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012A -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olarizer shee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olarizer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012A
KR20200068012A KR1020180107647A KR20180107647A KR20200068012A KR 20200068012 A KR20200068012 A KR 20200068012A KR 1020180107647 A KR1020180107647 A KR 1020180107647A KR 20180107647 A KR20180107647 A KR 20180107647A KR 20200068012 A KR20200068012 A KR 20200068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polarizing film
debris
filtration
electrod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6035B1 (en
Inventor
홍치 린
치엔셩 쿠오
웨이팅 쉬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0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nd to a system thereof.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assing a polarizing film precursor through a first solution; forming a second solution by performing precipitation treatment on the first solution by using an electrode group in contact with the first solution; and filtering a second solution to form a third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film with little or no debris adhesion can be manufactured.

Description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OLARIZER SHEET}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OLARIZER SHEET}

본 발명은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군을 이용하여 전기응집 석출을 진행하는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that undergoes electroaggregation precipitation using an electrode group.

편광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에 널리 사용되는 광학 소자이다. 최근, 예를 들어, 핸드폰, 웨어러블 장치 등 액정 디스플레이의 사용 범위가 넓어져, 편광 필름의 품질에 대한 요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Polarizing film is an optical element widely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s. In recent years, for example, the use range of liquid crystal displays, such as mobile phones and wearable devices, has been widened, and the demand for the quality of polarizing films is also increasing.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포함하며, 편광 필름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에 흡착 배향된 이색성 색소로 형성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통상, 편광 필름의 형성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팽윤 처리, 염색 처리, 연신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및 건조 처리. 여기서, 연신 처리에 의해 폴리비닐 알코올이 편광 작용을 갖게 된다.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is generally formed of a dichroic dye adsorbed and oriented to polyvinyl alcohol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Usually, the formation of the polarizing film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swelling treatment, dyeing treatment, stretching treatment, crosslinking treatment, washing treatment and drying treatment. Here, the polyvinyl alcohol has a polarizing action by the stretching treatment.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592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245925

본 발명의 목적은, 부스러기(屑體; 설체)의 부착이 없거나, 또는 부스러기의 부착이 적은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that can produce a polarizing film with little or no adhesion of debris.

본 발명은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편광 필름 전구체를 제1 용액에 통과시키는 단계; 제1 용액과 접촉하는 전극군을 이용하여 제1 용액을 석출 처리하여 제2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용액을 여과 처리하여 제3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assing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through the first solution; Depositing a first solution using an electrode group contacting the first solution to form a second solution;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the step of filtering the second solution to form a third solu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처리조; 가이드 롤러; 전극군; 및 여과 장치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처리조는 용액을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는 용액을 통해 편광 필름 전구체를 운반하는 데 사용된다. 전극군은 편광 필름 전구체가 통과한 후에 용액과 접촉한다. 여과 장치는 전극군과의 접촉 후에 용액을 여과하는 데 사용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treatment tank; Guide rollers; Electrode group; And it provides a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a filtration device. The treatment bath contains a solution. Guide rollers are used to transport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through the solution. The electrode group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olution after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passes. The filtration device is used to filter the solution after contact with the electrode group.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측면을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above and o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부스러기의 부착이 없거나, 또는 부스러기의 부착이 적은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capable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th little or no debris adhesion.

도 1은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개념에 따른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개념에 따른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개념에 따른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2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n embodiment.
3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n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n embodiment.

편광 필름 제조 공정에서, 편광 필름 전구체는 연신 처리 후에 쉽게 파열될 수 있으며, 편광 필름 전구체가 약액 탱크를 통과할 때, 부스러기가 석출되어 약액 내에 분포되며, 일정 정도 누적되면, 편광 필름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약액 내의 부스러기를 제거하여 약액의 청결도가 컨트롤 가능한 표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th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process,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can be easily ruptured after the stretching treatment, and when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passes through the chemical liquid tank, debris precipitates and is distributed in the chemical liquid, and if accumulated to a certain degree, defects on the polarizing film surface Since it occurs,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is phenomenon by removing debris in the chemical solution so that the cleanliness of the chemical solution maintains a controllable standard.

이 개시 내용의 실시예는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용액 내 부스러기가 편광 필름 전구체에 부착되어 제품 성질에 영향을 주는 가능성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Embodiments of this disclosure provide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polarizing films. This can effectively lower the possibility that debris in solution adheres to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and affects product properties.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은, 본 개시는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개시하지 않았으며, 본 개시에서 제공되지 않은 기타 실시 형태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도시된 크기 비례는 실제 제품 등의 비례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명세서와 도시 내용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설명, 예를 들어, 세부 구조, 제조 과정과 재료 사용 등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단계와 구조의 각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실제 제조 과정의 수요에 따라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일/유사한 부호로 동일/유사한 소자를 표시한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disclose all possible embodiments, and other embodiments not provi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so be applied. Furthermore, the illustrated size proportions are not shown in proportion to actual products. Therefore, the specification and illustrated contents are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he description in the examples, for example, detailed structures, manufacturing processes and material use, etc.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ach detail of the steps and structure of the embodiment,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according to demands of actual manufacturing process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displaying the same/similar elements with the same/similar codes.

도 1은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권출 롤러(102), 팽윤조(104), 염색조(106), 가교조(108), 세정조(110), 건조로(112) 및 권취 롤러(114)를 포함한다. 해당 처리조 및 처리 설비는 선택적으로 추가, 감소, 중복 배치 또는 기타 조정을 할 수 있다. 편광 필름 전구체(200)가 권출 롤러(102)로부터 펼쳐진 후, 가이드 롤러(120)의 안내와 전송에 의해 화살표 표시 방향대로 각각의 처리조 및 처리 설비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렇게 형성된 편광 필름(200')은 운송이 용이하도록 권취 롤러(114)에서 다시 귄취된다.1 shows a system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The system shown in FIG. 1 includes a unwinding roller 102, a swelling tank 104, a dyeing tank 106, a crosslinking tank 108, a cleaning tank 110, a drying furnace 112, and a winding roller 114. do. The treatment tank and treatment facility can optionally be added, reduced, duplicated or otherwise adjusted. After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s unfolded from the unwinding roller 102, it passes through each treatment tank and treatment facility in turn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by guide and transmission of the guide roller 120. The polarizing film 200 ′ thus formed is rewound on the winding roller 114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편광 필름 전구체(200)의 재료는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또는 기타 적합한 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 전구체(200)는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일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비누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방안에 따르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단량체이거나, 비닐 아세테이트 및 기타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상기 기타 단량체는 불포화 카복실산류, 올레핀류, 불포화 설폰산류 또는 비닐 에테르류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은 개질을 통해, 예를 들어, 알데히드류 개질을 통한 폴리비닐 포르말(polyvinyl formal), 폴리비닐 아세탈 또는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등이다. 일부 실시 방안에 있어서, 편광 필름 전구체(200)의 두께는 약 20 ㎛∼100 ㎛이다.The material of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ncludes polyvinyl alcohol (PVA) or other suit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may be a polyvinyl alcohol film. Polyvinyl alcohol can be form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polyvinyl acetate may be a monomer of vinyl acetate or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and the other monomers may b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r vinyl ethers. In some embodiments, the polyvinyl alcohol is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or polyvinyl butyral, etc., through modification, for example, through aldehyde modification. In some implementation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s about 20 μm to 100 μm.

