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807A -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807A
KR20200065807A KR1020180152645A KR20180152645A KR20200065807A KR 20200065807 A KR20200065807 A KR 20200065807A KR 1020180152645 A KR1020180152645 A KR 1020180152645A KR 20180152645 A KR20180152645 A KR 20180152645A KR 20200065807 A KR20200065807 A KR 20200065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resistance
frequency
impedance
carri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474B1 (ko
Inventor
방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5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474B1/ko
Priority to EP19890181.1A priority patent/EP3872508A4/en
Priority to CN201980076216.7A priority patent/CN113646649A/zh
Priority to US17/292,747 priority patent/US20210396815A1/en
Priority to PCT/KR2019/016797 priority patent/WO2020111896A1/ko
Priority to JP2021525706A priority patent/JP2022507235A/ja
Publication of KR2020006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14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current or voltage obtained from a reference sour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16Measuring impedance of element or network through which a current is passing from another source, e.g. cable, power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는,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생성하는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 제1 저항 및 제1 저항과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제2 저항을 포함하는 저항부; 제1 저항, 제2 저항 및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상태에서, 해당 인가 대상의 양단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제1 저항, 제2 저항 및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를 임피던스 측정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임피던스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internal resistance of battery cell}
본 발명은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배터리 저항 퇴화를 추정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팅 사이클 동안 배터리의 저항 데이터를 추출하고, 특정 온도 및 특정 SOC(state of charge) 조건에서 추출된 저항 데이터로 배터리 초기 대비 저항 비율을 계산하여, 계산된 저항 비율을 배터리의 실시간 SOC 추정, 용량 추정 및 배터리 수명 추정 등에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터리 저항 퇴화 추정 방식은, 특정 온도, 특정 SOC 조건에서만의 퇴화율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노이즈 및 외부 부하의 상황에 따라 정확한 배터리의 저항값을 계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외부 노이즈 및 외부 부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는, 제1 주파수 및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생성하는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 제1 저항 및 제1 저항과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제2 저항을 포함하는 저항부; 제1 저항, 제2 저항 및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상태에서, 해당 인가 대상의 양단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제1 저항, 제2 저항 및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를 임피던스 측정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임피던스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 각각에 대하여,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배터리셀에 대하여,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 및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며,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며, 제1 기준 주파수는 제2 기준 주파수보다 작다.
제1 저항은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 상태일 때의 예상 최저 저항값으로 설정되고, 제2 저항은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대 저항값으로 설정된다.
일례로, 임피던스 측정부는,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동상의 I 신호와 90도 지연된 Q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Q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로부터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제1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내부 저항의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셀의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셀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은, 제1 저항 및 제1 저항과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제2 저항 각각에, 제1 주파수 및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는 상태에서, 해당 인가 대상의 양단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배터리셀에,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상태에서, 배터리셀의 양단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배터리셀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 및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저항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저항으로부터 측정된 제1 임피던스 값과, 제2 저항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저항으로부터 측정된 제2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에서의 제1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제1 저항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저항으로부터 측정된 제3 임피던스 값과, 제2 저항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저항으로부터 측정된 제4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에서의 제2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며,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며, 제1 기준 주파수는 제2 기준 주파수보다 작다.
또한,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는, 배터리셀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배터리셀로부터 측정된 제5 임피던스 값 및 제1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셀의 직류 성분 저항과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체 내부 저항을 산출하고, 배터리셀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배터리셀로부터 측정된 제6 임피던스 값 및 제2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셀의 직류 성분 저항을 산출하며, 산출된 전체 내부 저항에서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을 빼서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산출함으로써, 내부 저항의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제1 저항은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저 저항값으로 설정되고, 제2 저항은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대 저항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각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동상의 I 신호와 90도 지연된 Q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Q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로부터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충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셀; 배터리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상기의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노이즈 및 부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셀의 전력 및 배터리 셀의 수명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효과는, 이후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배터리셀의 개로 전압 상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제1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제2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제3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팩(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는,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0), 저항부(20), 임피던스 측정부(30), 스위칭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먼저,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0)은,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로서, 배터리셀(1)에 주입하기 위해 하이 임피던스를 가진 캐리어 신호로서 전류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0)은 임피던스가 작으면 부하(load) 임피던스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부하 임피던스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하이 임피던스를 가지며, 제어부(50)의 주파수 제어 신호에 의해, 일정한 전류 파형으로서 제1 주파수 또는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로써,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저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고, 또한,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고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다. 다시 말해,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며,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제2 기준 주파수 이상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다. 여기서, 제1 기준 주파수는 제2 기준 주파수보다 작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주파수는 1~2Hz이하의 저주파수일 수 있으며, 제2 기준 주파수는 10kHz 이상의 고주파수일 수 있다.
