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767A -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767A
KR20200068767A KR1020180147755A KR20180147755A KR20200068767A KR 20200068767 A KR20200068767 A KR 20200068767A KR 1020180147755 A KR1020180147755 A KR 1020180147755A KR 20180147755 A KR20180147755 A KR 20180147755A KR 20200068767 A KR20200068767 A KR 20200068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wearable device
driver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유림
김수성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80147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767A/ko
Publication of KR2020006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표시부 및 내비게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라면, 상기 차량이 표시부를 통해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라면,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내비게이션부를 통해 상기 응급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wearable device inter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과 연동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활용하여 운전자의 응급 상태 시 병원으로 차량을 자율주행하여 이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 수요증가에 따른 교통혼잡을 해소함과 아울러 사람이나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을 안전하게 회피하기 위해 자율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부가 기능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차선 유지 시스템과 관련된 수 많은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또한, 인터넷 연결성이 확대되면서, 각종 디바이스나 자동차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양이 급증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람들의 일상 속에 자리를 잡았으며, 사람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여가 시간에 러닝을 하거나 기타 일상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본인의 생체정보를 확인하며 이에 따라 생활패턴이나 운동량을 조절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용하고 있다.
상기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차량을 연동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운전자에게 유효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운전자가 응급한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이를 적재적소에 병원과 연동하여 운전자를 이송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10-2017-0015240 A
(특허문헌 2) KR10-2018-0103473 A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차량을 연동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차량에서 판단한 후 응급 목적지까지 차량을 자율주행시킴에 따라 운전자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병원으로 이송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표시부 및 내비게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라면, 상기 차량이 표시부를 통해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라면,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내비게이션부를 통해 상기 응급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은 상기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HUD(헤드업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후보 리스트에서 교통 상황을 고려한 상기 차량의 도착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자율주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자율주행부를 통해 상기 응급 목적지까지 자율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응급 목적지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위치 또는 주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응급 목적지를 설정한 이후에, 응급 목적지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응급 목적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차량을 연동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차량에서 판단한 후 응급 목적지까지 차량을 자율주행시킴에 따라 운전자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병원으로 이송시키고, 그에 따라 운전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의 몇몇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의 몇몇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의 몇몇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되,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우선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차량(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병원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본체부(110) 및 스트랩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본체, 디스플레이부, 센서부 및 단자부를 포함한다.
본체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본체의 정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다. 본체의 내부에는 센서부의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처리하거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회로부가 실장될 수 있다.
본체의 배면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직선의 양단이 반호형상인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 돌출부는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형성된다. 제1 돌출부의 내부에는 단자부가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배면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직선의 양단이 반호형상인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2 돌출부는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형성된다. 제2 돌출부의 내부는 센서부가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본체부(11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경우, 손목과 우선적으로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손목과 이격된 센서부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정면에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에는 센서부의 신호를 통해 연산된 심박수나 산소포화도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센서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로서, PPG센서일 수 있다. PPG센서는 임상 생리적인 감시, 혈액 산소 포화, 혈압, 심장 산출, 심박수, 호흡, 관 평가, 동맥 질환, 동맥 수락 및 노후화, 정맥 평가, 내피 성장 기능, Microvascular 혈류량, Vasospastic 조건, 자치 기능 감시, 혈관 운동 기능 및 온도, 혈압과 심박수 가변성, Orthostasis, 그 외의 심장 혈관 가변성 평가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센서부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심박수 데이터는 차량(200)으로 송신함에 따라 후술되는 제어부(220)에서 운전자가 정상 상태인지 아니면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요소이다.
센서부는 본체의 배면 중앙부에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서로 이격되면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제2 돌출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보다 더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부(110)는 스트랩부(120)에 의해 운전자의 손목과 접촉하게 되고, 손목과 대향하는 센서부에 의해 운전자의 심박수나 산소포화도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체부(110)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운전자의 생체정보와 실시간으로 비교한 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평균값보다 분석한 생체정보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보다 크게 되면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단자부는 신호 또는 전원을 입출력한다. 단자부는 센서부와 본체부(110)의 동일한 일면(즉, 본체의 동일한 일면)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부는 본체의 배면 상부에 위치하면서 센서부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단자부는 제1 돌출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제1 돌출부보다 더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다.