편광 필름 전구체(200)는 먼저 가이드 롤러(120)에 의해 팽윤조(104)로 안내되어 편광 필름 전구체(200)에 대해 팽윤 처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 팽윤 처리는 편광 필름 전구체(200) 표면의 이물질 및 편광 필름 전구체(200) 내의 가소제를 제거할 수 있고, 후속 단계의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의 진행에 도움이 된다.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s first guided to the swelling tank 104 by the guide roller 120 to allow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to swell. The swelling treatment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and the plasticizer in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and is helpful in the progress of dyeing treatment and crosslinking treatment in a subsequent step.

일부 실시 방안에 따르면,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에서 편광 필름 전구체(200)에 대해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연신 처리는 팽윤조(104) 및/또는 후속 단계의 염색조(106), 가교조(108)를 통과할 때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윤조(104) 입구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120)와 팽윤조(104) 출구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120)에 원주 속도 차이가 존재하도록 하여, 단일축 연신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방안에 따르면, 팽윤 처리부터 가교 처리까지 편광 필름 전구체(200)에 누적된 연신 배율은 약 4.5 배∼8 배이다.According to some implementation methods, a stretch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n th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system. The stretching treatment may proceed when passing through the swelling tank 104 and/or the dyeing tank 106 and the crosslinking tank 108 in a subsequent step. For example, the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may exist between the guide roller 120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swelling tank 104 and the guide roller 120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swelling tank 104, so that a single-axis stretch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some implementation methods,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accumulated in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from swelling to crosslinking is about 4.5 to 8 times.

이어서, 편광 필름 전구체(200)는 가이드 롤러(120)에 의해 염색조(106)로 안내되어 편광 필름 전구체(200)에 대해 염색 처리를 진행하도록 한다. 염색조(106) 내의 조액(槽液)에는 염색제가 함유된다. 염색제는 이색성 색소를 사용하거나, 또는 기타 적절한 수용성 이색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방안에 있어서, 염색제는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염색제는 0.003 중량부∼0.2 중량부의 요오드 및 3 중량부∼30 중량부의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일부 실시 방안에 있어서, 염색 처리 온도는 10℃∼50℃이고, 염색 처리 시간은 10 초∼600 초이다. 더 우수한 염색 처리 효과를 얻기 위해, 조액에 기타 첨가제, 예를 들어, 붕산을 포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s guided to the dyeing tank 106 by the guide roller 120 to proceed with the dyeing process for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The dyeing agent in the dyeing tank 106 contains a dye. The dye may be a dichroic dye, or other suitable water-soluble dichroic dye. In some implementations, the dyeing agent comprises iodine and potassium iodide. For example, the dye may b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0.003 parts by weight to 0.2 parts by weight of iodine and 3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In some implementations, the dyeing treatment temperature is 10°C to 50°C, and the dyeing treatment time is 10 seconds to 600 seconds. In order to obtain a better dyeing treatment effect, other additives may be included in the crude liquid, for example, boric acid.

이어서, 편광 필름 전구체(200)는 가이드 롤러(120)에 의해 가교조(108)로 안내되어 편광 필름 전구체(200)에 대해 가교 처리를 하도록 한다. 가교조(108) 내의 조액에는 가교제가 함유된다. 가교제는 붕산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조(108) 내의 조액에는 광학 조절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광학 조절제의 농도를 변경함으로써 편광 필름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광학 조절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방안에 있어서, 가교 처리 온도는 10℃∼70℃이고, 가교 처리 시간은 1 초∼600 초일 수 있다. 일부 실시 방안에 있어서, 가교조(108)의 조액은 편광 필름 전구체(200)의 석출물,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에 의한 석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석출물은 용해된 폴리비닐 알코올과 붕산이 작용하여 발생한 불용성 쇄설이다.Subsequently,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s guided to the crosslinking tank 108 by the guide roller 120 to crosslink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The crosslinking agent is contained in the crude liquid in the crosslinking tank 108.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boric acid. The crude liquid in the crosslinking tank 108 may further contain an optical regulator. The color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the optical regulator. The optical modifier may be potassium iodide, zinc iodid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some implementations, the crosslinking treatment temperature is 10°C to 70°C, and the crosslinking treatment time may be 1 second to 600 seconds. In some implementations, the crude liquid of the crosslinking tank 108 may contain precipitates of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for example, precipitates with polyvinyl alcohol. The precipitate is an insoluble clast generated by the action of dissolved polyvinyl alcohol and boric acid.

