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212A -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212A
KR20200064212A KR1020180149224A KR20180149224A KR20200064212A KR 20200064212 A KR20200064212 A KR 20200064212A KR 1020180149224 A KR1020180149224 A KR 1020180149224A KR 20180149224 A KR20180149224 A KR 20180149224A KR 20200064212 A KR20200064212 A KR 20200064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management server
user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정욱
김진우
고민기
Original Assignee
(주) 비지에프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지에프리테일 filed Critical (주) 비지에프리테일
Priority to KR1020180149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4212A/ko
Publication of KR2020006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컴퓨팅 기기에 설치 및 실행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관리 서버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점포의 판매 상품들 중에서 소셜미디어 상의 인기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Hot item recommend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의점 등의 점포와 관련한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6108호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 간의 연관 분석을 통한 상품추천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고객에게 온라인 쇼핑몰 조회 도중 또는 온라인 쇼핑몰 조회 종료 후에 바로 온라인 쇼핑몰들에서 조회했던 상품들과 연관된 연관상품들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서 상품의 구매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 조회 페이지를 벗어나는 이탈 고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6108호 (2014년 4월 18일 공개)
본 발명은 사용자와 점포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컴퓨팅 기기에 설치 및 실행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관리 서버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점포의 판매 상품들 중에서 소셜미디어 상의 인기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소셜미디어 상의 인기상품 정보와 인기상품에 대한 원문 링크를 함께 화면 표시하고, 인기상품 구매가 가능한 점포 정보를 관리 서버로 요청하며, 관리 서버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점포를 검색하고 검색된 점포별 인기상품 재고정보를 확인한 후에 재고 보유한 점포 정보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점포 정보에 재고 수량을 포함시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셜미디어 상의 인기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점포 정보를 사용자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함으로써, 트렌드에 민감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점포 매출에도 기여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상품 추천 서비스와 관련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골 점포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포인트 지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포인트 지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컴퓨팅 기능을 가진 통신 기기로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점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하에서는 ‘서비스 앱’이라 한다)(200)이 설치되어 실행된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200)은 앱스토어 등에서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관리 서버(300)는 본사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점포(가맹점)들에 설치된 점포 단말들과 데이터 통신하며, 서로 다른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00)들에 설치된 서비스 앱(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점포 단말(400)은 점포 내에 설치된 결제 단말이다. 점포 단말(400)은 포스(PoS) 단말일 수 있다. 이 같은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인기상품을 추천하며 사용자가 구매에 관심이 있을 경우에 그 인기상품을 판매하는 점포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가로,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점포들 중에서 자주 방문하는 점포를 단골 점포로 등록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단골 점포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관리 서버(300)는 서비스 앱(200)으로 소셜미디어 상의 인기상품 정보, 즉 SNS(social network service) 인기상품 정보를 서비스 앱(200)으로 전달한다(S400). 서비스 앱(200)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SNS 인기상품 정보를 화면 표시한다. 도 3에 화면 표시된 SNS 인기상품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우측 상단 표시된 화살표(10)는 SNS 인기상품에 대한 원문 링크용으로서, 이를 클릭하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SNS 원문으로 링크된다. 그리고 도 3의 인기상품 소개 화면의 하단부에서 확인되는 음영표시바(20)를 클릭하면, 도 5과 같이 점포찾기나 쿠폰받기 선택이 가능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도 5에서 점포찾기를 선택하여 SNS 인기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점포를 검색 요청할 수 있으며, 쿠폰받기를 선택하여 SNS 인기상품 구매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수령할 수도 있다.
