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585A -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585A
KR20200067585A KR1020180154609A KR20180154609A KR20200067585A KR 20200067585 A KR20200067585 A KR 20200067585A KR 1020180154609 A KR1020180154609 A KR 1020180154609A KR 20180154609 A KR20180154609 A KR 20180154609A KR 20200067585 A KR20200067585 A KR 20200067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door lock
management server
smartphone
individu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623B1 (ko
Inventor
주상희
김선
Original Assignee
(주)동광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뉴텍 filed Critical (주)동광뉴텍
Priority to KR102018015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6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122)와 배터리 전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6), 키패드(124)가 구비된 도어락(120)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110) 및 상기 개별 보관함(110)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기 본체(101)로 구성된 보관함 모듈(100)과, 개별 보관함(110)의 제어 및 사용자의 이용을 관리하는 관리서버(200), 상기 블루투스(122)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와 연동되게 하고, 소정 도어락(120)과의 페어링을 수행하여 대응하는 개별 보관함을 이용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기능으로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종래의 무인보관함 시스템에 비하여 유지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비밀번호를 분실하거나 기억하지 못하여 도어를 열지 못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전원의 부족으로 도어가 미개방되기 전에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하여 도어를 열지 못하는 문제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A Management and Using System For Unmanned Locker}
본 발명은 무인보관함의 관리, 이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함의 도어락에 내장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앱과 관리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효율적인 관리 및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택배보관함이나 물품보관함은 택배나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물론 택배보관함은 택배기사가 택배물품을 보관하고 거주민이 이를 찾는 형태, 물품보관함은 일정시간, 기간동안 사용료를 지불하고 물품을 보관한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무인으로 택배/물품을 보관한다는 측면에서는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고 할 것이고, 통상적으로 무인보관함이라 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택배보관함과 물품보관함을 무인보관함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의 무인보관함은 일반적으로 중앙에서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품가격 및 관제서비스 등의 유지비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인보관함의 시건장치는 도어락만을 부착한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제기능밖에 지원하고 있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과금 및 결제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사용이 불가하다는 것은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환경에서 무인보관함을 관리, 운용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무인보관함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고, 따라서 자신이 입력한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여 알지 못하는 경우 무인보관함을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메모하기도 하지만 비밀번호가 누출될 경우 물품분실이 염려된다. 그리고 이처럼 비밀번호가 기억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마스터 카드로 초기화하여 개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관리자가 오기까지 기다려만 하여 불필요한 시간 낭비 및 비용추가가 발생되었다.
무인보관함의 시건장치는 소정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도어락이 채용된다.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열쇠와 같은 기계적인 키이가 사용되는 보관함도 있지만, 근래에는 대부분이 전원을 공급받아 무인보관함을 개방, 해제하는 도어락이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도어락에는 전원 공급을 위해 일정 전원 레벨을 가지는 배터리가 반드시 제공된다. 그런데, 무인보관함은 한 장소에 수십, 수백개가 설치 운용되기 때문에, 관리자가 무인보관함의 도어락마다 배터리 전원의 잔량을 확인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처럼 배터리 전원이 소정 레벨 이하가 되면 무인보관함을 개방할 수 없다는 이유로, 종종 무인보관함의 관리자는 사용자와 마찰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같이, 기존의 무인보관함은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효율적인 운용 관리가 어려웠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무인보관함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관리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한 무인보관함을 제공하여 더 낮은 유지비로 무인보관함을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스마트폰 및 관리서버와의 통신서비스를 이용하여 보관함 이용에 따른 과금 및 결제가 가능하게 하며, 비밀번호 분실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도어락의 배터리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개별 보관함을 용이하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제공한다. 즉, 이러한 목적은 한 장소에 수십, 수백개가 설치 운용되는 개별 보관함 중 제어하거나 사용할 개별 보관함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따라서 관리자나 사용자가 무인보관함을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루투스와 배터리 전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키패드가 구비된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 및 상기 개별 보관함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기 본체로 구성된 보관함 모듈; 개별 보관함의 제어 및 사용자의 이용을 관리하는 관리서버; 그리고 상기 블루투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되게 하고, 소정 도어락과의 페어링을 수행하여 대응하는 개별 보관함을 이용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은 상기 관리서버가 스마트폰으로 전송한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스마트폰 앱이 부여하여 표시하는 고유번호와, 상기 고유번호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후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변화한 도어락이 방사한 고유번호가 일치한 경우에 해당 도어락과 스마트폰을 자동 