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296A -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296A
KR20200068296A KR1020180155099A KR20180155099A KR20200068296A KR 20200068296 A KR20200068296 A KR 20200068296A KR 1020180155099 A KR1020180155099 A KR 1020180155099A KR 20180155099 A KR20180155099 A KR 20180155099A KR 20200068296 A KR20200068296 A KR 20200068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confidenti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704B1 (ko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704B1/ko
Priority to CN201911228729.3A priority patent/CN111277558B/zh
Priority to US16/703,591 priority patent/US11321482B2/en
Priority to DE102019133166.8A priority patent/DE102019133166A1/de
Publication of KR2020006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04L63/1416Event detection, e.g. attack signatur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7Certifying or maintaining trusted computer platforms, e.g. secure boots or power-downs, version controls, system software checks, secure updates or assessing vulner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33Vulnerability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41Countermeasures against maliciou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1Wireless intrusion detection systems [WIDS];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s [W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50, 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 G06F2221/034Test or assess a computer or a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기차에서 수행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은, 차징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ONFIDENTIAL INFORMATION IN AN ELECTRIC CAR POWER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전송을 위한 기밀 정보가 보관된 저장소에 대한 침입 여부를 미리 감지함으로써, 기밀 정보의 외부적 침탈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용 전원의 배전망(grid)이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케이블을 이용한 전도성 충전 시스템이나 비접촉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의 무선 충전 시, 전기차에 탑재되는 차량 어셈블리(vehicle assembly, VA)는 충전 스테이션(charge station)이나 충전 스팟(charging spots)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어셈블리(ground assembly, GA)의 송전 패드와 유도 공진 결합을 형성하고, 유도 공진 결합을 통해 그라운드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앞선 무선 충전과 유선 충전을 모두 포함하는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충전량을 과금하는 방법으로는 소비자가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챠징 스테이션에 직접 결제를 하는 방식과 차량 내에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결제를 하는 방식이 있다.
이때, 외부의 챠징 스테이션에 직접 결제를 하는 방식은 소비자의 결제 정보가 결제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사용되는데 그치지만, 차량 내에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은, 결제 정보가 저장된 저장소의 보안이 취약하면 손쉽게 침입자에 의해 탈취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침입자가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기밀 정보가 저장된 충전 제어기(Charging Control Module, CCM)의 덮개를 탈거한 후 충전 제어기의 저장소(또는 메모리)를 복사하거나 충전 제어기를 그대로 탈취하여 자신의 차량에 장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에 의해 기밀 정보가 탈취됨으로써 발생하는 보안상 취약점을 전력 전송 단계에서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를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기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기차에서 수행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전기차에서 수행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은, 차징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밀 정보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차징 스테이션 상호간 인증과 결제를 위한 암호화 키 및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이 탈거 또는 훼손됨에 따라 변화되는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통해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한 결과로 측정된 절연 저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RTC(Real Time Clock)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TC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차의 시동 종료 전에 상기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시동 후에,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RTC 정보를 상기 저장된 RTC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전기차 통신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기차에 탑재되어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기차에 탑재되어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차징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밀 정보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차징 스테이션 상호간 인증과 결제를 위한 암호화 키 및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이 탈거 또는 훼손됨에 따라 변화되는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통해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한 결과로 측정된 절연 저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RTC(Real Time Clock)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TC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차의 시동 종료 전에 상기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시동 후에,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RTC 정보를 상기 저장된 RTC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전기차 통신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를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기차를 제공한다.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를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기차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차징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수신받아 저장하는 배터리(Battery), 상기 차징 스테이션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전력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기차 통신 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 전력 전송을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밀 정보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차징 스테이션 상호간 인증과 결제를 위한 암호화 키 및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전기차 통신 제어기에 일체형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통해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기밀 정보가 저장된 장치에 대한 외부적 또는 물리적 침입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는 데이터 보안 방식에,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침입을 감지하는 보안 방식을 결합함으로써 더욱 정교하게 기밀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기차를 위한 무선 전력 전송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무선 충전 회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정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차량에 탑재되어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기(Charging Control Module, CCM)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흐름도에서 충전 제어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도 5 내지 도 6에 따른 방법을 통해 기밀 정보의 보안성이 강화된 전기차 전력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제1 예시도이다.