도 2는 일 실시예 개념에 따른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처리조(101)의 조액은 제1 용액(L1)이다. 편광 필름 전구체(200)가 처리조(101) 내의 제1 용액(L1)을 통과하도록 가이드 롤러(120)가 전송한다.2 is a view showing a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cept. The crude liquid of the treatment tank 101 is a first solution L1. The guide roller 120 transmits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solution L1 in the treatment tank 101.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조(101)는 도 1에 도시된 염색조(106)이고, 이에 수용된 제1 용액(L1)은 편광 필름 전구체(200)를 염색하는 약액, 예를 들어, 해리된 요오드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조(101)는 도 1에 도시된 가교조(108)이고, 이에 수용된 제1 용액(L1)은 붕산,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용액이다.In one embodiment, the treatment tank 101 is a dyeing tank 106 shown in FIG. 1, and the first solution L1 accommodated therein is a chemical solution for dyeing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for example, dissociated It is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ions. In another embodiment, the treatment tank 101 is a crosslinking tank 108 shown in FIG. 1, and the first solution L1 accommodated therein is a solution comprising boric acid, potassium iodide, zinc iodide, or a combination thereof.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용액(L1)에는 제1 부스러기(P1)가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스러기(P1)는 편광 필름 전구체(200)가 제1 용액(L1)을 통과할 때 발생한 원하지 않는 부스러기, 예를 들어, 편광 필름 전구체(200)의 탈락, 용출 또는 석출된 쇄설, 또는 기타 처리조(101) 내의 유기 이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용액(L1)에 분포된 제1 부스러기(P1)는 입경 범위가 10 ㎚∼1000 ㎚이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solution L1 may contain a first crumb P1. For example, the first debris P1 is undesired debris generated when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passes through the first solution L1, for example, falling off, eluting, or precipitated of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t may contain clogged or other organic foreign matter in the treatment tank 101. In the embodiment, the first debris P1 distributed in the first solution L1 has a particle size range of 10 nm to 1000 nm.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조(101)는 순환 시스템(37)과 연통될 수 있다. 순환 시스템(37)은 제1 통로(103), 석출조(105), 제2 통로(107), 여과 장치(109) 및 제3 통로(111)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reatment tank 10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lation system 37. The circulation system 37 may include a first passage 103, a precipitation tank 105, a second passage 107, a filtration device 109 and a third passage 11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스러기(P1)는 순환 시스템(37)의 석출조(105)의 처리를 통해 크기가 커져 제2 부스러기(P2)로 형성되어, 여과 장치(109)를 통해 여과된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debris P1 is enlarged in size through the treatment of the precipitation tank 105 of the circulation system 37 to form the second debris P2, and is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device 109.

제1 통로(103)는 처리조(101)와 석출조(105) 사이에 연통되어, 처리조(101) 내의 제1 용액(L1)이 석출조(105)로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여 석출조(105)로 유입될 수 있다. 펌프(미도시)를 사용하여 제1 용액(L1)을 구동할 수 있다.The first passage 103 communicates between the treatment tank 101 and the precipitation tank 105, and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solution L1 in the treatment tank 101 flows to the precipitation tank 105, thereby providing a precipitation tank ( 105). The first solution L1 may be driven using a pump (not shown).

석출조(105) 내에는 전극군(E)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군(E)은 극성이 상반되는 제1 전극 소자(E1)와 제2 전극 소자(E2)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각각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다. 제1 전극 소자(E1)와 제2 전극 소자(E2)의 재질은 금속,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니켈, 구리 등 적절한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전극 소자(E1)와 제2 전극 소자(E2)는 용액에 침지될 수 있으며, 용액과 접촉되어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용액을 석출함으로써, 석출 형성된 제2 부스러기(P2)를 함유하는 제2 용액(L2)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부스러기(P2)는 제1 용액(L1) 내의 제1 부스러기(P1)가 석출되어, 처리 후 형성된 크기, 예를 들어, 입경이 커진 제2 부스러기(P2)이다. 다시 말하면, 제2 용액(L2) 내의 제2 부스러기(P2)의 크기는 제1 용액(L1) 내의 제1 부스러기(P1)보다 크다.An electrode group E is provided in the precipitation tank 105. The electrode group E includes a first electrode element E1 and a second electrode element E2 having opposite polarities, for example,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respectively. Materials of the first electrode element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lement E2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metal, for example, a suitable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ron, aluminum, nickel, and copper. The first electrode element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lement E2 may be immersed in a solution, and by depositing the solution in a manner of applying a voltage or current in contact with the solution, the precipitated second debris P2 is contained. To form a second solution (L2).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debris P2 is the size of the first debris P1 in the first solution L1, which is formed after treatment, for example, the second debris P2 having a larger particle size.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second debris P2 in the second solution L2 is larger than the first debris P1 in the first solution L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전기응집법(Electrocoagulation)으로 진행된다. 전류를 사용함으로써 제1 용액(L1) 내의 제1 부스러기(P1)가 전하를 가지도록 하며, 제1 부스러기(P1) 표면의 전하 분포를 변경하며, 제1 부스러기(P1)가 모여 상기 제2 부스러기(P2)를 형성하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the treatment is performed by electrocoagulation. By using an electric current, the first debris P1 in the first solution L1 has a charge, the charge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the first debris P1 is changed, and the first debris P1 gathers to form the second debris Let (P2) be formed.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전극군(E)의 전류값은 0.2∼5.0 암페어이며, 바람직하게는 0.2∼1 암페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부스러기(P2)의 입경 범위는 2 ㎛∼10 ㎛이다.In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current value of the electrode group E is 0.2 to 5.0 amperes, and preferably 0.2 to 1 amperes. In the embodiment, the particle size range of the second debris P2 is 2 µm to 10 µm.

제2 통로(107)는 석출조(105)와 여과 장치(109) 사이에 연통되어, 석출조(105) 내의 제2 용액(L2)이 여과 장치(109)로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여 여과 장치(109)로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펌프(미도시)를 사용하여 제2 용액(L2)을 구동할 수 있다.The second passage 107 is communicated between the precipitation tank 105 and the filtration device 109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second solution L2 in the precipitation tank 105 flows to the filtration device 109. 109) and may be filtered. The second solution L2 may be driven using a pump (not shown).

예를 들어, 여과 장치(109)는 제1 탱크 부분(116A), 제2 탱크 부분(116B)과 여과막(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로(107)는 석출조(105)와 여과 장치(109)의 제1 탱크 부분(116A) 사이에 연통되어, 석출조(105) 내의 제2 용액(L2)이 제1 탱크 부분(116A)으로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여 제1 탱크 부분(116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과막(118)은 제1 탱크 부분(116A)과 제2 탱크 부분(116B)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탱크 부분(116A)으로부터 유입된 제2 용액(L2)을 여과하여 제3 용액(L3)을 형성하여, 제2 탱크 부분(116B)으로 유입되게 한다.For example, the filtration device 109 may include a first tank portion 116A, a second tank portion 116B, and a filtration membrane 118. The second passage 107 communicates between the precipitation tank 105 and the first tank portion 116A of the filtration device 109 so that the second solution L2 in the precipitation tank 105 is the first tank portion 116A ) To provide a path to the first tank portion 116A. The filtration membrane 118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tank portion 116A and the second tank portion 116B to filter the second solution L2 introduced from the first tank portion 116A to filter the third solution L3. To form the second tank portion 116B.

