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898B1 - 워터 랩 샤워헤드 - Google Patents

워터 랩 샤워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898B1
KR102146898B1 KR1020180098150A KR20180098150A KR102146898B1 KR 102146898 B1 KR102146898 B1 KR 102146898B1 KR 1020180098150 A KR1020180098150 A KR 1020180098150A KR 20180098150 A KR20180098150 A KR 20180098150A KR 102146898 B1 KR102146898 B1 KR 10214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water
pulsating
injection 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253A (ko
Inventor
이용식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이용식
김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식, 김경미 filed Critical 이용식
Priority to KR102018009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8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09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lif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2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05B1/163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 B05B1/164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the outlets being rotated during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샤워기의 분사구로 분사되는 수류의 변환과 수압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류와 수압으로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워터 랩 샤워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는 일측이 공급호스와 연결되며, 타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공급된 수류의 배출을 안내하는 헤드 본체부, 헤드 본체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수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수류를 타측을 통해 배출하는 수류 조절부, 수류 조절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제1 수류 분사구,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포함하여 선택된 수류의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담수 관리부재를 포함하는 수류 분사부, 그리고 수류 조절부와 수류 분사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의 배출과 수압을 조절하는 수류 변환부를 포함하며, 담수 관리부재는 제1 수류 분사구, 그리고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워터 랩 샤워헤드{WATER RAP SHOWER HEAD}
본 발명은 워터 랩 샤워헤드에 관한 것이다.
샤워기는 급수관으로부터 연결된 호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물이 분사되는 노출면에 복수개의 분사구가 형성되어 물을 분사시킨다. 종래에는 샤워기가 단순히 물을 분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수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타격함으로써 안마 기능을 할 수 있었다. 안마 샤워기는 사용자의 피부에 안마효과를 발생하기 위해 강한 수압으로 연속적인 공급을 해야 함으로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며 강한 수압으로 유체를 분사하기 위해 추가 시설이 설치되었다.
한편, 근래에는 탈모방지나 두피건강을 위한 두피관리 장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들 장치의 대부분이 별도의 전력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있다. 더욱이 바쁜 현대인이 두피관리를 위해 별도의 시간, 노력, 비용을 투자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두피관리 기능을 갖는 샤워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샤워기의 분사구로 분사되는 변환된 수류와 수압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류와 수압으로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루브와 담수공간을 통한 물의 분사로 좀 더 안정된 두피 세정을 할 수 있는 워터 랩 샤워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는 일측이 공급호스와 연결되며, 타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공급된 수류의 배출을 안내하는 헤드 본체부, 헤드 본체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수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수류를 타측을 통해 배출하는 수류 조절부, 수류 조절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제1 수류 분사구,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포함하여 선택된 수류의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담수 관리부재를 포함하는 수류 분사부, 그리고 수류 조절부와 수류 분사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의 배출과 수압을 조절하는 수류 변환부를 포함하며, 담수 관리부재는 제1 수류 분사구, 그리고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수류 분사부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갖고 수류 조절부의 타측과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 체결부재의 내측에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원주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제1 수류 분사구를 갖는 제1 분사부, 제1 분사부와 단차를 갖고 원주의 외곽에 구비되어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갖는 제2 분사부를 포함하는 분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담수 관리부재는 분사부재에 결합되어 제1 수류 분사구, 그리고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의 직접 노출을 제한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 마이크로버블수류, 맥동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수류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수류를 안내하는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 그리고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맥동수류를 안내하는 제3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담수 관리부재는 중심부에서 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1 그루브 격벽, 제1 그루브 격벽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일반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2 그루브 격벽, 그리고 제2 그루브 격벽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맥동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3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3 그루브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담수 관리부재는 제3 그루브 격벽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어 제3 그루브 면보다 돌출 형성되어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담수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담수 격벽의 외주면에는 나사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담수 격벽의 나사 체결부에 결합되는 샤워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변환부는 원판형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2 수류 분사구, 제2 수류 분사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 수류 분사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맥동수류 분사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와류 발생구를 갖는 수류 변환판, 그리고 수류 변환판과 수류 변환부 사이에서 맥동수류 분사구와 와류 발생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 중 선택된 맥동수류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며,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회전시 해당되는 맥동수류 분사구를 순차적으로 복수번 개폐하는 임펠러를 포함한다.
