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025A - 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link parameter setting method - Google Patents

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link parameter set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025A
KR20200066025A KR1020180153053A KR20180153053A KR20200066025A KR 20200066025 A KR20200066025 A KR 20200066025A KR 1020180153053 A KR1020180153053 A KR 1020180153053A KR 20180153053 A KR20180153053 A KR 20180153053A KR 20200066025 A KR20200066025 A KR 2020006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atmospheric
disposed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상천
지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평기술
(주) 유에이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평기술, (주) 유에이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평기술
Priority to KR102018015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6025A/en
Publication of KR2020006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0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Abstract

An energ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enable a manager for grasping energy consumption flow with a three-dimensional image comprises: a plurality of devices respectively disposed in an allocated area and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distribution panel; a situation sensing unit disposed in each of the allocated areas to sense components of the atmosphere; a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 inserted into the distribution panel in a form of a modul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integrated monitoring unit in which a monitoring application for receiving the power data from the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s in real time, displaying power statistics in three-dimensional images, display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s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power, and displaying the components of the atmosphere sensed in the situation sensing unit is installed.

Description

수집, 분석, 처리, 연동 파리미터 설정방식의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link parameter setting method}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linkage parameter setting method {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link parameter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에너지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집, 분석, 처리, 연동 파리미터 설정방식의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monitor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erg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a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and interlocking parameter setting method.

효율적인 건물(특히, 생산 설비) 에너지 관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생산 효율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스케줄에 따라 생산 설비의 에너지(전기, 가스, 기타 등등)를 공급 및 차단하고, 스케줄 제어를 벗어난 상황에서 비 가동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자동으로 에너지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The ultimate goal of efficient building (especially production facilities) energy management is to supply and cut off energy (electricity, gas, etc.) of production facilities according to a schedule without compromising production efficiency, and prevent rain from being out of schedule control. If the uptime lasts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time, it automatically cuts off the energy supply.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기술적인 조치가 이루어졌다고 해도 실질적인 건물의 에너지 사용형태, 시스템 효율, 정상적인 작동 및 운전 스케줄 등에 대한 치밀하면서도 지속적인 에너지 관리 없이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Even if technical measures have been taken to conserve energy in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expect its effects without careful and continuous energy management for practical building energy use, system efficiency, and normal operation and operation schedule.

그러므로 선진국에서는 별도의 건물 에너지 관리자를 배치하여 건물의 에너지 소비 수준, 운전상태 등을 철저히 관리함으로써 항상 최상의 에너지 효율로 건물을 운전하고 있다.Therefore, in developed countries, a separate building energy manager is placed to thoroughly manage the energy consumption level and operating status of the building, so that the building is always operated with the best energy efficiency.

따라서 효율적인 건물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건물 내의 에너지 사용장치를 정확히 모니터링 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 사용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manage efficient building energy,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onitor the energy use devices in the building and schedule energy use based on this.

종래의 시스템은 많은 센서를 배치하여 에너지 통합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너무 많은 장치가 관리될 경우,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syste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age the energy integration by arranging many sensors, but when too many devices are managed, it is difficult for a manager to visually grasp.

KRKR 10-2013-002187910-2013-0021879 A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에너지 소비흐름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provides an energy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visually displaying and managing energy consumption flow in three dimensions.