서비스 앱(2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관리 서버(300)로 SNS 인기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점포 검색을 요청한다(S420). 관리 서버(300)는 서비스 앱(200)의 요청에 따라 점포를 검색한다(S4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점포를 검색하되,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점포별 SNS 인기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확인하여 소정 개수 이상(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재고를 보유한 점포만을 검색한다. 이때, 검색되는 최대 점포 수는 제한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점포들만이 검색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검색을 통해 얻어진 점포 정보를 서비스 앱(200)으로 전달한다(S440). 점포 정보에는 검색된 점포별 SNS 인기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앱(200)은 점포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 표시한다(S450).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점포 정보에는 점포명과 주소 및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술한 재고 개수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6에서 위치 아이콘(30)을 클릭하면, 도 7과 같이 점포 정보를 지도 상에 반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점포를 방문하여 SNS 인기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사용자의 단골 점포에 한해서는 SNS 인기상품에 대한 예약 구매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점포들 중에서 단골 점포가 속해 있을 경우, 사용자는 단골 점포를 선택하여 SNS 인기상품을 예약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서비스 앱(2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골 점포를 지정하여 관리 서버(300)로 SNS 인기상품에 대한 예약 구매를 요청하며, 관리 서버(300)는 그 지정된 단골 점포의 점포 단말(400)로 SNS 인기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예약 구매를 알림한다(S460)(S470). 이에 점포 단말(400)은 점포 관리자의 승인 입력에 따라 혹은 승인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관리 서버(300)로 예약 구매 승인을 통지하며, 관리 서버(300)는 서비스 앱(200)으로 승인 정보를 전달한다(S480)(S490). 이후, 사용자는 단골 점포를 방문하고 승인 정보를 제시하여 SNS 인기상품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S460의 예약 구매 요청시에 결제 요청도 함께 이루어져 결제가 수행될 수 있으며, 아니면 사용자가 단골 점포에 방문하여 결제할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골 점포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서비스 앱(200)은 사용자에게 점포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점포 검색 기능으로는 최근 방문 점포 검색 기능, 사용자 위치 기반 점포 검색 기능, 지역명 기반 점포 검색 기능, 및 점포명 기반 점포 검색 기능을 예로 들 수 있다. 최근 방문 점포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최근에 방문한 점포를 검색하는 기능으로서, 기간은 최근 1주일,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등으로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아니면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 위치 기반 점포 검색 기능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점포를 검색하는 기능으로서, 소정 범위는 300m, 500m, 1km 등일 수 있으며 이 역시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역명 기반 점포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지역명에 해당하는 지역에 위치한 점포를 검색하는 기능이며, 점포명 기반 점포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점포명에 해당하는 점포를 검색하는 기능이다.
사용자는 최근 방문 점포 검색 기능과 사용자 위치 기반 점포 검색 기능과 지역명 기반 점포 검색 기능 및 점포명 기반 점포 검색 기능 중에서 원하는 검색 기능을 통해 점포 검색을 시도할 수 있으며, 서비스 앱(200)은 사용자의 점포 검색 시도에 따라 관리 서버(300)로 점포 검색을 요청한다(S100). 이에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 기능에 근거하여 점포 검색을 실시하며 검색이 완료되면 점포 검색 리스트를 서비스 앱(200)으로 전달한다(S110). 이와 달리, 서비스 앱(200)은 자체적으로 점포 검색을 실시하여 점포 검색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서비스 앱(200)은 점포 검색 리스트를 화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에 사용자는 점포 검색 리스트에 속한 점포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점포별 정보에는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위치 정보는 맵 상에 해당 위치가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점포 검색 리스트에 속한 점포들 중에서 단골 점포로 등록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점포를 선택하며, 서비스 앱(200)은 선택된 점포를 사용자의 단골 점포로 등록할 것을 요청한다(S120). 이에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점포를 사용자의 단골 점포로 등록하여 관리한다(S130). 단골 점포로 등록 가능한 수는 제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대 3개까지 가능하다. 이후, 서비스 앱(200)은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단골 점포에 대한 설문 결과 및/또는 리뷰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단골 점포에 대한 평가 및/또는 리뷰를 행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한다(S140)(S150). S140과 S150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포인트 지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단골 점포를 방문하였을 경우에 사용자의 단골 점포 방문 횟수를 1회 가산한다(S1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300)는 단골 점포에서 사용자의 상품 구매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에 사용자가 단골 점포를 방문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골 점포 방문 횟수를 1회 가산한다. 이때, 관리 서버(300)는 단골 점포에서의 사용자의 결제 시점이 이전 결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기준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 한하여 단골 점포 방문 횟수를 1회 가산한다. 이때, 이전 결제 시점의 점포는 단골 점포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방문 횟수는 단골 점포별로 구분하여 가산할 수도 있고 구분하지 않고 통합하여 방문 횟수를 가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준 시간은 30분이나 1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같이 기준 시간을 두는 이유는 사용자가 결제를 여러번 나누어 수행함으로써 방문 횟수를 의도적으로 높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300)는 가산된 방문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210). 소정 횟수는 10회 단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단골 점포에 방문한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였으면,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점포에서 사용 가능한 포인트를 지급한다(S2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300)는 설정 기간 동안 방문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한다. 예를 들어, 설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방문 횟수가 10회에 도달하면 100p, 20회에 도달하면 150p, 30회에 도달하면 200p, 40회에 도달하면 250p, 50회에 도달하면 300p를 지급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방문 횟수와 포인트 정보를 서비스 앱(2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포인트 지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사용할 결제용 코드를 생성하여 서비스 앱(200)으로 전송한다(S300). 결제용 코드는 이차원 바코드일 수 있다. 결제용 코드는 일회용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일회용일 경우, 관리 서버(300)는 서비스 앱(200)의 요청이 있을 시마다 결제용 코드를 생성하여 서비스 앱(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앱(2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제용 코드를 화면에 표시한다(S310). 점포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된 결제용 코드를 획득한다(S320). 예를 들어, 점포 단말(400)은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결제용 코드를 획득한다.
