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183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183A
KR20200064183A KR1020180141990A KR20180141990A KR20200064183A KR 20200064183 A KR20200064183 A KR 20200064183A KR 1020180141990 A KR1020180141990 A KR 1020180141990A KR 20180141990 A KR20180141990 A KR 20180141990A KR 20200064183 A KR20200064183 A KR 20200064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reless earphone
sound
terminal device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4183A/ko
Publication of KR2020006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K237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0Magnetic or electromagnetic sensors
    • B60W2420/506Inductive sensors, i.e. passive wheel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 외부 음향 및 위험 감지에 기초하여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여 운전자가 위험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외부에서 발생한 외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차량 내의 무선 이어폰 및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과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 사이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 및 상기 외부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을 착용한 경우, 무선 이어폰을 통하여 차량 주행 관련 사운드를 출력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장치 및 배터리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단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무선 이어폰이 개발되었다.
무선 이어폰은 단말 장치와 전기선 없이도 연결이 가능하며, 소형화되어 사용자들이 장소 및 시간에 관계없이 착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상황이 예상된다.
다만,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이 조작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외부에서의 경적 사운드나 차량으로부터의 경고음을 듣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 외부 음향 및 위험 감지에 기초하여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여 운전자가 위험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외부에서 발생한 외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차량 내의 무선 이어폰 및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과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 사이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 및 상기 외부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음향에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증폭하도록 상기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외부 음향을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다른 객체에서 출력되는 경적 사운드 및 사이렌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외부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및 레이더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이어폰에 포함되는 왼쪽의 무선 이어폰 및 오른쪽의 무선 이어폰 중 어느 하나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차선 이탈 또는 상기 충돌 위험에 대응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에 왼쪽 및 오른쪽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이어폰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운전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한 상기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의 탈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이어폰이 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음향 및 상기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외부에서 발생한 외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 및 상기 차량 내의 무선 이어폰 및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과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 사이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 및 상기 외부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외부 음향에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증폭하도록 상기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외부 음향을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다른 객체에서 출력되는 경적 사운드 및 사이렌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외부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및 레이더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무선 이어폰에 포함되는 왼쪽의 무선 이어폰 및 오른쪽의 무선 이어폰 중 어느 하나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차선 이탈 또는 상기 충돌 위험에 대응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에 왼쪽 및 오른쪽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할당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이어폰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운전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한 상기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의 탈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음향 및 상기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무선 이어폰이 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음향 및 상기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음향 및 위험 감지에 기초하여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이어폰에 송신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이어폰을 포함하는 사운드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무선 이어폰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무선 이어폰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경우의 보정함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이 무선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 중 무선 이어폰에 사운드를 송신하는 경우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이어폰을 포함하는 사운드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시스템(1)은 차량(10),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는 상호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또는 인체 영역 네트워크(body area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의 운전자는 단말 장치(30)와 연결된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한 상태로 차량(10)에 탑승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0)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와 연결됨으로써 상호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무선 이어폰(20)은 단말 장치(30)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단말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 파일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무선 이어폰(20)은 차량(10)의 운전자의 귀에 착용되어 운전자에게 직접적으로 사운드를 전달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차량(1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장치(3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받거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사운드 파일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차량(10)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3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 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 내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와, 외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120)와, 차량(10)의 위험을 감지하고, 감지된 위험에 기초하여 차량(10)을 제어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과,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 사이의 연결 상태에 따라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와 연결을 수행하고, 외부 음향 및 위험 감지에 기초하여 차량(10)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무선 이어폰(20)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 및 무선 이어폰(20)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전술한 근거리 통신 중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10) 내 위치하는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외부 장치(예: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20)는 외부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음향은, 차량(10)의 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리에 해당할 수 있다. 