또한, 감지된 대기성분을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n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can display and manage the detected atmospheric components.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할당된 영역에 각각 배치되며 분전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복수의 장치와, 할당된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대기의 성분을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와, 상기 분전반 내부에 모듈형태로 삽입 가능하고 무선통신으로 전력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와, 상기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전력량 통계치를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하되 전력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상기 3차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상황 감지부에서 감지된 대기성분을 표시하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통합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plurality of devices that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allocated area and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atmosphere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allocated area are detected. The unit, a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istribution panel in the form of a module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power amount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the power amount data in real time from the plurality of modular power amount measurement units to generate power statistics. An energ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that includes an integrated monitoring unit that displays a three-dimensional image but displays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and displays an air component detected by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정전 발생시 상기 분전반으로 비상전력을 자동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외부공급전력에서 전력이 공급될 때보다 최대허용전류를 낮게 자동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at automatically supplies emergency power to the distribution panel when a power outage occurs, and the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s supply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t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setting the maximum allowable current lower than when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황 감지부는, 회전영역에 배치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촬영방향이 조절되는 영상 촬영부와, 길이가 조절되는 대기 흡입용 파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시키며, 상기 회전영역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대기의 성분을 감지하는 대기성분 감지부와, 상기 회전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고정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에서 소리를 수집하는 소리 인식부와, 상기 회전영역에 배치되어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와, 시각 및 청각방법을 이용하여 경보를 송출하는 경보 모듈부와, 상기 대기성분 감지부의 감지결과 및 상기 소리 인식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is disposed in the rotating area, the image capturing unit in which the shooting direction is adjus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pipe for air suc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is reciproc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s disposed in the rotating area to rotate While the air component detection unit for sensing the components of the atmosphere, at least one microphone disposed in the rotating area, and a sound recognition unit for collecting sound from the at least one microphone disposed in the fixed area, and disposed in the rotating area Shooting direction of the image capturing unit according to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a moving object, an alarm module unit that transmits an alarm using visual and auditory methods,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atmospheric component detection unit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sound recognition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거나 회전하면서 감지된 대기 성분을 토대로 감지된 성분의 유입방향을 유추하며, 특정 성분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때 유입방향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fers the inflow direction of the detected component based on the detected atmospheric component while reciprocating or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trols to photograph the inflow direc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component exceeds a set rang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대기성분 감지부는, 대기 성분 중 유해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대기감지센서와, 길이가 조절되는 상기 대기 흡입용 파이프와, 상기 대기 흡입용 파이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파이프 구동부와, 상기 대기 흡입용 파이프를 통해서 흡입된 대기를 상기 대기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공기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mospheric component detection unit, an atmospheric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tmospheric component, the pipe for the air suc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and a pipe driving unit for varying the length of the pipe for the atmospheric suct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su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to the air senso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대기감지센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시안화수소, 할로겐화수소, 아황산가스, 포름알데히드, 아크롤레인, LPG, LNG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mospheric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any one or more of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hydrogen cyanide, hydrogen halide, sulfur dioxide, formaldehyde, acrolein, LPG, L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에너지 사용량을 3차원 공간에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에너지 소비흐름을 3차원적인 영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In the energ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consumption flow is displayed in a 3D space so that the manager can grasp the energy consumption flow as a 3D image.

또한,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는 실제객체를 영상인식하고 해당 실제객체에 대응되는 3차원 가상객체 - 전력 소비량 정보- 를 표시하여 에너지 소비흐름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ergy consumption flow can be visualized in three dimensions by visually recognizing an actual object that is consuming energy and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al object-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또한, 각 영역에서 감지된 대기성분, 즉 유해물질의 농도까지 3차원적으로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and manage atmospheric components detected in each area,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ree dimens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1)의 개념도
도 2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1)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의 예시도
도 3은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모니터링 정보
도 4는 파라미터 설정으로 모니터링 상태를 설정하는 화면
도 5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1)의 상황 감지부(500)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상황 감지부(500)의 단면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a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 210 of the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 (1)
3 is monitoring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monitoring application
4 is a screen for setting a monitoring state by parameter settin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ituation detection unit 500 of the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500 of FIG. 5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in detail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1)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의 예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nergy monitor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odular power amount measurement unit 210 of an energ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The energy monitor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ly a brief configuration for clear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to be propos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은 복수의 장치(100), 분전반(200),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 통합 모니터링부(300), 관리서버(400), 상황 감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energy monitoring system 1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s 100, a distribution panel 200, a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s 210, an integrated monitoring unit 300, and a management server 400 ), and includes a situation detecting unit 50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의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main operation of the energy monitoring system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복수의 장치(100)는 분전반(2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기기와,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기기로 정의된다.The plurality of devices 100 are defined as devices that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istribution panel 200 and devices that produce and supply power.

즉, 복수의 장치(100)는 할당된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컴퓨터, 발전기, 생산설비, 공조기, 엘리베이터, 무정전 전원장치, 냉난방기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devices 100 may be defined as a computer, a generator, a production facility, an air conditioner, an elevator,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an allocated area.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는 분전반(200) 내부에 모듈형태로 삽입 가능하고 무선통신으로 전력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s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distribution panel 200 in a module form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즉,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는 연결된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감지하여 이러한 전력량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력망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을 경우 이를 이용하여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That is, the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 21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nected device and wirelessly transmit the power data. Meanwhile, when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power network is established, power amount data may be transmitted using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는 전력 소모량, 누전차단, 과전류차단, 과열차단, 역률, 선간전압, 상전류, 주파수, 온도/습도 측정을 처리하여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는 부하(장치)별 프로세서 탑재로 부하 별 분산처리가 가능하고, Ture RMS 계측으로 높은 정확도를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 210 may process power consumption, earth leakage cutoff, overcurrent cutoff, overheat cutoff, power factor, line voltage, phase current, frequency, temperature/humidity measurement, and include the power amount data to transmit the data. That is, the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 210 is capable of distributed processing for each load by installing a processor for each load (device), and can measure power with high accuracy by measuring the Ture RMS.

