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660A -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660A
KR20200063660A KR1020180149644A KR20180149644A KR20200063660A KR 20200063660 A KR20200063660 A KR 20200063660A KR 1020180149644 A KR1020180149644 A KR 1020180149644A KR 20180149644 A KR20180149644 A KR 20180149644A KR 20200063660 A KR20200063660 A KR 20200063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fixing
shelf
driven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828B1 (ko
Inventor
이슬
이정훈
강휘재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8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characterized by being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single substrate or by comprising a stack of such individual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2Mar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원통형 선반 장치는 측면 둘레를 따라 대상물을 적재하며, 하단부에 종동 기어를 가지며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 선반과, 상기 원통형 선반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선반을 지지하며, 상기 종동 기어를 일부 노출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를 가지며,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원통형 선반을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과, 상기 원통형 선반에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선반의 원점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 마크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선반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여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을 차단하는 고정 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Cylindrical shelf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a driving unit of the same}
본 발명은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대상물을 적재하는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에서 웨이퍼들이 수납된 캐리어나 레티클들이 수납된 레티클 포드와 같은 대상물들은 스토커(Stocker)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스토커는 상기 대상물이 안착되는 로드 포트 및 상기 대상물들이 적재되는 선반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은 격자 형태를 갖거나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선반의 경우 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대상물들이 적재되며,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대상물들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의 모터를 교체하는 등의 여러 이유로 상기 구동 유닛을 상기 원통형 선반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원통형 선반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선반을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원통형 선반에 구비된 종동 기어의 원점이 회전한다. 상기 종동 기어에서 상기 원점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 기어를 상기 원통형 선반에 구비된 종동 기어의 상기 원점에 정확하게 결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구동 유닛의 구동 기어를 원통형 선반에 구비된 종동 기어의 원점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는 원통형 선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동 유닛의 구동 기어를 원통형 선반에 구비된 종동 기어의 원점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는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선반 장치는, 측면 둘레를 따라 대상물을 적재하며, 하단부에 종동 기어를 가지며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 선반과, 상기 원통형 선반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선반을 지지하며, 상기 종동 기어를 일부 노출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를 가지며,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원통형 선반을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과, 상기 원통형 선반에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선반의 원점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 마크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선반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여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을 차단하는 고정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핀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고정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 핀의 상단은 상기 원통형 선반에 형성된 핀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가 맞물리는 제1 위치와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된 상기 구동 모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 기어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은, 측면 둘레를 따라 대상물들이 적재되는 원통형 선반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원통형 선반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구비된 센서로 상기 원통형 선반에 구비되어 상기 원점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 마크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원점 센서가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하면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고정 핀으로 상기 원통형 선반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를 갖는 구동 유닛을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가 맞물리는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은, 상기 고정 핀으로 상기 원통형 선반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된 상기 고정 핀을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원통형 선반에 형성된 핀 홀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선반 장치는 상기 센서로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선반에서 상기 종동 기어의 원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가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핀으로 상기 원통형 선반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한다.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종동 기어의 상기 원점을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상기 제1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의 상기 원점이 상기 제1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종동 기어에 결합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종동 기어의 상기 원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선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선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선반 장치(100)는 원통형 선반(110), 지지부재(120), 구동 유닛(130), 기준 마크(140), 센서(142), 고정 핀(150), 고정 브래킷(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선반(110)은 측면 둘레를 따라 대상물(10)을 적재하며, 하단부에 종동 기어(116)를 가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대상물(10)은 웨이퍼들이 수납된 캐리어, 레티클들이 수납된 레티클 포드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통형 선반(11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를 가지며, 선반부(112)와 회전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112)는 대략 원통 형태를 가지며, 둘레를 따라 다수의 수납홈(113)들을 갖는다. 상기 수납홈(113)들은 다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14)는 대략 원통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선반부(112)의 하부면에 상기 선반부(112)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114)는 상기 선반부(1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선반부(11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14)의 지름은 상기 선반부(112)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 마크(140)와 후술하는 핀 홀(118)을 상기 선반부(112)의 하부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14)의 둘레를 따라 상기 종동 기어(1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원통형 선반(110)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선반(11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원통형 선반(110)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종동 기어(116)의 일부를 노출한다. 이때, 상기 노출된 종동 기어(116)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30)은 상기 지지부재(120)에 의해 노출된 상기 종동 기어(116)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132)를 가지며, 상기 구동 기어(132)를 회전시켜 상기 원통형 선반(110)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유닛(130)은 상기 구동 기어(132), 구동 모터(134), 고정 부재(136) 및 가이드 부재(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132)는 상기 종동 기어(116)와 맞물리며, 상기 종동 기어(11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34)는 상기 구동 기어(132)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 기어(1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모터(134)는 상기 구동 기어(132)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36)는 상기 구동 모터(134)를 고정한다. 상기 구동 기어(132)가 상기 구동 모터(13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 부재(136)는 상기 구동 모터(134)와 상기 구동 기어(132)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38)는 상기 고정 부재(136)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136)를 지지한다. 상기 구동 기어(132)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138)는 상기 고정 부재(136)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구동 기어(132)와 상기 종동 기어(116)가 맞물리는 위치이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구동 모터(134)의 구동력이 상기 원통형 선반(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기어(13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116)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구동 기어(132)와 상기 종동 기어(116)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이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구동 모터(134)의 구동력이 상기 원통형 선반(11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상기 구동 기어(132)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종동 기어(116)가 회전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부재(138)는 상기 고정 부재(136)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 부재(138)는 상기 고정 부재(136)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기준 마크(140)는 상기 원통형 선반(110)에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 마크(140)는 상기 선반부(112)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 마크(140)는 상기 종동 기어(116)에서 상기 구동 기어(132)와 맞물리기 위한 원점을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 마크(140)는 반사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기준 마크(140)는 발광부일 수 있다.
