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561B1 -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561B1
KR102530561B1 KR1020200178586A KR20200178586A KR102530561B1 KR 102530561 B1 KR102530561 B1 KR 102530561B1 KR 1020200178586 A KR1020200178586 A KR 1020200178586A KR 20200178586 A KR20200178586 A KR 20200178586A KR 102530561 B1 KR102530561 B1 KR 102530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ier
delivery
recipient
authent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991A (ko
Inventor
유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Priority to KR102020017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5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04L9/324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involving keyed hash functions, e.g. message authentication codes [MACs], CBC-MAC or HMA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잘못된 수령인 정보가 등록된 경우에도 무인 택배함에 보관된 택배물품을 찾는 것이 가능한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은 택배물품이 보관되며, 키오스크가 형성된 무인 택배함; 상기 무인 택배함 상에 설치되며,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비콘신호 송신기; 및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며, 무인 택배함에 보관된 택배물품 중 단말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인 일반번호, 입력받은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 추출 알고리즘에 의해 일반번호 또는 안심번호로부터 추출된 유사번호에 대응되는 택배물품에 대한 리스트인 배달 리스트를 표시하는 수령인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Delivery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잘못된 수령인 정보가 등록된 경우에도 무인 택배함에 보관된 택배물품을 찾는 것이 가능한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는 구매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물품을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지정된 장소까지 배송해 주는 운송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가족 규모가 소형화되고 1인 가구도 증가함에 따라 노약자, 여성 또는 아이와 같은 사회적인 약자가 혼자 택배를 수령하는 경우가 있고 택배를 가장한 범죄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택배 서비스는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배달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배달장소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택배물품의 배달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일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택배물품을 현관 앞에 두거나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에 대리 보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택배물품을 옆집,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에 대리 보관할 경우 차후에 해당 장소를 방문하여 찾아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구매 물품의 내용 공개 및 신상 기록이 노출되는 문제점 및 타인이 구매자임을 사칭하여 택배물품을 편취하여 도난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집합건물이나 일부 가정에 무인 택배함을 두고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무인 택배함은 배달된 택배물품을 보관하는 용도 이외에 발송하고자 하는 택배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도 활용된다.
무인 택배함 이외에도 전자 사물함, 무인 세탁함 등과 같이 무인 보관함 시스템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나, 사용방법이 익숙하지 않거나 사용상에 사소한 실수로 인해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택배배달의 경우 택배기사가 택배 수령인의 전화번호 입력시 1자리만 잘못 입력해도 택배 수령인은 택배 배송과 관련된 통보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인증번호 역시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택배물품을 찾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택배기사가 택배 수령인의 연락처 또는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하더라도 택배 수령인은 택배물품을 정상적으로 찾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55903호(발명의 명칭: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배송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1-0074259호(발명의 명칭: 온라인 배송 주문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택배기사가 택배 수령인의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에도 택배 수령인이 택배물품을 정상적으로 수령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택배물품을 수령한 경우, 추후 택배물품을 수령한 수령인에 대한 정보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 신속하게 택배 수령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택배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 이외에 다른 다양한 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은 택배물품이 보관되며, 키오스크가 형성된 무인 택배함; 상기 무인 택배함 상에 설치되며,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비콘신호 송신기; 및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며, 무인 택배함에 보관된 택배물품 중 단말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인 일반번호, 입력받은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 추출 알고리즘에 의해 일반번호 또는 안심번호로부터 추출된 유사번호에 대응되는 택배물품에 대한 리스트인 배달 리스트를 표시하는 수령인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택배함은 택배기사가 택배 수령인의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에도 유사번호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택배 수령인이 택배물품을 정상적으로 수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위치인증절차 또는 인증번호를 이용한 위치 인증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수령인이 실제 무인 택배함 인근에 있는 경우에만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3자가 택배물품을 찾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단말에서 위치 인증절차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추후 택배물품을 수령한 수령인에 대한 정보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 신속하게 택배 수령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는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각 번호별 택배물품을 찾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택배 수령인이 무인 택배함을 등록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은 적어도 두 개의 화면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메인 화면은 하단의 탭을 터치하거나, 좌우로 이동(슬라이드)하여 상호 전환할 수 있다.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실행 초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하단에는 택배물품에 대한 배달리스트가 표시된다.