실시예에 있어서, 여과막(118)은 여과 홀을 구비하며, 홀 직경의 크기는 제2 용액(L2) 내의 크기가 여과 홀의 홀 직경보다 큰 제2 부스러기(P2)를 차단하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므로, 여과막(118)을 통해 유출되는 제3 용액(L3)에는 제1 부스러기(P1)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부스러기(P2)가 함유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여과 장치(109)를 통해 제2 부스러기(P2)를 여과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여과막(118)의 여과 홀의 홀 직경은 1 ㎛∼10 ㎛, 또는 2 ㎛∼10 ㎛, 또는 1 ㎛∼2 ㎛로, 일반적인 한외 여과 기술에 사용되는 여과 홀의 홀 직경 크기인 2 ㎚∼100 ㎚보다 훨씬 크다. In an embodiment, the filtration membrane 118 has a filtration hole, and the size of the hole diamet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to block the second debris P2 whose size in the second solution L2 is larger than the hole diameter of the filtration hole, The third solution L3 flowing through the filtration membrane 118 does not contain the second debris P2 formed by the first debris P1. In other words, the second debris P2 is filtered and removed through the filtration device 109. In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hole diameter of the filtration hole of the filtration membrane 118 is 1 µm to 10 µm, or 2 µm to 10 µm, or 1 µm to 2 µm, and the hole of the filtration hole used in general ultrafiltration techniques It is much larger than the diameter size of 2 nm to 100 nm.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부스러기(P2)의 크기가 제1 부스러기(P1)의 크기보다 더 크므로, 여과막(118)은 여과 홀이 제2 부스러기(P2)보다 작고, 제1 부스러기(P1)보다 큰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여과 홀 크기가 비교적 큰 여과막(118)은 단가가 낮고, 효율적인 작업 수명이 길어, 긴 작업 시간 후에 주기적인 유지 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여과막(118)은 여과 홀이 제1 부스러기(P1)보다 작은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제1 부스러기(P1) 및 제2 부스러기(P1)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since the size of the second debris (P2)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debris (P1), the filter membrane 118 has a smaller filtration hole than the second debris (P2), the first debris (P1) ) Can be selected and used, where the filter membrane 118 having a relatively large filter hole size has a low unit cost and a long effective working life, so that periodic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after a long working tim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other embodiments, for example, the filtration membrane 118 may be used by selecting a size in which the filtration hole is smaller than the first debris P1, so that the first debris P1 and the 2 All debris (P1) can be removed.

제3 통로(111)는 여과 장치(109)와 처리조(101) 사이에 연통되어, 여과 장치(109)에서 여과에 의해 형성된 제3 용액(L3)이 처리조(101)로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여 처리조(101)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통로(111)는 여과 장치(109)의 제2 탱크 부분(116B)과 처리조(101) 사이에 연통된다. 펌프(미도시)를 사용하여 제3 용액(L3)을 구동할 수 있다. 제3 용액(L3)에 제2 부스러기(P2)가 함유되어 있지 않아, 처리조(101) 내의 제1 용액(L1)이 제3 용액(L3)과 혼합 희석되면 제1 부스러기(P1)의 함량 비율을 낮출 수 있으므로, 제1 용액(L1)을 세정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third passage 111 communicates between the filtration device 109 and the treatment tank 101, and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third solution L3 formed by filtration in the filtration apparatus 109 flows into the treatment tank 101 Can be introduced into the treatment tank 101. Specifically, the third passage 111 communicates between the second tank portion 116B of the filtration device 109 and the treatment tank 101. The third solution L3 may be driven using a pump (not shown). If the second solution (P2) is not contained in the third solution (L3), and the first solution (L1) in the treatment tank 101 is mixed and diluted with the third solution (L3), the content of the first debris (P1) Since the ratio can be lowered, it has the effect of cleaning the first solution (L1).

실시예의 시스템은 연속적인 제조 시스템일 수 있다. 즉, 처리조(101), 석출조(105), 여과 장치(109)가 서로 연통되어 용액을 지속적으로 세정하는 기간에 편광 필름 전구체(200)는 가이드 롤러(120)에 의해 처리조(101)로 전송되어 처리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유지할 수 있으며, 편광 필름 전구체(200)의 처리 단계를 일부러 정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나아가, 석출조(105) 및 여과 장치(109)의 처리에 의해, 제1 용액(L1)의 제1 부스러기(P1)의 함량 비율은 제조 공정 관리에서 허용 가능한 하한 범위 내로 제어 가능하여, 처리조(101)에 제1 부스러기(P1)가 부착되어 구조적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 수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 필름 전구체(200)가 제1 용액(L1)을 지속적으로 통과하여 제1 부스러기(P1)가 지속적으로 발생 가능한 상황에서,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제1 부스러기(P1)를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1 용액(L1)에서의 제1 부스러기(P1)의 지속적인 누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용액(L1) 내의 제1 부스러기(P1)를 제조 공정 관리에서 허용 가능한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용액(L1)은 여과 후 연속적으로 순환 사용되며, 처리조(101)를 정지시켜 별도의 깨끗한 용액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가를 낮추고 생산 능력을 높일 수 있다.The system of the embodiment can be a continuous manufacturing system. That is, in a period in which the treatment tank 101, the precipitation tank 105, and the filtration device 109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continuously clean the solution,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s processed by the guide roller 120. It is transmitted to the can be maintained to proceed with the processing step, and there is no need to deliberately stop the processing step of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it does not affect the production capacity. Furthermore, by the treatment of the precipitation tank 105 and the filtration device 109, the content ratio of the first debris P1 of the first solution L1 can be controlled within a lower limit acceptab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agement, Since the first debris P1 is attached to the 101,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a structural defect occurs, so that the product yield can be increased. Specifically, in a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debris P1 is continuously generated because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first solution L1, the first debris P1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ntinuously By using the removal system,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the first debris P1 in the first solution L1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first debris P1 in the first solution L1 is acceptable in manufacturing process management. It can be controlled within the range. In addition, the first solution (L1) is circulated continuously after filtration, and there is no need to stop the treatment tank 101 and replace it with a separate clean solution, thereby lowering the unit cost and increasing production capacity.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통로(103), 제2 통로(107) 및/또는 제3 통로(111)에 제어 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제1 통로(103), 제2 통로(107) 및/또는 제3 통로(111)의 유통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동작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출조(105) 및/또는 여과 장치(109)를 정지시켜 검사 또는 주기적으로 유지 보수가 필요할 경우, 제1 통로(103), 제2 통로(107) 및/또는 제3 통로(111)의 제어 밸브(미도시)를 닫아 제1 용액(L1)이 처리조(101)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석출조(105) 및/또는 여과 장치(109)를 사용하지 않아도 편광 필름 전구체(200)가 처리조(101)를 통과하여 지속적으로 처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생산 능력도 석출조(105) 및/또는 여과 장치(109)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In other embodiments, a control valve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first passage 103, the second passage 107, and/or the third passage 111, so that the first passage 103 and the second passage ( 107) and/or by controlling the flow of the third passage 11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perating flexibility of the system. For example, when inspection or periodic maintenance is required by stopping the precipitation tank 105 and/or the filtration device 109, the first passage 103, the second passage 107 and/or the third passage ( Close the control valve (not shown) of 111) to prevent the first solution (L1) from flowing out of the treatment tank 101, the precipitation tank 105 and / or filtration device 109 without using a polarizing film The precursor 200 may be continuously processed through the treatment tank 101, and the production capacity is not affected by the precipitation tank 105 and/or the filtration device 109.

