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183A - 물 저장소를 위한 개선된 충전 시스템을 갖는 커피 머신 - Google Patents

물 저장소를 위한 개선된 충전 시스템을 갖는 커피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183A
KR20200067183A KR1020207013492A KR20207013492A KR20200067183A KR 20200067183 A KR20200067183 A KR 20200067183A KR 1020207013492 A KR1020207013492 A KR 1020207013492A KR 20207013492 A KR20207013492 A KR 20207013492A KR 20200067183 A KR20200067183 A KR 20200067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ifold
reservoir
coffee machine
machine body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778B1 (ko
Inventor
지우세페 드롱기
파올로 에반제리스티
에마누엘레 마르카토
엔리코 자라틴
Original Assignee
드롱기 어플라이언스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롱기 어플라이언스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드롱기 어플라이언스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0006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Abstract

커피 머신(1)은 머신 몸체, 물을 위한 저장소(9), 저장소(9)를 수용하기 위한 격실(10), 및 상기 저장소(9)를 중력 낙하에 의해 위로부터 충전하기 위한 충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수단은 상부 로딩 입구(13a) 및 하부 언로딩 입구(13b)를 갖는 저장소(9)를 지지하기 위한 매니폴드(13)를 포함하고, 매니폴드(13)는 매니폴드(13)에 대한 접근을 위한 관통 개구(12)를 갖는 머신 몸체의 외부 벽(4)에 의해 경계설정되는 하우징 격실(14) 내에 수용되고, 매니폴드(13)는 그가 충전을 위해 접근 가능한 작동 위치와 그가 접근 불가능한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Description

물 저장소를 위한 개선된 충전 시스템을 갖는 커피 머신
본 발명은 개선된 물 저장소를 위한 충전 시스템을 갖는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 커피 머신은 브루잉 유닛(brewing unit)에 공급하도록 예정된 물을 위한 저장소를 갖는다.
저장소는 커피 머신의 몸체 내에 제공된 격실 내에 인출가능하게 위치된다.
인출은 종종 전방을 향하고, 커피 머신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드립 트레이(drip tray)의 컵 받침대 그릴(cup-rest grille) 상에서 물 저장소를 활주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일단 비워지면, 저장소는 커피 머신으로부터 인출되고, 예를 들어 도시 용수 공급 수도꼭지에서 또는 물병으로부터 충전되도록 다른 곳으로 이동된다.
공지된 충전 시스템의 단점은 커피 머신으로부터 저장소를 인출할 필요성과 관련된다.
실제로, 물 저장소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커피 머신의 일부 형태에서, 물 저장소의 인출 궤적을 방해하고 그에 따라서 적절히 제거되어야 하는 컵이 드립 트레이 그릴 상에 존재한다.
많은 응용에서, 그러한 결점은 커피 머신의 상단에 오리피스를 포함시키고 오리피스로부터 물이 오리피스 아래에 놓인 격실 내에 위치되는 저장소 내로 부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결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채택된 이러한 해결책은 다른 단점들을 갖는다.
특히, 내부 측으로부터 누설될 수 있는 물은 모여서 이탈되어, 그가 그의 경로 상에서 만나는 모든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를 손상의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머신 내의 저장소에 의한 이러한 유형의 충전은, 상단에 위치되어 상당히 높은 레벨에 있는 오리피스 위로 물이 재충전된 저그(jug)를 상승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상승 위치에 유지되어야 하는 저그는 또한 상당히 무겁고, 이는 동작을 복잡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 기술의 전술된 기술적 단점을 제거하는 물 저장소의 충전 시스템을 커피 머신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의 맥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리하고 실용적이고 안전한 물 저장소의 충전 시스템을 갖는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과제뿐만 아니라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머신 몸체, 물을 위한 저장소, 상기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머신 몸체 내의 격실, 및 상기 저장소를 중력 낙하에 의해 위로부터 충전하기 위한 충전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머신을 제공함으로써 획득되는데, 상기 충전 수단은 상부 로딩 입구(loading mouth) 및 하부 언로딩 입구(unloading mouth)를 갖는 상기 저장소를 지지하기 위한 매니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매니폴드에 대한 접근을 위한 관통 개구를 갖는 상기 머신 몸체의 외부 벽에 의해 경계설정되는 하우징 격실 내에서 상기 머신 몸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로딩 입구가 충전을 위해 접근 가능한 작동 위치와 그가 접근 불가능한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소의 충전 시스템은, 위로부터의 충전이 커피 머신의 상단으로부터가 아닌 더 낮은 위치로부터 일어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충전 동안 커피 머신 내측에서의 중력 낙하하는 물의 우발적인 유출은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된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에 도달할 수 없다.