임펠러는 원호형상을 갖고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맥동수류 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길고, 3개의 맥동수류 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이격 형성되며 외측 격벽을 갖는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 그리고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 격벽을 갖고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에 각각 격리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의 길이는 제1 차단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위치에 별도의 보조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와류 발생구는 서로 인접된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2개가 1조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수류 변환판을 관통하는 구멍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 본체부와 수류 조절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에 포함된 제거대상 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는 수류 분사부에 결합되어 외력에 따라 제2 수류 분사구를 개폐하는 수류 분리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분리 개폐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수류 분사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걸림턱을 갖고 이동경로를 하부의 제1 이동로와 상부의 제2 이동로로 구분하는 고정부, 고정부의 제1 이동로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일단의 눌림에 따라 제2 이동로 방향으로 타단이 이동하는 눌림부, 그리고 제2 이동로에 결합되어 눌림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하며 타단이 제2 수류 분사구에 접하여 제2 수류 분사구를 개폐 단속하는 수류 분리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분리 개폐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2 이동로에 결합되는 지지부, 그리고 지지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2 수류 분사구를 개폐하는 개폐볼을 포함할 수 있다. 눌림부의 타단과 걸림턱의 사이에 개재되어 눌림부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눌림부가 마그네트화 되거나 눌림부에 마그네트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류 분리 개폐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측면에 제1 수류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수류 분사부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에 이탈 방지용 걸림턱을 갖는 제1 고정부, 제1 고정부의 내측에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하부의 눌림 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 그리고 일측이 개구되어 제2 수류 분사구에 접하며, 제1 수류 이동통로와 대응하는 제2 수류 이동통로를 갖고 이동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이동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 수류 이동통로와 제2 수류 이동통로의 연통을 단속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와 제2 고정부의 사이에서 이동부의 이동경로에 구비되어 이동부의 이동을 단속하는 로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를 통해 해당 샤워기의 분사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여 심미감을 줄 수 있고 레너드 효과(Lenard effect)로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담수공간을 통한 물의 분사를 유도할 수 있으며, 맥동수류 분사를 이용한 직수관리와 마이크로버블수류를 이용한 담수관리, 그리고 미세분사를 이용한 두피관리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두피 세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류 변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동작으로 수류 변환부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개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수류 분리 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수류 분리 개폐부에서 이동부의 상하 이동과 수로의 개폐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류 변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동작으로 수류 변환부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개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는 헤드 본체부(100), 수류 조절부(200), 수류 분사부(300), 그리고 수류 변환부(400)를 포함한다.
헤드 본체부(100)는 일측이 공급호스와 연결되며, 타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공급된 수류의 배출을 안내한다. 헤드 본체부(100)에는 손잡이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공급호스와 연결될 수 있다. 헤드 본체부(100)와 수류 조절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에 포함된 제거대상 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본체부(100)와 수류 조절부(200), 그리고 수류 분사부(300)의 체결부분에는 수류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실링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수류 조절부(200)는 헤드 본체부(100)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수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수류를 타측을 통해 배출한다. 수류 조절부(200)는 수로를 변경하는 눌림버튼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조절부(200)의 외부에 눌림버튼을 구비하고, 내부에 마이크로버블수로와 일반수로의 결합구조에서 눌림버튼의 작동으로 마이크로버블수로와 일반수로를 변경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수류 조절부(200)는 수로를 변경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돌림판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조절부(200)와 수류 분사부(300) 사이에 돌림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맥동수로와 마이크로버블수로를 포함한 일반수로의 결합구조에서 돌림판의 선택적 작동으로 맥동수로와 일반수로를 변경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수류 분사부(300)는 양측이 개구되고, 내측에 복수의 수류가 분사되는 분사구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류 분사부(300)는 수류 조절부(200)의 타측에 개구된 일측이 결합되며, 선택된 수류의 외부 배출을 안내한다. 수류 분사부(300)는 원주방향을 따라 분사구가 형성될 수 있다. 수류 분사부(300)는 원의 중심부에 제1 수류 분사구(322), 그리고 제1 수류 분사구(322)의 외곽으로 제12 수류 분사구(3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류 분사구(322)와 제12 수류 분사구(324)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원의 최외곽부에는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구비할 수 있다.
수류 분사부(300)는 체결부재(310), 분사부재(320), 담수 관리부재(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부재(310)와 분사부재(320), 그리고 담수 관리부재(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10)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갖고 수류 조절부(200)의 타측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310)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재(320)는 제1 분사부, 제2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부는 체결부재(310)의 내측에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원주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제1 수류 분사구(322)와 제12 수류 분사구(324)를 갖는다. 제2 분사부는 제1 분사부와 단차를 갖고 원주의 외곽에 구비되어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갖는다.