이로써, 연속 순환 시스템은 제1 용액(L1) 내의 제1 부스러기(P1)의 함량을 제조 공정 관리에서 허용 가능한 하한 범위 내로 제어 가능하여, 제1 용액(L1)을 예측 가능한 청결도로 유지하여, 과량의 제1 부스러기(P1)를 방지, 예를 들어, 원하지 않는 PVA 부스러기가 편광 필름 전구체(200)의 표면에 부착되어 구조 결함의 품질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 수율을 높일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tinuous circulation system can control the content of the first debris P1 in the first solution L1 within the lower limit acceptab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 thereby maintaining the first solution L1 in predictable cleanliness, and To prevent the first debris (P1) of, for example, unwanted PVA debris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to prevent the quality problem of structural defect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 yiel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용액(L1)이 붕산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도, 석출조(105)는 여전히 제1 용액(L1)에 대해 석출 반응을 하여, 제1 부스러기(P1)에 겔을 전기응집하여 제2 부스러기(P2)를 형성하므로, 본 개시의 시스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용액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1 용액(L1)에 사용된 염색 약액은, 예를 들어, 해리된 요오드 이온을 함유한 수용액으로, 붕산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even if the first solution (L1) does not contain a boric acid component, the precipitation tank 105 still reacts to the first solution (L1) to deposit a gel in the first crumb (P1) Since agglomerates to form the second crumb P2, the system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solution situations. In one embodiment, for example, the dyeing chemical solution used in the first solution L1 is, fo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dissociated iodine ions, and does not contain a boric acid component.

용액 중의 PVA 함량 검출 방법은 총 유기 탄소 함량(TOC)에 의해 계산된다.The method of detecting PVA content in solution is calculated by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TOC).

실시예에 의해 추측한, 석출조가 제1 부스러기(P1)를 모아서 제2 부스러기(P2)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은, 전극군(E)으로 전류를 흘려 석출 처리를 진행하는 기간에, 제1 용액(L1) 내의 물 분자는 전극군(E)과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제1 전극 소자(E1)와 제2 전극 소자(E2)(금속 재질 포함)의 표면에 수산화금속을 응집제로서 형성하고, 제1 부스러기(P1)가 수산화금속에 흡착되어 겔을 형성하므로, 부피가 커져 제2 부스러기(P2)로 된다.The mechanism for forming the second debris P2 by collecting the first debris P1, which is estimated by the embodiment, by collecting the first debris P1, flows a current through the electrode group E to perform the precipitation treatment, the first solution The water molecule in (L1) undergoes a chemical reaction with the electrode group E to form metal hydroxide as a coagulant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element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lement E2 (including the metal material), Since the crumb P1 is adsorbed to the metal hydroxide to form a gel, the volume becomes large and becomes the second crumb P2.

도 3은 다른 실시예 개념에 따른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처리조(101) 내에 제1 용액(L1)이 저장되어 있고, 전극군(E)과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장치(3)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군(E)은 용액에 침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용액과 접촉되어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방식에 의해 용액을 석출함으로써, 석출 형성된 제2 부스러기(P2)(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함유하는 제2 용액(L2)을 형성한다. 오버플로우 장치(3)는 배수판(31) 및 제1 통로(130)(예를 들어, 배수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장치(3)의 배수판(31)의 위치는 용액의 액면보다 낮게 조절하여, 용액을 내부로 유도하여, 제1 통로(130)를 통해 처리조(101) 외부의 순환 시스템(137)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순환 시스템(137)에는 여과 장치(109)를 설치함으로써 제2 용액(L2) 내의 제2 부스러기(P2)를 여과하여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여과하여 정화한 후의 제3 용액(L3)은 제2 통로(133)를 통해 처리조(101)로 돌아와 순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3 is a view showing a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oncept. The first solution L1 is stored in the treatment tank 101 and may include an electrode group E and at least one overflow device 3. The electrode group E may be immersed in a solution, and by depositing the solution by contacting the solution with a voltage or current, the precipitated second debris P2 (not shown in FIG. 3) is formed. The containing second solution (L2) is formed. The overflow device 3 may include a drain plate 31 and a first passage 130 (eg, a drain pipe). The position of the drain plate 31 of the overflow device 3 is adjusted to be lower than the liquid level of the solution, leading the solution to the inside, and through the first passage 130 to the circulation system 137 outside the treatment tank 101 Can be discharged. To this end, by installing a filtration device 109 in the circulation system 137, the second debris P2 in the second solution L2 can be filtered and removed. Next, the third solution (L3) afte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may be used after being returned to the treatment tank 101 through the second passage 133.

도 4는 일 실시예 개념에 따른 처리조(10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오버플로우 장치(3)는 함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판(31)은 함체부(32)의 적어도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배수판(31)의 위치가 용액의 액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장치(3)는 여과 부재(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 부재(318)는 함체부(32)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과 부재(318)는 예를 들어, 여과망 및/또는 여과막이다. 여과 부재(318)는 부스러기를 먼저 여과하여, 부스러기를 여과 제거하는 효율을 추가로 높일 수 있다. 여과막의 여과 홀의 홀 직경은 1 ㎛∼10 ㎛, 또는 2 ㎛∼10 ㎛, 또는 1 ㎛∼2 ㎛으로, 일반적인 한외 여과 기술에 사용되는 여과 홀의 홀 직경 크기인 2 ㎚∼100 ㎚보다 훨씬 크다.4 is a view showing a treatment tank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cept. The overflow device 3 may include an enclosure 32. Since the drain plate 31 is movably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enclosure 32, the position of the drain plate 3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iquid level of the solu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overflow device 3 may further include a filtration member 318. The filtration member 318 may be detachably disposed within the enclosure 32. The filtration member 318 is, for example, a filtration net and/or a filtration membrane. The filtration member 318 may filter the debris first, and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of filtering and removing debris. The hole diameter of the filtration hole in the filtration membrane is 1 µm to 10 µm, or 2 µm to 10 µm, or 1 µm to 2 µm, which is much larger than 2 µm to 100 µm, which is the size of the hole diameter of the filtration hole used in general ultrafiltration techniques.