참고적으로 정전 발생시 무정전 전원장치에서 분전반(200)으로 비상전력을 자동 공급할 경우,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는 외부공급전력에서 전력이 공급될 때보다 최대허용전류를 낮게 자동설정한다.For reference, when an emergency power supply automatically supplies emergency power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o the distribution panel 200, the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s 210 automatically set the maximum allowable current to be lower than when power is supplied from external power supply. .

즉, 무정전 전원장치의 전력 공급량이 통합 모니터링부(300)로 실시간 전송되고, 통합 모니터링부(300)에 미리 설정된 비상 전력공급 우선순위정보가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로 전송되면서 각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의 최대허용전류의 설정범위가 자동설정된다.That is, the power supply amount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integrated monitoring unit 300, and the emergency power supply priority information preset in the integrated monitoring unit 300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s 210, respectively. The setting range of the maximum allowable current of the modular power amount measurement unit 210 is automatically set.

통합 모니터링부(300)는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전력량 통계치를 3차원 가상영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The integrated monitoring unit 300 is installed with a monitoring application that receives power data from a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s 210 in real time and displays power statistics in a 3D virtual image.

즉, 통합 모니터링부(300)는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210)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전력량 통계치를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하되 전력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3차원 영상을 표시하고, 상황 감지부(500)에서 감지된 대기성분을 표시한다.That is, the integrated monitoring unit 300 receives the power amount data in real time from the plurality of modular power amount measurement units 210 and displays the power amount statistics as a 3D image, but displays 3D images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The atmospheric component detected by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500 is displayed.

통합 모니터링부(300)는 관리자의 컴퓨터일 수도 있고,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는 복수의 장치(100)의 전력량 데이터 및 전력량 통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onitoring unit 300 may be a manager's computer or may be defined as a manager's portable terminal. That is, through a monitoring application installed on a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power amount data and power statistic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100 in real time.

여기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한다. 3차원 가상영상으로 표시되는 전력량 통계치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모드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generic term for a device that can be used while being carried by a user,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a smart pad.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a smart phone. The statistic of electric power displayed as a 3D virtual image may be displayed through various modes in a monitoring application.

관리서버(400)는 통합 모니터링부(300)로부터 전력량 데이터 및 전력량 통계치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The management server 400 receives the amount of power data and the amount of power statistics from the integrated monitoring unit 300 and manages the database.

도 3은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모니터링 정보이다.3 is monitoring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monitoring appl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은 소비전력, 전류, 전압, 역률, 부스바 온도 등의 전력사용 주요현황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onitoring application displays power consumption,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busbar temperature, and the like, in real time.

또한, 실시간 전력소비현황을 계약전력을 기준으로 표시하고, 현재 소비전력과 피크전력도달율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처별 실시간 전력소비현황과, 기간별 전력소비 현황을 표시하고, 주요 알림상황을 팝업창 또는 특정영역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real-time power consumption is displayed based on contract power, and current power consumption and peak power delivery rate are displayed. 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display real-time power consumption status by use place, power consumption status by period, and display key notification status in real time in a pop-up window or a specific area.

또한, 소비전력, 전류, 전압, 역률 부스바 온도 등의 전력사용 실시간 현황이 생산라인 및 장치(장비)별로 제공된다.In addition, real-time status of power usage such as power consumption,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busbar temperature, etc. is provided for each production line and device (equipment).

특히,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는 각 장치의 3차원 가상영상과, 전력량 통계치가 3차원 가상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은 장치(장비)별 세부 전력 사용현황 뿐만 아니라, 세부내역 제공으로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주요 항목을 모니터링한다. 특히 전력품질관련 모니터링으로는 역률, 전류, 전압, 주파수 수치가 표시되며, 전기재해관련 모니터링으로는 부스바 온도감지, 단선 감지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onitoring application may display a 3D virtual image of each device and a statistical amount of power as a 3D virtual image. The monitoring application monitors not only detailed power usage status by device (equipment), but also key items that can prevent disasters by providing detailed history. In particular, power quality-related monitoring displays power factor, current, voltage, and frequency values, and electric disaster-related monitoring can display busbar temperature detection and disconnection detection status.

도 4는 파라미터 설정으로 모니터링 상태를 설정하는 화면이다.4 is a screen for setting a monitoring state by parameter setting.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래밍이 아닌 "파라미터 설정"의 손쉬운 방식으로 모니터링 할 각 장치를 선택하고, 각 장치의 모니터링 방식 및 수치 등을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onitoring application may select each device to be monitored in an easy manner of “parameter setting” rather than programming, and set a monitoring method and a numerical value of each device.

즉, 관리자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없이 사용할 기능을 선택한 후 화면에서 선택한 아이콘(각 장비)에 복수의 기능을 마우스로 드래그 하여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That is,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set a function by selecting a function to be used without programming using a monitoring application and then dragging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functions to a selected icon (each device) on the screen.