배달리스트는 선택한 위치, 새로 고침 및 일반번호/안심번호/유사번호 찾기 등이 표시된다. 선택한 위치는 택배물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위치 즉, 택배물품이 보관되는 장소이며, 수령인은 사전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도 1(a)에서는 선택한 위치로 '연세대'가 표시되며, 연세대 내에서도 등록 가능한 위치 즉, 무인 택배함이 설치된 다수의 위치가 표시된다.
택배물품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다. 일 예로 일반번호,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 등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다.
일반번호는 등록된 단말 번호로 배달된 택배물품이 등록되어 표시되며, 제1 색상(일 예로 청색)으로 표시된다. 안심번호는 수령인이 입력한 전화번호로 배달된 택배물품이 등록되어 표시되며, 제2 색상(일 예로 녹색)으로 표시된다. 유사번호는 일반번호 또는 안심번호로부터 추출된 유사번호로 배달된 택배물품이 등록되어 표시되며, 제3 색상(일 예로 적색)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일반번호를 제외한 안심번호 및 유사번호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비콘신호 인증을 포함하는 위치인증 절차를 완료한 경우에 '택배찾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택배찾기' 기능은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일반번호),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로 배달된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는 기능이며, 택배함 열기가 진행된 이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택배함은 반납된다.
만약 무료 사용 기간이 지나 연체료가 있는 경우에는 다양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는 택배 찾기를 진행하기 이전에 비콘신호 인증이 필요하며, 따라서 무인 택배함 근처에서만 택배물품 찾기가 가능하다. 즉, 비콘신호 송신기는 무인 택배함 상에 설치되며, 따라서 비콘 신호는 무인 택배함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만 도달된다.
이외에도 수령인은 수령인 단말로 수신된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키오스크에서도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일반번호)가 등록된 경우에는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로 배달된 모든 택배물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택배물품에 대한 택배 정보인 택배함 위치, 배달 일시, 인증번호 및 사용료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은 배달리스트에서 제1 색상으로 표시된다.
안심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은 수령인이 안심번호를 입력하며, 입력된 안심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심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은 배달리스트에서 제2 색상으로 표시된다. 택배 수령인은 지정된 안심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찾는다.
유사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은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안심번호에 유사번호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사번호를 검출한다. 유사번호 추출 알고리즘은 번호가 한자리만 다른 경우, 두 자리가 앞뒤로 바뀌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유사번호 추출 알고리즘은 모든 유사번호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택배기사가 일반번호(안심번호)를 가장 많이 오입력하는 경우를 추출한다. 즉, 모든 유사번호를 추출하는 경우, 추출 가능한 유사번호의 개수가 방대하며, 실제로 관련이 없는 유사번호까지 추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가장 빈도수가 높은 오입력 경우에 해당하는 유사번호만을 추출하며, 해당하는 케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번호가 한자리만 상이한 경우(안심번호의 050을 010으로 또는 그 반대의 경우 포함), 두 자리가 앞뒤로 바뀌어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수령인은 위치 인증(비콘신호 인증, 코드 인증 또는 전화번호 인증) 절차를 완료한 후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다. 물론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수령인이 해당 위치에서 무인 택배함의 사용 이력에 따라 상이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는 화면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찾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찾는 방안은 키오스크에 인증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다. 인증번호를 이용한 택배물품을 찾는 방안은 일반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을 찾는 경우에 이용된다.