도 9는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기차에 탑재되어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용 전원의 배전망(grid)이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케이블을 이용한 전도성 충전 시스템이나 비접촉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49 CFR(code of federal regulations) 523.3 등에서 정의된 자동차(automobile)를 지칭할 수 있다. 전기차는 고속도로 이용 가능하고, 차량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의 차량 탑재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공급원은 주거지나 공용 전기서비스 또는 차량 탑재 연료를 이용하는 발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일렉트릭 카(electric car), 일렉트릭 오토모바일(electric automobile), ERV(electric road vehicle), PV(plug-in vehicle), xEV(plug-in vehicle)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xEV는 BEV(plug-in all-electric vehicle 또는 battery electric vehicle), PEV(plug-in 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HPEV(hybrid plug-in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등으로 지칭되거나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전기차(Plug-in Electric Vehicle, PEV)는 전력 그리드에 연결하여 량 탑재 일차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전기차로 지칭될 수 있다. 플러그인 차량(Plug-in vehicle, PV)은 본 명세서에서 전기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로부터 물리적인 플러그와 소켓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재충전 가능한 차량으로 지칭될 수 있다. 중량 자동차(Heavy duty vehicles; H.D. Vehicles)는 49 CFR 523.6 또는 CFR 37.3(bus)에서 정의된 네 개 이상의 바퀴를 가진 모든 차량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경량 플러그인 전기차(Light duty plug-in electric vehicle)는 주로 공공 거리, 도로 및 고속도로에서 사용하기 위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나 다른 에너지 장치의 전류가 공급되는 전기 모터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3개 또는 4개 바퀴를 가진 차량을 지칭할 수 있다. 경량 플러그인 전기차는 총 중량이 4.545㎏보다 작게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WCS)은 무선 전력 전송과 얼라인먼트 및 통신을 포함한 GA와 VA 간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은 유틸리티(Utility)나 그리드(Grid) 등의 교류(AC) 전원공급 네트워크에서 전기차로 무접촉 수단을 통해 전기적인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틸리티(Utility)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제공하며 통상 고객 정보 시스템(Customer Information System, CIS), 양방향 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요금과 수익(Rates and Revenue)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의 집합으로 지칭될 수 있다. 유틸리티는 가격표 또는 이산 이벤트(discrete events)를 통해 플러그인 전기차가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틸리티는 관세율, 계측 전력 소비에 대한 인터벌 및 플러그인 전기차에 대한 전기차 프로그램의 검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충전(Smart charging)은 EVSE 및/또는 플러그인 전기차가 차량 충전율이나 방전율을 그리드 용량이나 사용 비용 비율의 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해 전력 그리드와 통신하는 시스템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자동 충전(Automatic charging)은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1차측 충전기 어셈블리(primary charger assembly)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차량의 놓고 인덕티브 충전하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자동 충전은 필요한 인증 및 권한을 얻은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호운용성(Interoperabilty)은 서로 상대적인 시스템의 성분들이 전체 시스템의 목적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정보 상호운용성(Information interoperability)은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들,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성분들이 사용자가 거의 또는 전혀 불편함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충전 시스템(Inductive charging system)은 두 파트가 느슨하게 결합된 트랜스포머를 통해 전기 공급 네트워크에서 전기차로 정방향에서 전자기적으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다. 유도 커플러(Inductive coupler)는 GA 코일과 VA 코일로 형성되어 전력이 전기적인 절연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는 트랜스포머를 지칭할 수 있다.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은 두 코일들 간의 자기 결합을 지칭할 수 있다. 두 코일은 그라운드 어셈블리 코일(Ground assembly coil)과 차량 어셈블리 코일(Vehicle assembly coil)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VA 코일은 2차 코일(secondary coil), 차량 코일(vehicle coil), 수신 코일(receiver coil)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그라운드 어셈블리 코일(ground assembly coil, GA coil)은 1차 코일(primary coil), 송신 코일(transmit coil)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GA는 프라이머리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 1차측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VA는 세컨더리 디바이스(secondary device, SD), 2차측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라이머리 디바이스(Primary device)는 세컨더리 디바이스에 무접촉 결합을 제공하는 장치 즉, 전기차 외부의 장치일 수 있다. 프라이머리 디바이스는 1차측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전기차가 전력을 받을 때, 프라이머리 디바이스는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 소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프라이머리 디바이스는 하우징과 모든 커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컨더리 디바이스(Secondary device)는 프라이머리 디바이스에 무접촉 결합을 제공하는 전기차 탑재 장치일 수 있다. 세컨더리 디바이스는 2차측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전기차가 전력을 받을 때, 세컨더리 디바이스는 프라이머리 디바이스로부터의 전력을 전기차로 전달할 수 있다. 세컨더리 디바이스는 하우징과 모든 커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어셈블리 컨트롤러(GA controller)는 차량으로부터의 정보를 토대로 GA 코일에 대한 출력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GA의 일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 어셈블리 컨트롤러(VA controller)는 충전 동안 특정 차량용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GA와의 통신을 개시하여 출력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VA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전술한 GA 컨트롤러는 프라이머리 디바이스 통신제어기(Primary device communication controller, PDCC)로 지칭될 수 있고, VA 컨트롤러는 전기차 통신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VA 제어기)로 지칭될 수 있다. 