추가로, 더 낮은 위치로부터의 충전은 더 용이한데, 이는 충전이 저그 또는 사용되는 다른 유형의 용기의 더 작은 상승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상기 머신 몸체의 상기 외부 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머신 몸체의 수직 벽이다.
상기 머신 몸체의 상기 수직 외부 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머신 몸체의 측벽이다.
다른 응용에서, 상기 관통 개구는 머신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 벽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격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격실 위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격실과 아래로 연통한다.
상기 매니폴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를 통해 활주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매니폴드는 바람직하게는 수평 서랍(drawer)의 형태이다.
다른 응용에서, 상기 매니폴드는 하향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다른 응용에서, 상기 매니폴드는 활주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작동 위치와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경사지거나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저장소는 바람직하게는 오버플로우(overflow) 및 상기 오버플로우를 배수부(drain)에 연결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부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피 머신의 드립 트레이의 컵 받침대 그릴 내에 제공된다.
커피 머신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소 내의 물의 자유 표면 상의 플로팅 요소(floating element) 및 상기 저장소의 상단에 근위인 위치에서 상기 머신 몸체에 고정된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저장소의 최대 충전 레벨에 대한 레벨 센서를 갖는다.
상기 충전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소와 상기 이동가능 매니폴드 사이에 개재된 고정 매니폴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매니폴드는 로딩 입구를 갖고, 상기 로딩 입구는 상기 이동가능 매니폴드의 상기 언로딩 입구가 상기 이동가능 매니폴드의 상기 작동 위치 및 상기 비작동 위치 둘 모두에서 상기 고정 매니폴드의 상기 로딩 입구의 수직 모체(generatrix)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응용에서, 상기 이동가능 매니폴드는 상기 저장소에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저장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피 머신의 전방 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인출가능하다.
다른 응용에서, 저장소는 커피 머신의 측벽 또는 후방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소의 충전 시스템은, 위로부터의 충전이 커피 머신의 상단으로부터가 아닌 더 낮은 위치로부터 일어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충전 동안 커피 머신 내측에서의 중력 낙하하는 물의 우발적인 유출은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된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에 도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예시된 본 발견에 따른 커피 머신의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 자세히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저장소가 커피 머신의 격실 내에 수용되고 이동가능 매니폴드가 비작동 위치에 있는 커피 머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저장소가 커피 머신의 격실로부터 인출되고 이동가능 매니폴드가 비작동 위치에 있는 커피 머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저장소가 커피 머신의 격실 내에 수용되고 이동가능 매니폴드가 작동 위치에 있는 커피 머신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저장소가 커피 머신의 격실 내에 수용되고 이동가능 매니폴드가 비작동 위치에 있는 커피 머신의 수직 단면에서의 상세사항이다.
도 5는 저장소가 커피 머신의 격실 내에 수용되고 이동가능 매니폴드가 작동 위치에 있는 커피 머신의 수직 단면에서의 상세사항이다.
도 6은 레벨 센서를 강조하기 위해 수직 단면에서 상세히 되어 있는 커피 머신의 상승된 측면도이다.
도 7은 오버플로우 및 오버플로우를 배수부에 연결하는 채널을 강조하기 위해 상승된 측면도에서의 그리고 수직 단면에서의 커피 머신의 상세사항이다.
인용된 도면을 참조하면, 커피 머신은 그 전체가 도면 부호 1로 도시되고 표시되어 있다.
커피 머신(1)은, 알려진 면에서 보면, 셸, 및 기계, 유압 및 전자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머신 몸체를 포함한다.
머신 몸체는 전방 벽(2)과 후방 벽(3), 2개의 측벽(4, 5), 상단(6), 및 컵을 위한 지지 그릴이 상부에 장착된 드립 트레이(8)가 전방에 위치된 베이스(7)를 포함한다.
