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646A -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646A
KR20200063646A KR1020180149610A KR20180149610A KR20200063646A KR 20200063646 A KR20200063646 A KR 20200063646A KR 1020180149610 A KR1020180149610 A KR 1020180149610A KR 20180149610 A KR20180149610 A KR 20180149610A KR 20200063646 A KR20200063646 A KR 2020006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advertisement
conversation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엄소영
이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14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646A/ko
Publication of KR2020006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공 지능 스피커 등 음성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서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타겟팅된 음성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음성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버가 음성 대화 단말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음성 대화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화 처리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서버가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는 음성 광고 결정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VOICE ADVERTISEMENT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공 지능 스피커 등 음성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서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타겟팅된 음성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음성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공지능 스피커 등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인공지능 스피커 등 음성 대화 단말에게 음성으로 날씨를 묻거나 음악을 재생하는 등 다양한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성으로 날씨 정보를 제공받는 등 음성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 등 음성 대화 단말에서는 음성을 통해 사용자와 정보를 주고 받게 되므로 광고를 제공하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또한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타겟팅된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은 문제였다.
나아가,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 음성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 음성 서비스 시스템을 크게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가 따를 수 있어 더욱 음성 광고의 제공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에 따라, 기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타겟팅된 음성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요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명확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6688호(2011.08.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기존의 광고 시스템 및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타겟팅된 음성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아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은, 서버가 음성 대화 단말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음성 대화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화 처리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서버가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는 음성 광고 결정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의 문맥을 고려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 또는 그에 대한 음성 답변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안 수락 여부를 묻는 제안형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음성 답변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대화 서버와 광고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대화 서버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받아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의 음성 광고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화 서버는 상기 광고 서버에 구비되는 음성 광고 송출부로부터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받아 상기 음성 광고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 광고 송출부로 음성 광고 정보를 요청하여 음성 광고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에서,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은 음성 대화 시간, 음성 대화 위치, 상기 사용자의 특성,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특성, 상기 음성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이 수행하는 작업,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 및 그에 따른 음성 답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음성 광고 중 상기 광고 결정 기준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음성 광고를 산출하고 이중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광고 제공 단계에서, 상기 음성 광고 정보에는 음성 광고임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가 포함되며,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는 상기 태그를 식별하여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 구비되는 음성 광고 처리부로 전달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시스템은, 서버가 음성 대화 단말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대화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화 처리 요청 수신부,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는 음성 광고 결정부와,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로 전송하는 음성 광고 정보 전송부를 구비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음성 대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서버가 음성 대화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한 후,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광고 시스템 및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타겟팅된 음성 광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액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광고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은, 서버(200)가 음성 대화 단말(100)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200)가 음성 대화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화 처리 요청 수신 단계(S100), 상기 서버(200)가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는 음성 광고 결정 단계(S200) 및 상기 서버(200)가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S200)에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의 문맥을 고려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 또는 그에 대한 음성 답변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S200)에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안 수락 여부를 묻는 제안형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음성 답변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S200)에서, 상기 서버(200)는 대화 서버(210)와 광고 서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광고 서버(220)로부터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받아 상기 음성 대화 단말(200)에서의 음성 광고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광고 서버(220)로부터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광고 서버(220)에 구비되는 음성 광고 송출부(221)로부터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받아 상기 음성 광고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 광고 송출부(221)로 음성 광고 정보를 요청하여 음성 광고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음성 대화 단말(200)로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은 음성 대화 시간, 음성 대화 위치, 상기 사용자의 특성,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특성, 상기 음성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이 수행하는 작업,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 및 그에 따른 음성 답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음성 광고 중 상기 광고 결정 기준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음성 광고를 산출한 후, 이중에서 광고 정책 등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광고 정보에는 음성 광고임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가 포함되며,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상기 태그를 식별하여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 구비되는 음성 광고 처리부(110)로 전달하여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보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시스템(10)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시스템(10)은, 음성 대화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200) 및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음성 대화 단말(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10)에서는, 