한편, 병영 생활관, 취사장, 무기고 등과 같은 영역에는 전기로 구동되는 복수의 장치(100)들이 배치되는데,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은 각 영역별 에너지 사용량을 색깔별로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electric powered devices 100 are disposed in areas such as a barracks dormitory, kitchen, arsenal, and the like, and the monitoring application may display energy consumption for each area by color.

예를 들어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은 건물의 3차원 입체도면을 표시하면서 각 영역별 에너지 사용량(전력 사용량)을 색상별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각 영역(병영 생활관, 취사장, 무기고)을 선택할 경우, 해당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장치(100)의 전력량 통계치를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nitoring application not only displays the energy consumption (power consumption) of each area by color while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drawing of the building, but also selects each area (barracks, kitchen, arsenal) and places it within the area. The power statistic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100 may be displayed as a 3D image.

또한, 각 할당된 영역에 배치되어 대기의 성분을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500)는 병영 생활관, 취사장, 무기고 등에서 미리 설정된 대기 성분을 감지하여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ituation detection unit 500 that is disposed in each allocated area to detect the components of the air detects and transmits predetermined air components to the monitoring application from the barracks, the kitchen, and the arsenal.

상황 감지부(500)의 상세한 구성과 주요동작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main operation of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500 are as follows.

도 5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1)의 상황 감지부(500)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ituation detection unit 500 of the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 1.

도 5를 참조하면, 상황 감지부(500)는 영상 촬영부(10)와, 주변정보 감지부와, 경보 모듈부(51,52,53)와,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주변정보 감지부는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 소리 인식부(31,32,33,34), 움직임 감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500 includes an image photographing unit 10, a surround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an alarm module unit 51, 52, 53, and a control unit 60. The surroun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includes an air component detection unit (21,22,23,24), a sound recognition unit (31,32,33,34), and a motion detection unit (40).

상황 감지부(500)의 본체는 고정영역(71) 및 회전영역(72,73)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회전영역(72,73)은 다시 제1 회전영역(72) 및 제2 회전영역(73)으로 구분된다. 고정영역(71)에는 방향 표시부(51)와 제어부(60)와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영역(72)에는 마이크,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영역(73)에는 영상 촬영부(10)와, 마이크, 스피커(52), 레이저부(53), 움직임 감지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영역(71) 및 회전영역(72,73)에 배치되는 요소는 실시예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The main body of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500 may be divided into a fixed region 71 and a rotating region 72,73. The rotating regions 72 and 73 are again the first rotating region 72 and the second rotating region 73. ). The direction display unit 51, the control unit 60, and the microphone may be disposed in the fixed area 71. In addition, a microphone and air component sensing units 21, 22, 23, and 24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otation region 72. In addition, an image capturing unit 10, a microphone, a speaker 52, a laser unit 53, and a motion detection unit 4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otation region 73. The elements disposed in the fixed area 71 and the rotating areas 72 and 73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embodiments.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 감지부(500)는 주변정보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토대로 영상 촬영부(10)의 촬영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여기에서 주변정보 감지부는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 소리 인식부(31,32,33), 움직임 감지부(40)를 포함하며, 성분 감지부(21,22,23,24), 소리 인식부(31,32,33), 움직임 감지부(4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Basically,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adjusts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image capturing unit 10 based on a result detected by the surround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Here, the surroun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includes an air component detection unit (21,22,23,24), a sound recognition unit (31,32,33), and a motion detection unit (40), and the component detection units (21,22,23) , 24), any one or more of the sound recognition units 31, 32, 33,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4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영상 촬영부(10)는 제2 회전영역(73)에 배치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촬영방향이 조절된다. 영상 촬영부(10)는 내부의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PAN), 방향기울기(TILT), 줌(ZOOM) 조정이 가능한 PTZ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촬영부(10)는 제2 회전영역(73)에 배치되므로 제2 회전영역(73)의 회전을 통해 360도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10)는 내부의 모터를 통해 제2 회전영역(73)의 표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므로 촬영 반경이 매우 넓으며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영역이 확장된다.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0 is disposed in the second rotation region 73 and the photographing direction is adjus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image capturing unit 1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TZ camera capable of adjusting rotation (PAN), tilt (TILT), and zoom (ZOOM) using an internal motor. Since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0 is disposed in the second rotation region 73, a 360-degree region may be photographed through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on region 73. In addition, since the image capturing unit 10 can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region 73 through the internal motor, the photographing radius is very wide and the monitorable region is expanded.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는 길이가 조절되는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동시에 360도 회전하면서 대기의 성분을 감지한다. 따라서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는 주변의 대기 성분의 변화와 흐름을 보다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The air component detection units 21, 22, 23, and 24 reciprocate the pipe 24 for air intake having an adjustabl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rotate 360 degrees to detect the air component. Therefore, the air component detection units 21, 22, 23, and 24 can more quickly detect changes and flows in the surrounding air components.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는 제1 회전영역(72)에 배치되는데, 대기감지센서(21), 공기 흡입부(22), 파이프 구동부(23),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를 구비한다.The air component detection units 21, 22, 23, and 24 are disposed in the first rotation region 72, the air detection sensor 21, the air suction unit 22, the pipe driving unit 23, and the pipe for air suction ( 24).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는 길이가 조절되는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동시에 360도 회전하면서 대기의 성분을 감지한다. 따라서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는 주변의 대기 성분의 변화와 흐름을 보다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The air component detection units 21, 22, 23, and 24 reciprocate the pipe 24 for air intake having an adjustabl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rotate 360 degrees to detect the air component. Therefore, the air component detection units 21, 22, 23, and 24 can more quickly detect changes and flows in the surrounding air components.