저항부(20)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 저항(21) 및 제2 저항(23)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1 저항(21)은 배터리셀(1)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저 저항값으로 설정된다. 예로써, 배터리 임피던스가 쇼트된 것을 가정한 값으로 기준값을 만들기 위한 최소값으로서, 제1 저항(21)은 0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저항(23)은 배터리셀(1)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대 저항값으로 설정된다. 예로써, 배터리의 퇴화 등을 고려하여 마진을 둔 최대값으로서, 제2 저항(23)은 0.05옴 내지 0.3옴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30)는, 제1 저항(21), 제2 저항(23) 및 배터리셀(1) 중 어느 하나에 제1 또는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상태에서, 해당 인가 대상의 양단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임피던스 측정부(30)는, 제1 저항(21)에 제1 주파수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1 저항(21)의 양단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거나, 제1 저항(21)에 제2 주파수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1 저항(21)의 양단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제2 저항(23) 및 배터리셀(1)에 대해서도 각각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측정부(30)는,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동상의 I 신호와 90도 지연된 Q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Q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로부터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부(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 임피던스 측정부(30)와 신호 처리부(35)는 하나의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위칭부(40)는, 제1 저항(21), 제2 저항(23) 및 배터리셀(1) 중 어느 하나를 임피던스 측정부(3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스위칭부(40)의 스위치들을 통해서 배터리셀(1) 양단 사이에서 제1 저항 및/또는 제2 저항이 병렬 연결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40)의 각 스위치를 ON/OFF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1 저항(21), 제2 저항(23) 및 배터리셀(1) 중 어느 하나만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0) 및 임피던스 측정부(3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칭부(40)는 제어부(50) 또는 임피던스 측정부(30)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임피던스 측정부(30)에 의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배터리셀(1)의 내부 저항을 계산하는 처리부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제1 저항(21) 및 제2 저항(23) 각각에 대하여,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저항(21)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제1 임피던스 값과, 제2 저항(23)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제2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에서의 제1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항(21)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제3 임피던스 값과, 제2 저항(23)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제4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에서의 제2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배터리셀(1)에 대하여,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 및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셀(1)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제5 임피던스 값을, 제1 주파수에서의 제1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하고, 배터리셀(1)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제6 임피던스 값을, 제2 주파수에서의 제2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할 때에, 제1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내부 저항의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이용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 성분을 설명한다. 도 2는 배터리셀의 개로 전압 상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셀(1)은, 개로 전압 상태에서, 저항 R0와, 병렬 구조의 커패시터 C1 및 저항 R1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로 이루어진다. 저항 R0는 직류 성분 저항을 나타내고, 저항 R1은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배터리셀(1)의 내부 저항은 저항 R0와 저항 R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저항 R0 및 저항 R1을 측정함으로써 SOC 추정, 용량 추정, 수명 추정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제어부(50)는, 예를 들면, 배터리셀(1)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제5 임피던스 값을, 제1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함으로써, 배터리셀(1)의 직류 성분 저항과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체 내부 저항을 산출한다. 다시 말해, 배터리셀(1)에 제1 주파수 즉, 저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셀(1)로부터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은 직류 성분 저항(R0)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R1)가 합산된 전체 임피던스 값이 된다. 이것은, 저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배터리셀(1) 내부의 직류 성분 저항(R0)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R1)를 통과하여 측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50)는, 배터리셀(1)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제6 임피던스 값을, 제2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함으로써, 배터리셀(1)의 직류 성분 저항을 산출한다. 다시 말해, 배터리셀(1)에 제2 주파수 즉, 고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셀(1)로부터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은 직류 성분 저항(R0)만의 임피던스 값이 된다. 