담수 관리부재(330)는 제1 그루브(332), 제2 그루브(334), 그리고 제3 그루브(336)를 포함할 수 있다. 홈이 길게 파이게 형성된 그루브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에서 샤워홀이 잘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심미감을 줄 수 있으며 직수 분사시 레너드 효과(Lenard effect)를 주어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레너드 효과는 폭포수 효과(waterfall effect)라고도 한다. 폭포수 음이온이란, 폭포수에서 음이온이 다량 발생되어 주변공기가 정화되어 먼지가 없고 세균이 없으며 유해기체성분이 없어 공기가 맑고 청량하여 상쾌한 기분이 깃들게 해준다.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필립 레너드(Phillip Lenard)박사가 폭포수에서 음이온이 다량 생성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원리를 규명한 이래로 레너드 효과(Lenard effect, 일명 폭포수 효과, waterfall effect)로 부른다. 그리고 그루브의 형태를 다양한 모양의 도형과 기호, 상표, 또는 전통을 포함한 문양, 숫자, 그리고 캐릭터, 이모티콘 및 세계 각 언어에 따른 문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수류가 잔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332)는 분사부재(320)에 결합되어 제1 수류 분사구(322)의 직접 노출을 제한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제1 담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그루브(334)는 제12 수류 분사구(324)의 직접 노출을 제한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제2 담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그루브(336)는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의 직접 노출을 제한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맥동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제3 담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담수 관리부재(330)는 제1 그루브(332), 제2 그루브(334), 그리고 제3 그루브(336)를 형성하기 위해 제1 그루브 격벽(331), 제2 그루브 격벽(333), 그리고 제3 그루브 격벽(33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수류 분사구(322), 제12 수류 분사구(324),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는 수류 분사부(300) 내부에서 제1 그루브 격벽(331), 제2 그루브 격벽(333), 제3 그루브 격벽(335)을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류 분사구(322), 제12 수류 분사구(324), 맥동수류 분사구(326)는 제1 그루브 격벽(331), 제2 그루브 격벽(333), 제3 그루브 격벽(335)을 통해 제1 그루브(332), 제2 그루브(334), 제3 그루브(336)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류 분사구(322), 제12 수류 분사구(324),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통해 분사되는 해당 수류는 제1 그루브(332), 제2 그루브(334), 제3 그루브(336)를 통과하면서 그루브의 벽면이나 끝에 수류가 부딪치며, 레너드 효과(Lenard effect)를 주어 음이온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그루브 격벽(331)은 중심부에서 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 그루브(3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그루브 격벽(333)은 제1 그루브 격벽(331)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이크로버블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 그루브(334)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그루브 격벽(335)은 제2 그루브 격벽(333)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맥동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3 그루브(336)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담수 관리부재(330)는 제3 그루브 격벽(335)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어 제3 그루브(336) 면보다 돌출 형성되어 담수공간(330a)을 형성하는 담수 격벽(3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담수공간(330a)은 제1 그루브(332)의 제1 담수공간, 제2 그루브(334)의 제2 담수공간, 그리고 제3 그루브(336)의 제3 담수공간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류 분사구(322), 제12 수류 분사구(324),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통해 분사되는 해당 수류는 제1 그루브(332), 제2 그루브(334), 제3 그루브(336)를 통과하면서 담수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담수 격벽(337)의 외주면에는 나사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담수 격벽(337)의 나사 체결부에 결합되는 샤워캡(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변환부(400)는 수류 조절부(200)와 수류 분사부(300)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의 배출과 수압을 조절한다. 수류 변환부(400)는 수류 변환판(410), 임펠러(420)를 포함한다.
수류 변환판(410)은 수류 분사부(300)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류 변환판(410)은 원판형의 중심부에 제2 수류 분사구(40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류 변환판(410)은 제2 수류 분사구(402)를 중심으로 외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2 수류 분사구(324)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가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는 작은 수로(404a)와 확장된 수로(404b)가 함께 형성되며 이곳을 지나는 수류가 작은 수로(404a)에서 압력을 받은 후 확장된 수로(404b)에서 수류가 확산되어 마이크로버블수를 발생시킨다. 수류 변환판(410)은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를 중심으로 외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맥동수류 분사구(326)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와류 발생구(406)를 갖는다. 여기서, 복수의 와류 발생구(406)는 서로 인접된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2개가 1조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수류 변환판(410)을 관통하는 구멍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420)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호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단부와 개구부(420a),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와 격벽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420a)는 양측의 차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수류 변환판(410)의 와류 발생구(406)를 통해 경사면을 따라 공급되는 수류가 해당되는 격벽을 밀어 임펠러(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임펠러(420)는 전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갖고 원호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임펠러(420)는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맥동수류 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길고, 3개의 맥동수류 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420)는 제1 차단부(422)와 제2 차단부, 그리고 개구부(4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부(422)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제1 외측 격벽(421)을 갖는다. 제2 차단부는 타측 단부에서 제1 차단부(422)와 이격 형성되며 제2 외측 격벽(423)을 갖는다. 제1 차단부(422)와 제2 차단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420a)는 제1 차단부(422)와 제2 차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 격벽(425, 427)을 갖고 제1 차단부(422)와 제2 차단부에 각각 격리될 수 있다. 