대기감지센서(21)는 대기 성분 중 유해물질의 농도를 감지한다. 대기감지센서(21)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시안화수소, 할로겐화수소, 아황산가스, 포름알데히드, 아크롤레인, LPG, LNG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멀티 센서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sensor 2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The atmospheric sensor 21 is preferably composed of a multi-sensor unit capable of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any one or more of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hydrogen cyanide, hydrogen halide, sulfur dioxide, formaldehyde, acrolein, LPG, LNG.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데, 파이프 구동부(23)가 대기 흡입용 파이프(24)의 길이를 가변시킨다. 즉, 파이프 구동부(23)는 모터와,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를 수납할 수 있는 롤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대기 흡입용 파이프(24)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는 최대 하강시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pe 24 for atmospheric suction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in length, and the pipe driving unit 23 changes the length of the pipe 24 for atmospheric suction. That is, since the pipe driving unit 23 includes a motor and a roll capable of storing the pipe 24 for atmospheric suction, the length of the pipe 24 for atmospheric suction can be varied. The pipe 24 for atmospheric suc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ble to reach the floor when the maximum descent.

공기 흡입부(22)는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를 통해서 흡입된 대기를 대기감지센서(21)로 전달한다.The air intake 22 transmits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take pipe 24 to the air sensor 21.

한편,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서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동작과, 360도 회전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만이 수행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tmospheric component detection unit (21,22,23,2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any one of the operation of reciprocating the atmospheric suction pipe 24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peration of rotating 360 degrees Can be done.

도 6은 도 5의 상황 감지부(500)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tuation sensing unit 500 of FIG. 5.

도 6을 참조하면,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를 통해서 흡입된 대기는 공기 흡입부(22)의 회전력에 의해서 대기감지센서(21) 방향으로 전달된다. 또한, 제1 회전영역(72)에는 대기감지센서(21)를 통과한 대기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5)가 형성되지 않으면 대기 중의 특정 물질의 농도가 제1 회전영역(72)에 누적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개구부(25)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24 is transmitted to the air sensor 21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ir suction part 22. In addition, an opening 25 is formed in the first rotation region 72 so that the atmosphere passing through the air sensor 21 can be ejected to the outside. If the opening 25 is not formed,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substance in the atmosphere may accumulate in the first rotation region 72, so the number of openings 25 may be increased for more accurate measurement.

이러한 개구부(25)는 제1 회전영역(72)의 표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는데, "파이프 구동부(23)-공기 흡입부(22)-대기감지센서(21)"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개구부에는 유입된 대기를 신속하게 방출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 흡입부(22) 및 추가로 구비되는 공기 흡입부의 회전속도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2)는 프로펠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se openings 25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al region 72, in which the "pipe drive unit 23-air intake unit 22-air detection sensor 21" is dispose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in portions excluding the region. In addition, each opening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suction unit for rapidly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suction unit 22 and the additional air suction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0. Can be adjusted. The air intake 22 may be made of a propeller or the like.