이것은, 고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배터리셀(1) 내부의 직류 성분 저항(R0) 및 캐패시터(C1)를 통과하여 측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산출된 전체 내부 저항에서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을 빼서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산출함으로써, 내부 저항의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부(50)가 임피던스 측정부(30)에 의해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내부 저항을 계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측정된 임피던스 값만이 아니라, 배터리셀(1)의 실제 온도 및 SOC를 더 고려하여, 배터리셀(1)의 내부 저항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셀(1)의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는,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셀의 수명을 예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노이즈 및 부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셀의 용량 및 배터리 셀의 수명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3을 이용하여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는,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 제1 저항(121), 제2 저항(123), 임피던스 측정부(130), 스위칭부, 신호처리부(135)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먼저,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은, 제어부(150)로부터 주파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저주파수(제1 주파수) 또는 미리 설정된 고주파수(제2 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를 배터리셀(1), 제1 저항(121) 및 제2 저항(123) 중 어느 하나에 인가한다. 배터리셀(1), 제1 저항(121) 및 제2 저항(123)은 병렬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제1 저항(121)은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저 저항값으로서 0옴의 저항값을 가지며, 제2 저항(123)은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대 저항값으로서 0.05옴의 저항값을 가진다.
임피던스 측정부(130)는 병렬 구조를 이루고 있는 배터리셀(1), 제1 저항(121) 및 제2 저항(123)의 공통된 양단에 연결되고, 배터리셀(1), 제1 저항(121) 또는 제2 저항(123) 중 선택된 인가 대상으로부터의 임피던스 값, 즉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임피던스 측정부(130)는 임피던스 신호를 1차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어서, 스위칭부는,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배터리셀(1), 제1 저항(121) 또는 제2 저항(12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제1 저항(121)의 양단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141), 제2 저항(123)의 양단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143) 및 배터리셀(1)의 양단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치(145)를 포함한다. 일례로, 스위칭부의 제1 내지 제3 스위치(141, 143, 145)는, 제어부(150)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임피던스 측정부(130)로부터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어서, 신호처리부(135)는, 임피던스 측정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예로써 직교 변조 방식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외부 노이즈 등에 의한 영향을 없애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임피던스 측정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동상의 I 신호를 출력하는 I 회로(135a)와, 임피던스 측정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90도 지연된 Q 신호를 출력하는 Q 회로(135b)와, 출력된 I 신호와 Q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합성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ADC부(135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회로(135a)와 ADC부(135c)의 사이, 및 Q회로(135b)와 ADC부(135c)의 사이에는, 각각, 해당 출력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링 및 증폭하는 로우 패스 필터 및 증폭기부(135d)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일정한 전류 파형으로서 캐리어 신호가 sin(wt+θ)이고, 배터리셀(1)의 내부 임피던스가 A일 때, 임피던스 측정부(130)에 측정되어 출력되는 임피던스 신호는 Asin(wt+θ)가 된다. I 회로(135a)는 임피던스 측정부(130)로부터 Asin(wt+θ)를 입력받고, 제어부(150)로부터 Asin(wt+θ1)의 동기 주파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Asin(wt+θ)*Asin(wt+θ1)=A/2cos(θ-θ1)-A/2cos(2wt+θ+θ1)을 출력한다. 이때, 로우 패스 필터 및 증폭기부(135d)에 의해 I 회로(135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성분 중 -A/2cos(2wt+θ+θ1)의 신호 성분은 제거되어, ADC부(135c)에는 A/2cos(θ-θ1)=I(x)가 입력된다. 한편, Q 회로(135b)는 임피던스 측정부(130)로부터 Asin(wt+θ)를 입력받고, 제어부(150)로부터 Asin(wt+θ1+90°)의 90도 지연된 주파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Asin(wt+θ)*Asin(wt+θ1+90°)=A/2cos(θ-θ1-90°)-A/2cos(2wt+θ+θ1+90°)를 출력한다. 이때, 로우 패스 필터 및 증폭기부(135d)에 의해 Q 회로(135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성분 중 -A/2cos(2wt+θ+θ1+90°)의 신호 성분은 제거되어, ADC부(135c)에는 A/2cos(θ-θ1-90°)=Q(y)가 입력된다. 이어서, ADC부(135c)는 입력된 신호들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Figure pat00001
에 의해 합성하여, 합성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배터리셀(1)의 내부 임피던스 A를 수신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처리부(135)에 의해서, 임피던스 측정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외부 노이즈 등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50)는 임피던스 측정부(130)에 의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계산하되, 제1 저항(121) 및 제2 저항(123) 각각에 대하여, 저주파수의 캐리어 신호 및 고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배터리셀에 대하여, 저주파수의 캐리어 신호 및 고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한다. 이때,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으로서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한다.