마그네틱 갭(Magnetic gap)은 리츠선(litz wire)의 상부 또는 GA 코일의 마그네틱 재료의 상부의 가장 높은 평면과 상기 리츠선의 하부 또는 VA 코일의 마그네틱 재료의 가장 낮은 평면이 서로 정렬되었을 때 이들 사이의 수직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얼라인먼트(Alignment)는 규정된 효율적인 전력 전송을 위해 프라이머리 디바이스에 대한 세컨더리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찾는 절차 및/또는 세컨더리 디바이스에 대한 프라이머리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찾는 절차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얼라인먼트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위치 정렬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 마그네틱 지상고(Vehicle magnetic ground clearance)는 리츠선의 바닥 최하위 평면 또는 차량에 탑재된 VA 코일의 절연 재료와 도로포장 사이의 수직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차량 어셈블리(VA) 코일 표면 간격(Vehicle assembly coil surface distance)은 리츠선의 바닥 최하부의 평면 또는 VA 코일의 마그네틱 재료와 VA 코일의 최하위 외부 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는 보호 커버재 및 코일 포장재로 포장된 추가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페어링(Pairing)은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배치된 단일 전용 그라운드 어셈블리(프라이머리 디바이스)와 차량(전기차)가 연관되는 절차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페어링은 충전 스팟 또는 특정 그라운드 어셈블리와 차량 어셈블리 제어기의 연관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연관(Correlation/Association)은 두 피어 통신 실체들 사이의 관계 성립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 및 제어 통신(Command and control communication)은 무선 전력 전송 프로세스의 시작, 제어 및 종료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전기차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차 사이의 통신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이 레벨 통신(High level communication)은 명령 및 제어 통신에서 담당하는 정보를 초과하는 모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하이 레벨 통신의 데이터 링크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전력 기동(Low power excitation)은 정밀 포지셔닝과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차가 프라이머리 디바이스를 감지하도록 그것을 활성화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SID(Service set identifier)는 무선랜 상에서 전송되는 패킷의 해더에 붙는 32-character로 이루어진 유니크한 식별자이다. SSID는 무선 장비에서 접속하려고하는 BSS(basic service set)를 구분해준다. SSID는 기본적으로 여러 개의 무선랜을 서로 구별해준다. 따라서 특정한 무선랜을 사용하려는 모든 AP(access point)와 모든 단말(terminal)/스테이션(station) 장비들은 모두 같은 SSID를 사용할 수 있다. 유일한 SSID를 사용하지 않는 장비는 BSS에 조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SSID는 평문으로 그대로 보여지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어떠한 보안 특성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ESSID(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는 접속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이름이다. SSID와 비슷하지만 보다 확장된 개념일 수 있다.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는 통상 48bits로 특정 BSS(basic service set)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인프라스트럭쳐 BSS 네트워크의 경우, BSSID는 AP 장비의 MAC(medium access control)가 될 수 있다. 독립적인(independent) BSS나 애드훅(ad hoc) 네트워크의 경우, BSSID는 임의의 값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징 스테이션(charging station)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어셈블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어셈블리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어셈블리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은 가정, 사무실, 공공장소, 도로,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장소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속 충전은 전력계통의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력을 전기차 내에 탑재된 배터리에 직접 공급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고, 이때 사용 전압으로 약 500 V 이하의 직류 전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완속 충전은 일반적인 가정이나 직장에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 내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각 가정이나 직장의 콘센트 또는 별도로 설치된 충전 스탠드에 내장된 콘센트를 통하여 교류 전력을 제공하며, 이때 사용 전압으로 220 V의 교류 전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전기차는 완속 충전을 위해 교류 전력을 승압하고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인 온보드 차저(On-Board Charger)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기차를 위한 무선 전력 전송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은 전기차(electric vehicle, 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와 차징 스테이션(charging station, 2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전기차(1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10)는 일반적으로 배터리(12)와 같이 충전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유도된 전류를 동력장치인 전기 모터의 에너지원으로 공급하는 차량(automobile)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10)는 전기 모터와 일반적인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을 함께 갖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할 수 있고, 자동차(automobile)뿐만 아니라 모터사이클(motocycle), 카트(cart), 스쿠터(scooter) 및 전기 자전거(electric bicycl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10)는 무선으로 배터리(12)를 충전할 수 있도록 수신 코일이 포함된 수전 패드(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으로 배터리(12)를 충전할 수 있도록 플러그 접속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유선으로 배터리(12)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10)를 플러그인 전기차(Plug-in Electric Vehicle, PEV)로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차징 스테이션(20)은 전력망(power grid, 30) 또는 전력 백본(power backbone)에 연결될 수 있고, 전력 링크(power link)를 통하여 송신 코일이 포함된 송전 패드(21)에 교류(AC) 또는 직류(DC)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징 스테이션(20)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력망(power grid, 30) 또는 전력망을 관리하는 인프라 관리 시스템(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또는 인프라 서버와 통신할 수 있고, 전기차(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에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셀룰러(cellular),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징 스테이션(20)은 전기차(10) 소유자의 집에 부속된 주차장, 주유소에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주차구역, 