개구부(420a)의 길이는 제1 차단부(42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4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420a)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위치에 별도의 보조 격벽(4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조 격벽(429)은 제3 차단부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는 수류 분사부(300)에 결합되어 외력에 따라 제2 수류 분사구(402)를 개폐하는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 통로인 제2 수류 분사구(402)를 막게 되면 내부 압력이 커지게 되고 높은 압력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의 작은 수로(404a)에서 압력을 받은 후 확장된 수로(404b)에서 수류가 확산되어 통과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버블이 발생하게 된다. 제2 수류 분사구(402)의 크기는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의 크기 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는 원주방향을 따라 작은 구멍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수류는 계속해서 제1 수류 분사구(322)와 제12 수류 분사구(324)를 통과하며, 담수공간(330a)을 거쳐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다시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 통로인 제2 수류 분사구(402)를 열게 되면 일반수류를 더 많이 분사하게 된다. 제2 수류 분사구(402)가 열리게 되면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낮은 압력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버블의 발생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2 수류 분사구(402)와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를 통과하는 일반수류는 계속해서 제1 수류 분사구(322)와 제12 수류 분사구(324)를 통과하며, 담수공간(330a)을 거쳐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 통로인 제2 수류 분사구(402)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부 압력의 변화로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 또는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 주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의 크기는 제2 수류 분사구(402)의 크기보다 작게 구비되어 이물질이 끼이거나 막힐 수 있다.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 통로인 제2 수류 분사구(402)를 열어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 주변에 작은수로(440a) 보다 큰 이물질이나 작은수로(440a)에 끼인 이물질들은 제거될 수 있다. 제2 수류 분사구(402)는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 보다 크므로 제2 수류 분사구(402)가 열렸을 때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로 빠져나가지 못한 이물질이 제2 수류 분사구(402)를 통해 나오는것이다. 다시말해서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조작하여 일반수류의 이동 통로인 제2 수류 분사구(402)를 열어 내부 압력이 낮은 경우 좀 더 넓은 크기의 제2 수류 분사구(402)를 통해 많은 양의 일반수류가 분사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 주변에 있는 이물질이 일반수류의 흐름에 포함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작동하여 마이크로버블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담수상태에서 마이크로버블수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두피관리 시 샤워기의 수류가 분사되는 샤워 캡(340)부분을 머리카락이 있는 두피에 밀착시키면 샤워 캡(340)과 두피 사이에 담수공간이 생기는데 담수 상태에 마이크로버블수의 마이크로화된 버블들이 두피와 머리카락의 노폐물에 붙어 터져서 두피를 깨끗이 한다. 직수상태에서는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한편, 수류 분리 개폐부(500)는 눌림구조 또는 돌림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눌림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수류 분리 개폐부(500)는 고정부(510), 눌림부(520), 탄성부(524), 그리고 개폐 단속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체결부(510a, 510b)를 통해 수류 분사부(3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510)는 내부에 걸림턱(516)을 갖고 이동경로를 하부의 제1 이동로(512)와 상부의 제2 이동로(514)로 구분할 수 있다.
눌림부(520)는 고정부(510)의 제1 이동로(512)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일단의 눌림에 따라 제2 이동로(514) 방향으로 타단이 이동할 수 있다. 눌림부(520)는 사용자의 두피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눌림부(520)를 이동후 고정되는 구조로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눌림부(520)는 체결부(510a)를 통해 고정부(5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눌림부(520)의 외측면에는 체결부(510a)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눌림부(520)를 눌림구조로만 사용하거나 나사 체결구조로 고정하여 고정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눌림부(520)는 폽업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눌림부(520)에 마크네트를 설치하거나 눌림부(520)를 마크네트화하여 두피에 자기장마사지를 할 수도 있다. 수류 분리 개폐부(500)의 일부를 마그네트화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탄성부(524)는 눌림부(520)의 타단과 걸림턱(516)의 사이에 개재되어 눌림부(520)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 단속부(530)는 제2 이동로(514)에 결합되어 눌림부(520)의 타단에 일단이 접하며 타단이 제2 수류 분사구(402)에 접하여 제2 수류 분사구(402)를 단속할 수 있다. 개폐 단속부(530)는 지지부(532), 그리고 개폐볼(53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32)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2 이동로(514)에 위치되고 타단이 눌림부(52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532)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눌림부(520)에는 지지부(532)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위치에 암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볼(534)은 지지부(532)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2 수류 분사구(402)를 개폐할 수 있다. 지지부(532)의 타단에는 개폐볼(534)이 안착되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532)와 개폐볼(534)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532)의 타단이 개폐볼(534)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부(510)가 분리되지 않고 수류 분사부(300)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개폐볼(534)대신 원기둥형태의 개폐구가 설치될 수도 잇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를 이용하여 맥동수류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수류 조절부(200)를 통해 수류 변환판(410)의 와류 발생구(406)로 유입된 물은 와류 발생구(406)의 경사면을 통해 임펠러(420) 거치면서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경사진 와류 발생구(406)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은 임펠러(420)의 구간 반복 회전을 유도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임펠러(420)는 경사진 와류 발생구(406)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회전되면서 물의 와류현상을 발생시킨다. 즉, 수류 변환판(410)과 임펠러(420)의 결합구조로 임펠러(420)는 수류 변환판(410)에 경사지게 구비된 와류 발생구(406)를 통해 임펠러(420)로 전달되는 수압의 영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임펠러(420)의 회전을 통해 수류 변환판(410)과 수류 변환부(400) 사이에서 물이 맥동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임펠러(420)의 회전으로 임펠러(420)의 1회전시 수류 분사부(300)에 구비된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 중 해당되는 맥동수류 분사구를 적어도 2회 이상 개폐함으로써 수압과 맥동수류 분사주기를 향상시켜 두피 스케일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임펠러(420)는 수류 변환판(410)과 수류 변환부(400) 사이에서 맥동수류 분사구(326)와 와류 발생구(406)의 사이에 개재되어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 중 선택된 맥동수류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임펠러(420)는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회전시 해당되는 맥동수류 분사구를 순차적으로 복수번 개폐할 수 있다. 