기존의 광고 시스템 및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타겟팅된 음성 광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10)을 각 구성별로 나누어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상기 대화 처리 요청 수신 단계(S100)에서는, 서버(200)가 음성 대화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음성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스피커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휴대전화,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 장치와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음성 답변을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도 음성 대화 단말(10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서버(200)로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답변을 산출하도록 하고, 산출된 음성 답변을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200)는 하나의 서버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겠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이나 용량 등을 기준으로 나누어 복수의 서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과 상기 서버(200)는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과 서버(200)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300)로서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130)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130)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무선랜,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S200)에서는, 상기 서버(200)가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의 문맥을 고려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 또는 그에 대한 음성 답변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버(200)는 대화 서버(210)와 광고 서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광고 서버(220)로부터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받아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의 음성 광고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광고 서버(220)로부터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광고 서버(220)에 구비되는 음성 광고 송출부(221)로부터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받아 상기 음성 광고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이어어 상기 음성 광고 송출부(221)로 음성 광고 정보를 요청하여 음성 광고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고 결정 기준으로서, 음성 대화 시간, 음성 대화 위치, 상기 사용자의 특성,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특성, 상기 음성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이 수행하는 작업,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 및 그에 따른 음성 답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음성 광고 제공 단계(S300)에서는, 상기 서버(200)가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성 광고 정보에는 음성 광고임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가 포함되며,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상기 태그를 식별하여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 구비되는 음성 광고 처리부(110)로 전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고 서버(220)에는 상기 음성 광고 송출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는 상기 음성 광고 처리부(110)가 구비되어, 상기 음성 광고 송출부(221)에서 종래의 광고 서버(220)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광고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도 상기 음성 광고 처리부(110)가 구비되어, 음성 광고 정보에 대하여 음성 광고임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를 식별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음성 대화 단말(100)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음성 대화와 함께 음성 광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1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10)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고 서버(220)는 대화 서버(210)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이나 음성 답변에 포함될 수 있는 키워드(도 3의 광고 키워드),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이 수행할 작업(도 3의 "요청된 동작") 또는 서비스(도 3의 "서비스 구분자"), 음성 광고를 제공할 기간(도 3의 캠페인 기간), 음성 대화가 이루어지는 시간 및 위치, 사용자의 특성,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특성 등의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하게 된다(도 3의 ①).
이어서, 사용자가 발화하여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로 음성이 입력되면(도 3의 ②),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상기 대화 단말(210)로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도 3의 ③).
이어서,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답변을 생성하여 음성 대화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 음성 광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광고 서버(220)에 구비되는 음성 광고 송출부(221)로 음성 광고 정보를 요청하고(도 3의 ④), 이어서 상기 음성 광고 송출부(221)로부터 음성 광고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도 3의 ⑤).
이어서,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음성 광고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로 전송하게 된다(도 3의 ⑥). 이때, 상기 음성 광고 정보에는 상기 광고에 사용되는 오디오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광고 정보에는 상기 음성 광고 스크립트 및 오디오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광고/오디오 태그(tag)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금성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 광고 처리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의 광고/오디오 태그 등을 확인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기존의 음성 대화 처리를 위한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음성 대화와 함께 음성 광고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광고 처리부(110)로 전달하고(도 3의 ⑦), 상기 음성 광고 처리부(110)에서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처리하거나(도 3의 ⑧), 상기 음성 광고 정보에 포함된 음성 광고 스크립트를 문자 음성 변환부(120)로 전달하여 처리하도록 하게 된다(도 3의 ⑨).
마지막으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상기 음성 광고 제공 결과를 상기 광고 서버(220)로 전달하여 광고 제공 내역을 기록하거나 과금 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3의 ⑩).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10)에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안 수락 여부를 묻는 제안형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음성 답변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안형 음성 광고의 처리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도 3의 ① ~ ⑨ 단계와 유사하게, 도 4의 ① ~ ⑨ 단계에서도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여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이때, 도 4에서는 상기 음성 광고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안 수락 여부를 묻는 제안형 음성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예를 들어, "ABC 생활 영어 들어 보실래요?"). 여기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추가로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도 4의 ⑩).
이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사용자가 상기 제안형 음성 광고에 대한 반응(예를 들어, "예" 또는 "아니오" 등)을 수신하여 2차 대화로서 처리하게 된다(도 4의 ⑪).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안형 음성 광고에 대하여 긍정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4의 ⑫),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상기 대화 서버(210)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등에 대한 메시지 전송(예를 들어, "ABC 생활 영어" 서비스 및 가입 절차 안내) 등을 요청할 수 있고(도 4의 ⑬), 이에 따라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 상기 제안형 광고의 긍정 반응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도 4의 ⑭).
마지막으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 및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등에서는 상기 음성 광고 제공 결과를 상기 광고 서버(220)로 전달하여 광고 제공 내역을 기록하거나 과금 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4의 ⑮).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10)에서, 상기 서버(200)는 뉴스 등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전, 완료 후 등에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전후에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도 3의 ① ~ ⑨ 단계와 유사하게, 도 5의 ① ~ ⑨ 단계에서도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여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음성 명령을 내릴 수 있다(예를 들어, 도 5의 ②에서 "뉴스 어플리케이션 실행해줘"라고 명령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에나 실행한 후에 음성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도 5의 ⑩).