연결하는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고유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페어링은 실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는, 상기 개별 보관함에 보관중인 물품 보관기간이 도래하는 순서대로 비밀번호를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비밀번호 분실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별 보관함의 도어락에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배터리 전원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 셋팅된 전원레벨 이하로 감지된 도어락의 배터리 정보만을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관리자는 개별 관리함의 도어락에 설치된 배터리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블루투스가 내장된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 상기 개별 보관함에 물품 보관정보를 고객에게 통보하거나 개별보관함의 임대신청을 처리하는 관리서버; 그리고 상기 개별 보관함의 도어락을 해제하도록 소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통신하면서 상기 관리서버와도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에 의하면, 개별 보관함의 도어락에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고, 이러한 블루투스 기능으로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종래의 무인보관함 시스템에 비하여 유지비를 최소화하면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도어락과 자동 페어링을 할 수 있어, 개별 보관함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관리서버는 보관이 만료되는 개별 보관함의 비밀번호를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자동 전송하고 있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분실하거나 기억하지 못하여 도어를 열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가 주기적으로 도어락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원정보를 전송받고, 이렇게 전송받은 전원정보는 관리자가 관리서버에서 확인하거나 휴대단말기를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 전원의 부족으로 도어가 미개방되기 전에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을 것이며, 실질적으로 이러한 점은 무인 보관함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보관함 모듈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별보관함이 택배보관함으로 사용될 때의 사용 예를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별보관함이 물품보관함으로 사용될 때의 사용 예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개별보관함의 이용시 보관기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예를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 본체(10)와 다수의 개별 보관함(110)으로 이루어진 보관함 모듈(100)과, 관리서버(200),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스마트폰(300)이 보관함 모듈(100), 즉 개별보관함(110)의 도어락(120)에 설치된 블루투스(122)와 통신하여 관리서버(200)와 연동시켜주는 것이고, 통신방식은 보관함 모듈(100)과 스마트폰(300)은 블루투스 통신방식, 스마트폰(300)과 관리서버(200)는 인터넷 통신방식이 적용된다.
보관함 모듈(100)은 물품을 보관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110)과, 개별 보관함(110)의 이용,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기 본체(101)로 구성된다. 상기 개별 보관함(110)은, 크기에 따라 대, 중, 소 사이즈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여러 사이즈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보관함(110)은 수납공간을 밀폐하는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는 잠금장치인 도어락(120)이 장착된다. 그리고 도어락(120)에는 스마트폰(300)과의 무선통신을 위하여 블루투스(122) 및 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12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락(120)에는 소정 전원레벨을 가지는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시간 경과에 따라 방전되면서 도어락(120)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하지 못한 레벨이하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도어가 개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원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26)가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126)는 배터리의 전원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어락(1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어에 별도로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감지센서(126)가 감지한 정보는 주기적으로 관리서버(200)로 전송되게 한다. 물론, 모든 배터리의 전원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것 대신, 도어락(120)의 구동에 필요한 기 셋팅된 최저전압 레벨 이하가 되는 배터리의 전원정보만을 관리서버(200)로 전송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기 본체(101)는 개별 보관함(110)들을 선별하여 도어를 개폐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고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기나 각종 정보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등이 구성된다. 물론 입력기와 모니터의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터치방식의 스크린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등록정보나 물품정보, 비밀번호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스마트폰(300) 및 관리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 과금 및 결제를 위한 결제모듈 등 다른 구성들도 포함되며, 이러한 구성들은 보관함 모듈(100)이 설치되는 장소나 특성 등에 맞게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루투스(122)와 연동하는 스마트폰(300)이 제공되고, 상기 블루투스(122)를 이용하면 상기 도어락(120)은 스마트폰(300)과 통신하여 실질적으로 관리서버(200)와 연동되는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에는 개별 보관함(110)을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스마트폰 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관리서버(200)에서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도어락(120)과 연동되는 관리서버(300)는 개별 보관함(1100에 물품 보관사실을 고객(스마트폰)에게 알리거나 보관함의 임대신청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은 사용자의 이용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처리과정을 수행하는데, 각각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개별보관함(110)이 택배를 보관하는 택배보관함으로 사용되는 경우이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택배기사가 물품을 보관할 경우, 비어있는 개별보관함(110)에 택배 물품을 넣고 도어를 닫는다. 도어를 닫는 동작만으로 개별보관함(110)은 잠금상태가 된다(S100). 그리고 통상 물품이 보관되지 않는 개별보관함(110)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이거나 제어기 본체(101)의 모니터에 소정 색상으로 표시된다.