소리 인식부(31,32,33,34)는 회전영역(72,73)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고정영역(7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에서 소리를 수집한다.The sound recognition units 31, 32, 33, and 34 collect sounds from at least one microphone disposed in the rotating regions 72, 73 and at least one microphone disposed in the fixed region 7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마이크(31)는 제2 회전영역(73)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마이크(32) 및 제3 마이크(33)는 제1 회전영역(72)에 배치되어 있고, 제4 마이크(34)는 고정영역(71)에 배치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고정영역(71)에 하나의 마이크만이 설치된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고정영역(71) 및 회전영역(72,73)에 배치되는 마이크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특히, 고정영역(71)이 둥근 원형상을 가질 경우, 90도 각도 차이로 마이크가 배치되어 총 4개의 마이크가 각 방향에서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4개의 마이크 사이에는 격벽이 설치되어 소리의 진원지를 파악하는데 보조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이크는 지향성 마이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icrophone 31 is disposed in the second rotation region 73, and the second microphone 32 and the third microphone 33 are disposed in the first rotation region 72. , The fourth microphone 34 is disposed in the fixed area 71.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nly one microphone is installed in the fixed area 71, but the number of microphones disposed in the fixed area 71 and the rotating areas 72 and 73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In particular, when the fixed area 71 has a round circular shape, a microphone is disposed at a 90-degree angle difference so that a total of four microphones can collect sound in each direction. At this time, a partition wall is installed between the four microphones to assist in determining the source of the sound. It is preferable that a directional microphone is used as the microphone.

또한, 제1 회전영역(72)과 제2 회전영역(73)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제1 회전영역(72)에 배치된 제1 마이크(31)와, 제2 회전영역(73)에 배치된 제2 마이크(32) 및 제3 마이크(33)를 동시에 활용할 경우, 소리의 진원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고정영역(71)의 배치된 4개의 마이크에서 수집된 소리까지 고려하는 경우 제어부(60)는 소리의 진원지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소리의 진원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제1 회전영역(72) 및 제2 회전영역(73)을 특정 각도 내에서 왕복시키면 소리의 진원지를 검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al region 72 and the second rotational region 73 may be set differently. The first microphone 31 disposed in the first rotational region 72 and the first 2 When the second microphone 32 and the third microphone 33 disposed in the rotation region 73 are simultaneously used,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grasp the epicenter of the sound.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collected sound from the four microphones arranged in the fixed area 71, the controller 60 can more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epicenter of the sound. At this tim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grasp the epicenter of the sound, the controller 60 may control to search for the epicenter of the sound by reciprocating the first rotation region 72 and the second rotation region 73 within a specific angle.

움직임 감지부(40)는 회전영역에 배치되어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제어부(60)는 움직임 감지부(40)에서 감지한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토대로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경고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어부(60)는 심야시간 등과 같이 사람의 출입이 통제된 상황에서 움직임 감지부(40)의 사람감지 판단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경보를 송출하거나 설정된 특정 소리를 방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unit 40 is disposed in the rotation area to detect the motion of the moving object. The controller 60 may control whether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is a person and to send a warning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sensed by the motion detector 40. For reference, the control unit 60 may be set to automatically transmit an alarm or broadcast a specific sound set when a motion detection unit 40 detects a person in a situation where a person's access is controlled, such as a late-night time. .

경보 모듈부(51,52,53)는 시각 및 청각방법을 이용하여 경보를 송출한다. 경보 모듈부(51,52,53)는, 방향 표시부(51)와, 스피커(52)와, 레이저부(53)를 구비한다.The alarm module units 51, 52, and 53 transmit alarms using visual and audible methods. The alarm module units 51, 52, and 53 include a direction display unit 51, a speaker 52, and a laser unit 53.

방향 표시부(51)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하여 대피방향을 표시한다. 방향 표시부(51)는 2차원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데, 턴온(TURN ON)된 발광 다이오드를 화살표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대피방향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때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표시되는 화살표 형태는 빠르게 점멸하거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붉은 색 등과 같은 시인성이 좋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direction display unit 51 flash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o display an evacuation direction. The direction display unit 5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diode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form, and the evacuation direction can be displayed by displaying the turned-on light-emitting diodes in the form of arrows. At this time, the arrow form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diode may be displayed in an animation form that blinks rapidly o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may be displayed in a color with good visibility such as red.

스피커(52)는 설정된 경보음을 방송한다. 예를 들면, 화재가 발생하거나, 가스가 누출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상황을 사람의 음성으로 방송할 수 있고, 특정 경고음을 방송할 수도 있다. 또한 방향 표시부(51)와 연동되어 방향 표시부(51)에서 지시하는 방향을 음성으로 방송할 수 있다. 해당 음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어로 반복해서 방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52)는 착탈 가능한 형태의 스피커 모듈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eaker 52 broadcasts the set alarm sound. For example, when a fire or a gas leak occurs, the situation can be broadcast with a human voice, and a specific warning sound can be broadcast. In additio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direction display unit 51 may be broadcast by voice in conjunction with the direction display unit 51.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esponding voice is repeatedly broadcast in at least one language. In addition, the speaker 5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etachable speaker module.