차량(10)은 마이크(120)를 차량(10)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하여 차량(1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부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음향에는 차량(1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부 경고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경고 사운드는 차량(10) 이외의 다른 객체(예: 다른 차량, 보행자, 도로 인프라)에서 발생되는 경적 사운드 및 사이렌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Driver Assistance System, DAS)(130)은 차량(10)의 위험을 감지하고, 감지된 위험에 기초하여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은, 운전자가 차량(10)을 조작(구동, 제동, 조향)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은 차량(10) 주변의 환경(예: 다른 차량, 보행자, 차선, 도로 표지판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에 응답하여 차량(10)의 구동 및/또는 제동 및/또는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은 운전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은 차선 이탈 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와, 차선 유지 보조(Lane Keeping Assist, LKA)와, 상향등 보조(High Beam Assist, HBA)와, 자동 긴급 제동(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과, 교통 표지판 인식(Traffic Sign Recognition, TSR)과,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ise Control, SCC)과, 사각지대 감지(Blind Spot Detection, BSD)와, 주차 보조 시스템(Parking Assist System, PAS)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은 차량(10) 주변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과, 차량(10) 주변의 객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레이더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미도시)은 카메라를 포함하며, 차량(10)의 전방을 촬영하고 다른 차량, 보행자, 차선, 도로 표지판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레이더 모듈(미도시)은 레이더를 포함하며, 차량(10) 주변의 객체(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등)의 상대 위치, 상대 속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이처럼,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은 차량(10)의 위험 예를 들어,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위험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운전자를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42)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2)와 프로세서(141)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차량(10)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3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에 기초하여 차량(10)이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마이크(120)를 통하여 획득되는 외부 음향 및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으로부터 감지된 위험에 기초하여 생성된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의 운전자는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하는 상태에서도, 외부 음향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이어폰(20)을 통하여 전달받음으로써, 차량(10)에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외부 음향에 포함되는 외부 경고 사운드를 증폭하도록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된 외부 음향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것은, 외부 경고 사운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에 의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경고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차량(10)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및 레이더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경고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경고음은,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을 경고하기 사운드에 해당하며, 미리 설정된 전자음(예: 삑)에 해당하거나 경고 멘트(예: 오른쪽 차선을 이탈하였습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무선 이어폰(20)에서 방향성을 갖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대응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경고음에 왼쪽 및 오른쪽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향 정보가 할당된 경고음을 수신하는 무선 이어폰(20)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방향의 무선 이어폰(20)에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이 오른쪽 측면에서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141)는 오른쪽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경고음에 할당할 수 있으며, 방향 정보가 할당된 경고음을 수신하는 무선 이어폰(20)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오른쪽 방향의 무선 이어폰(20)에서만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차량(10) 내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가 위치하고,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무선 이어폰(20)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 및 무선 이어폰(20)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1)는 입력부(160)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2 메시지에 대한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무선 이어폰(20)의 탈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무선 이어폰(20)이 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외부 음향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2)는 프로세서(141)가 외부 음향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의 카메라 모듈 및 레이더 모듈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 및 레이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경고음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2)는 마이크(120),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외부 음향을 임시로 기억하고, 프로세서(141)의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42)는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0)는 전술한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50)는 차량(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대시보드(미도시)의 중앙에 설치된 센터페시아(미도시)에 마련될 수 있으며,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된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입력부(160)의 위치 및 구현 방식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 및 구현 방식이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무선 이어폰(20)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무선 이어폰(20)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경우의 보정함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는 차량(1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10)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310).
즉, 차량(10)의 운전자가 단말 장치(30)를 소지하고 차량(10)에 탑승하는 경우, 단말 장치(30)는 차량(10)과의 통신을 위하여 차량(10)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단말 장치(3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 사이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2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1)는 단말 장치(30)의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30)로 무선 이어폰(20)과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30)로부터 무선 이어폰(20)과의 연결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단말 장치(30)가 무선 이어폰(20)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1)는 단말 장치(30)의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30)의 듀얼 페어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 장치(30)가 무선 이어폰(20)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요청 메시지는 단말 장치(30)와의 연결된 전자 기기의 유형 및 연결된 전자 기기의 개수에 대한 지시자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 사이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이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330).