택배기사는 스마트폰 앱을 실행하여 관리서버(200)와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택배기사는 스마트폰 앱에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관리서버(200)는 인증번호를 문자메시지(SMS) 형태로 전송하고, 택배기사는 이를 스마트폰 앱에서 입력한다(S102). 그러면 스마트폰 앱은 인증번호에 따라 할당되는 소정 포맷의 고유번호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표시된 고유번호는 도어락(120)에 설치된 키패드(124)를 통해 입력되는데(S104), 이때까지 도어락은 슬립모드(sleep mode) 상태였다가 고유번호가 입력되면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상태변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입력된 고유번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게 된다(S106).
이후 스마트폰 앱은 상기 스마트폰(300)에 표시된 고유번호와 상기 도어락(120)이 방사한 고유번호를 비교하고(S108), 비교결과 일치하면 스마트폰 앱은 해당 도어락(120)을 자동으로 페어링하게 된다(S110).
스마트폰(300)과 도어락(120)이 페어링 된 다음에는 택배기사는 자신의 스마트폰 앱을 계속 조작하여 택배받을 수취인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112). 그러면 스마트폰 앱은 임의로 생성한 비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를 도어락(120)으로 함께 전송하며(S114), 상기 도어락(120)은 전송받은 비밀번호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면서 해당 개별 보관함에 물품이 저장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어락(120)은 스마트 폰(300)으로 보관함 번호 및 함 번호의 일련번호도 함께 저장한다(S116). 여기서 보관함 번호는 보관함 세트(set)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 함 번호는 보관함의 여러 함(box)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를 말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비밀번호는 수취인의 전화번호, 택배기사 전화번호와 함께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며(S118), 관리서버(200)는 전송받은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수취인이 알 수 있도록 전송한다(S120). 수취인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보관함 번호, 함번호, 비밀번호, 택배기사 전화번호 등이고, 문자메시지나 스마트폰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블루투스(122)가 내장된 도어락(1200이 스마트폰(300)과 블루투스 통신하면서 소정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관리서버(200)와도 연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수취인이 상기 개별보관함(110)에 보관된 물품을 찾을 경우에는 자신의 스마트폰 앱을 실행시킨 다음 보관함 번호, 함 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관리서버(200)가 전송한 물품 리스트에서 찾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한다(S122). 물론 물품이 1개인 경우에는 물품 선택과정은 생략될 것이다. 그러면 스마트폰(300)과 해당 도어락(120)은 자동으로 페어링되면서 도어락(120)으로 비밀번호가 전송된다(S124).
이에 도어락(120)은 스마트폰 앱이 전송한 비밀번호를 확인한 다음 도어를 개방한다(S126). 그리고 도어가 개방되면 보관된 물품이 꺼내진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기 본체(101)는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삭제함과 동시에 물품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임을 표시한다. 물론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는 개방되지 않고 물품보관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개별보관함이 물품보관함으로 이용되는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을 실행시켜 관리서버(200)에 접속하고,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200). 그러면 앞서 설명한 바 있는 택배 물품과정과 동일하게 관리서버(200)는 인증번호를 문자메시지(SMS) 형태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에 입력한다(S202). 이에 스마트폰 앱은 인증번호에 따라 할당되는 소정 포맷의 고유번호를 표시하는데, 사용자는 표시된 고유번호를 키패드(124)를 통해 입력한다.