유압 회로는, 캐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머신 몸체 내에 제공된 하우징 격실(10) 내에 수용된 물 저장소(9),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도시되지 않음), 보일러(도시되지 않음), 브루잉 유닛(도시되지 않음), 및 외부 커피 분배기(11)를 포함한다.
외부 커피 분배기(11)는 머신 몸체의 전방 벽(2)에 고정되지만,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이는 머신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개방가능한 전방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소(9)를 중력 낙하에 의해 위로부터 충전하기 위한 충전 수단이 유리하게는 커피 머신(1) 내에 존재한다.
충전 수단은 상부 로딩 입구(13a) 및 하부 언로딩 입구(13b)를 갖는, 저장소(9)에 공급하기 위한 매니폴드(13)를 포함한다.
매니폴드(13)는 매니폴드(13)에 대한 접근을 위한 관통 개구(12)를 갖는 머신 몸체의 외부 벽(4)에 의해 경계설정되는 하우징 격실(14) 내에서 머신 몸체 내에 수용된다.
매니폴드(13)는 로딩 입구(13a)가 충전을 위해 접근 가능한 작동 위치와 그가 접근 불가능한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매니폴드(13)에 대한 접근을 위한 관통 개구(12)를 갖는 머신 몸체의 외부 벽(4)은 머신 몸체의 수직 벽, 특히 머신 몸체의 측벽(4)이다.
이러한 경우에, 저장소(9)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격실(10)은 머신 몸체의 동일한 측벽(4) 내에 형성된다.
저장소(9)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격실(10)은 머신 몸체의 전방 벽(2)까지 더 정밀하게 연장되고, 하우징 격실에는 저장소(9)가 결합되어 그가 커피 머신(1)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하는 수평 활주 가이드(19)가 장착된다.
매니폴드(13)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격실(14)은 저장소(9)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격실(10) 위에 위치되고 저장소(9)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격실(10)과 아래로 연통한다.
매니폴드(13)는, 특히 수평 활주 방향으로, 관통 개구(12)를 통해 활주가능하다.
하우징 격실(14)은 관통 개구(12)를 통해 이동하는 매니폴드(13)를 안내하는 매니폴드(13)의 지지 가이드(15)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매니폴드(13)는 전방 그립(13c)을 갖는 수평 서랍의 형태이다.
서랍 매니폴드(13)에서, 로딩 입구(13a)는 서랍의 개방 상단에 의해 한정되고, 언로딩 입구(13b)는 서랍의 하단 상에서 후방에 위치된 개구이다.
작동 위치에서, 매니폴드(13)는, 언로딩 입구(13b)가 매니폴드(13)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격실(14) 내측에 위치되고 로딩 입구(13a)가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접근 가능하도록 머신 몸체의 측벽(4)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상태로, 관통 개구(12)를 통해 배열된다.
충전 수단은 저장소(9)와 매니폴드(13) 사이에 개재된 고정 매니폴드(16)를 추가로 포함한다.
고정 매니폴드(16)는 로딩 입구(16a)를 갖는데, 로딩 입구(16a)는 이동가능 매니폴드(13)의 언로딩 입구(13b)가 이동가능 매니폴드(13)의 작동 위치 및 비작동 위치 둘 모두에서 고정 매니폴드(16)의 로딩 입구(16a)의 수직 모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매니폴드(13)의 비작동 위치에서도, 매니폴드(13)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물의 잔류물은 어떠한 경우에도 저장소(9) 내로 유동한다.
마지막으로, 고정 매니폴드(16)는 저장소(9)의 제거가능 커버(17) 내에 제공된 충전 구멍(18)을 향해 배향된 언로딩 입구(16b)를 갖는다.
저장소(9)는 오버플로우(20) 및 오버플로우(20)를 배수부(22)에 연결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채널은 저장소(9) 내에서 전방에 위치된다.
배수부(22)는 외부 커피 분배기(11)로부터 떨어지는 커피의 잔류 액적을 수집하기 위한 드립 트레이(8a)의 컵 받침대 그릴(8) 내에 제공된다.