즉, 맥동수류 분사에 관계되는 임펠러(420) 구조를 개선하여 임펠러(420) 1회전시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 중 선택된 맥동수류 분사구를 적어도 2회 이상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 분사부(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8개의 맥동수류 분사구(326)가 있으며, 임펠러(420)는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회전시 해당되는 맥동수류 분사구를 순차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420)의 제1 차단부(422)의 이동으로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가 닫힌 상태이고 1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a)가 개구부(420a)를 통해 열린 상태를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임펠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부(422)의 이동으로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는 열린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2 차단부의 이동으로 1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a)는 닫힌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임펠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부(422)의 이동으로 3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c)는 닫힌 상태로 되고,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는 개구부(420a)를 통해 열린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임펠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부(422)의 이동으로 3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c)는 열린 상태로 되고 제2 차단부의 이동으로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는 다시 닫힌 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임펠러(420)가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 차단부(422)로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를 1회 막고, 개구부(420a)를 통해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이어서 제2 차단부로 2번째 맥동수류 분사구(326b)를 1회 더 막게 된다. 즉, 임펠러(420)의 회전동작을 통해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 중 해당되는 맥동수류 분사구의 물 분사가 서로 엇갈림을 반복하면서 맥동수류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의 개수를 조절하여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막는 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맥동수류 분사구(326)의 크기와 수량 및 위치는 일반적인 가정의 상수도 수전의 압력과 두피 세정효과를 고려하여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임펠러(420)의 구조를 개선하여 맥동수류 형성 수압을 좀 더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통해 배출되는 맥동수류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맥동수류 분사구(32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주기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워터 펀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두피 스케일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를 이용하여 두피를 세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공급호스가 연결된 수전의 손잡이를 통해 수전을 개방시키면,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상당 수압의 물은 헤드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헤드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수류 조절부(200)와 수류 변환부(400), 그리고 수류 분사부(3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수류 조절부(200)와 수류 변환부(400) 사이에 개재되는 수류 변환부(400)를 통해 헤드 본체부(10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일정 수압을 유지하면서 선택된 수류로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호스를 통해 헤드 본체부(10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선택된 수류 조절부(200)의 동작에 따라 수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된 수류가 수류 변환부(400)를 통해 일반수류, 마이크로버블수류, 맥동수류 등으로 변환되어 수류 분사부(30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류 분사부(300)에 구비되는 제1 수류 분사구(322), 제12 수류 분사구(324),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326)는 제1 그루브(332), 제2 그루브(334), 그리고 제3 그루브(336)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사구를 통과하는 물은 폭이 좁은 부위를 지난 후 계속하여 내경이 넓어진 각각의 그루브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폭이 좁은 제1 수류 분사구(322)를 통과한 물은 폭이 넓은 제1 그루브(33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분사되는 물은 분사압력에 의해 외곽으로 확산되려는 힘이 작용하나 그루브가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형성됨에 따라 외곽 방향으로 확산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분사됨과 동시에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루브를 통해 분사되는 물은 확산이 방지될 수 있으며 물의 분사압력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를 통한 물의 분사로 음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외부공기가 일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그루브에서 일정 수압의 물과 합쳐지면서 담수공간(330a)을 거쳐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결국, 그루브와 담수공간(330a)을 통해 항상 공기가 혼입된 일정 수압의 물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으며 물의 분사 수압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좀 더 안정된 두피 세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를 이용하여 두피관리 기능에 대한 단계별(맥동수류 분사, 마이크로버블수류 분사, 미세분사) 관리 내용을 설명한다. 사용자의 두피를 관리하기 위해 수류 분사부(300)로부터 분사되는 수류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는 맥동수류 분사를 이용한 직수관리로 두피를 관리하고, 2단계에서 마이크로버블수류를 이용한 담수관리로 두피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3단계에서 미세분사를 이용한 두피관리로 단계별로 사용자의 두피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워터 랩 샤워헤드로 두피관리를 할 때 1차로 수류 조절부(200)로 맥동수류발생라인으로 변환시킨다. 맥동수류변환라인으로 연결된 수류는 와류 발생구(406)로 흘러 들어 임펠러(420)를 회전시키며 맥동수류 분사구(326)에서 맥동수류를 분사시킨다. 이때 두피와 워터 랩 샤워헤드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거리를 두었을 때 발생된 맥동수류는 두피를 두드리 듯 때리게 되고 두피에 노폐물과 분비물이 1차 제거된다. 또한 분사되는 맥동수류는 수류 분사부(300)에 형성된 그루브의 격벽에 부딪치며 레너드 효과로 음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2차로 수류 조절부(200)를 마이크로버블과 일반수류가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복합라인으로 변환시킨다. 복합라인에서는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와 제2 수류 분사구(402)가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함께 형성되어 있으며 일반수류와 마이크로버블수류가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통해 선택되어 분사된다.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이용하여 제2 수류 분사구(402)를 막으면 작은 수로(404a)와 확장된 수로(404b)를 가진 마이크로버블수로(404)로 지나가게된다. 이때 수류가 작은 수로(404a)에서는 압력을 가지고 이동하게 되고 확장된 수로(404b)에서 확산되어 마이크로버블이 발생하여 제12 수류 분사구(324)를 통해 마이크로버블수류를 토출시킨다. 발생된 마이크로버블수류는 사용자가 워터 랩 샤워헤드의 샤워 캡(340)을 머리카락이 있는 두피에 밀착시켰을 때 샤워 캡(340)과 두피 사이에 담수 관리부재(330)를 통해 형성된 담수공간(330a)과 수류 분사부(300)에 형성된 그루브의 요홈에 마이크로버블수류가 담기게 되어 수류내에 발생된 마이크로버블들이 터지며 두피에 노폐물과 분비물이 2차 제거된다.