예를 들어,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141)를 ON, 제2 및 제3 스위치(143, 145)를 OFF 제어하고,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을 저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제1 저항(121)에서의 제1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제2 스위치(143)를 ON, 제1 및 제3 스위치(141, 145)를 OFF 제어하고,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을 저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제2 저항(123)에서의 제2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저주파수에서의 제1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141)를 ON, 제2 및 제3 스위치(143, 145)를 OFF 제어하고,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을 고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제1 저항(121)에서의 제3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제2 스위치(143)를 ON, 제1 및 제3 스위치(141, 145)를 OFF 제어하고,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을 고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제2 저항(123)에서의 제4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고주파수에서의 제2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인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제3 스위치(145)를 ON,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3)를 OFF 제어하고,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을 저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셀(1)로부터 측정된 제5 임피던스 값을 제1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이때, 배터리셀(1)에 저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셀(1)로부터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은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가 합산된 전체 임피던스 값이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3 스위치(145)를 ON,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3)를 OFF 제어하고,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을 고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셀(1)에서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고주파수에서의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이때, 배터리셀(1)에 고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셀(1)로부터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은 직류 성분 저항만의 임피던스 값이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체 임피던스 값에서 직류 성분 저항만의 임피던스 값을 빼는 것에 의해 교류 성분 임피던스 값을 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인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즉, 멀티 주파수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인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하기 때문에, 배터리셀 외부 부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셀(1)의 용량을 계산하거나, 배터리셀(1)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 배터리셀의 장착후 배터리의 내부 저항 성분 R0, R1의 일정 기간에 대한 실제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작성된 기준 변화표를 마련하여, 용량을 계산하고,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셀(1)의 용량을 계산하고, 수명을 예측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제1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제2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제3 상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은, 먼저, 제1 저항 및 제2 저항 각각에,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는 상태에서, 해당 인가 대상의 양단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한다(S10).
여기서, 제1 저항 및 제2 저항 각각에,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스위칭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5에서와 같이, 제1 스위치(141)를 ON시키고, 제2 및 제3 스위치(143, 145)를 OFF시킴으로써,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로부터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제1 저항(121)에 선택적으로 인가되게 할 수 있고,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제2 스위치(143)를 ON시키고, 제1 및 제3 스위치(141, 145)를 OFF시킴으로써,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로부터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제2 저항(123)에 선택적으로 인가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제1 저항(121)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저항(121)으로부터 제1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제2 저항(123)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저항(123)으로부터 제2 임피던스 값을 측정한다. 또한, 제1 저항(121)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저항(121)으로부터 제3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제2 저항(123)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저항(123)으로부터 제4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측정 환경 및 설정 순서 등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측정될 수 있다.
이어서,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한다(S20).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제1 임피던스 값과 제2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에서의 제1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3 임피던스 값과 제4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에서의 제2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배터리셀에,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상태에서, 배터리셀의 양단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한다(S30).
여기서, 배터리셀에,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스위칭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와 같이, 제3 스위치(145)를 ON시키고, 제1 및 제2 스위치(141, 143)를 OFF시킴으로써,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로부터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배터리셀(1)에 선택적으로 인가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배터리셀(1)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배터리셀로부터 제5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배티리셀(1)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배터리셀로부터 제6 임피던스 값을 측정한다. 여기서, 제5 및 제6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배터리셀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 및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한다(S40).