즉,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차량 내 진입한 단말 장치(30)가 무선 이어폰(20)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차량(10)의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 모두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연결은 전술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연결을 통해 차량(10)은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과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경고 메시지 및 무선 이어폰 탈착 여부 확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340).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차량(10) 내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가 위치하고,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무선 이어폰(20)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 및 무선 이어폰(20)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1)는 차량(10) 내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차량(10)의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 이어폰(20)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예: 무선 이어폰 착용 시 사고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4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1)는 차량(10) 내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차량(10)의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 이어폰(20)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예: 무선 이어폰을 탈착하셨습니까?)(5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1)는 차량(10)의 운전자가 입력부(160)를 통하여 무선 이어폰(20)을 탈착하였음을 나타내는 입력(예: 제2 메시지(500) 상의 예(510))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을 탈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 이어폰(20)과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1)는 차량(10)의 운전자가 입력부(160)를 통하여 무선 이어폰(20)을 탈착하지 아니하였음을 나타내는 입력(예: 제2 메시지(500) 상의 아니오(520))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을 탈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 이어폰(20)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10) 마이크(120)를 통하여 외부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35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는 단말 장치(30)에 마련되는 마이크(미도시)를 이용하여 수신한 외부 음향을 차량(10)에 송신할 수 있다(360).
즉, 차량(10)은 통신부(110)를 통하여 단말 장치(30)로부터 외부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20)은 무선 이어폰(20)에 마련된 마이크(미도시)를 이용하여 수신한 외부 음향을 차량(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10)은 통신부(110)를 통하여 단말 장치(30) 또는 무선 이어폰(20)으로부터 외부 음향을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획득된 외부 음향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할 수 있다.
차량(10)의 운전자는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무선 이어폰(20)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에 의하여 차량(10)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부 음향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외부 음향에는 다른 객체(예: 다른 차량, 보행자, 도로 인프라)에서 발생되는 경적 사운드 및 사이렌 사운드 등을 포함하는 외부 경고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외부 음향에 포함되는 외부 경고 사운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획득된 외부 음향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한 운전자도 외부 음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외부 음향 중 외부 경고 사운드가 증폭되도록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370), 조정된 외부 음향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380).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20)은 차량(10)으로부터 수신한 조정된 외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390).
이를 통해, 외부 음향에 포함된 외부 경고 사운드가 보다 더 선명하게 무선 이어폰(20)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한 차량(10)의 운전자는 차량(10)의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외부 경고 사운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경고 사운드는 사람이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주파수(예: 1000Hz~2000Hz)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외부 음향의 주파수 대역 중 1000Hz~2000Hz 대역에 대응하는 외부 음향의 소리 크기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외부 경고 사운드를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별 청감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주파수별 청감 보정량은 웨이팅 필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웨이팅 필터는 인간 청감 보정을 위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필터이다. 즉, 프로세서(141)는 외부 경고 사운드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획득된 외부 음향에 웨이팅 필터를 적용하여 외부 경고 사운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소리 크기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실예에 따라 프로세서(141)가 사용하는 웨이팅 필터는 도 6에 도시된 A 웨이팅 필터(A-weighting filter)에 해당할 수 있다. A 웨이팅 필터는 외부 음향에 포함되는 저주파 성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귀의 민감도에 반비례하는 가중치를 각 주파수에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A 웨이팅 필터는 외부 경고 사운드에 대응하는 2000Hz에서 2dB의 피크를 가질 수 있다.
