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580A - 동애등에 산란 장치 - Google Patents

동애등에 산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580A
KR20200063580A KR1020180149463A KR20180149463A KR20200063580A KR 20200063580 A KR20200063580 A KR 20200063580A KR 1020180149463 A KR1020180149463 A KR 1020180149463A KR 20180149463 A KR20180149463 A KR 20180149463A KR 20200063580 A KR20200063580 A KR 2020006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wning
light
dongae
scatter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Priority to KR102018014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580A/ko
Publication of KR2020006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산란 장치는, 동애등에 성충의 교미와 산란이 이루어질 공간이 구비된 산란실, 동애등에 성충이 알을 낳는 산란 케이스, 산란실에 구비된 공간에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인공조명 처리부, 산란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광 대신 인공조명을 이용하므로, 계절이나 날씨에 따른 자연광의 변화에 관계없이 동애등에 종자의 충분한 상시 공급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자연광을 이용하기 위해 실외에 유리 온실 등의 설비를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시설의 구축과 유지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애등에 산란 장치{ Spawning Device for Black Soldier Fly }
본 발명은 동애등에 산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조명을 이용하여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율을 높여 자연광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할 때도 충분한 종자를 생산할 수 있는 동애등에 산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 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렁이나 집파리 유충 등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로부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이 37∼41일이고,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약 3kg을 투입하면 1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든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다른 종자에 비하여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 증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을 유도하는 설비들은 대부분 자연광을 이용하고 있다. 자연광은 동애등에 성충의 교미와 산란을 위해 필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여름철 이외에는 광량이 충분하지 않아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율이 많이 떨어지므로, 자연광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동애등에 종자의 충분한 상시 공급 체계를 구축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자연광을 이용하면, 자연광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실외에 유리 온실 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비 구축과 유지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공조명을 이용하여 동애등에 성충의 교미와 산란을 유도하여, 충분한 난괴를 생산할 수 있는 동애등에 산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산란 장치는, 동애등에 성충의 교미와 산란이 이루어질 공간이 구비된 산란실; 동애등에 성충이 알을 낳는 산란 케이스; 및 상기 산란실에 구비된 공간에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인공조명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공조명 처리부는 490nm~530nm 파장의 초록색 광 50% 이상과, 430nm~480nm 파장의 파란색 광 25% 이상을 포함하는 인공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애등에 산란 장치는, 상기 산란실에 구비된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란실에 구비된 공간은 넓이와 길이가 각각 1m 이상, 높이는 1.5m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절이나 날씨에 따른 자연광의 변화에 관계없이 인공조명을 이용하여 동애등에 성충의 교미와 산란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동애등에 종자의 충분한 상시 공급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자연광을 이용하기 위해 실외에 유리 온실 등의 설비를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시설의 구축과 유지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산란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LED를 이용한 인공조명 처리부의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산란 장치(100)의 일 실시예로서,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구비된 산란실(110), 동애등에 성충이 알을 낳는 산란 케이스(120), 산란실(110)에 구비된 공간에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인공조명 처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산란실(110)은 동애등에 성충이 수용되어 교미와 산란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동애등에 성충의 자연스러운 산란을 위하여, 비행하며 교미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란실(110)은 인공조명 처리부(130)에 의해 인공조명이 제공되기 때문에 유리 온실 등 자연광을 받기 위한 고려가 필요 없으며, 실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산란실(110)에 구비되는 공간의 크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산란실(110)에 구비되는 공간은 동애등에 성충이 자연스럽게 비행하며 교미할 수 있도록 넓이와 길이를 각각 1m 이상으로 구성하고, 높이는 1.5m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산란 케이스(120)는 교미를 끝낸 동애등에 성충이 알을 낳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인공조명 처리부(130)는 산란실(110)에 구비된 공간에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1,000 와트 이상의 할로겐 램프와 같이 너무 강한 조명은 동애등에 성충에게 너무 강한 자극을 주어 오히려 무정란 발생율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란실(110)에 구비된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LED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인공조명 처리부(130)는 반드시 자연광과 동일한 빛을 제공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특징을 갖는 빛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조명 처리부(130)는 490nm~530nm 파장의 초록색 광이 50% 이상 포함되고, 430nm~480nm 파장의 파란색 광이 25% 이상 포함된 인공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나머지는 백색광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초록색 광 57%, 파란색 광 29%, 백색광 14%로 구성된 인공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LED 소자들의 집합으로 구현된 인공조명 처리부(130)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초록색 광을 생성하는 LED 모듈, 파란색 광을 생성하는 LED 모듈, 백색광을 생성하는 LED 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동애등에 사육에는 인공조명과 더불어 온도와 습도의 조절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산란 장치(100)는 산란실(110)에 구비된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140)와,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동애등에 사육에 있어서 산란실(110)의 온도는 28℃~32℃가 가장 적합하며, 습도는 20%~60% 정도가 적합하다.
온도조절부(140)와 습도조절부(150)가 각각 산란실(110)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냉방기, 난방기, 환풍을 위한 팬(fan), 가습기 등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도조절부(150)는 동애등에 성충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물에 젖은 페이퍼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동애등에 성충은 생태 습성상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곤충이며, 11월부터 3월까지의 동절기 종자 생산은 하절기 대비 50% 이하로 감소한다. 동절기 종자 생산의 감소는 급격한 일교차와 하절기 대비 상대적으로 약한 자연 광량때문인데, 1m x 1m x 1.5m 이상의 산란실 공간 크기, 28℃~32℃의 온도, 20%~60% 정도의 습도, 인공조명 등을 통해 조건을 맞추어 줌으로써, 365일 항상 일률적인 산란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인공조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815115호의 동애등에 산란장치를 이용하여 동애등에 성충 산란율 측정 실험을 하였다.
다음의 표 1은 실험 조건, 표 2는 1차 실험과 2차 실험에 사용된 구체적인 LED 인공조명의 개수, 표 3은 실험 결과를 보인 것이다.
구분 단위 1차 실험 2차 실험
산란망의 크기 set 1500*1500*2000(H) 1500*1500*2000(H)
산란목 투입개수 set/회 2 2
번데기 사용량 kg 4.5 4.5
산란배지 습식 사료의 양 kg 약 5 약 5
케이지 사용개수 우화배지 ea 3
(450*274*120(H))
3
(450*274*120(H))
산란배지 ea 1
(595*385*150(H))
1
(595*385*150(H))
실험기간 18-09-09~18-09-27 18-10-02~18-10-28
유지온도 약 31
구분 1구 3구
개수(구) 비율(%) 비고 개수(구) 비율(%) 비고
백색 6 30 - 12 14 -
파란색 7 35 - 24 29 -
초록색 7 35 - 48 57 -
와트(w) - 50 - - 150
구분 단위 1차 2차
번데기 투입량 kg 4.5 4.5
난괴 수거량 g 5.7 37.8
산란율 % 약 12.6 약 84.0
조명 개수 1 3
1차 실험과 2차 실험은 모두 약 31도의 온도에서 실행되었으며, 2차 실험에서는 1차 실험에 비해 인공조명의 파워가 3배 증가하였다(50W->150W). 또한, 1차 실험에서 인공조명의 색 비율은 초록색 : 파란색 : 백색이 35:35:30이었고, 2차 실험에서는 57:29:14이었다.
실험 결과, 1차 실험에서의 산란율은 약 12.6%인데, 2차 실험에서는 약 84%의 산란율을 보였다. 참고로 자연광에서의 산란율은 약 40% 정도이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산란실의 온도가 적정하게 설정되는 경우, 산란실 규모에 맞는 인공조명을 제공하면 산란율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난괴 수거량도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동애등에 산란 장치
110: 산란실
120: 산란 케이스
130: 인공조명 처리부
140: 온도조절부
150: 습도조절부