상기 센서(142)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한다.
상기 기준 마크(140)가 상기 반사판인 경우, 상기 센서(142)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된 광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142)에서 상기 기준 마크(140)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기준 마크(140)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마크(140)가 상기 발광부인 경우, 상기 센서(142)는 수광부일 수 있다. 상기 센서(142)는 상기 기준 마크(140)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 마크(140)가 수광부이고, 상기 센서(142)가 발광부일 수도 있다.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할 때,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은 상기 구동 기어(132)와 맞물리기 위한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핀(150)은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한 상태, 즉,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선반(110)을 상기 지지부재(120)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핀(150)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12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고정 브래킷(15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핀(150)의 상단은 상기 원통형 선반(110)에 형성된 상기 핀 홀(118)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핀 홀(118)은 상기 선반부(112)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핀(150)이 상기 원통형 선반(110)을 상기 지지부재(120)에 고정하므로, 상기 원통형 선반(11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이 상기 제1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이 상기 제1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기어(132)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종동 기어(116)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기어(132)를 상기 종동 기어(116)의 원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핀(150)은 상기 구동 기어(132)를 상기 종동 기어(116)에 결합할 때만 사용된다. 상기 경우가 아닐 때에는 상기 고정 핀(150)은 상기 고정 브래킷(152) 및 상기 핀 홀(118)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선반 장치(100)에서 구동 유닛(130)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통형 선반(11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지지부재(120)에 구비된 센서(142)로 상기 원통형 선반(110)에 구비된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한다. (S110)
이때, 상기 구동 유닛(130)은 상기 원통형 선반(11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즉, 상기 구동 기어(132)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구동 유닛(130)은 상기 원통형 선반(11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통형 선반(110)은 수작업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142)에서 상기 기준 마크(140)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기준 마크(140)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하거나, 상기 기준 마크(140)가 상기 센서(142)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하면 상기 원통형 선반(11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S120)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할 때,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종동 기어(115)의 상기 원점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원통형 선반(11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브래킷(152)과 상기 핀 홀(118)을 정렬한다. (S130)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일정한 범위에서 감지하므로, 상기 센서(142)가 상기 기준 마크(140)를 감지할 때,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이 상기 제1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고 약간 어긋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선반(110)을 수작업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 브래킷(152)과 상기 핀 홀(118)을 정렬한다. 따라서,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을 상기 제1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핀(150)으로 상기 원통형 선반(110)을 상기 지지부재(120)에 고정한다. (S140)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핀(150)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12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고정 브래킷(152)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 핀(150)의 상단은 상기 원통형 선반(110)에 형성된 상기 홈(118)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 선반(110)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을 상기 제1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동 유닛(130)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킨다. (S150)
상기 종동 기어(116)의 상기 원점이 상기 제1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13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132)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기어(132)가 상기 종동 기어(116)의 원점과 맞물릴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 기어(132)를 상기 종동 기어(116)의 원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상기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유닛을 상기 원통형 선반에 결합할 때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종동 기어의 원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 선반 장치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원통형 선반 장치 110 : 원통형 선반
120 : 지지부재 130 : 구동 유닛
140 : 기준 마크 142 : 센서
150 : 고정 핀 152 : 고정 브래킷
10 : 대상물

Claims (6)

  1. 측면 둘레를 따라 대상물을 적재하며, 하단부에 종동 기어를 가지며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 선반;
    상기 원통형 선반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선반을 지지하며, 상기 종동 기어를 일부 노출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를 가지며,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원통형 선반을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
    상기 원통형 선반에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선반의 원점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 마크;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선반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여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을 차단하는 고정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고정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 핀의 상단은 상기 원통형 선반에 형성된 핀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가 맞물리는 제1 위치와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된 상기 구동 모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 기어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반 장치.