예를 들어,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S40)는, 내부 저항의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S40)는, 제5 임피던스 값을, 제1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함으로써, 배터리셀의 직류 성분 저항과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체 내부 저항을 산출하고, 또한, 제6 임피던스 값을, 제2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함으로써, 배터리셀의 직류 성분 저항을 산출하며, 산출된 전체 내부 저항에서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을 빼서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산출함으로써, 내부 저항의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지 제6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S10, S30)는, 각각,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동상의 I 신호와 90도 지연된 Q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Q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로부터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추가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은,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셀(1)의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셀의 수명을 예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앞선 실시예에서는 저항부(20)가 복수의 저항(21, 23)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예를 들면, 하나의 가변 저항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는,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210), 가변 저항(220), 임피던스 측정부(230), 스위칭부(241, 245), 신호처리부(235) 및 제어부(250)를 구비한다.
여기서, 가변 저항(220)은 임피던스 측정부(230) 혹은 제어부(250)에 의하여, 저항값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셀(1)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저 저항값으로서 0옴의 저항값을 가지도록 조절되거나, 배터리셀(1)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대 저항값으로서 0.05옴의 저항값을 가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제1 스위치(241)는 ON, 제2 스위치(245)는 OFF 제어하고,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210)로부터의 저주파수의 캐리어 신호 및 고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가변 저항(220)에 인가하여, 가변 저항(220)의 각 저항값에서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함으로써,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밖의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210), 임피던스 측정부(230), 스위칭부(241, 245), 신호처리부(235) 및 제어부(250)의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의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 임피던스 측정부(130), 스위칭부, 신호처리부(135) 및 제어부(150)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스위칭부가 배터리셀(1), 제1 및 제2 저항(121, 123)(또는 가변 저항(220)) 각각의 양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배터리셀(1), 제1 및 제2 저항(121, 123)(또는 가변 저항(220)) 각각의 양단 중 어느 한 단에만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110, 210)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가 배터리셀(1), 제1 및 제2 저항(121, 123)(또는 가변 저항(2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배터리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충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셀; 배터리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상기의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노이즈 및 외부 부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측정된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셀의 전력 및 배터리 셀의 수명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배터리셀 10, 110, 210: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
20: 저항부 21, 121: 제1 저항
23, 123: 제2 저항 30, 130, 230: 임피던스 측정부
35, 135, 235: 신호처리부 40: 스위칭부
50, 150, 250: 제어부 135a, 235a: I 회로
135b, 235b: Q 회로 135c, 235c: ADC부
135d, 235d: 로우 패스 필터 및 증폭기부

Claims (16)

  1.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생성하는 캐리어 신호 생성 모듈;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과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제2 저항을 포함하는 저항부;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캐리어 신호가 인가되는 상태에서, 해당 인가 대상의 양단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셀에 대하여, 상기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 및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며,
    상기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며,
    상기 제1 기준 주파수는 상기 제2 기준 주파수보다 작은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저 저항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대 저항값으로 설정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동상의 I 신호와 90도 지연된 Q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Q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로부터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내부 저항의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용량을 계산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수명을 예측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9.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과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제2 저항 각각에,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는 상태에서, 해당 인가 대상의 양단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배터리셀에,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셀의 양단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셀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 값 및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저항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1 저항으로부터 측정된 제1 임피던스 값과, 상기 제2 저항에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2 저항으로부터 측정된 제2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에서의 제1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저항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1 저항으로부터 측정된 제3 임피던스 값과, 상기 제2 저항에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2 저항으로부터 측정된 제4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에서의 제2 조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며,
    상기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에서의 하이 임피던스 캐리어 신호이며,
    상기 제1 기준 주파수는 상기 제2 기준 주파수보다 작은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셀에 상기 제1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측정된 제5 임피던스 값 및 상기 제1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직류 성분 저항과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체 내부 저항을 산출하고,
    상기 배터리셀에 상기 제2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측정된 제6 임피던스 값 및 상기 제2 조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직류 성분 저항을 산출하며,
    산출된 전체 내부 저항에서 산출된 직류 성분 저항을 빼서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산출함으로써, 내부 저항의 직류 성분 저항 및 교류 성분 임피던스를 각각 산출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저 저항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배터리셀이 개로 전압 상태일 때의 예상 최대 저항값으로 설정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가 대상의 양단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동상의 I 신호와 90도 지연된 Q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Q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로부터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의 양단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에 대해서 동상의 I 신호와 90도 지연된 Q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Q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각 임피던스 신호로부터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배터리셀 저항 측정 방법.