이때까지 도어락(120)은 슬립모드 상태였다가 상기와 같이 고유번호가 입력되면 액티브 모드로 상태변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입력된 고유번호를 브로드캐스팅하게 된다(S204).
그러면 스마트폰 앱은 상기 스마트폰(300)에 표시된 고유번호와 상기 도어락(120)이 방사한 고유번호를 비교하여 임의의 도어락과 자동으로 페어링한다(S206)(S208). 이렇게 페어링 완료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여 물품을 보관할 기간만큼 결제를 한 후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가 있고(S210), 스마트폰 앱은 도어락(120)으로 보관기간, 비밀번호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전송한다(S212).
그리고 이러한 보관된 물품을 찾고자 할 경우(S216),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앱을 실행시킨 다음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218). 그러면 관리서버(200)는 인증번호를 문자메시지(SMS) 형태로 전송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인증번호를 수신 후 스마트폰 앱에 입력한다(S220). 이후 도어를 개방하여 물품을 꺼낼 수 있고(S222)(S224), 물품을 꺼낸 후 도어를 닫으면 도어는 자동으로 잠긴다. 이 경우 최초 보관기간보다 더 시간이 경과된 경우라면 도어 개방전에 추가요금 결제를 위한 안내 메시지가 통보될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별보관함(110)을 이용할 경우 기본적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비밀번호는 시간 경과에 따라 쉽게 생각해내기 어려울 수 있고, 비밀번호를 모르면 도어를 개방할 수가 없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를 잃어버려서 발생하는 문제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사용자는 그만큼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보관함(110)에 물품을 보관할 때 스마트폰 앱이나 키패드(122)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 및 보관기간 정보와 함께 관리서버(200)로 전송되고, 저장된다(S300).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저장된 보관기간 정보를 주기적으로 액세스하고(S302), 액세스 결과에 따라 보관기간이 종료되는 개별보관함부터 순서대로 비밀번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304).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물품을 꺼낼 시점이 되면 관리서버(200)가 전송한 비밀번호를 자신의 스마트폰(3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S306), 결국 비밀번호를 분실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기간이 연장되면, 연장시 입력된 비밀번호 또는 비밀번호가 변경되지 않으면 최초 보관시 입력된 비밀번호가 관리서버(200)에 그대로 저장되어 있을 것이고, 연장기간이 만료되면 마찬가지로 관리서버(200)는 비밀번호를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개별보관함(1100에 마련된 도어락(120)의 배터리 전원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보관함(110)에는 도어를 개방, 잠금시키기 위하여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도어락(12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락(120)은 적정 수준 이상의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각 개별보관함(110)의 도어락(120)마다 제공된 배터리 전원의 잔량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것이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6)가 도어락(120)에 설치된다.