쇼핑 센터나 직장의 주차구역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10)의 배터리(12)를 무선 충전하는 과정은 먼저 전기차(10)의 수전 패드(11)가 송전 패드(21)에 의한 에너지 장(energy field)에 위치하고, 송전 패드(21)의 송신 코일과 수전 패드(11)의 수신 코일이 서로 상호작용 또는 커플링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호작용 또는 커플링의 결과로 수전 패드(11)에 기전력이 유도되고, 유도된 기전력에 의해 배터리(12)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차징 스테이션(20)과 송전 패드(21)는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그라운드 어셈블리(Ground Assembly, GA)로 지칭할 수 있고, 그라운드 어셈블리는 앞서 정의한 의미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10)의 수전 패드(11)와 다른 전기차 내부 구성요소 전부 또는 일부를 비히클 어셈블리(Vehicle Assembly, VA)로 지칭할 수 있는데, 여기서 비히클 어셈블리는 앞서 정의한 의미를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송전 패드 또는 수전 패드는 비극성(non-polarized) 또는 극성(polarized)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패드가 비극성이면 패드의 중앙에 하나의 극이 있고, 바깥 주변에 반대 극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자속(flux)는 패드의 중앙에서 나가고(exit), 패드의 모든 바깥 경계에서 복귀(return)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드가 극성인 경우, 패드의 어느 한쪽 끝에 각각의 극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자속은 패드의 방향(orientation)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무선 충전 회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차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회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좌측 회로는 전력망에서 공급되는 전원(Vsrc), 도 1에서의 차징 스테이션(20), 송전 패드(21)의 구성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도 2의 우측 회로는 수전 패드 및 배터리를 포함한 전기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먼저, 도 2의 좌측 회로는 전력망에서 공급되는 전원(Vsrc)에 대응되는 출력 전력(Psrc)를 무선 충전 전력 변환기에 제공하고, 무선 충전 전력 변환기는 송신 코일(L1)에서 희망하는 동작 주파수에서의 전자기장을 방출할 수 있도록, 제공받은 전력(Psrc)의 주파수 및 AC/DC 변환을 수행한 전력(P1)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전력 변환기는 전력망에서 공급된 전력(Psrc)이 AC 전력인 경우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기 및 DC전력을 무선 충전에 적합한 동작 주파수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저주파수 변환기(또는 LF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주파수는 예를 들면, 80 내지 90 kHz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전력 변환기에서 출력된 전력(P1)은 다시 송신 코일(L1), 제1 커패시터(C1) 및 제1 저항(R1)으로 구성된 회로에 공급될 수 있고, 이때 제1 커패시터(C1)는 송신 코일(L1)과 함께 충전에 적합한 동작 주파수를 갖도록 하는 소자값을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1 저항(R1)은 송신 코일(L1) 및 제1 커패시터(C1)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코일(L1)은 수신 코일(L2)과 커플링 계수 m으로 정의되는 전자기적 커플링이 이루어져 전력이 전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전력이 수신 코일(L2)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력이 전송된다는 의미는 전력이 유도된다는 의미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코일로 유도되거나 전송받은 전력(P2)은 전기차 전력 변환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커패시터(C2)는 수신 코일(L2)과 함께 충전에 적합한 동작 주파수를 갖도록 하는 소자값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저항(R2)은 수신 코일(L2) 및 제2 커패시터(C2)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전기차 전력 변환기는 제공받은 특정 동작 주파수의 전력(P2)을 다시 전기차의 배터리(VHV)에 적합한 전압 레벨을 갖는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LF/D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 전력 변환기가 제공받은 전력(P2)을 변환한 전력(PHV)을 출력하면, 출력된 전력(PHV)는 전기차에 내장된 배터리(VHV)의 충전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우측 회로에는 수신 코일(L2)을 배터리(VHV)와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해제하기 위한 스위치(swit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코일(L1)과 수신 코일(L2)의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는 서로 유사하거나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송신 코일(L1)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에 수신 코일(L2)이 근거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회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위해서 이용 가능한 전기차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에 관한 예시적 회로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 2에서의 회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송신 코일(L1)과 수신 코일(L2)이 원거리에 위치할수록 전력 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양자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이때, 송신 코일(L1)은 도 1에서의 송전 패드(21)에 포함되고, 수신 코일(L2)은 도 1에서의 수전 패드(11)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코일은 GA 코일(Ground Assembly coil)로 지칭될 수도 있고, 수신 코일은 VA 코일(Vehicle Assembly coil)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전 패드와 수전 패드 상호간의 위치 결정 또는 전기차와 송전 패드 상호간의 위치 결정에 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정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서의 송전 패드(21) 및 전기차(10)에 내장된 수전 패드(11) 사이의 위치 정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렬은 앞서 설명한 용어인 얼라인먼트(alignment)에 대응될 수 있고, 따라서, GA와 VA간의 위치 정렬로 정의할 수도 있고, 송전 패드(21)와 수전 패드(11)의 위치 정렬로 한정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송전 패드(21)는 도 3에서는 지표면 아래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지표면 위에 위치할 수도 있고, 지표면 아래에서 송전 패드(21)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차의 수전 패드(11)는 지표면을 기준으로 측정된 높이(z방향으로 정의)에 따라 카테고리를 달리하여 정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표면에서 수전 패드(11)의 높이가 100-150(mm) 인 경우 class 1, 140-210(mm) 인 경우 class 2, 170-250(mm)인 경우 class 3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수전 패드(11)에 따라 class 1만을 지원하거나, class 1과 2를 지원할 수도 있는 등 부분적 지원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지표면을 기준으로 측정된 높이는 앞서 설명한 용어인 차량 마그네틱 지상고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송전 패드(21)의 높이 방향(z방향으로 정의)의 위치는 상기 수전 패드(11)에서 지원하는 최대 클래스와 최소 클래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전 패드(11)가 class1과 2만을 지원한다면, 수전 패드(11)를 기준으로 100-210 (mm) 사이에 송전 패드가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전 