  16. 충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상기 배터리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청구항 1에 따른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80152645A 2018-11-30 2018-11-30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442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45A KR102442474B1 (ko) 2018-11-30 2018-11-30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EP19890181.1A EP3872508A4 (en) 2019-11-29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battery cell resistance
CN201980076216.7A CN113646649A (zh) 2018-11-30 2019-11-29 用于测量电池单元电阻的装置及方法
US17/292,747 US20210396815A1 (en) 2018-11-30 2019-11-29 Battery Cell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PCT/KR2019/016797 WO2020111896A1 (ko) 2018-11-30 2019-11-29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21525706A JP2022507235A (ja) 2018-11-30 2019-11-29 バッテリーセル抵抗測定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45A KR102442474B1 (ko) 2018-11-30 2018-11-30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07A true KR20200065807A (ko) 2020-06-09
KR102442474B1 KR102442474B1 (ko) 2022-09-14

Family

ID=7085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645A KR102442474B1 (ko) 2018-11-30 2018-11-30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96815A1 (ko)
JP (1) JP2022507235A (ko)
KR (1) KR102442474B1 (ko)
CN (1) CN113646649A (ko)
WO (1) WO20201118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258A (ko) * 2020-11-27 2022-06-03 (주)엘탑 재사용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4053946A1 (ko) * 2022-09-06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514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엘지화학 BMS(Battery Manager System), ECU(Electronic Control Unit), 그리고 BMS와 ECU 간의 통신 방법
US11604229B2 (en) 2020-12-28 2023-03-14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Techniques for determining energy storage device state of health
DE102021207106A1 (de) 2021-07-06 2023-01-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elektrischen Speich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45B1 (ko) * 2011-01-31 2012-06-27 주식회사티움리서치 이차전지 건강상태 진단장치
KR20140084910A (ko) * 2012-12-27 2014-07-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70003354A1 (en) * 2004-12-21 2017-01-05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Energy storage cell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methods and related systems
US20170219660A1 (en) * 2014-07-25 2017-08-03 Lithium Balance A/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in battery management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89A (zh) * 1990-11-03 1992-05-20 上海新宇电源厂 电池内阻单脉冲测定法
JP3833565B2 (ja) * 2002-04-24 2006-10-11 日本放送協会 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JP4153745B2 (ja) * 2002-07-30 2008-09-24 株式会社エヌエフ回路設計ブロック インピーダンスパラメータの推定装置
CN101639523B (zh) * 2003-06-27 2011-07-27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二次电池的内部阻抗测量方法及装置、恶化判断装置、电源系统
JP2005180927A (ja) * 2003-12-16 2005-07-07 Horiba Ltd 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CN1967270B (zh) * 2005-11-18 2010-06-09 北华大学 一种电池阻抗谱测试方法与系统
JP4928854B2 (ja) * 2006-07-05 2012-05-09 日置電機株式会社 電池の内部抵抗測定装置
JP2008175687A (ja) * 2007-01-18 2008-07-31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の内部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および蓄電池の内部インピーダンス測定方法
KR101096053B1 (ko) * 2007-11-29 2011-12-19 주식회사 와튼 축전지 등가회로의 요소별 내부 저항 또는 등가 캐패시터값 연산 방법, 및 이의 구현회로
JP4640661B2 (ja) * 2009-01-13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CN102053226B (zh) * 2009-10-29 2013-04-1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测试电池内阻的装置及方法
CN102175921A (zh) * 2011-03-16 2011-09-07 中国民航大学 一种基于fpga的便携式阻抗测量仪表
US8648602B2 (en) * 2011-06-01 2014-02-11 Nxp B.V. Battery impedance detec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9322884B2 (en) * 2012-01-06 2016-04-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mpedance analyzing device
JP6253137B2 (ja) * 2012-12-18 2017-12-27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の電池状態推定装置
KR20150029204A (ko) * 2013-09-09 201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장치, 및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JP2015055516A (ja) * 2013-09-11 2015-03-23 日置電機株式会社 基板検査装置、及び標準器
CN104502723B (zh) * 2015-01-07 2018-02-06 四川锦江电子科技有限公司 高频治疗设备电阻检测电路
JP6593769B2 (ja) * 2015-03-09 2019-10-23 中国電力株式会社 蓄電池残寿命推定方法、蓄電池点検日決定方法、蓄電池残寿命推定装置、及び蓄電池残寿命推定システム
JP6462948B2 (ja) * 2015-07-01 2019-01-30 バテル エナジー アライアンス,エルエルシー エネルギ貯蔵セル・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方法、および関連システム
JP6578815B2 (ja) * 2015-08-21 2019-09-25 株式会社Gsユアサ 二次電池の性能推定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性能推定方法
CN106526321B (zh) * 2015-09-15 2020-03-13 日置电机株式会社 阻抗测定装置及阻抗测定方法
ITUB20159266A1 (it) * 2015-12-18 2017-06-18 Magneti Marelli Spa Dispositivo elettronico, sistema e metodo per misure di resistenza di isolamento, con funzioni di auto-diagnosi 5 e di diagnosi di perdita di isolamento di un apparato elettrico energizzato rispetto a massa.