본 발명의 상기 내용을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understand the abov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the following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순수(純水) 2 L, 요오드화칼륨 40 g, 요오드 5 g과 PVA 고체(입경 0.1∼0.5 mm) 0.5 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침전물이 없을 때까지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얻는다.2 L of pure water, 40 g of potassium iodide, 5 g of iodine and 0.5 g of PVA solid (0.1-0.5 mm in particle size) were uniformly mixed and stirred until there was no precipitate to obtain a first solution.

실시예 1∼4는 실온에서 연동 펌프를 이용하여 80 ml/min으로 설정하고, 제1 용액을 석출조로 유입한 후, 전극군(제1 전극 소자와 제2 전극 소자가 용액에 침지된 부분이 폭 2 cm, 높이 6 cm의 크기를 구비함)에 상이한 전류값을 조절하여 전기응집을 진행함으로써, 제2 용액을 형성한 후, 제2 용액을 여과하여 제3 용액을 얻는다. 여기서, 여과는 여과 홀 크기가 1 ㎛∼2 ㎛(마이크로미터)인 여과막을 사용한다.Examples 1 to 4 are set to 80 ml/min using a peristaltic pump at room temperature, and after the first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precipitation tank, the electrode group (the first electrode element and the second electrode element is immersed in the solution) After the electrocoagulation is performed by adjusting different current values at a width of 2 cm and a height of 6 cm), a second solution is formed, and then the second solution is filtered to obtain a third solution. Here, a filtration membrane having a filtration hole size of 1 µm to 2 µm (micrometer) is used for filtration.

실시예 1∼4에서, 인가한 전류의 증가로 인해 더 많은 PVA 고체가 제거되어, PVA 고체 함량이 감소되는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실시예 3은 가장 높은 효율을 갖는다. 실시예 4에 있어서, 전류가 추가로 상승되었으나, PVA 고체 함량의 감소 폭이 실시예 3보다 낮아, 석출 단계에서 제2 용액에서 해리된 이온에 포화 한계가 있고, 과도하게 높은 전류값은 포화된 제2 용액에서 해리 이온의 농도를 추가로 높일 수 없고, 과도하게 높은 전류값으로 인해 여유 에너지의 소모가 발생하여 불필요한 제조 단가를 증가시켜 경제적 효율이 낮은 것을 추측할 수 있다. 표 1에는 실시예 1∼4가 석출 단계에서의 전극군의 전류값, 및 용액 처리 전후의 총 유기 탄소 함량(처리 전의 총 유기 탄소 함량이 즉 제1 용액의 총 유기 탄소 함량(C1)이고, 처리 후의 총 유기 탄소 함량이 즉 제3 용액의 총 유기 탄소 함량(C2)임)과 총 유기 탄소 함량의 전후 차이에 의해 산출된 PVA 고체 제거율(즉 (C1-C2)/C1)이 표시되어 있다. 총 유기 탄소 함량은 총 유기 탄소 함량(TOC)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In Examples 1-4, more PVA solids are removed due to an increase in the applied current, which has a desirable effect of reducing the PVA solids content. Here, Example 3 has the highest efficiency. In Example 4, the current was further increased, but the reduction width of the PVA solid content was lower than in Example 3, so that there was a saturation limit for the ions dissociated from the second solution in the precipitation step, and the excessively high current value was saturated.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dissociation ions in the second solution cannot be additionally increased, and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occurs due to excessively high current values, thereby increasing unnecessary manufacturing cost and low economic efficiency. In Table 1, Examples 1 to 4 are the current value of the electrode group in the precipitation step, and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before and after solution treatment (that is,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before treatment, that is,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C1) of the first solution), The PVA solids removal rate (ie (C1-C2)/C1)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after treatment, i.e.,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of the third solution (C2)) and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is displayed. .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TOC) analyzer.

비교예 1은 한외 여과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동 펌프를 이용하여 80 ml/min으로 설정하여 제1 용액을 펌핑하여 여과막을 통해 여과되도록 하였다. 높은 제거율을 구비하지만, 한외 여과 방법은 반드시 여과 홀 크기가 매우 작은(홀 직경 2 ㎚∼100 ㎚) 여과막을 사용해야 하며, 이는 가격이 비싸고, 부스러기로 인해 빠르게 막혀 효율적으로 여과를 할 수 없어, 효율적인 작업 수명이 짧아 교체 주기가 높으므로, 경제적 효율이 낮다. 표 1에는 비교예 1에서 용액 처리 전후의 총 유기 탄소 함량(처리 전의 총 유기 탄소 함량이 제1 용액의 총 유기 탄소 함량(C1)이고, 처리 후의 총 유기 탄소 함량이 제1 용액의 총 유기 탄소 함량(C1')임)과 총 유기 탄소 함량의 전후 차이에 의해 산출된 PVA 고체 제거율(즉, (C1-C1')/C1)이 표시되어 있다.Comparative Example 1 used an ultrafiltration method, and was set to 80 ml/min using a peristaltic pump to pump the first solution to be filtered through a filtration membrane. Although it has a high removal rate, the ultrafiltration method must use a filter membrane having a very small filtration hole size (hole diameter 2 ㎚ to 100 ㎚), which is expensive and cannot be efficiently blocked because it is quickly blocked due to debris. Due to the short working life, the replacement cycle is high, so economic efficiency is low. In Table 1,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before and after solution treatment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before treatment is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C1) of the first solution, and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after treatment is the total organic carbon of the first solution. PVA solids removal rate (ie, (C1-C1')/C1)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C1') and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before and after.