패드(21)의 중심과 수전 패드(11)의 중심 사이의 격차는 가로 및 세로 방향(x 및 y 방향으로 정의)의 한계값 이내에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방향(x방향으로 정의)으로는 ±75 (mm) 이내에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고, 세로 방향(y방향으로 정의)으로는 ±100 (mm) 이내에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송전 패드(21)와 수전 패드(11)의 상대적 위치는 그 실험적 결과에 따라 한계값이 달라질 수 있고, 상기 수치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송전 패드(21)와 수전 패드(11)는 각각 코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패드 상호간의 정렬로 설명하였으나, 더 구체적으로는 송전 패드(21)와 수전 패드(11)에 각각 내장된 송신 코일(또는 GA 코일)과 수신 코일(또는 VA 코일) 상호간의 정렬로 정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차량에 탑재되어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기(Charging Control Module, CCM)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유선 충전 및/또는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차량 내에 탑재되어 전기차의 전력 전송을 제어하거나, 요금 결제, 사용자 인증 등을 수행하는 장치를 충전 제어기(Charging Control Module, CCM, 10)로 지칭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차 통신 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제어기(10)는 MCU(Micro Circuit Unit, 12), 통신 모듈(13), 하드웨어 보안 모듈(hardware Security Module, 14), 메모리(Memory, 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CU(Micro Circuit Unit, 12)는, 통신 모듈(13)을 제어하여 전기차의 전력 전송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사용자(또는 차량) 인증, 결제 인증 등을 수행하고, HSM(14)을 제어하여 암호화 키(encryption key, 16) 또는 인증서(Certificate, 17)의 무결성 검증 등을 포함한 데이터 보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CU(12)는 통신 모듈(13)을 통해 송수신 되는 데이터 또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14)을 통한 데이터 보안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메모리(Memory, 15)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서(17)는 차량과 전력망 사이의 통신 과정에서의 인증을 위한 루트 인증서(V2G Root Certificate)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13)은, 챠징 스테이션과의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또는 전력선 통신(PLC, Powerline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키(16) 및 충전량 결제/충전 과정의 데이터 통신 보안을 위한 인증서(Certificate, 17), 사용자 정보, 결제 정보와 같은 기밀 정보는 메모리(15)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암호화 키(16)와 인증서(17)는 더 강화된 보안을 위해 하드웨어 보안 모듈(13)에 다른 기밀 정보와 독립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14)은, 암호화 키(16) 및/또는 인증서(Certificate, 17)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장치로서, 충전 제어기(10) 내에 또는 충전 제어기(10)와 독립적으로 차량 내에 내장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보안 모듈(14)은 암호화 키(16)를 사용한 암호화(또는 복호화) 연산(DES, TDES, RSA 등의 암호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암호화 키(16)와 인증서(17) 등이 하드웨어 보안 모듈(14)과 같이 독립적인 하드웨어에서 보관됨으로써 차량 해킹에 따른 보안상 취약점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제어기(10)에 저장된 각종 기밀 정보들은 송수신 과정에서의 보안 통신, 수신측에서 기밀 정보에 대한 무결성 검증, 암호화 등을 통해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침입자가 충전 제어기(10)의 덮개를 탈거한 후,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함으로써 기밀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침입자가 충전 제어기(10)를 그대로 탈취하여 자신의 차량에 장착 및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충전 제어기(10)의 탈취, 치환 등을 통한 기밀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절차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흐름도에서 충전 제어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충전 제어기의 도난, 유출을 파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 정보가 저장된 충전 제어기 자체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기밀 정보의 유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앞에서는 기밀 정보가 충전 제어기에 저장된 것으로 전제하였으나, 그 밖에도 전력 전송 과정에 필요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차량 내 여러 장치들(예를 들어 전기차 통신 제어기,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각종 장치들을 저장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은, 차징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00),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S110)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는, 차량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고,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은 차량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텍스트로 구성된 문자 메시지이거나 알림음, 진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충전 진행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기차로 전력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충전 중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기차로의 전력 전송을 중지할 수 있고, 결제 서버에 대상 차량에 대한 결제 정보의 사용 금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서버는 사용자 단말, 차량, 차징 스테이션 등과 통신하여 전력 전송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차량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확인하고, 충전 진행 여부를 결정하고, 충전 진행 또는 중지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따른 흐름도에서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00)를 구체화한 흐름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00)는, 상기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S101)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S102)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입자가 저장 장치의 외함을 열면, 외함에 대한 물리적 성질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외함에 대한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저장 장치에 대한 물리적 침입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침입자가 타인의 저장 장치를 탈취 후 자신의 차량에 장착하면, 저장 장치에 대한 고유 정보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함으로써, 탈취된 저장 장치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S101)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101-1) 및 모니터링한 결과로 측정된 절연 저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1-2에서, 절연 저항이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하지 않으면(또는 비정상적 변화가 없으면), 다시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101-1)부터 재수행될 수 있다.
