제6항에서,
    상기 제1차단부와 상기 제2차단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차단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수류흐름공간홀이 형성된 복수의 보조격벽을 더 포함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8. 제1항에서,
    상기 수류분사부에 결합되어 외력에 따라 상기 일반수류토출구를 개폐하는 수류분리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9. 제8항에서,
    상기 수류분리개폐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류분사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걸림턱을 갖고 상기 이동경로를 하부의 제1이동로와 상부의 제2이동로로 구분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제1이동로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일단의 눌림에 따라 상기 제2이동로 방향으로 타단이 이동하는 눌림부,
    상기 눌림부의 타단과 상기 걸림턱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눌림부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그리고 상기 제2이동로에 결합되어 상기 눌림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하며 타단이 상기 일반수류토출구에 접하여 상기 일반수류토출구를 단속하는 개폐단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단속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이동로에 결합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일반수류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탄성체을 포함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10. 제8항에서,
    상기 수류분리개폐부에 마그네트가 설치된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11. 제8항에서,
    상기 수류분리개폐부는
    고정부가 나사체결없이 수류분사부와 하나로 일체화되고 내부에 걸림턱을 갖고 회전경로가되는 회전로를 형성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회전로와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일단의 회전에 따라 수평회전하는 돌림부,
    상기 돌림부의 타단과 그리고 상기 회전로에 걸림턱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림부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그리고 상기 돌림부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타단에 일반수류토출구가 접하여 일반수류토출구를 개폐 단속하는 수류토출홀이 형성된 개폐단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단속부는 에 수류의 누수를 막아주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12. 제1항의 상기 수류분사부에
    제9항의 상기 수류분리개폐부의 고정부가 나사체결없이 하나의 형상을 가지고 일체화된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13. 제12항에서
    수류분사부에 일체화된 고정부는 개폐단속부의 눌림부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암나사가 형성되고 눌림부에는 대응하는 부분으로 수나사가 형성되어 눌림부를 누름과 동시에 체결하며 고정시켜 수류분리개폐부의 개폐탄성체로 일반수류토출구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한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헤드.
KR1020180155708A 2018-12-06 2018-12-06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 샤워헤드 KR20200068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08A KR20200068856A (ko) 2018-12-06 2018-12-06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 샤워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08A KR20200068856A (ko) 2018-12-06 2018-12-06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 샤워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856A true KR20200068856A (ko) 2020-06-16

Family

ID=7114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708A KR20200068856A (ko) 2018-12-06 2018-12-06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 샤워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88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8277A (zh) * 2020-09-16 2020-12-22 沛乐迪(厦门)卫浴有限公司 一种多功能出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8277A (zh) * 2020-09-16 2020-12-22 沛乐迪(厦门)卫浴有限公司 一种多功能出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589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KR100905629B1 (ko) 진동 충격 분사장치
KR101697840B1 (ko) 샤워기 변기를 위한 샤워기 암
JP5168708B2 (ja) シャワー装置
JP5691027B2 (ja) 微細気泡発生シャワーヘッド
KR20200068856A (ko)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 샤워헤드
CN109201359B (zh) 出水部的构造和淋浴装置
KR20060126362A (ko) 다용도 샤워기
KR20200068857A (ko) 회전변환 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기
KR102146898B1 (ko) 워터 랩 샤워헤드
JP2010007315A (ja) マイクロバブル洗浄ノズル
KR20190027103A (ko) 워터랩 샤워기
GB2311474A (en) Spray head for a shower handset
KR101427165B1 (ko) 샤워기 헤드
JP7133885B1 (ja) ミスト発生装置およびミスト発生装置を用いたシャワーヘッド
KR102232104B1 (ko) 독립형 기능수 유로를 갖는 절수 샤워헤드
KR102376857B1 (ko) 미세버블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샤워기헤드
KR20120023506A (ko)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KR101676820B1 (ko) 수전용 마이크로 버블 전환 유닛
AU2018203119B2 (en) A Water Jet for a Showerhead
KR102250713B1 (ko) 고압수 분사를 위한 와류 형성 장치
JP2002078632A (ja) シャワーヘッド
KR102376856B1 (ko) 샤워기
KR200204198Y1 (ko) 자화맛사지샤워기
WO2020189255A1 (ja) 吐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