그리고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이용하여 제2 수류 분사구(402)를 열면 일반수류가 마이크로발생수로와 제2 수류 분사구(402)로 이동하여 제12 수류 분사구(324)를 통해 분사된다. 이때 수류는 제12 수류 분사구(324)를 통해 미세분사되어 두피의 3차 세정을 하게 된다. 수류 분리 개폐부(500)를 이용하여 제2 수류 분사구(402)가 열리면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로 수류가 지나가나 압력이 생기지 않아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되지는 않지만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의 작은 수로(404a)로 인해 토출되지 못하고 생겨진 주변에 있는 이물질이 일반수류의 흐름에 포함되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700)는 이동부(730)와 제2 고정부(722)의 사이에서 이동부(730)를 고정하는 로킹부의 결합방식이 서로 상이하며, 결합방식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류 분리 개폐부(600)와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700)는 제1 고정부(710), 제2 고정부(722), 이동부(730)를 포함하며, 이동부(7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2 수류 분사구(402)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고정부(7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수류 분사부(300)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에 이탈 방지용 걸림턱을 갖는다. 제1 고정부(710)는 체결부(770)를 통해 수류 분사부(3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730)는 제1 고정부(710)의 내측에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눌림부(760)의 눌림 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한다. 이동부(730)의 내측에는 탄성체(740)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체(740)는 이동부(730)와 제2 고정부(720) 사이에 개재되어 더 안정된 상태로 이동부(740)의 이동과 복원동작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고정부(720)는 일측이 개구되어 제2 수류 분사구(402)에 접하며, 제1 수류 이동통로(722)를 갖고 이동부(730)의 내측에 결합된다.
로킹부는 이동부(730)와 제2 고정부(720)의 사이에서 이동부(730)의 이동경로에 구비되어 이동부(730)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다. 로킹부는 이동부(730)의 내측에 구비되며 걸림돌기 형상의 제1 로킹부재(750), 제2 고정부(7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 로킹부재(750)와 대응되는 걸림부(726)를 구비하는 제2 로킹부재(7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킹부재(750)는 걸림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726)는 이동부(730)는 고정을 위한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제1 로킹부재(750)의 일단이 고정 또는 풀릴 수 있는 걸림홈 또는 걸림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로킹부재(724)의 걸림부(726) 상부 중앙에 제1 로킹부재(750)의 일단이 걸림에 따라 눌림부(760)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730)는 풀림을 위한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제1 로킹부재(750)의 일단이 제2 로킹부재(724)의 걸림부(726)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로 이동되어 눌림부(760)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눌림부(760)의 눌림동작에 연동되어 이동부(7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2 수류 분사구(402)를 개폐함으로써 제2 수류 분사구(402)와 제1 수류 이동통로(722)의 연통을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730)와 제2 고정부(720)의 사이에서 이동부(730)의 이동경로에 구비되는 로킹부의 고정 또는 풀림 동작에 따라 이동부(730)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수류 분리 개폐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수류 분리 개폐부에서 이동부의 상하 이동과 수로의 개폐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800)는 고정부(810), 제1 이동부(820), 제2 이동부(830)를 포함하며, 제2 이동부(830)를 고정하는 로킹부의 결합방식이 서로 상이하며, 결합방식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류 분리 개폐부(700)와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800)는 고정부(810), 제1 이동부(820), 제2 이동부(830)를 포함하며, 제2 이동부(8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2 수류 분사구(402)를 개폐할 수 있다. 제2 수류 분사구(402)를 개폐함으로써 제2 수류 분사구(402)와 제2 수류 이동통로(812)의 연통을 단속할 수 있다. 제2 이동부(8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2 이동부(830)의 원위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탄성부(840), 제1 이동부(820)의 하부와 고정부(8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이동부(820)의 하향 이동을 단속하는 제2 탄성부(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8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측면에 제2 수류 이동통로(812)를 형성하고 수류 분사부(300)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에 이탈 방지용 걸림턱(816)을 갖는다. 고정부(810)는 체결부(810a)를 통해 수류 분사부(3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81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814a)과 내부 걸림부(814b)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814a)과 내부 걸림부(814b)는 고정부(810)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814a)은 제2 이동부(830)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내부 걸림부(814b)는 상부의 경사진 형상을 통해 제2 이동부(830)의 일방향 회전과 상부 걸림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이동부(8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측의 경사돌기(824)가 제2 이동부(830)의 가이드바(834)에 접하며, 하측은 눌림부(822)가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제1 이동부(820)는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돌기(826)를 갖는다. 