오버플로우(20)는 특히, 물의 수집 챔버(9b)를 경계설정하는 저장소(9)의 내부 수직 벽(9a)의 상부 에지의 낮아진 부분(20b)에 의해 형성된다.
채널은 특히, 저장소(9)의 내부 수직 벽(9a)과, 저장소(9)의 전방 벽(9d)과, 저장소(9)의 측벽(9e, 9f)과, 저장소(9)의 하부 면(9g) 사이에 둘러싸인 저장소(9)의 챔버(9c)를 포함한다.
챔버(9c)는 저장소(9)의 하부 면(9g)에 출구 구멍(9h)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으로, 채널은 저장소(9)의 전방 벽(9d)의 외부 측 상에 수직 홈을 더 단순하게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배수부(22)는 채널의 출구 구멍(9h) 아래에 수직으로 정렬되는 컵 받침대 그릴(8)의 구멍(22a)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커피 머신(1)은 저장소(9)의 최대 충전 레벨에 대한 센서(23, 24)를 갖는다.
레벨 센서(23, 24)는 저장소(9) 내의 물의 자유 표면 상의 플로팅 요소(23) 및 저장소(9)의 상단에 근위인 위치에서 머신 몸체에 고정된 요소(2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벨 센서(23, 24)는, 플로팅 요소(23) 내에 통합되고 저장소(9)의 하우징의 격실(10)을 향하는 자기 요소(24)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자석(23a)을 포함하는 홀 효과(Hall-effect) 자기 센서이다.
플로팅 요소(23)는 자기 요소(24)가 향하는 저장소(9)의 적절한 수직 채널(25) 내에서 안내된다.
최대 레벨 센서(23, 24)는 사용자를 위한 신호 이미터(emitter)를 조종(pilot)한다.
신호는 임의의 유형, 예를 들어 음향 또는 발광일 수 있거나, 또는 커피 머신(1)의 대시보드(26) 상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표시의 형태일 수 있다.
저장소(9)의 충전의 최소 레벨 센서(23, 26)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 최소 레벨 센서(23, 26)는 또 다시, 자석(23a)이 제공된 동일한 플로팅 요소(23) 및 저장소(9)의 베이스에 대한 근위 위치에서 머신 몸체에 고정되고 저장소(9)의 수직 채널(25)을 향하는 자기 요소(26)를 포함하는 홀 효과 자기 센서이다.
최소 레벨 센서(23, 26)는,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를 위한 신호 이미터를 또한 조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작동은 설명 및 예시로부터 명백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실질적으로 하기와 같다.
이미 충전된 저장소(9)는 그의 격실(10) 내에 수용되고, 서랍 매니폴드(13)는 그의 격실(14) 내에 비작동 위치로 후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딩 입구(13a)가 사용자에 대해 접근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장소(9)에는 로딩될 수 없다.
실제로, 로딩 입구(13a)는 매니폴드(13)의 하우징 격실(14)의 내측을 향하는 머신 몸체의 측벽(4)의 개구(12)의 측부 상에 전체적으로 위치된다.
소정 개수의 분배 사이클 후, 저장소(9) 내의 물 레벨은 정확한 방식으로 후속 분배 사이클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최소 레벨에 도달한다.
최소 레벨 센서(23, 26)는 사용자에게 이벤트를 신호로 알리는 커피 머신(1)의 제어기를 조종한다.
사용자는, 로딩 입구(13a)가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고 매니폴드(13)의 하우징 격실(14)의 외측을 향하는 머신 몸체의 측벽(4)의 개구(12)의 측부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때까지, 서랍 매니폴드(13)를 개구(12)로부터 부분적으로 인출함으로써 서랍 매니폴드(13)를 작동 위치로 가져온다.
이러한 점에서, 저그(30)가 로딩 입구(13a)의 접근 가능한 부분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물을 위로부터 매니폴드(13) 내로 붓는다.
매니폴드(13)의 언로딩 입구(13b)로부터 아래에 놓인 고정 매니폴드(16) 내로 물이 부어지고, 이로부터 아래에 놓인 저장소(9)의 커버(17)의 구멍(18)을 향해 물이 운반된다.