이외에도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찾는 방안은 인증번호를 연속하여 잘못 입력한 경우 페널티를 부여한다. 페널티 속성은 type, userPhone 및 endData를 포함한다. type는 A와 B로 구분되며, A는 인증번호 입력 페널티, B는 안심번호 입력 페널티이다. userPhone는 인증 실패한 단말 번호이며, endDate는 인증실패한 날로부터 +1일 날짜이다.
인증번호를 연속하여 10회 잘못 입력한 경우에는, 24시간 입력 제한을 부여하며, 처음 실패로부터 24시간 뒤 또는 10회 실패로부터 24시간 뒤에 횟수가 초기화된다. 인증번호 입력 오류는 9회 입력 오류까지는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며, 10회 입력 오류부터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각 번호별 택배물품을 찾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각 번호별 택배물품을 찾는 방안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수령인은 일반번호인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일반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은 흰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은 별도의 위치인증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의 경우, 택배 리스트 상에서 인증번호가 표시된다. 따라서 수령인은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찾거나, 키오스크에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다. 즉, 일반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은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 택배함의 문을 열거나, 키오스크에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택배함의 문을 열 수 있다.
안심번호의 경우, 하단에 표시된 '안심번호로 찾기'를 선택하여 확인한 안심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서 입력한 안심번호가 등록되어 있다면, 안심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이 택배 리스트로 표시된다. 도 3b는 안심번호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에 의하면, 안심번호를 입력하면, 메인화면에서 안심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 리스트 및 후술할 유사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된 안심번호 정보는 수령인 단말에 저장되어 메인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입력한 안심번호가 없다면 1회 실패가 추가되며, '택배 찾기'의 인증번호 페널티와 같이 연속하여 10회 실패 시 24시간 등록이 제한된다.
안심번호로 등록된 택배물품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번호가 표시되지 않으며, 위치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위치인증 절차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안심번호가 등록되어 있다면, 등록된 일반번호 또는 안심번호로부터 유사번호를 추출하며, 추출된 유사번호로 등록된 택배리스트가 표시된다. 등록된 유사번호 정보는 수령인 단말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인 화면에서 유사번호로 등록된 택배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유사번호 역시 안심번호와 동일하게 인증번호가 표시되지 않으며, 위치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유사번호 추출 알고리즘은 ① 번호가 1자리만 다른 경우, 일 예로 [4847-8681] → [4847-8682]인 경우, ② 번호가 2자리수가 앞뒤로 변경된 경우, 일 예로 [4847-8681] → [4847-6881]인 경우 및 ③ 050이 010으로 입력된 경우(안심번호, 다른 숫자는 모두 일치)인 경우, 일 예로 [0504-1234…] [0104-1234…]인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택배 찾기는 일반번호/ 안심번호/ 유사번호 리스트를 터치하여 택배 찾기를 진행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안심번호/ 유사번호는 비콘신호 인증을 포함하는 위치 인증절차를 먼저 진행한 이후 택배 찾기를 진행한다. 물론 해당 위치에서 배송된 택배물품이 없는 경우에는 '배송된 택배물품이 없음'을 표시한다.
이외에도 'SNS로 인증번호 문의' 항목을 통해 수령인은 인증번호를 문의할 수 있다. 물론 인증번호 이외에 추출된 유사번호 중 택배물품이 배송된 유사번호로 SNS를 이용하여 문의할 수 있다. 도 3c는 유사번호를 문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유사번호 문의 버튼을 터치하여 SNS(카톡 플러스 친구)로 문의할 수 있다.
도 4는 택배 수령인이 무인 택배함을 등록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택배 수령인이 무인 택배함을 등록하는 방안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위치를 등록하는 방법은 spinner 방식으로 목록을 찾는 방법인 도 4a와 검색 버튼을 이용하여 검색화면에서 위치를 등록하는 방법인 도 4b를 도시하고 있다.