복수의 가이드돌기(826)는 가이드홈(814a)을 따라 제1 이동부(8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이동부(830)는 고정부(810)의 내측에 원주형상으로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제1 이동부(820)의 하부 눌림 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한다. 제2 이동부(830)의 몸체(832) 외주면에는 가이드바(834)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바(834)는 몸체(832)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바(834)는 내부 걸림부(814b)에 걸려 제2 이동부(830)의 상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814a)을 따라 제2 이동부(8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이동부(830)의 상부는 제1 탄성부(840)가 결합되는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격벽으로 제2 수류 분사구(402)와 제2 수류 이동통로(812)의 연통을 단속할 수 있다. 한편, 제2 이동부(830)의 상부는 제1 탄성부(840)가 결합되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동부(8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돌기형상의 단부가 직접 제2 수류 분사구(402)를 개폐하여 제2 수류 분사구(402)와 제2 수류 이동통로(812)의 연통을 단속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랩 샤워헤드에서 수류 분리 개폐부(8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이동부(820)와 제2 이동부(830)가 가이드홈(814a)을 따라 하향 이동되어 제2 수류 분사구(402)와 제2 수류 이동통로(812)가 연통된 상태를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이동부(820)의 눌림부(822)를 상향으로 눌렀을 때 제1 이동부(820)와 제2 이동부(830)가 가이드홈(814a)을 따라 상향으로 올라간다. 제2 이동부(830)의 가이드바(834)가 내부 걸림부(814b)의 상부로 이동되어 상호 경사진 면이 접하며 1차 회전됨에 따라 걸림 고정턱(814b1)에 걸리게 하여 제2 수류 이동통로(812)를 막아 제2 수류 분사구(402)를 통해 제2 수류 이동통로(812)로 이동되는 일반수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일반수류의 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404)에서는 막힌 일반수류의 압력으로 인해 마이크로버블이 발생한다. 이렇게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수류는 계속해서 제1 수류 분사구(322)와 제12 수류 분사구(324)를 통과하며, 담수공간(330a)을 거쳐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이동부(820)의 눌림부(822)를 상향으로 다시 누르면 제1 이동부(820)와 제2 이동부(830)가 가이드홈(814a)을 따라 상향으로 올라간다. 그리고 제2 이동부(830)의 가이드바(834)가 내부 걸림부(814b)의 상부로 이동되어 상호 경사진 면이 접하며 2차 회전됨에 따라 걸림 고정턱(814b1)에 걸린 부분이 해제되고, 가이드바(834)가 가이드홈(814a)을 따라 하향으로 내려감에 연동되어 제1 이동부(820)와 제2 이동부(830)가 가이드홈(814a)을 따라 하향으로 내려간다. 이러한 동작으로 제2 수류 이동통로(812)가 열리게 되고 제2 수류 분사구(402)를 통해 제2 수류 이동통로(812)로 이동되는 일반수류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헤드 본체부 200 ; 수류 조절부
300 ; 수류 분사부 310 ; 체결부재
320 ; 분사부재 322 ; 제1 수류 분사구
324 ; 제12 수류 분사구 326 ; 맥동수류 분사구
330 ; 담수 관리부재 330a ; 담수공간
331 ; 제1 그루브 격벽 332 ; 제1 그루브
333 ; 제2 그루브 격벽 334 ; 제2 그루브
335 ; 제3 그루브 격벽 336 ; 제3 그루브
337 ; 담수 격벽 400 ; 수류 변환부
402 ; 제2 수류 분사구 404 ;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
404a ; 작은 수로 404b ; 확장된 수로
406 ; 와류 발생구 410 ; 수류 변환판
420 ; 임펠러 500 ; 수류 분리 개폐부

Claims (12)

  1. 일측이 공급호스와 연결되며, 타측이 개구되어 내부로 공급된 수류의 배출을 안내하는 헤드 본체부,
    상기 헤드 본체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수류를 조절하여 조절된 수류를 타측을 통해 배출하는 수류 조절부,
    상기 수류 조절부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며, 제1 수류 분사구,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포함하여 선택된 수류의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담수 관리부재를 포함하는 수류 분사부, 그리고
    상기 수류 조절부와 상기 수류 분사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류의 배출과 수압을 조절하는 수류 변환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담수 관리부재는
    상기 제1 수류 분사구의 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맥동수류에 레너드 효과를 주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류 변환부는
    원판형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2 수류 분사구, 상기 제2 수류 분사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2 수류 분사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 상기 마이크로버블발생수로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맥동수류 분사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와류 발생구를 갖는 수류 변환판, 그리고
    상기 수류 변환판과 상기 수류 변환부 사이에서 상기 맥동수류 분사구와 상기 와류 발생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 중 선택된 맥동수류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회전시 해당되는 맥동수류 분사구를 순차적으로 복수번 개폐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워터 랩 샤워헤드.
  2. 제1항에서,
    상기 수류 분사부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갖고 상기 수류 조절부의 타측과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원주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수류 분사구를 갖는 제1 분사부, 상기 제1 분사부와 단차를 갖고 원주의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갖는 제2 분사부를 포함하는 분사부재
    를 더 포함하는 워터 랩 샤워헤드.
  3. 제2항에서,
    상기 담수 관리부재는
    분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류 분사구의 직접 노출을 제한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수류를 일시 저장하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제1 그루브,
    상기 제1 그루브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그루브,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맥동수류를 안내하는 제3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워터 랩 샤워헤드.