저장 장치 외함의 절연 저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 충전 제어기 외함에 미세 전류를 인가하고, 충전 제어기 외함의 절연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저장 장치 외함의 절연 저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되는 경우, 저장 장치 외함의 탈거와 같은 침입자의 침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절연 저항의 비정상적 변화를 판단하는 임계값, 변동폭 등은 충전 제어기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측정하고, 측정된 절연 저항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저장 장치 외함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절연 저항을 예로 들었으나, 절연 저항 이외에도 저장 장치 외함에 기계적 센서를 부착하고, 기계적 센서를 통해 저장 장치 외함의 개폐, 외부충격, 파손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S102)하는 단계는, 저장 장치의 RTC(Real Time Clock)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충전 제어기(또는 저장 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상시 전원(예를 들어 B+ 전원)을 공급받는다. 공급된 전원을 통해 충전 제어기는 슬립 상태에 있게 되며, 충전 제어기의 RTC 정보는 소멸되지 않고 유지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충전 제어기가 교체되지 않는다면 충전 제어기의 RTC 정보는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기밀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로서 RTC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S102)는, 차량의 시동 종료 전에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2-1), 차량 시동 후에 전기차에 탑재된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2-2), 획득된 RTC 정보를 상기 시동 종료 전에 저장된 RTC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S10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02-3에 대한 판단(S102-4) 결과로, RTC 정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차량 시동 후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2-2)부터 재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단계 S102-3에 대한 판단(S102-4) 결과로, RTC 정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밀 정보 유출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02)가 수행될 수 있다.
차량의 시동 종료 전에 충전 제어기의 RT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2-2)는 고속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충전 제어기의 RTC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5와 도 6에서 설명한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는, 충전 제어기에 내장될 수도 있으며, 차량 내부의 다른 제어기 또는 저장소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는, 차량 내에서 다른 제어기와 통신하는 별도의 장치(예를 들면,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도 5 내지 도 6에 따른 방법을 통해 기밀 정보의 보안성이 강화된 전기차 전력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전력 전송을 위한 사전 절차로서, 차징 스테이션(20)과 외부의 결제 서버(40) 사이에 TLS 세션 성립(Transport Layer Security Session establishment, S200)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TLS 세션 성립(S200)이 이루어지면, 차징 스테이션(20)과 외부의 결제 서버(40) 상호간에 보안 정보를 교환 또는 갱신하는 절차(S205)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결제 서버(40)로부터 차징 스테이션(20)의 인증서(Certificate)를 갱신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차(10)와 차징 스테이션(20) 사이에 통신하기 위한 연결 성립(Connection establishment, S210)이 진행될 수 있다. 전기차(10)와 차징 스테이션(20) 사이에 연결이 성립되면, 전기차(10)와 차징 스테이션(20) 사이의 TLS 세션 성립(S220)이 진행되기 전에, 기밀 정보가 저장된 충전 제어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S215)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제어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은 앞선 도 5와 도 6에서 설명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215에서, 충전 제어기의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전기차(10)와 차징 스테이션(20) 상호간 TLS 세션 성립(S220)이 진행될 수 있고, TLS 세션 성립 과정에서 전기차(10)의 충전 제어기에 저장된 인증서가 사용될 수 있다. TLS 세션 성립(S220)이 이루어지면, 전기차(10)와 차징 스테이션(20) 사이에 결제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S225). 이때, 차징 스테이션(20)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전기차(10)로부터 받은 결제 정보를 결제 서버(40)로 전송하고, 결제 서버(40)로부터 해당 차량(또는 차량의 소유자)의 식별기호에 따른 요금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전기차(10)와 차징 스테이션(20) 상호간 결제 정보 교환이 완료되면, 인증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S240)을 통해 상호간 인증(Authorization)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상호 인증이 완료되면, 전기차(10)와 차징 스테이션(20) 사이에 충전 상태(Charging Status) 교환 및 충전량 영수증(MeteringReceipt) 교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충전이 종료되면, 전기차(10)와 차징 스테이션(20) 사이의 TLS 세션 종료(TLS Session termination, S250) 및 통신 연결 종료(Connection termination, S255)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215에서, 충전 제어기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더 이상의 전력 전송 과정이 중지되며, 사용자 단말 또는 차징 스테이션(20)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차량(10)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제1 예시도이다. 도 9는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제2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은 전기차의 충전 제어기에 대한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진단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10)와 차징 스테이션(20) 상호간에 전력 전송을 위한 통신 뿐만 아니라 전기차(10)에 장착된 충전 제어기의 진단을 위한 통신이 PLC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차징 스테이션(20)이 전기차(10)로부터 획득한 진단 정보가 커넥티드 카 서비스 플랫폼(CCSP, Connected Car Service Platfom, 50)을 통해 분석되어 차량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차량 상태 정보가 기존의 충전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6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진단 목적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차량 정비 경험을 보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력망을 운영하는 운영서버(44), 차징 스테이션을 운영하는 충전기 서버(40), 사용자 인증을 담당하는 OEM 서버(42), 사용자 단말(60), 전기차(10), 차징 스테이션(20) 등이 서로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는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 따른 구성에서는 무선 통신을 통해 차징 스테이션의 정보가 업데이트되고, 충전 상태 정보가 구성도상의 각 객체에 제공될 수 있으며, 과금과 