검색 버튼을 이용하는 방안은 검색어를 이용하면,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목록이 표시되며, 택배 수령인은 표시된 목록 중 위치를 등록하고자 하는 목록을 선택/등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절차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과정은 비콘신호 인증절차, 코드 인증절차 또는 전화번호 인증절차 중 어느 하나의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즉, 위치 인증절차는 비콘신호를 이용한 위치 인증, 코드를 이용한 위치 인증, 전화번호를 이용한 위치인증으로 구성된다.
도 5a는 비콘신호를 이용한 위치 인증 결과와 비콘신호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비콘신호를 이용한 위치 인증은 인증절차가 완료되었으므로 택배물품 찾는 절차를 진행한다. 비콘신호 인증절차를 통해 수령인 단말이 무인 택배함 인근에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하며, 수령인 단말이 무인 택배함 인근에 위치하지 않거나, 비콘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비콘신호 인증절차는 완료되지 않는다.
비콘신호에 의해 인증 절차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코드를 이용한 위치인증 절차 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위치인증 절차를 진행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코드를 이용한 위치인증 절차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코드를 이용한 위치인증 절차를 위해 키오스크는 일정 주기간격으로 특정 코드를 생성하며, 생성된 코드는 외부로 표시한다. 수령인은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코드를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한다. 즉, 수령인은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코드를 확인한 후 해당 코드를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므로, 위치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서버는 키오스크에 표시된 코드와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받은 코드가 동일하면, 이용자 어플리케이션 상에 택배함을 열 수 있는 '열기' 아이콘을 표시한다. 수령인은 표시된 '열기'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택배함을 열 수 있다.
전화번호를 이용한 위치 인증절차의 시작은 키오스크에서 시작된다. 키오스크는 앱 인증(어플리케이션 인증)을 포함한 다수의 메뉴가 표시되고, 수령인은 키오스크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인증을 터치한 이후, 위치 인증을 터치한다.
이와 같이 수령인이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해야만 인증절차가 진행되므로, 수령인은 키오스크가 위치한 지점에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위치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인증이 터치되면, 인증하고자 하는 휴대폰 번호(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입력 창이 표시된다. 표시된 입력창에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OK'를 선택한다. 서버는 키오스크에서 입력한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 택배함을 열 수 있는 '열기' 아이콘을 표시한다. 수령인은 수령인 어플레이션이 표시한 '열기'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택배함을 열 수 있다.
코드를 이용한 위치 인증과 전화번호를 이용한 위치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수령인은 표시된 '열기' 아이콘을 터치(선택)하여 택배물품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화번호 입력은 키오스크가 아닌 수령인 단말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위치 인증절차를 수행한 안심번호로 택배찾기와 유사번호로 택배찾기의 경우에는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만 택배함을 열 수 있도록 하며, 키오스크에서 택배함을 열 수 없도록 한다. 즉, 키오스크에서 택배함을 열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추후 택배물품을 찾은 수령인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절차 및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택배함을 연 경우에는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수령인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번호의 경우에는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 또는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택배함을 열 수 있는 반면, 안심번호, 유사번호의 경우에는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만 택배함을 열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택배 수령인이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다양한 방안을 제안한다.
1. 송장번호와 배달일자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방안
택배 수령인이 인증번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일 예로, 택배기사가 택배 수령인의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 또는 통신 장애로 인증번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해당된다.