다만, A 웨이팅 필터는 프로세서(141)가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필터에 해당할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486 웨이팅 필터 등 다양한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41)는 외부 음향에 포함되는 외부 경고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을 판단할 수 있으며, 외부 경고 사운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웨이팅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이 무선 이어폰(20)을 통하여 출력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위험 감지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고음(예: 오른쪽 차선을 이탈하였습니다.)(700)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이어폰(20)은 수신된 경고음(70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의 운전자는 차량(10)에서 생성되는 경고음을 무선 이어폰(20)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차량(10)의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에 따라 차량(10)의 스피커(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경고음을 듣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에 의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경고음(700)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차량(10)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및 레이더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경고음(7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경고음(700)은,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을 경고하기 사운드에 해당하며, 미리 설정된 전자음(예: 삑)에 해당하거나 경고 멘트(예: 오른쪽 차선을 이탈하였습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무선 이어폰(20)에서 방향성을 갖는 경고음(700)이 출력되도록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대응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경고음(700)에 왼쪽 및 오른쪽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향 정보가 할당된 경고음(700)을 수신하는 무선 이어폰(20)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방향의 무선 이어폰(20)에서 경고음(700)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이 오른쪽 측면에서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141)는 오른쪽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경고음(700)에 할당할 수 있으며, 방향 정보가 할당된 경고음(700)을 수신하는 무선 이어폰(20)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오른쪽 방향의 무선 이어폰(20)에서만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이어폰(20)이 단말 장치(30)에 연결되어 사운드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선 이어폰(20)이 차량(10)의 운전자에게 착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위험 감지에 따라 생성되는 경고음(700)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의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음(700)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차량(10)의 제어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방법 중 무선 이어폰(20)에 사운드를 송신하는 경우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차량 내 위치하는 단말 장치(3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810).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단말 장치(3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 사이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이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820의 예), 단말 장치(30) 및 무선 이어폰(20)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830).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경고 메시지 및 무선 이어폰 탈착 여부 확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840).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차량(10) 내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가 위치하고, 무선 이어폰(20) 및 단말 장치(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무선 이어폰(20)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400) 및 무선 이어폰(20)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1)는 차량(10)의 운전자가 입력부(160)를 통하여 무선 이어폰(20)을 탈착하였음을 나타내는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을 탈착한 것으로 판단하고(850의 예), 무선 이어폰(20)과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1)는 차량(10)의 운전자가 입력부(160)를 통하여 무선 이어폰(20)을 탈착하지 아니하였음을 나타내는 입력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을 탈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850의 아니오), 무선 이어폰(20)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위험 감지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고음(예: 오른쪽 차선을 이탈하였습니다.)(700)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이어폰(20)은 수신된 경고음(700)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130)에 의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경고음(700)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1)는 차량(10)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및 레이더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경고음(7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경고음(700)은,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을 경고하기 사운드에 해당하며, 미리 설정된 전자음(예: 삑)에 해당하거나 경고 멘트(예: 오른쪽 차선을 이탈하였습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무선 이어폰(20)에서 방향성을 갖는 경고음(700)이 출력되도록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대응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경고음(700)에 왼쪽 및 오른쪽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향 정보가 할당된 경고음(700)을 수신하는 무선 이어폰(20)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방향의 무선 이어폰(20)에서 경고음(700)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1)는 위험 감지에 기초하여 경고음(700)을 생성하는 경우(860의 예), 경고음(700)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870). 이를 통해, 차량(10)은, 차량(10)의 운전자가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음(700)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위험 감지에 기초한 경고음(700)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는(860의 아니오), 획득된 외부 음향을 무선 이어폰(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이어폰(20)은 수신된 외부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10)의 운전자는 무선 이어폰(20)을 통하여 단말 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를 청취하는 중에도 외부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0)은 차량(10)의 마이크(120), 무선 이어폰(20)의 마이크 및 단말 장치(30)의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부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880), 조정된 외부 음향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할 수 있다(890).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외부 음향 중 외부 경고 사운드가 증폭되도록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된 외부 음향을 무선 이어폰(2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외부 경고 사운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경고 사운드는 사람이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주파수(예: 1000Hz~2000Hz)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프로세서(141)는 외부 음향의 주파수 대역 중 1000Hz~2000Hz 대역에 대응하는 외부 음향의 소리 크기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외부 경고 사운드를 증폭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41)는 외부 음향에 포함되는 외부 경고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을 판단할 수 있으며, 외부 경고 사운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웨이팅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음향에 포함된 외부 경고 사운드가 보다 더 선명하게 무선 이어폰(20)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무선 이어폰(20)을 착용한 차량(10)의 운전자는 차량(10)의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사운드 재생 시스템