비교예 2는 저온 여과 방법을 사용하여 제1 용액을 여과하였다. 여기서, 먼저 제1 용액을 실온보다 낮은 저온(5℃)으로 한 후, 저온 환경에서 연동 펌프를 이용하여 80 ml/min으로 설정하고, 제1 용액을 펌핑하여 여과 홀 크기가 1 ㎛∼2 ㎛인 여과막을 통해 여과를 하였다. 표 1에는 비교예 2에서 용액 처리 전후의 총 유기 탄소 함량(처리 전의 총 유기 탄소 함량이 제1 용액의 총 유기 탄소 함량(C1)이고, 처리 후의 총 유기 탄소 함량이 제1 용액의 총 유기 탄소 함량(C1')임)과 총 유기 탄소 함량의 전후 차이에 의해 산출된 PVA 고체 제거율(즉 (C1-C1')/C1)이 표시되어 있다. 비교예 2의 PVA 고체 제거율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보다 현저하게 낮으며, 이는 제1 용액이 저온에 의해 응집 효과에 달성할 수 있는 붕산 성분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용액 내의 PVA 고체도 저온에서 큰 크기로 변할 수 없어, 여과 홀 크기가 큰 여과막에 의해 제1 용액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In Comparative Example 2, the first solution was filtered using a low temperature filtration method. Here, the first solution is first set to a lower temperature (5° C.) lower than room temperature, then set to 80 ml/min using a peristaltic pump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 first solution is pumped to have a filter hole size of 1 μm to 2 μm. Filtration was performed through a phosphorous filtration membrane. In Table 1,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before and after solution treatment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before treatment is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C1) of the first solution, and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after treatment is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of the first solution. PVA solids removal rate (ie (C1-C1')/C1)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C1') and the total organic carbon content before and after. The removal rate of PVA solids in Comparative Example 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because the first solution did not contain a boric acid component that could achieve the cohesive effect by low temperature. It is presumed that the PVA solid also cannot be changed to a large size at low temperature, and thus cannot be removed from the first solution by a filter membrane having a large filter hole size.

실례excuse 여과 방법Filtration method 총 유기 탄소 함량(ppm)Total organic carbon content (ppm) 제거율Removal rate 처리 전Before treatment 처리 후After treatment 실시예 1Example 1 전류값 0.2 암페어Current value 0.2 Ampere 253253 202202 20%20% 실시예 2Example 2 전류값 0.5 암페어Current value 0.5 amperes 243243 156156 32%32% 실시예 3Example 3 전류값 1.0 암페어Current value 1.0 Ampere 256256 148148 42%42% 실시예 4Example 4 전류값 2.0 암페어Current value 2.0 Ampere 247247 136136 45%4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241241 113113 53%53%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저온 여과Low temperature filtration 254254 248248 2%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로 상기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what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3: 오버플로우 장치
31: 배수판
32: 함체부
37, 137: 순환 시스템
101: 처리조
102: 권출 롤러
103: 제1 통로
104: 팽윤조
105: 석출조
106: 염색조
107: 제2 통로
108: 가교조
109: 여과 장치
110: 세정조
111: 제3 통로
112: 건조로
114: 권취 롤러
116A: 제1 탱크 부분
116B: 제2 탱크 부분
118: 여과막
120: 가이드 롤러
130: 제1 통로
133: 제2 통로
200: 편광 필름 전구체
200': 편광 필름
318: 여과 부재
E: 전극군
E1: 제1 전극 소자
E2: 제2 전극 소자
L1: 제1 용액
L2: 제2 용액
L3: 제3 용액
P1: 제1 부스러기
P2: 제2 부스러기
3: overflow device
31: drain plate
32: housing
37, 137: circulatory system
101: treatment tank
102: unwinding roller
103: first passage
104: swelling tank
105: precipitation tank
106: dyeing tank
107: second passage
108: crosslinking tank
109: filtration device
110: cleaning tank
111: Third passage
112: drying furnace
114: winding roller
116A: first tank part
116B: second tank part
118: filtration membrane
120: guide roller
130: first passage
133: second passage
200: polarizing film precursor
200': polarizing film
318: filtration member
E: electrode group
E1: first electrode element
E2: second electrode element
L1: first solution
L2: second solution
L3: third solution
P1: First crumb
P2: Second debris

Claims (13)

편광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편광 필름 전구체를 제1 용액에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용액과 접촉하는 전극군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용액에 대해 석출 처리를 하여 제2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용액을 여과 처리하여 제3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제조 방법.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Passing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through the first solution;
Forming a second solution by subjecting the first solution to precipitation using an electrode group contacting the first solution; And
Filtering the second solution to form a third solution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 전구체를 상기 제3 용액과 혼합된 후의 상기 제1 용액 또는 상기 제2 용액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 필름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passing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through the first solution or the second solution after being mixed with the third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은 제1 부스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제1 부스러기로부터 석출 처리에 의해 크기가 커진 제2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 필름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olution includes a first debris, and the second solution comprises a second debris that has increased in size by precipitation treatment from the first debri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러기는 상기 편광 필름 전구체가 통과할 때 발생한 부스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제1 부스러기로부터 석출 처리에 의해 크기가 커진 제2 부스러기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처리는 크기가 상기 제1 부스러기보다 큰 여과 홀을 갖는 여과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 필름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debris includes debris generated when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passes, and the second solution includes a second debris increased in size by precipitation treatment from the first debris, and The filtration treatment includes using a filtration device having a filtration hole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first debr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러기의 입경 범위는 10 ㎚∼1000 ㎚이고, 상기 제2 부스러기의 입경 범위는 2 ㎛∼10 ㎛이며, 상기 여과 홀의 홀 직경은 1 ㎛∼10 ㎛인 편광 필름 제조 방법.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rticle size range of the first debris is 10 nm to 1000 nm, the particle size range of the second debris is 2 μm to 10 μm, and the hole diameter of the filtration hole is 1 μm to 10 μm.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은 요오드 이온을 함유하는 편광 필름 염색 용액이거나, 또는 제1 용액은 붕산,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용액인 편광 필름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olution is a polarization film dyeing solution containing iodine ions, or the first solution is a solution comprising boric acid, potassium iodide, zinc iodide,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의 전류값은 0.2∼5.0 암페어이거나, 또는 상기 전극군은 전기응집법에 사용되는 것인 편광 필름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group has a current value of 0.2 to 5.0 amperes, or the electrode group is used in an electrocoagulation method.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용액을 포함하는 처리조;
편광 필름 전구체가 상기 용액을 통과하도록 전송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편광 필름 전구체가 통과한 후의 상기 용액과 접촉하는 전극군; 및
상기 전극군과 접촉한 후의 상기 용액을 여과하는 여과 장치
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
In 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Treatment tank containing a solution;
A guide roller for transmitting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through the solution;
An electrode group that contacts the solution after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passes; And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solution after contact with the electrode group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외측에서 상기 처리조와 연통되며, 상기 전극군과 상기 여과 장치를 포함하는 순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irculation system in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ing tank outside the processing tank and including the electrode group and the filtratio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은 상기 처리조에 설치되는 것인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electrode group is installed in the treatment tan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은 상기 편광 필름 전구체가 통과한 후의 상기 용액에 대한 전기응집법에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전극군의 전류값이 0.2 암페어∼5.0 암페어인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of claim 8, wherein the electrode group is used in an electrocoagulation method for the solution after the polarizing film precursor has passed, or the current value of the electrode group is 0.2 amperes to 5.0 amper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장치는 여과 부재 및 배수판을 더 포함하는 오버플로우 장치인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of claim 8, wherein the filtration device is an overflow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ltration member and a drain pl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부재는 여과망 및/또는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막의 여과 홀의 홀 직경이 1 ㎛∼10 ㎛인 편광 필름 제조 시스템.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filtration member includes a filtration screen and/or a filtration membrane, and a hole diameter of a filtration hole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1 µm to 10 µm.
KR1020180107647A 2017-09-13 2018-09-10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olarizer sheet KR1025360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31451 2017-09-13
TW106131451A TWI640556B (en) 2017-09-13 2017-09-13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olarizer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012A true KR20200068012A (en) 2020-06-15
KR102536035B1 KR102536035B1 (en) 2023-05-23