인증이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9에서 각 객체 상호간은 TLS 기반의 보안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기밀 정보 보호 방법은 전기차 뿐만 아니라, 도 9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전기차 전력 전송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객체들의 통신 모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10)의 통신 모듈(또는 EVCC, 70)에 적용되거나, 차징 스테이션(20)의 통신 모듈(또는 SECC, 8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전력망을 운영하는 운영 서버(44)의 통신 모듈(90)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기차에 탑재되어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기차에 탑재되어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차징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밀 정보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차징 스테이션 상호간 인증과 결제를 위한 암호화 키 및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이 탈거 또는 훼손됨에 따라 변화되는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통해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한 결과로 측정된 절연 저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RTC(Real Time Clock)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TC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차의 시동 종료 전에 상기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시동 후에,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RTC 정보를 상기 저장된 RTC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전기차 통신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를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기차를 제공한다.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를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기차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차징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수신받아 저장하는 배터리(Battery), 상기 차징 스테이션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전력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기차 통신 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 전력 전송을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밀 정보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차징 스테이션 상호간 인증과 결제를 위한 암호화 키 및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전기차 통신 제어기에 일체형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통해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방법이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를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기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기차에서 수행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으로,
    차징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기밀 정보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차징 스테이션 상호간 인증과 결제를 위한 암호화 키 및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이 탈거 또는 훼손됨에 따라 변화되는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
  4. 청구항 1에서,
    상기 물리적 성질은,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포함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한 결과로 측정된 절연 저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RTC(Real Time Clock)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
  7. 청구항 6에서,
    상기 RTC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차의 시동 종료 전에 상기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시동 후에,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RTC 정보를 상기 저장된 RTC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 보호 방법.
  8. 청구항 1에서,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전기차 통신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인, 기밀 정보 보호 방법.
  9.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기차에 탑재되어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차징 스테이션에서 전기차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기밀 정보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차징 스테이션 상호간 인증과 결제를 위한 암호화 키 및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이 탈거 또는 훼손됨에 따라 변화되는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는,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12. 청구항 9에서,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통해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한 결과로 측정된 절연 저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14. 청구항 9에서,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RTC(Real Time Clock)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15. 청구항 14에서,
    상기 RTC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차의 시동 종료 전에 상기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시동 후에,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저장 장치의 RT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RTC 정보를 상기 저장된 RTC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16. 청구항 9에서,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전기차에 탑재된 전기차 통신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인,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17.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를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기차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차징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수신받아 저장하는 배터리(Battery);
    상기 차징 스테이션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전력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기차 통신 제어기(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
    전력 전송을 위한 기밀 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밀 정보의 유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물리적 성질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18. 청구항 17에서,
    상기 기밀 정보는,
    상기 전기차에 대한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차징 스테이션 상호간 인증과 결제를 위한 암호화 키 및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차.