그리고 감지센서(126)가 감지한 배터리 전원정보는 주기적으로 관리서버(200)로 전송되며, 관리자는 스마트폰이나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만큼 각 개별보관함(110)의 배터리 전원의 잔량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어락이 전원 부족으로 동작하지 않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터리 전원의 다른 예로, 기 셋팅된 전원레벨 이하가 되는 경우에만 해당 도어락(120)의 배터리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럴 경우, 관리자는 모든 도어락(120)의 배터리 전원잔량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배터리를 교체할 도어락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보관함 모듈 101: 제어기 본체
110: 개별보관함 120: 도어락
122: 블루투스 124: 키패드
126: 감지센서 200: 관리서버
300: 스마트 폰

Claims (4)

  1. 블루투스(122)와 배터리 전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6), 키패드(124)가 구비된 도어락(120)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110) 및 상기 개별 보관함(110)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기 본체(101)로 구성된 보관함 모듈(100);
    개별 보관함(110)의 제어 및 사용자의 이용을 관리하는 관리서버(200); 그리고
    상기 블루투스(122)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와 연동되게 하고, 소정 도어락(120)과의 페어링을 수행하여 대응하는 개별 보관함을 이용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300)을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은 상기 관리서버(200)가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스마트폰 앱이 부여하여 표시하는 고유번호와, 상기 고유번호가 상기 키패드(124)를 통해 입력된 후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변화한 도어락(120)이 방사한 고유번호가 일치한 경우에 해당 도어락(120)과 스마트폰(300)을 자동 연결하는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개별 보관함(110)에 보관중인 물품 보관기간이 도래하는 순서대로 비밀번호를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보관함(110)의 도어락에 감지센서(126)가 더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126)는 배터리 전원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 셋팅된 전원레벨 이하로 감지된 도어락(120)의 배터리 정보만을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4. 블루투스(122)가 내장된 도어락(120)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110);
    상기 개별 보관함(110)에 물품 보관정보를 고객에게 통보하거나 개별보관함(110)의 임대신청을 처리하는 관리서버(200); 그리고
    상기 개별 보관함(110)의 도어락(120)을 해제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300)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12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300)과 통신하면서 상기 관리서버(200)와도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KR1020180154609A 2018-12-04 2018-12-04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KR102199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09A KR102199623B1 (ko) 2018-12-04 2018-12-04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09A KR102199623B1 (ko) 2018-12-04 2018-12-04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85A true KR20200067585A (ko) 2020-06-12
KR102199623B1 KR102199623B1 (ko) 2021-01-07

Family

ID=7108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609A KR102199623B1 (ko) 2018-12-04 2018-12-04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734B1 (ko) * 2020-07-14 2021-02-24 주식회사 아이트립 공항에서 원격으로 호텔에 체크인하기 위한 IoT 시스템
KR102256259B1 (ko) 2020-10-27 2021-05-27 주식회사 브랜드쉐어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926A (ko) * 2013-08-19 2015-02-27 (주)성원라커시스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47386B1 (ko) * 2016-10-06 2018-04-11 패스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보관함 관리방법
KR101873929B1 (ko) * 2016-02-25 2018-07-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926A (ko) * 2013-08-19 2015-02-27 (주)성원라커시스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929B1 (ko) * 2016-02-25 2018-07-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47386B1 (ko) * 2016-10-06 2018-04-11 패스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보관함 관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734B1 (ko) * 2020-07-14 2021-02-24 주식회사 아이트립 공항에서 원격으로 호텔에 체크인하기 위한 IoT 시스템
KR102256259B1 (ko) 2020-10-27 2021-05-27 주식회사 브랜드쉐어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623B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3838B1 (en) Automated locker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and collection of packages
US11605275B2 (en) Gateway-based anti-theft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10643415B2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with accelerated delivery
EP3410410B1 (en) Locker system access control
US11657365B2 (en) Secured parcel locker system with improved security
US20190114585A1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with Accelerated Delivery
CN105593911B (zh) 访问控制方法和访问控制系统
EP1391579B1 (en) Portable security container
US9531694B2 (en) Intelligent delivery system
US9980020B1 (en) Remote locking system architecture and user interface
KR101710065B1 (ko)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JP2016172622A (ja) 収納装置及び宅配システム
KR20120086614A (ko) 자동 택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9623B1 (ko)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KR101574891B1 (ko)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WO2020066425A1 (ja) 宅配ボックス、宅配システム、携帯端末、通信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
JP7153860B2 (ja) 宅配ボックス、及び、情報処理方法
CN106485812A (zh) 锁定装置的控制系统和方法
KR102204891B1 (ko) 고장시 비상 제어 기능이 부가된 무인보관시스템
KR102592013B1 (ko)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JP2020049141A (ja) 宅配ボックス、宅配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7009539A (ja) 扉の解錠制御システム
KR102530561B1 (ko)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JP5917891B2 (ja) ロッカー管理システム
WO2015174829A1 (en) Storage container,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returning a tangible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