마지막으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상기 음성 광고 제공 결과를 상기 광고 서버(220)로 전달하여 광고 제공 내역을 기록하거나 과금 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5의 ⑪).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10)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알람 등을 제공하는 경우, 광고용 음원 등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 광고용 음원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고 서버(220)는 대화 서버(210)로 알람에서 사용되는 광고용 음원을 제공할 대상(도 7의 알람, 시보 캠페인 정보) 등의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하고, 또한 상기 광고 서버(220)는 음성 대화 단말(100)로 알람 캠페인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도 7의 ①).
이어서, 사용자가 발화하여(예를 들어, "알람 설정해줘")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로 음성이 입력되면(도 7의 ②),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상기 대화 단말(210)로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도 7의 ③).
이에 따라, 상기 대화 서버(210)는 상기 사용자에게 광고용 음원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음성 답변을 제공하게 되고(도 7의 ④), 또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알람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도 7의 ⑤).
이어서,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상기 알람 설정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 상기 광고 서버(220)로부터 상기 광고용 음원을 다운로드 받게 된다(도 7의 ⑥).
이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은 상기 대화 서버(210)로 상기 알람 설정의 설정치를 저장하고(도 7의 ⑦), 상기 알람 설정에 의한 알람 스케줄에 따라 광고용 음원을 재생하는 등 알람을 수행하게 된다(도 7의 ⑧).
나아가,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는 상기 음성 광고 제공 결과를 상기 광고 서버(220)로 전달하여 광고 제공 내역을 기록하거나 과금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과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1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광고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광고를 산출하기 위한 광고 결정 기준은 음성 대화 시간, 음성 대화 위치, 상기 사용자의 특성,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특성, 상기 음성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이 수행하는 작업,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 및 그에 따른 음성 답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은,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필터로서, 음성 대화 시간에 대한 시간 필터, 음성 대화 위치에 대한 공간 필터, 사용자의 특성에 대한 개인 필터, 사용자 그룹의 특성에 대한 가구 필터, 음성 대화 단말(100)이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액션 필터 및 음성 대화의 문맥에 대한 문맥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 대화 위치와 사용자 그룹의 특성은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특성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이 수행하는 작업 및 음성 대화의 문맥은 음성 입력 및 음성 답변 등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필터들은 중첩적으로 적용되거나(AND 조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OR 조건).
나아가, 상기 도 8에서는 상기 대화 서버(210)가 타겟팅 필터로 음성 대화 단말(100)의 종류 등 광고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 서버(220)가 가구 프로필 등 내부 보유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타겟팅 필터는 상기 대화 서버(210)에 구현되거나 상기 광고 서버(220)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겟팅 필터를 거쳐 산출되는 광고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광고 목표 달성 비율, 광고 노출 빈도 등 광고 정책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시간 필터에서 음성 대화 시간을 고려하여 요일, 시간 등에 적합한 음성 광고를 산출하게 되고, 이어서 공간 필터에서 서울, 대전 등 위치에 적합한 음성 광고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개인 필터에서 성별, 연령, 관심 분야 등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음성 광고를 산출하게 되고, 가구 필터에서는 가구 구성원들의 성별, 연령대, 관심 분야 등에 적합한 음성 광고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인 필터와 가구 필터의 조건이 상충하는 경우 상기 개인 필터를 우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액션 필터에서는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이 수행할 작업(예를 들어, 날씨 예보)에 적합한 음성 광고를 산출하게 되고, 문맥 필터에서는 음성 대화의 문맥을 반영하기 위하여 대화의 주제나 키워드 등을 고려하여 음성 광고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음성 대화 시간이 주말 오후 시간이고, 사용자가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여성이고 화장품에 관심이 많으며, 사용자가 오늘의 날씨를 물었고 이에 따른 답변이 기온은 28도이고 자외선이 강한 날씨이므로 주의를 요한다는 내용인 경우, 상기 타겟팅 필터에서는 여성용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음성 광고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시스템(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시스템(10)은, 서버(200)가 음성 대화 단말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대화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화 처리 요청 수신부(250),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는 음성 광고 결정부(260)와,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로 전송하는 음성 광고 정보 전송부(270)를 구비하는 서버(200) 및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음성 대화 단말(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10)에서는, 서버(200)가 음성 대화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한 후,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100)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광고 시스템 및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타겟팅된 음성 광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음성 광고 제공 시스템
100, 100a, 100b : 음성 대화 단말
110 : 음성 광고 처리부
120 : 문자 음성 변환부
200 : 서버
210 : 대화 서버
220 : 광고 서버
221 : 음성 광고 송출부
250 : 대화 처리 요청 수신부
260 : 음성 광고 결정부
270 : 음성 광고 정보 전송부
300 : 통신 네트워크

Claims (9)