  19. 청구항 17에서,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전기차 통신 제어기에 일체형 모듈로 구성되는, 전기차.
  20. 청구항 17에서,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장치의 외함에 대한 절연 저항을 통해 상기 저장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KR1020180155099A 2018-12-05 2018-12-05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KR10260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099A KR102600704B1 (ko) 2018-12-05 2018-12-05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CN201911228729.3A CN111277558B (zh) 2018-12-05 2019-12-04 保护电动车辆电力传输系统中的机密信息的方法和装置
US16/703,591 US11321482B2 (en) 2018-12-05 2019-12-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onfidential information in electric vehicle power transfer system
DE102019133166.8A DE102019133166A1 (de) 2018-12-05 2019-12-0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utz vertraulicher information in einem energieübertragungssystem für elektro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099A KR102600704B1 (ko) 2018-12-05 2018-12-05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296A true KR20200068296A (ko) 2020-06-15
KR102600704B1 KR102600704B1 (ko) 2023-11-08

Family

ID=7077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099A KR102600704B1 (ko) 2018-12-05 2018-12-05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21482B2 (ko)
KR (1) KR102600704B1 (ko)
CN (1) CN111277558B (ko)
DE (1) DE102019133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2586B (zh) * 2020-08-28 2021-12-31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分散式充电桩停车场车位停车保护系统
CN114301186A (zh) * 2021-12-29 2022-04-08 湖南大学 一种高温超导悬浮式无线电能传输装置及其组装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368A (en) * 1986-04-11 1987-12-08 Leon Simons Tamper proof package with electrical circuit
US20110185196A1 (en) * 2010-01-25 2011-07-28 Tomoyuki Asano Power Management Apparatus, Electronic Appliance,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US20130219452A1 (en) * 2010-11-12 2013-08-22 Shenzhen Statemicro Electronics Co.,Ltd. Bus monitor for enhancing soc system security and realization method thereof
US20140157004A1 (en) * 2012-11-30 2014-06-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encryption in virtualized environment using auxiliary medium
US8812860B1 (en) * 2010-12-03 2014-08-19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data stored on removable storage devices by requiring external user authent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217B1 (ko) * 2014-10-17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266646A1 (en) * 2016-07-01 2018-01-10 Hyundai Motor Company In-cable control box mounted o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CN106647724B (zh) * 2017-02-15 2017-12-26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车辆异常数据监测的t‑box信息安全检测及防护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368A (en) * 1986-04-11 1987-12-08 Leon Simons Tamper proof package with electrical circuit
US20110185196A1 (en) * 2010-01-25 2011-07-28 Tomoyuki Asano Power Management Apparatus, Electronic Appliance,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US20130219452A1 (en) * 2010-11-12 2013-08-22 Shenzhen Statemicro Electronics Co.,Ltd. Bus monitor for enhancing soc system security and realization method thereof
US8812860B1 (en) * 2010-12-03 2014-08-19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data stored on removable storage devices by requiring external user authentication
US20140157004A1 (en) * 2012-11-30 2014-06-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encryption in virtualized environment using auxiliary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7558A (zh) 2020-06-12
US20200184101A1 (en) 2020-06-11
DE102019133166A1 (de) 2020-06-10
US11321482B2 (en) 2022-05-03
CN111277558B (zh) 2023-06-20
KR102600704B1 (ko)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194B1 (ko)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는 전기차 충전 과금 시스템
KR101877602B1 (ko)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의 보안 방법 및 장치
US11727106B2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KR102589374B1 (ko) 전기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4008973B (zh) Ev用户授权方法和系统
CN113924749B (zh) 交叉认证方法、电力传输方法和交叉认证设备
KR102558180B1 (ko) 무선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 전기차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충전 제어 장치
KR102277826B1 (ko) 무선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는 전기차 무선충전 장치
KR20180029860A (ko) 복수의 송신 코일을 이용하여 전기차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06826A (ko)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26241A (ko) 이물질 검출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전송 제어 장치 및 무선 전력전송 장치
KR102350732B1 (ko) 전기차 병렬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200124621A (ko) Ev 사용자 인가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6339A (ko) 전기차 충전을 위한 교차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600704B1 (ko)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CN114206662B (zh) 配对控制方法、供电设备通信控制器及电力传输控制方法
CN111845417B (zh) 用于控制无线电力传输的方法和设备
KR20190087761A (ko) 전기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다양한 구조의 페라이트를 내장한 무선 충전 패드
KR20200125445A (ko)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800705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fer to electric vehicle using object detection sensor
KR20180028921A (ko) 물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전기차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660840B (zh) 用于电动车辆的充电控制方法及设备
US202203797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ssociation, positioning, and pairing for wireless power transfer
EP4228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renegotiation in message sequencing between electric vehicle and grid
KR20220159890A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통신 연결, 측위, 및 페어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