스트랩부(120)는 시계줄과 같이 사람의 손목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본체부(110)의 양단에 탈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스트랩부(120)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무재질이나 가죽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차량(200)은 차량 프레임, 내연기관, 전동기, 인버터, 축전지, ECU, 구동축, 바퀴, 도어, 기어, 안전벨트, 와이퍼, 전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스티어링 휠(210) 등으로 구성되고, 본 발명에서의 차량(200)은 통신부(210), 제어부(220), 표시부(230), 내비게이션부(240) 및 자율주행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본체부(110),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예: 블루투스 등)한다. 본 발명에서의 통신부(210)는 블루투스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0)는 본체부(110)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제어부(22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병원 시스템(400)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됨에 따라 차량(200)의 위치 또는 주행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토대로 표시부(230), 내비게이션부(240) 및 자율주행부(25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응급 상태인 경우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하도록 표시부(230)를 제어한다. 만약, 운전자가 응급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본체부(110)로부터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다시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운전자가 응급 상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고, 응급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도록 내비게이션부(240)를 제어한다. 이때,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기준은 현재 위치로부터 응급 목적지까지의 거리, 현재 위치로부터 응급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응급 목적지의 규모 및 시설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목적지의 설정 기준은 운전자가 평소에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응급 목적지의 설정 기준의 우선순위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20)는 응급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탐색한 결과를 자율주행부(250)로 전송함과 동시에 차량(200)이 응급 목적지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부(250)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220)는 차량의 위치 또는 차량의 주행 정보가 병원 시스템(400)에 송신될 수 있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표시부(230)는 제어부(220)에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응급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운전자가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한다. 일례로서, 표시부(230)는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색상을 빠르게 점멸시키는 방법 등으로 운전자에게 응급 상태임을 확인시킬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40)는 일반적인 내비게이션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로상황, 주행속도, 응급 목적지, 현재 시간, 도착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자율주행부(250)는 응급 목적지의 설정 및 응급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 차량이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율주행부(250)는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200)이 주행환경을 인식해 위험을 판단하고 주행경로를 계획하여 스스로 운전하는 것으로서, 감지시스템, 중앙제어장치,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로봇 및 컴퓨터공학, GPS, 정밀센서, 전자제어 등의 첨단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율주행부(250)는 상기한 자율주행의 수준에 따라 운전자를 응급 목적지로 이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차량(200)으로부터 차량(200)의 위치 또는 주행 정보를 수신한 후 병원 시스템(400)으로 차량(200)의 위치 또는 주행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즉, 차량(200)과 병원 시스템(400) 사이에서 중계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차량(200)과 블루투스로 무선통신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필요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도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블루투스를 통해 차량(200)과 연결된다.
병원 시스템(400)은 병원이 구축한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S100),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0),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단계(S400),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S500),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S600), 자율주행하는 단계(S700),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0) 및 응급 목적지를 변경하는 단계(S9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각 단계는 특별한 언급 또는 인과관계가 없다면 상기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상기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의 몇몇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차량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S100),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0) 및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S100)는 차량(200)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통신부(21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차량(2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2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가 차량(200)으로 송신되는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다.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0)는 차량(200)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통신부(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센서부가 측정한 측정한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생체신호 데이터는 운전자의 심박수, 혈액 산소 포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는 차량(200)이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제어부(220)는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0)를 통해 누적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220)는 실시간으로 누적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처리부는 누적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체신호 데이터를 분석하고 정상상태와 응급 상태로 분류한 후 이를 기반으로 새로이 수신되는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와 비교함에 따라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응급 상태 여부는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하고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운전자의 정확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단계(S400) 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단계(S400)는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라면, 차량(200)이 표시부(240)를 통해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제어부(220)가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응급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표시부(240)를 통해 운전자가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부(240)는 차량(200)의 전면 유리에 표시되는 HUD(헤드업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표시부(240)는 정보표시창의 특정 영역에 현재 차량(200)이 운전자의 상태를 응급 상태로 판단하였고, 이에 따른 후속 단계를 수행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와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S500),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S600) 및 자율주행하는 단계(S7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S500)는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라면, 차량(200)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제어부(220)는 내비게이션부(240)를 통해 미리 정해진 후보 리스트에서 교통 상황을 고려한 차량(200)의 도착 시간을 고려하여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기준은 미리 정해진 후보 리스트 외에도 현재 위치로부터 응급 목적지까지의 거리, 현재 위치로부터 응급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응급 목적지의 규모 및 시설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목적지의 설정 기준은 운전자가 평소에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응급 목적지의 설정 기준의 우선순위도 적용할 수 있다.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S600)는 차량(200)이 내비게이션부(240)를 통해 응급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이다. 차량(200)의 내비게이션부(240)는 운전자를 신속하게 병원까지 이송해야 하므로 교통 상황을 고려한 최단거리로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200)은 자율주행부(250)를 더 포함하고, 자율주행부(250)를 통해 응급 목적지까지 자율주행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율주행하는 단계(S700)는 차량(200)이 자율주행부(250)를 통해 응급 목적지까지 자율주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자율주행부(250)는 내비게이션부(240)가 탐색한 응급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따라 자율주행을 수행한다.