  1. 서버가 음성 대화 단말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음성 대화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화 처리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서버가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는 음성 광고 결정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의 문맥을 고려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 또는 그에 대한 음성 답변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안 수락 여부를 묻는 제안형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음성 답변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대화 서버와 광고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대화 서버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받아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의 음성 광고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서버는 상기 광고 서버에 구비되는 음성 광고 송출부로부터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을 전송받아 상기 음성 광고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 광고 송출부로 음성 광고 정보를 요청하여 음성 광고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광고 결정 단계에서,
    상기 광고 결정 기준은 음성 대화 시간, 음성 대화 위치, 상기 사용자의 특성,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특성, 상기 음성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이 수행하는 작업,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 및 그에 따른 음성 답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음성 광고 중 상기 광고 결정 기준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음성 광고를 산출하고 이중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광고 제공 단계에서,
    상기 음성 광고 정보에는 음성 광고임을 식별할 수 있는 태그가 포함되며,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는 상기 태그를 식별하여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 구비되는 음성 광고 처리부로 전달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방법.
  9. 서버가 음성 대화 단말을 통해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대화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대화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화 처리 요청 수신부,
    미리 설정된 광고 결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음성 대화 단말에서의 음성 광고 제공 여부 및 제공할 음성 광고를 결정하는 음성 광고 결정부와,
    상기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음성 광고 정보를 상기 음성 대화 단말로 전송하는 음성 광고 정보 전송부를 구비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광고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광고를 제공하는 음성 대화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0180149610A 2018-11-28 2018-11-28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63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10A KR20200063646A (ko) 2018-11-28 2018-11-28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10A KR20200063646A (ko) 2018-11-28 2018-11-28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646A true KR20200063646A (ko) 2020-06-05

Family

ID=7108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10A KR20200063646A (ko) 2018-11-28 2018-11-28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6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975A1 (ko) * 2020-11-12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비서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80866B2 (en) 2020-11-12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voice assist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688A (ko) 2010-02-23 2011-08-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음성광고용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688A (ko) 2010-02-23 2011-08-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음성광고용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975A1 (ko) * 2020-11-12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비서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80866B2 (en) 2020-11-12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voice assist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3571B2 (en) Automated assistance for customer care chats
EP3084633B1 (en) Attribute-based audio channel arbitration
US10027803B2 (en) Enhanced automated attendant system
EP2057830B1 (en) Processing out-of-order caller responses during automated call processing
US11222103B1 (en) Ambient cooperative intelligence system and method
US20200402502A1 (en) Communications utilizing multiple virtual assistant services
AU2012296429A1 (en) Multiple authentication mechanisms for accessing service center supporting a variety of products
US102573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f-service while on hold during a customer interaction
US11777947B2 (en) Ambient cooperative intelligence system and method
US20220129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directed website walk-through
KR20200063646A (ko) 음성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1502426A (ja) 無料ディレクトリ・アシスタンス・サービスと有料ディレクトリ・アシスタンス・サービス間の自動切換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CN113379229A (zh) 一种资源调度方法和装置
TW202028992A (zh) 語音查詢系統、語音查詢處理方法、智慧型揚聲器運用伺服器裝置、及程式
KR102056715B1 (ko) 양방향 음성 및 텍스트 통신 기반 업무 처리 지원 시스템
US9854066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ustomizing a response to a request
KR20200061232A (ko) 컨택 관리 장치
WO2014074936A2 (en) Enhancing information delivery to a called party
CN113127616B (zh) 应用于现场对话场景中的智能话术推荐方法及装置
WO2022270603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domain or use-case switch suggestion for an ongoing conversation
KR102172377B1 (ko) 통신 방식의 전환 시 대화 이력을 제공하는 컨택 관리 장치
KR102090122B1 (ko) 고객 센터 채널 장치
WO2021087917A1 (zh) 基于应用程序控制的语音交互方法、机器人、计算机设备
WO2022092266A1 (ja) 情報処理装置
KR20080061549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무선 환경에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