Family

ID=6110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647A KR102536035B1 (en) 2017-09-13 2018-09-10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olarizer shee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99882B2 (en)
KR (1) KR102536035B1 (en)
CN (1) CN107632335B (en)
TW (1) TWI64055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0893B2 (en) * 2019-10-25 2023-10-1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864A (en) * 2000-05-08 2001-11-13 Japan Organo Co Ltd Treating method for waste liquid from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JP2004245925A (en) 2003-02-12 2004-09-02 Sumitomo Chem Co Ltd Polarizing plate, its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152748A1 (en) * 2006-03-17 2009-06-18 Api Nanofabrication And Research Corp. Polarizer Fil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90109264A (en) * 2008-04-15 2009-10-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Method for recovering of dyeing solution from waste solution for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film using the recovered dyeing solution
KR20110012093A (en) * 2009-07-29 2011-02-09 양우석 Equipment for reusing potassium iodide waste solution of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process and method thereof
KR20150050497A (en)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solution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KR20170026066A (en)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스미카 테크놀로지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fil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8412A (en) * 1984-09-25 1986-04-22 Shimizu Constr Co Ltd Bathtub recirculation filter apparatus
JPS647622A (en) * 1987-06-30 1989-01-11 Nec Corp Device f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substrate
JPH0669429B2 (en) * 1987-12-16 1994-09-07 リンナイ株式会社 Bath
JP2871490B2 (en) * 1994-11-09 1999-03-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Bathtub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JP2000300910A (en) * 1999-04-21 2000-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ter cleaning apparatus
JP4362211B2 (en) * 2000-06-28 2009-11-11 株式会社クラレ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GB2442171B (en) * 2005-07-05 2011-03-09 Res Water Pty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964787B1 (en) * 2007-04-16 2010-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films and lcd comprising the sames
JP4948305B2 (en) * 2007-07-23 2012-06-06 合同資源産業株式会社 Method and system for circulating use of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chemicals
JP5700239B2 (en) * 2010-09-03 2015-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line coating liquid
KR20130019364A (en) * 2011-08-16 2013-02-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In-line purification method for polarizer preparing solution comprising polyvinyl alcohol
CN110078176A (en) * 2013-05-13 2019-08-02 霍加纳斯股份有限公司 Cathode, electrochemical cell and application thereof
JP2016223838A (en) * 2015-05-28 2016-12-28 株式会社フロンテイア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treatment method
JP2017058445A (en) * 2015-09-15 2017-03-2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JP6105795B1 (en) * 2015-11-27 2017-03-29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JP6696178B2 (en) * 2016-01-08 2020-05-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WI646130B (en) * 2017-05-23 2019-01-01 日商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864A (en) * 2000-05-08 2001-11-13 Japan Organo Co Ltd Treating method for waste liquid from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JP2004245925A (en) 2003-02-12 2004-09-02 Sumitomo Chem Co Ltd Polarizing plate, its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152748A1 (en) * 2006-03-17 2009-06-18 Api Nanofabrication And Research Corp. Polarizer Fil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90109264A (en) * 2008-04-15 2009-10-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Method for recovering of dyeing solution from waste solution for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film using the recovered dyeing solution
KR20110012093A (en) * 2009-07-29 2011-02-09 양우석 Equipment for reusing potassium iodide waste solution of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process and method thereof
KR20150050497A (en)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solution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KR20170026066A (en)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스미카 테크놀로지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53294A (en) 2019-04-04
CN107632335A (en) 2018-01-26
JP7199882B2 (en) 2023-01-06
TW201915058A (en) 2019-04-16
KR102536035B1 (en) 2023-05-23
TWI640556B (en) 2018-11-11
CN107632335B (en)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3646B2 (en) Membrane module cleaning method
JP5345344B2 (en) Scale inhibitor supply management method and supply management apparatus
WO2018163706A1 (en) Hollow fiber membrane device cleaning method, ultrafiltration membrane device, ultrapure water production device, and cleaning device for hollow fiber membrane device
KR20200068012A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olarizer sheet
TWI724201B (en) Film processing method and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JP201111046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ion membrane, and separation membrane module having separation membrane and ion exclusion performance
KR20100116847A (en) Cleaning apparatus for maintaining high efficiency intelligent separate membranes and method thereof
CN1127110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JP2016049483A (en) Detergent for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cleaning method of reverse osmosis membrane
JP4770633B2 (en) Reverse osmosis membrane treatment method
CN107662991A (en) A kind of ultrapure water production system
JP5050536B2 (en) Permeation rate improvement method for permeable membrane, permeable membrane treatment method, permeable membrane device, and pure water production device
TW201842002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polarizer film
EP3056258A1 (en) Chemical cleaning method for ro/nf membrane system consisting of two arrays
JP2001025715A (en) Production of functional water and device therefor
CN203807287U (en) Automatic purifying pretreatment system for pretreatment wastewater
JP2006043655A (en) Water treat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JP3357241B2 (en) Cleaning method for fine particle measurement membrane in ultrapure water
KR101607729B1 (en) In-line reusing method for cleaning solution for preparing a polizer comprising potassium iodied and boric acid for preparing a polizer
JPH11128919A (en) Treatment of reverse osmosis membrane
JP2019188338A (en) Water treatment method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15156186B (en) Ultrasonic cleaning, circulating, filtering and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high cleanliness
CN105645632A (en) Process for recycling electroplating wastewater
KR101279611B1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produc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ing plate by ceramic filter
JP2020079952A (en) Processing method of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ation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