레이저부(53)는 바닥 또는 벽면에 대피방향을 조사한다. 즉, 레이저부(53)는 방향 표시부(51) 및 스피커(52)와 연동되어 바닥 또는 벽면에 대피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레이저부(53)는 기본적으로 화살표 모양의 표식을 통해서 방향을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방향을 지시하는 다양한 모양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laser unit 53 irradiates the evacuation direction to the floor or wall surface. That is, the laser unit 53 is interlocked with the direction display unit 51 and the speaker 52 to display the evacuation direction on the floor or wall surface. The laser unit 53 basically displays a direction through an arrow-shaped marker, and can be set to display various shapes indicating a direction as needed.

제어부(60)는 대기성분 감지부(21,22,23,24)의 감지결과 및 소리 인식부(31,32,33,34)의 감지결과에 따라 영상 촬영부(10)의 촬영방향을 조절한다. The control unit 60 adjusts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tmospheric component detection units 21, 22, 23, 24 and the sound recognition unit 31, 32, 33, 34 do.

즉, 제어부(60)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거나 회전하면서 감지된 대기 성분을 토대로 감지된 성분의 유입방향을 유추하며, 특정 성분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때 유입방향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0)는 소리 인식부(31,32,33,34)에서 수집된 소리에서 긴급 음성패턴이 검출될 때, 소리가 수집된 방향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0)는 경보 모듈부(51,52,53)가 동작하는 경보상태에서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를 최대로 하강시키며, 대기 흡입용 파이프(24) 표면에 부착된 발광필름을 발광시켜서 비상 상황임을 시각적으로 강조하여 알려줄 수 있다. 긴급 음성패턴은 "불이야", "살려줘","위험해","도와줘"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단순한 패턴으로 설정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60 infers the inflow direction of the detected component based on the detected atmospheric component while reciprocating or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trols to photograph the inflow direc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component exceeds a set range. In addition, when the emergency voice pattern is detected from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recognition units 31, 32, 33, and 34,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o photograph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was collect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lowers the pipe 24 for atmospheric suction to the maximum in the alarm state in which the alarm module units 51, 52, and 53 operate, and applies the light emitting film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ipe 24 for atmospheric suction. It can emit light to visually inform that it is an emergency. The emergency voice pattern may be set as a simple pattern that recognizes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ire", "save", "dangerous", "help me".

제어부(60)는 대기 흡입용 파이프(24)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동작과, 제1 회전영역(72)과 제2 회전영역(73)의 회전속도 및 회전주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모든 동작이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 되었으나, 제어부(60)는 수집된 정보를 송출하는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모듈과, 정전시에도 동작할 수 있도록 비상 배터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reciprocating the pipe 24 for atmospheric su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 period of the first rotation region 72 and the second rotation region 73, and basically Control all operations to operate periodically and repeatedly.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battery to operate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특히, 제어부(60)는 정전시 최대한 오래동작 할 수 있도록, 정전 초기에 경보 모듈부(51,52,53)의 소리 및 불빛을 가장 강하게 설정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소리 및 불빛이 점점 약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60 sets the sound and light of the alarm module units 51, 52, and 53 to be strongest at the beginning of the power outage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s long as possible during a power outage. Control.

참고적으로, 상황 감지부(50)는 산소농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산소농도가 설정된 범위 이하로 떨어질 때 경보가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n oxygen concentration measurement sensor, and may be set to generate an alarm when the oxygen concentration falls below a predetermined ran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에너지 사용량을 3차원 공간에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에너지 소비흐름을 3차원적인 영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In the energ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consumption flow is displayed in a 3D space so that the manager can grasp the energy consumption flow as a 3D image.

또한,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는 실제객체를 영상인식하고 해당 실제객체에 대응되는 3차원 가상객체 - 전력 소비량 정보- 를 표시하여 에너지 소비흐름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ergy consumption flow can be visualized in three dimensions by visually recognizing an actual object that is consuming energy and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al object-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또한, 각 영역에서 감지된 대기성분, 즉 유해물질의 농도까지 3차원적으로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and manage atmospheric components detected in each area,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ree dimens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복수의 장치
200 : 분전반
210 :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
300 : 통합 모니터링부
400 : 관리서버
500 : 상황 감지부
100: multiple devices
200: distribution board
210: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
300: integrated monitoring unit
400: management server
500: situation detection unit

Claims (6)