10: 차량
20: 무선 이어폰
30: 단말 장치
110: 통신부
120: 마이크
130: 운전자 보조 시스템
140: 제어부
141: 프로세서
142: 메모리
150: 디스플레이부
160: 입력부

Claims (20)

  1. 차량 외부에서 발생한 외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차량 내의 무선 이어폰 및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과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 사이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 및 상기 외부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음향에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증폭하도록 상기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외부 음향을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다른 객체에서 출력되는 경적 사운드 및 사이렌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외부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및 레이더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을 생성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이어폰에 포함되는 왼쪽의 무선 이어폰 및 오른쪽의 무선 이어폰 중 어느 하나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차선 이탈 또는 상기 충돌 위험에 대응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에 왼쪽 및 오른쪽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할당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이어폰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운전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한 상기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의 탈착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이어폰이 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음향 및 상기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
  11. 차량 외부에서 발생한 외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 및 상기 차량 내의 무선 이어폰 및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과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 사이의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과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경고음 및 상기 외부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음향에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증폭하도록 상기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외부 음향을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다른 객체에서 출력되는 경적 사운드 및 사이렌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외부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및 레이더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된 차선 이탈 또는 충돌 위험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어폰에 포함되는 왼쪽의 무선 이어폰 및 오른쪽의 무선 이어폰 중 어느 하나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차선 이탈 또는 상기 충돌 위험에 대응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에 왼쪽 및 오른쪽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할당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이어폰의 착용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경고하는 제1 메시지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의 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운전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제2 메시지에 대한 상기 운전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의 탈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음향 및 상기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무선 이어폰이 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음향 및 상기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이어폰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80141990A 2018-11-16 2018-11-1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64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90A KR20200064183A (ko) 2018-11-16 2018-11-1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90A KR20200064183A (ko) 2018-11-16 2018-11-1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183A true KR20200064183A (ko) 2020-06-08

Family

ID=7108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990A KR20200064183A (ko) 2018-11-16 2018-11-1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41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2478B2 (en) Reproduction of ambient environmental sound for acoustic transparency of ear canal device system and method
EP3227788B1 (en) Master device for using connection attribute of electronic accessories connections to facilitate locating an accessory
JP6522527B2 (ja) 画像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に基づいた危険の検出及び警告用のウェアラブルスマート装置
CN106043114B (zh) 用于朝目标区域发射警报的技术
US10694291B2 (en) Directional propag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a terminal device and a storage medium
KR101867915B1 (ko) 차량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KR20170066357A (ko) 보행자 정보 시스템
JP2015510283A (ja) 着用可能な計算機システムへのサウンド状態の表示
US9880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7003023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CN114103985A (zh) 一种基于障碍物的提示方法、装置和设备
CN108732539B (zh) 一种鸣笛车辆的标记方法及装置
KR20200064183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722813B2 (en) Situational awareness, communication, and safety for hearing protection devices
US20240046773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JP2020154795A (ja)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および出力制御プログラム
US9806753B2 (en) Navigation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in vehicle and vehicle carrying out the same
KR102255429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JP201508769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40003277A (ko) 차량과 보행자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와 방법, 이러한 충돌 방지 장치와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와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76464A (ko) 운전자 졸음 경고 시스템
KR10235625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20230381025A1 (en) Situational awareness, communication, and safety in hearing prote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KR102334319B1 (ko) 증강 현실 표시 장치를 이용한 청각 정보의 시각 변환 및 전달 방법 및 장치
WO2021112161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