  4. 제3항에서,
    상기 담수 관리부재는
    중심부에서 상기 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1 그루브 격벽,
    상기 제1 그루브 격벽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2 그루브 격벽, 그리고
    상기 제2 그루브 격벽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맥동수류의 배출경로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3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3 그루브 격벽
    을 더 포함하는 워터 랩 샤워헤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임펠러는
    원호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의 맥동수류 분사구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맥동수류 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길고, 3개의 맥동수류 분사구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이격 형성되며 외측 격벽을 갖는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 그리고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 격벽을 갖고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에 각각 격리되는 개구부
    를 포함하는 워터 랩 샤워헤드.
  7. 제6항에서,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차단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워터 랩 샤워헤드.
  8. 제1항에서,
    상기 수류 분사부에 결합되어 외력에 따라 상기 제2 수류 분사구를 개폐하는 수류 분리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워터 랩 샤워헤드.
  9. 제8항에서,
    상기 수류 분리 개폐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류 분사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걸림턱을 갖고 상기 이동경로를 하부의 제1 이동로와 상부의 제2 이동로로 구분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제1 이동로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일단의 눌림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로 방향으로 타단이 이동하는 눌림부,
    상기 눌림부의 타단과 상기 걸림턱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눌림부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로에 결합되어 상기 눌림부의 타단에 일단이 접하며 타단이 상기 제2 수류 분사구에 접하여 상기 제2 수류 분사구를 단속하는 개폐 단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단속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이동로에 결합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류 분사구를 개폐하는 개폐볼을 포함하는 워터 랩 샤워헤드.
  10. 제8항에서,
    상기 수류 분리 개폐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측면에 제1 수류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류 분사부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에 이탈 방지용 걸림턱을 갖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측에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하부의 눌림 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 그리고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2 수류 분사구에 접하며, 상기 제1 수류 이동통로와 대응하는 제2 수류 이동통로를 갖고 상기 이동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수류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수류 이동통로의 연통을 단속하는 워터 랩 샤워헤드.
  11. 제10항에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서 상기 이동부의 이동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단속하는 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워터 랩 샤워헤드.
  12. 제8항에서,
    상기 수류 분리 개폐부에 마그네트가 설치된 워터 랩 샤워헤드.
KR1020180098150A 2018-08-22 2018-08-22 워터 랩 샤워헤드 KR10214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150A KR102146898B1 (ko) 2018-08-22 2018-08-22 워터 랩 샤워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150A KR102146898B1 (ko) 2018-08-22 2018-08-22 워터 랩 샤워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53A KR20200022253A (ko) 2020-03-03
KR102146898B1 true KR102146898B1 (ko) 2020-08-21

Family

ID=6993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150A KR102146898B1 (ko) 2018-08-22 2018-08-22 워터 랩 샤워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8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446Y1 (ko) * 1999-05-13 2000-02-15 이종태 샤워 노즐
KR200360905Y1 (ko) * 2004-06-21 2004-09-07 앨트웰텍 주식회사 샤워기 헤드
KR200413013Y1 (ko) * 2006-01-07 2006-04-05 황종현 기능성 샤워기 헤드
KR200475345Y1 (ko) * 2013-10-08 2014-12-03 이다혜 수도꼭지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152A (ko) * 2014-04-07 2015-10-15 이용식 두피세정샤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446Y1 (ko) * 1999-05-13 2000-02-15 이종태 샤워 노즐
KR200360905Y1 (ko) * 2004-06-21 2004-09-07 앨트웰텍 주식회사 샤워기 헤드
KR200413013Y1 (ko) * 2006-01-07 2006-04-05 황종현 기능성 샤워기 헤드
KR200475345Y1 (ko) * 2013-10-08 2014-12-03 이다혜 수도꼭지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53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589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KR100905629B1 (ko) 진동 충격 분사장치
US20080016609A1 (en) Nozzle Structure Of Bidet With Swirling Water Current
CN109201359B (zh) 出水部的构造和淋浴装置
KR101337696B1 (ko) 이중 살수판을 구비한 샤워헤드
KR200456056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KR102146898B1 (ko) 워터 랩 샤워헤드
US10272450B2 (en) Spout apparatus
KR102376857B1 (ko) 미세버블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샤워기헤드
KR20200068857A (ko) 회전변환 장치를 갖는 워터랩샤워기
KR20200068856A (ko)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 샤워헤드
KR200399686Y1 (ko)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
KR101427165B1 (ko) 샤워기 헤드
GB2311474A (en) Spray head for a shower handset
JPH0126743B2 (ko)
KR200220273Y1 (ko) 샤워기 헤드
KR20120023506A (ko)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JP2017064100A (ja) シャワーヘッド
DE10231575A1 (de) Brausekopf für Sanitärbrausen
KR102376856B1 (ko) 샤워기
KR102676743B1 (ko) 세정액 미세 거품 발생장치
JP2018166685A (ja) 吐水装置
KR102694469B1 (ko) 샤워 헤드의 살수판 및 이를 구비하는 샤워 헤드
WO2020189255A1 (ja) 吐出装置
JP6432133B2 (ja) ハンドシャワ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