이와 같은 택배 수령인은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 '송장번호로 택배물품 찾기'를 선택한 후 택배 수령인의 전화번호, 송장번호 뒷 4자리 및 배달일자를 입력한다. 서버는 수령인 단말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며, 택배 수령인은 전송받은 인증번호를 키오스크에 입력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한다. 서버는 수령인 단말에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에는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며,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메시지 형태로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2. 택배기사가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를 오입력하는 경우를 최소화하는 방안
택배기사가 설치된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송장을 촬영하면,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되게 하여 오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장의 구겨짐, 글자 흐림 등 다양한 이유로 촬영한 송장에서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를 정확하게 추출되지 않으면,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은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의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된 송장은 서버로 전송되며, 서버는 촬영된 송장을 저장한다. 물론 설치된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은 학습된 인공지능(AI) 기능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택배기사는 택배기사 단말에 설치된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또는 비콘신호에 의한 자동 구동)하면, 택배함의 사용 현황이 표시된다. 택배기사는 택배물품을 보관할 택배함을 선택하며, 송장을 촬영한다.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은 촬영한 송장에서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표시한다. 택배기사는 표시된 전화번호를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전화번호를 수정한다. 이후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택배함 열기'를 선택하며, 해당 택배함에 택배물품을 보관한 후 '배송완료'를 선택한다. '배송완료'가 선택되면,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은 수령인 단말로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물론 서버에서 수령인 단말로 인증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3.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에서 송장을 스캔하는 방안
송장을 스캔하기 이전에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은 각 택배사의 송장의 폼을 프로그램에 학습시켜, 각 송장별 택배사/송장번호/배달일자/보내는 사람/보내는 사람의 단말 전화번호수령인/수령인 단말 인식 먼저 각 택배사의 송장의 폼을 프로그램에 인식시켜 두어 어느 위치가 택배사/송장번호/배달일자/발송인/발송인 단말의 전화번호/수령인/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은 촬영한 송장을 저장하며,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를 확대하여 표시하여 택배기사가 실제 송장의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송장의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와 촬영된 송장의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이한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수정한 후, '확인' 아이콘을 선택하면,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은 촬영된 송장으로부터 추출한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물론 추출한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촬영한 송장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은 배송지가 아파트인 경우에는 동/호수를 상대적으로 중요한 배송정보이므로 해당 부분을 크게 표시하여 택배기사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찢어진 송장, 접혀서 전화번호의 확인이 곤란한 경우에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송장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공지능 자가 학습 기능을 적용한다.
4. 고객센터에 걸려오는 전화를 줄이는 방안
일반적으로 인증번호를 수신하지 못한 택배 수령인은 콜센터에 전화하여 인증번호를 요청하며, 이는 콜센터 업무 부담을 증가시키게 된다. 택배 수령인이 콜센터로 전화하면, 전화한 택배 수령인의 전화번호와 택배리스트의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전화번호 1자리가 틀렸거나, 번호 앞뒤가 바뀐 경우 등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지원하는 경우에는 서버는 관리자 페이지를 자동으로 표시한다.
택배 수령인이 인증번호를 수신하지 못했지만,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장번호 및 배달일자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동일한 택배 수령인이 반복해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는경우에는 관제시스템에서 자동으로 ARS로 전환되며, 일정시간(예: 5분) 또는 일정횟수(예: 5회) 이상 초과한 경우 콜센터의 상담원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는 다른 이유로 택배 수령인이 콜센터로 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택배 수령인은 블랙리스트에 등록하며,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택배 수령인이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경우에는 블랙리스트 등록을 해제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9)

  1. 택배물품이 보관되며, 키오스크가 형성된 무인 택배함;
    상기 무인 택배함 상에 설치되며, 외부로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비콘신호 송신기; 및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며, 무인 택배함에 보관된 택배물품 중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인 일반번호, 수령인이 지정한 등록된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 추출 알고리즘에 의해 일반번호 또는 안심번호로부터 추출된 유사번호에 대응되는 택배물품에 대한 리스트인 배달 리스트를 표시하는 수령인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수령인 단말은,
    상기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에 대응되는 택배물품에 대한 리스트인 배달 리스트에 포함된 택배물품을 무인 택배함으로부터 찾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령인 단말이 상기 무인택배함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증하는 위치 인증하며,
    상기 위치 인증은 비콘신호 인증, 코드 인증 또는 전화번호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전화번호 인증에 의한 절차는 상기 키오스크는 입력받은 위치 인증을 수행할 상기 수령인 단말의 전화번호를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 택배함을 열 수 있는 '택배함 열기'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요청하며,