점포 단말(400)은 결제용 코드 정보와 점포 식별자 및 상품 결제 금액 등이 포함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330). 관리 서버(300)는 점포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요청 메시지에 따라 결제를 처리한 후에 점포 단말(400)로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S350). 또한, 관리 서버(300)는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점포 식별자가 사용자의 단골 점포에 부여된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며, 일치할 경우 방문 횟수를 가산한다(S360). 다음으로, 관리 서버(300)는 가산된 방문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한다(S370). S360과 S370는 상술한 S200과 S210 및 S22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서비스 앱
300 : 관리 서버 400 : 점포 단말

Claims (3)

  1. 컴퓨팅 기기에 설치 및 실행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점포의 판매 상품들 중에서 소셜미디어 상의 인기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소셜미디어 상의 인기상품 정보와 인기상품에 대한 원문 링크를 함께 화면 표시하고, 인기상품 구매가 가능한 점포 정보를 관리 서버로 요청하며,
    관리 서버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점포를 검색하고 검색된 점포별 인기상품 재고 정보를 확인한 후에 재고 보유한 점포 정보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점포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점포 정보에 재고 정보를 포함시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점포 관리 시스템.
KR1020180149224A 2018-11-28 2018-11-28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64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224A KR20200064212A (ko) 2018-11-28 2018-11-28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224A KR20200064212A (ko) 2018-11-28 2018-11-28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12A true KR20200064212A (ko) 2020-06-08

Family

ID=7108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224A KR20200064212A (ko) 2018-11-28 2018-11-28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4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92A (ko) * 2021-07-01 2023-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편의점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108A (ko) 2012-10-09 2014-04-18 메가브레인(주)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 간의 연관 분석을 통한 상품추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108A (ko) 2012-10-09 2014-04-18 메가브레인(주)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 간의 연관 분석을 통한 상품추천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92A (ko) * 2021-07-01 2023-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편의점 추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2913B1 (en) Database system for triggering event notifications based on updates to database records in an electronic file
US7970661B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allocating a transaction discount during a collaborative shopping session
KR101808265B1 (ko) 빈자리 안내 및 예약 서비스 시스템
US20110196724A1 (en) Consumer-oriented commerce facilitation services, applications, and devices
US102356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ocial discovery relationships
US20130297424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automate haggling before physical point-of-sale commerce
US88319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bscription-based delivery service
JP6722375B2 (ja) 知人の商品購買履歴、関心商品及び利用後記を活用した商品販売システム
KR101601159B1 (ko) Sns 관계 정보를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US20200065882A1 (en) Collaborative geolocation shopping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WO20200066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centives to users
US20130317907A1 (en) Business to Consumer Marketing
KR20170067697A (ko) 전자 쿠폰 발행/구독 모델을 이용한 전자 쿠폰 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2484A (ko) 샵인샵 중개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샵인샵 중개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103189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amless charitable exchange of products and services
US202300050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ng point balances across customer accounts
KR20200064212A (ko)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10196727A1 (en) Online Time Interval Based Sale Management Platform
KR102467043B1 (ko) 쇼핑몰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00072703A (ko) 마케팅 정보 입력을 통한 가격인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제공방법 및 장치
US11397719B1 (en) Database system for triggering event notifications based on updates to database records in an electronic file
CA31666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loyalty rewards points
KR20100123502A (ko) 결제 정보 기반 광고 시스템 및 광고방법
JP5844600B2 (ja) 商品販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