할당된 영역에 각각 배치되며 분전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복수의 장치;
할당된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대기의 성분을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
상기 분전반 내부에 모듈형태로 삽입 가능하고 무선통신으로 전력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전력량 통계치를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하되 전력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상기 3차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상황 감지부에서 감지된 대기성분을 표시하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통합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A plurality of devices which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allocated area and ar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istribution panel;
A situation detection unit that is disposed in each of the allocated areas to detect components of the atmosphere;
A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istribution panel in the form of modules and transmit and receive power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ing the power data from the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s in real time, displaying power statistics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and atmospheric components detected by the situation detection unit Integrated monitoring unit is installed monitoring application that displays;
Energ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정전 발생시 상기 분전반으로 비상전력을 자동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형 전력량 측정부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외부공급전력에서 전력이 공급될 때보다 최대허용전류를 낮게 자동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at automatically supplies emergency power to the distribution panel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The plurality of modular power measurement unit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e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utomatically set the maximum allowable current lower than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감지부는,
회전영역에 배치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촬영방향이 조절되는 영상 촬영부;
길이가 조절되는 대기 흡입용 파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시키며, 상기 회전영역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대기의 성분을 감지하는 대기성분 감지부;
상기 회전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고정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에서 소리를 수집하는 소리 인식부;
상기 회전영역에 배치되어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시각 및 청각방법을 이용하여 경보를 송출하는 경보 모듈부; 및
상기 대기성분 감지부의 감지결과 및 상기 소리 인식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tuation detection unit,
An image capturing unit which is disposed in the rotating area and whose shooting direction is adjus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tmospheric component detection unit for reciprocating the pipe for the atmospheric suction of which the length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disposed in the rotating region to detect the components of the atmosphere while rotating;
A sound recognition unit collecting sound from at least one microphone disposed in the rotating area and at least one microphone disposed in a fixed area;
A motion detection unit disposed in the rotation area to detect movement of a moving object;
An alarm module unit that transmits an alarm using a visual and audible method; And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image capturing unit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atmospheric component detection unit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sound recogni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거나 회전하면서 감지된 대기 성분을 토대로 감지된 성분의 유입방향을 유추하며, 특정 성분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때 유입방향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An energ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direction of the detected component is inferred based on the detected atmospheric component while reciprocating or rotating in the up-down direction, and controlling to photograph the inflow direc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component exceeds a set ra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성분 감지부는,
대기 성분 중 유해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대기감지센서;
길이가 조절되는 상기 대기 흡입용 파이프;
상기 대기 흡입용 파이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파이프 구동부; 및
상기 대기 흡입용 파이프를 통해서 흡입된 대기를 상기 대기감지센서로 전달하는 공기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atmospheric component detection unit,
Atmospheric sensor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tmospheric component;
The length of the pipe for the atmospheric suction;
A pipe driving unit for varying the length of the pipe for atmospheric suction; And
And an air suction unit that delivers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to the air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감지센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시안화수소, 할로겐화수소, 아황산가스, 포름알데히드, 아크롤레인, LPG, LNG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atmospheric detection sensor,
An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any one or more of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hydrogen cyanide, hydrogen halide, sulfur dioxide, formaldehyde, acrolein, LPG, and LNG.
KR1020180153053A 2018-11-30 2018-11-30 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link parameter setting method KR202000660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53A KR20200066025A (en) 2018-11-30 2018-11-30 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link parameter set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53A KR20200066025A (en) 2018-11-30 2018-11-30 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link parameter set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025A true KR20200066025A (en) 2020-06-09

Family

ID=7108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053A KR20200066025A (en) 2018-11-30 2018-11-30 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link parameter set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602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879A (en) 2011-08-24 2013-03-06 (주)에이시에스 System for monitoring of energy consump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879A (en) 2011-08-24 2013-03-06 (주)에이시에스 System for monitoring of energy consump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2592B2 (en) Emergency resource location and status
KR101771579B1 (en) Environmental control at ordinary time and disaster response system using combined sensor module
EP3493554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detection syste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detection method
KR101904031B1 (en) Fire detection and providing evacuation information for extinguish fire System based IoT
US86764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etter alarm management
CN106955443A (en) A kind of fire handling machine people and system
KR102126281B1 (en)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KR101519974B1 (en) Cctv for sensing neighborhood information and intelligent alert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149406A (en) Apparatus for managing a disastear and method thereof
JP2015520380A (en) Multi-mode detection
KR101391302B1 (en) Addressable automatic fire alarm system
CN106875039A (en) A kind of route guiding system accessed based on Portal and its escape method
KR101901335B1 (en) Disaster control broadcast system using led lamp based on things intelligence communication
EP2589030A1 (en) Control module for a route guidance system
KR100984061B1 (en) Fire monitoring system for p-type receiver
CN108765834A (en) A kind of control method of fire detector, fir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7194480A (en) A kind of maintenance management method for being used to realize building pipeline three-dimensional localization
CN110865149A (en) Indoor public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JP5075712B2 (en)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KR20200063684A (en) An energy monitoring method for displaying energy us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s augmented reality and an energ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CN211785394U (en) Indoor public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CN109375550A (en) A kind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CN108895592A (en) Movie theatre ventilation controller and system
JP2019219844A (en) Radio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disaster prevention method thereof
CN205942982U (en) Intelligent fire monitor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