저장소(9) 내의 물 레벨이 최대 레벨에 도달할 때, 최대 레벨 센서(23, 24)는 사용자에게 이벤트를 신호로 알리는 커피 머신(1)의 제어기를 조종하여, 사용자는 이어서 충전 작업을 멈춘다.
어떠한 과량의 물도 오버플로우(20)로부터 저장소(9)의 전방 챔버(9c)를 향해 배수된다.
챔버(9c)의 출구 구멍(9h)은 배수된 물을 컵 받침대 그릴(8)의 구멍(22a) 내로 언로딩하고 물은 트레이(8a) 내에 수집된다.
플로트(31)가 트레이(8a) 내에 존재하고, 플로트가 컵 받침대 그릴(8)의 캘리브레이션된 구멍(32)의 외부로 돌출될 때, 그것은 트레이(8a)가 비워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트레이는 충전 레벨의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제어, 예를 들어 레벨 센서(저항성)를 포함한다.
저장소(9)의 충전의 완료 시, 서랍 매니폴드(13)는 비작동 위치로 복귀된다.
서랍 매니폴드(13)는,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그립을 필요로 하지 않는 푸시-풀(push-pull) 유형의 개방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저장소(9)는 충전 레벨의 시각적 검사를 위해 투명 창을 가질 수 있다.
저장소(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노출되고 측벽 상에 있을 수 있거나, 저장소의 측벽이 머신 몸체의 벽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매니폴드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격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신 몸체의 셸로부터 획득될 수 있지만, 또한 머신 몸체의 프레임 내에서 획득될 수 있거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 부분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상되는 바와 같은 커피 머신은 모두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 속하는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더욱이 모든 상세 사항은 기술적으로 동등한 요소에 의해 대체가능하다.
실제로, 사용되는 재료, 및 치수는 필요성 및 첨단 기술에 따라 임의의 유형의 것일 수 있다.

Claims (10)

  1. 커피 머신(1)으로서, 머신 몸체, 물을 위한 저장소(9), 상기 저장소(9)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머신 몸체 내의 격실(10), 및 상기 저장소(9)를 중력 낙하에 의해 위로부터 충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수단은 상부 로딩 입구(loading mouth)(13a) 및 하부 언로딩 입구(unloading mouth)(13b)를 갖는 상기 저장소(9)를 지지하기 위한 매니폴드(13)를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13)는 상기 매니폴드(13)에 대한 접근을 위한 관통 개구(12)를 갖는 상기 머신 몸체의 외부 벽(4)에 의해 경계설정되는 하우징 격실(14) 내에서 상기 머신 몸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매니폴드(13)는 상기 로딩 입구(13a)가 충전을 위해 접근 가능한 작동 위치와 그가 접근 불가능한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 몸체의 상기 외부 벽(4)은 수직 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 몸체의 상기 외부 벽(4)은 상기 머신 몸체의 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13)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격실(14)은 상기 저장소(9)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격실(10) 위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소(9)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 격실(10)과 아래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13)는 상기 개구(12)를 통해 활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13)는 수평 서랍(drawer)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9)는 오버플로우(overflow)(20) 및 상기 오버플로우(20)를 배수부(drain)(22)에 연결하는 채널(9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22)는 상기 커피 머신(1)의 드립 트레이(drip tray)(8a)의 컵 받침대 그릴(cup-rest grille)(8)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9) 내의 물의 자유 표면 상의 플로팅 요소(floating element)(23) 및 상기 저장소(9)의 상단에 근위인 위치에서 상기 머신 몸체에 고정된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저장소(9)의 최대 충전 레벨에 대한 센서(23, 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수단은 상기 저장소(9)와 상기 이동가능 매니폴드(13) 사이에 개재된 고정 매니폴드(16)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매니폴드(16)는 로딩 입구(16a)를 갖고, 상기 로딩 입구(16a)는 상기 이동가능 매니폴드(13)의 상기 언로딩 입구(13b)가 상기 이동가능 매니폴드(13)의 상기 작동 위치 및 상기 비작동 위치 둘 모두에서 상기 고정 매니폴드(16)의 상기 로딩 입구(16a)의 수직 모체(generatrix)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1).