도 2와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0) 및 응급 목적지를 변경하는 단계(S9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0)는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S50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0)는 차량(200)이 응급 목적지를 설정한 이후에, 차량(200)의 위치 또는 주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통신부(210)는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차량(200)의 통신부(210)는 이러한 정보를 병원 시스템(4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200)의 위치는 현재 차량(200)이 있는 위치이고, 차량(200)의 주행에 관한 정보는 주행 속도, 도착 예정 시간, 주행 경로 및 차량(200)의 상태 등이 있을 수 있다.응급 목적지를 변경하는 단계(S900)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 목적지를 변경하는 단계(S900)는 차량이(200) 응급 목적지를 설정한 이후에, 응급 목적지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응급 목적지를 변경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통신부(210)는 병원 시스템(400) 등으로부터 응급 목적지의 변경 메시지를 수신할 수있다. 그리고 차량(200)의 제어부(220)는 내비게이션부(240)를 통해 응급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목적지로 설정한 병원에서 운전자를 진료할 수 없는 상태(환자실 부족, 환자를 수술할 수 있는 의사 부재, 의료장비 부족 등)인 것을 확인하였을 경우에 상기한 단계(S9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병원 시스템(400)은 차량(200)에 응급 목적지의 변경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200)은 메시지를 수신하여 응급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의 몇몇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2와 함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0) 및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가 수행되지 않고, 차량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201)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예의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생체신호 데이터는 그 자체가 차량(200)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직접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S199)한다.
차량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201)는 차량(200)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통신부(210)는 단계(S201)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단계(S199)에서 측정한 결과를 수신한다.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차량(2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미리 자신이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300)가 전송받은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의 몇몇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2와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0)가 수행되지 않고, 차량이 사용자 단말기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1) 및 사용자 단말기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2)를 더 포함한다.
차량이 사용자 단말기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1)은 차량(200)이 응급 목적지를 설정한 이후에, 차량(200)이 사용자 단말기(300)로 차량(200)의 위치 또는 주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의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이러한 정보를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2)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앞선 단계(S801)에서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병원 시스템(400) 등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0)는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차량(200)의 통신부(210)는 직접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하지 않는 경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병원 시스템(400)에 전송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본체부
120: 스트랩부
200: 차량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30: 표시부
240: 내비게이션부
241: 도로 표시부
242: 응급 목적지 표시부
250: 자율주행부
300: 사용자 단말기
400: 병원 시스템

Claims (9)

  1. 차량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표시부 및 내비게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라면, 상기 차량이 표시부를 통해 응급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라면,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내비게이션부를 통해 상기 응급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은 상기 응급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HUD(헤드업디스플레이) 장치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후보 리스트에서 교통 상황을 고려한 상기 차량의 도착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자율주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자율주행부를 통해 상기 응급 목적지까지 자율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응급 목적지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위치 또는 주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응급 목적지를 설정한 이후에, 응급 목적지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응급 목적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80147755A 2018-11-26 2018-11-26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KR20200068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755A KR20200068767A (ko) 2018-11-26 2018-11-26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755A KR20200068767A (ko) 2018-11-26 2018-11-26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767A true KR20200068767A (ko) 2020-06-16

Family

ID=7114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755A KR20200068767A (ko) 2018-11-26 2018-11-26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87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114A (ko) * 2020-08-05 2022-02-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진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114A (ko) * 2020-08-05 2022-02-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진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87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afety support for vehicle
EP3239011B1 (en) Driving consciousness estimation device
JP697262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34275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afety support for vehicle
US20190357834A1 (en) Driver and passenger health and sleep interaction
EP31583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KR101639804B1 (ko) 구급이 가능한 무인 스마트카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972550B1 (ko) 차량단 제어의 조정을 위한 방법, 측정 장치 및 제어 유닛
CN107200022B (zh) 驾驶辅助系统和方法
WO201819015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768671A (zh) 用于自主交通工具的晕动症检测系统
CN112041910A (zh) 信息处理装置、移动设备、方法和程序
KR101082161B1 (ko) 보행 보조 장치
US20210188322A1 (en) Vehicle device and drive assist program product
JP6256433B2 (ja) 運転者状態検出装置
KR2020006876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제어방법
JP2018060299A (ja) 安全運転支援装置、二輪車運転支援システム、安全運転支援方法、安全運転支援プログラム
KR101982117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한 신체 바이오 센싱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CN112455461B (zh) 自动驾驶车辆的人车交互的方法、自动驾驶系统
JP7156210B2 (ja) 車両用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90093738A (ko) 차량의 제어방식 자동 전환 장치
WO2018211966A1 (ja) 運転者監視装置、運転者監視方法及び運転者監視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20170345A (ja) 車両の運転アドバイス提供システム
KR2020007532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 차량의 미세먼지 대응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90135199A (ko)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되는 정보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