  5. 측면 둘레를 따라 대상물들이 적재되는 원통형 선반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원통형 선반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구비된 센서로 상기 원통형 선반에 구비되어 상기 원점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 마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원점 센서가 상기 기준 마크를 감지하면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선반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고정 핀으로 상기 원통형 선반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를 갖는 구동 유닛을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가 맞물리는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으로 상기 원통형 선반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된 상기 고정 핀을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원통형 선반에 형성된 핀 홀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
KR1020180149644A 2018-11-28 2018-11-28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 KR102158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44A KR102158828B1 (ko) 2018-11-28 2018-11-28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44A KR102158828B1 (ko) 2018-11-28 2018-11-28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660A true KR20200063660A (ko) 2020-06-05
KR102158828B1 KR102158828B1 (ko) 2020-09-22

Family

ID=7108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44A KR102158828B1 (ko) 2018-11-28 2018-11-28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581A1 (ko) * 2020-10-16 2022-04-21 우성엔씨주식회사 공간활용성이 증대된 무동력 스토커 시스템
CN117049179A (zh) * 2023-07-11 2023-11-14 上海稷以科技有限公司 半导体自动化设备及自动化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680A (ja) * 1998-10-13 2000-04-28 Yamaha Motor Co Ltd 表面実装機における吸着ノズル変更装置
KR20000053623A (ko) * 1999-01-26 2000-08-25 엔도 마코토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US20020094257A1 (en) * 2001-01-12 2002-07-18 Babbs Daniel A. Workpiece sorter operating with modular bare workpiece stockers and/or closed container stockers
KR100648238B1 (ko) * 2000-09-27 2006-11-24 에이에스엠 인터내셔널 엔.브이. 웨이퍼 핸들링 시스템
JP5951021B2 (ja) * 2012-08-23 2016-07-13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部品実装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680A (ja) * 1998-10-13 2000-04-28 Yamaha Motor Co Ltd 表面実装機における吸着ノズル変更装置
KR20000053623A (ko) * 1999-01-26 2000-08-25 엔도 마코토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KR100648238B1 (ko) * 2000-09-27 2006-11-24 에이에스엠 인터내셔널 엔.브이. 웨이퍼 핸들링 시스템
US20020094257A1 (en) * 2001-01-12 2002-07-18 Babbs Daniel A. Workpiece sorter operating with modular bare workpiece stockers and/or closed container stockers
JP5951021B2 (ja) * 2012-08-23 2016-07-13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部品実装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581A1 (ko) * 2020-10-16 2022-04-21 우성엔씨주식회사 공간활용성이 증대된 무동력 스토커 시스템
CN117049179A (zh) * 2023-07-11 2023-11-14 上海稷以科技有限公司 半导体自动化设备及自动化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828B1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3178B2 (en) Semiconductor wafer stocker apparatus and wafer transferring methods using the same
KR20200063660A (ko) 원통형 선반 장치 및 원통형 선반 장치의 구동 유닛 조립 방법
US9268327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200502627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sition of cassette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JP4166813B2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2150670B1 (ko) 스토커
KR102166343B1 (ko) 스토커
US20160356631A1 (en) Inspection apparatus
US8774491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ubstrate processing method recorded therein
JP4615149B2 (ja) ウェハのノッチ合せ装置
KR20040074248A (ko) 후프오프너 매핑장치
KR20200039227A (ko) 스토커
JP2009200136A (ja) 搬送容器の蓋着脱装置、搬送容器及び搬送容器の蓋着脱システム
CN110198902A (zh) 面板搬运机器人
KR20200120586A (ko) 스토커
KR102655029B1 (ko) 검사 장치용 이송 기구,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대상물 검사 방법
JPH0541558B2 (ko)
KR102316946B1 (ko) 스토커 및 이의 레티클 처리 방법
KR20170091031A (ko) 웨이퍼 카세트
JP2014003057A (ja) アライナ装置
KR102246792B1 (ko) 스토커
KR102436663B1 (ko) 부품 적재 장치
KR102637468B1 (ko) 도어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도어 이송 장치
KR20120127220A (ko) 기판 반송 장치, 이것을 구비하는 도포 현상 장치, 및 기판 반송 방법
KR20030037579A (ko) 캐리어 스테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