CN105738826B (zh) * 2016-03-07 2019-04-19 深圳市东宸智造科技有限公司 蓄电池检测系统及方法
KR101952406B1 (ko) * 2016-12-01 2019-02-26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2차 전지 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3354A1 (en) * 2004-12-21 2017-01-05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Energy storage cell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methods and related systems
KR101160545B1 (ko) * 2011-01-31 2012-06-27 주식회사티움리서치 이차전지 건강상태 진단장치
KR20140084910A (ko) * 2012-12-27 2014-07-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70219660A1 (en) * 2014-07-25 2017-08-03 Lithium Balance A/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in battery management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258A (ko) * 2020-11-27 2022-06-03 (주)엘탑 재사용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4053946A1 (ko) * 2022-09-06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896A1 (ko) 2020-06-04
KR102442474B1 (ko) 2022-09-14
JP2022507235A (ja) 2022-01-18
CN113646649A (zh) 2021-11-12
EP3872508A1 (en) 2021-09-01
US20210396815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474B1 (ko) 배터리셀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JP3909102B2 (ja) Rf電力測定装置
KR20180122385A (ko) 주파수 응답을 사용하여 테스트 배터리의 내부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2447728B1 (en) Spectroscopic battery-cell-impedance measurement arrangement
JP6419809B2 (ja) 蓄電システム及び特性パラメータの推定方法
US20230071975A1 (en) Modular Energy Storage System
KR20000033041A (ko) 비선형 등가회로 모형을 이용한 축전장치의특성인자 수치화 방법 및 장치
KR20040072249A (ko) 교류 임피던스 측정기술을 이용한 포터블용 배터리팩비파괴 평가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채널 측정 시스템 및방법
JP2008003055A (ja) 電力量計調整装置及び電力量計
KR101759532B1 (ko) 배터리의 내부 임피던스를 추정하는 방법
US10698035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impedance of a test battery
CN108351341B (zh) 数字膜片钳放大器
KR101220761B1 (ko) 다채널 연료전지 임피던스 측정 및 수명평가 장치
US10627357B2 (en) Digital patch-clamp amplifier
KR20220059961A (ko) 위상 결정에 의한 임피던스 결정
JPH1114674A (ja) 電力系統の高調波測定方法
Colnago et al. Automated test equipment for battery characterization: a proposal
KR200313039Y1 (ko) 교류 임피던스 측정기술을 이용한 포터블용 배터리팩비파괴 평가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채널 측정 시스템
JP3637258B2 (ja) アンプ測定装置
US11892514B2 (en) Battery monitoring system
RU2698072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полного сопротивления двухполюсни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Sandschulte et al. Multi-Cell and Wide-Frequency In-Situ Battery Impedance Spectroscopy
CN116859257A (zh) 一种特征谐波交流阻抗原位表征电池状态的方法及其系统
US10288660B2 (en) Comb signal generator, measuring device and method
JP2024507071A (ja) 電気化学システム用のリアルタイム能動的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