KR1020207013492A 2017-10-13 2018-10-11 물 저장소를 위한 개선된 충전 시스템을 갖는 커피 머신 KR102496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115379A IT201700115379A1 (it) 2017-10-13 2017-10-13 Macchina da caffè con sistema di riempimento del serbatoio dell’acqua perfezionato
IT102017000115379 2017-10-13
PCT/EP2018/077696 WO2019076721A1 (en) 2017-10-13 2018-10-11 COFFEE MACHINE WITH ENHANCED FILLING SYSTEM FOR THE WATER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183A true KR20200067183A (ko) 2020-06-11
KR102496778B1 KR102496778B1 (ko) 2023-02-07

Family

ID=6118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492A KR102496778B1 (ko) 2017-10-13 2018-10-11 물 저장소를 위한 개선된 충전 시스템을 갖는 커피 머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78521A1 (ko)
KR (1) KR102496778B1 (ko)
CN (1) CN111225588B (ko)
IT (1) IT201700115379A1 (ko)
WO (1) WO2019076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5666A1 (de) 2022-10-05 2024-04-11 Jessica Clüver Einfüllhilfe zum Unterstützen des Einfüllens eines Getränkerohsubstrats und/oder Wassers sowie Getränkemas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2869A1 (en) * 2006-01-23 2007-07-26 De' Longhi Spa Machine for filtered coffe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4837B4 (de) * 2004-01-30 2013-11-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ffeemaschine
TR200607141T1 (tr) * 2004-06-25 2007-02-21 Ar�El�K Anon�M ��Rket� Bir kahve makinası
NL1031177C2 (nl) * 2006-02-17 2007-08-20 Meccano Asia Ltd Verpakking en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een drank.
CN201104787Y (zh) * 2007-11-07 2008-08-27 周仲森 具有加水装置的咖啡机
US10383474B2 (en) * 2011-05-10 2019-08-20 Breville Pty Limited Coffee machine with overflow feature
EP3090665A3 (en) * 2013-01-30 2017-03-08 Whirlpool EMEA S.p.A Household coffee-making machine
ITMI20130345A1 (it) * 2013-03-07 2014-09-08 Illycaffe Sp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2869A1 (en) * 2006-01-23 2007-07-26 De' Longhi Spa Machine for filtered coff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6721A1 (en) 2019-04-25
IT201700115379A1 (it) 2019-04-13
KR102496778B1 (ko) 2023-02-07
CN111225588B (zh) 2022-04-29
EP3678521A1 (en) 2020-07-15
CN111225588A (zh)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367B2 (en) Drink preparing machine including a built-in container for cleaning using steam nozzle
US8784570B2 (en) Method for cleaning the steam nozzle of 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KR101433602B1 (ko) 회전식 추출챔버를 구비한 음료생성장치
US8485090B2 (en) Drink preparing machine including a steam nozzle cleaning system
EP1764437B1 (en) Detergent dispenser for a clothes washing machine
US20090301310A1 (en) Coffee machine proviced with a steam nozzle
JP2018531103A6 (ja) 飲料生成マシン
JP2018531103A (ja) 飲料生成マシン
PT2241230E (pt) Receptáculo para cápsulas ou pastilhas utilizadas para máquinas de alimentos líquidos ou bebidas
JP2010179107A (ja) 飲料注出のための装置
KR102496778B1 (ko) 물 저장소를 위한 개선된 충전 시스템을 갖는 커피 머신
KR20090129413A (ko) 컵을 유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 등
EP3253264B1 (en) Coffee machine and relative control method
MX2007004668A (es) Sistema de enjuague de distribuidor para un lavavajillas de tipo gaveta.
CN110636786A (zh) 饮料供给装置
EP2910518A1 (en) Water server
US3289896A (en) Door structure for washing appliance
US11751714B2 (en) Electrical device for making beverages using power tool battery
US20200129001A1 (en) Automatic Drip Beverage Maker With Display on Brew Basket Assembly
CN114554914A (zh) 具有过滤器支架检测系统的咖啡研磨机
US3968740A (en) Coffeemaker
EP3358999B1 (en) A coffee machine comprising a residue container
EP2873356B1 (en) 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US20200205600A1 (en) Exhausted powder material collection container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JP2011020011A (ja) 洗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