    택배 리스트 중 일반번호에 대응되는 택배물품을 찾고자 하는 경우에는 키오스크에 표시된 인증번호 입력화면에 인증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상기 택배함을 열며,
    택배 리스트 중 안심번호 또는 유사번호에 대응되는 택배물품을 찾고자 하는 경우에는 키오스크에 인증번호 입력화면이 표시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리스트 중 일반번호에 대응되는 택배물품에 대한 리스트에는 인증번호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비콘신호 인증에 의한 비콘신호 인증절차는,
    상기 비콘신호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비콘신호를 수령인 단말에서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인증절차임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코드 인증에 의한 코드 인증절차는,
    상기 키오스크는 일정 주기 간격으로 생성된 코드를 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에 표시된 코드를 상기 수령인 단말에 설치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받는 절차에 의해 위치 인증절차를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번호 추출 알고리즘은,
    상기 일반번호 또는 안심번호와 1자리가 상이한 번호; 또는
    상기 일반번호 또는 안심번호 중 2자리가 바뀌어 있는 번호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임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이용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기 수령인 단말은,
    택배함을 열 수 있는 인증번호가 서버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구동된 택배물품 어플리케이션에 수령인 전화번호, 배달일자 및 송장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인증번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택배기사 단말은,
    촬영한 송장으로부터 수령인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며, 촬영한 송장 및 수령인의 전화번호를 서버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KR1020200178586A 2020-12-18 2020-12-18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KR102530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86A KR102530561B1 (ko) 2020-12-18 2020-12-18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86A KR102530561B1 (ko) 2020-12-18 2020-12-18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991A KR20220087991A (ko) 2022-06-27
KR102530561B1 true KR102530561B1 (ko) 2023-05-09

Family

ID=8224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586A KR102530561B1 (ko) 2020-12-18 2020-12-18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5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994B1 (ko) * 2014-02-14 2015-08-03 박태일 수기식 송장의 정보입력시스템 및 그 입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679B1 (ko) 2001-05-03 2004-05-10 코리아 컨텐츠 뱅크(주) 온라인 배송 주문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기록한 기록매체
KR101395833B1 (ko) * 2007-08-20 2014-05-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착신 번호 오류 수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6614A (ko) * 2011-01-26 2012-08-03 주식회사 디오큐브 자동 택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9451B1 (ko) 2013-11-14 2015-09-03 주식회사 파슬미디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배송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KR101902548B1 (ko) * 2017-01-20 2018-11-22 이규동 비콘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994B1 (ko) * 2014-02-14 2015-08-03 박태일 수기식 송장의 정보입력시스템 및 그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991A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4946B (zh) 一种储物柜操作方法、信息发送方法、装置及系统
US9452884B2 (en) Secure repair kiosk system and method
KR20150020926A (ko)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600986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electronic storage areas
US109975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tentially unauthorized access to an enclosure
KR101307239B1 (ko) 무인 택배보관함을 갖는 통합 택배정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와 무인 택배보관함의 연계 등록방법
US201600986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electronic storage areas
US201802858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tentially unauthorized access to an enclosure
KR101633062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9919A (ko)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CN108091022A (zh) 一种使用时获取快递柜开柜密码的方法、装置
JP5290175B2 (ja) ワイヤレス携帯端末を用いた個人認証システム
EP2820832B1 (en) Initiating a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security key device
CN103218860A (zh) 认证系统
KR102530561B1 (ko)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WO2019043809A1 (ja) 決済システム、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56960A (ja) 掲示板管理システム、掲示板サーバ、および、集合住宅管理装置
CN103809897B (zh) 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287452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키오스크의 송장정보 입력 방법
KR102164303B1 (ko) 챗봇을 이용한 무인 보관함 시스템의 고객센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18917B1 (ko) 무인 택배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KR20200067585A (ko)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CN115482631A (zh) 信息交互方法及装置
KR102204891B1 (ko) 고장시 비상 제어 기능이 부가된 무인보관시스템
JP2020189028A (ja) 物品収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