Claims (3)

  1. 동애등에 성충의 교미와 산란이 이루어질 공간이 구비된 산란실;
    동애등에 성충이 알을 낳는 산란 케이스; 및
    상기 산란실에 구비된 공간에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인공조명 처리부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산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조명 처리부는 490nm~530nm 파장의 초록색 광 50% 이상과, 430nm~480nm 파장의 파란색 광 25% 이상을 포함하는 인공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산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실에 구비된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란실에 구비된 공간은 넓이와 길이가 각각 1m 이상이고, 높이는 1.5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산란 장치.
KR1020180149463A 2018-11-28 2018-11-28 동애등에 산란 장치 KR20200063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463A KR20200063580A (ko) 2018-11-28 2018-11-28 동애등에 산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463A KR20200063580A (ko) 2018-11-28 2018-11-28 동애등에 산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580A true KR20200063580A (ko) 2020-06-05

Family

ID=7108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463A KR20200063580A (ko) 2018-11-28 2018-11-28 동애등에 산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139B1 (ko) * 2020-11-09 2021-01-28 해피이엔씨(주) 곤충사육사용 조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139B1 (ko) * 2020-11-09 2021-01-28 해피이엔씨(주) 곤충사육사용 조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6632B1 (en) Contained systems to provide reproductive habitat for hermetia illucens
KR10164410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 동물 생육 장치
KR101123249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1333773B1 (ko) 여치 인공 사육 방법
CN207531712U (zh) 一种大型连栋黑水虻成虫繁殖温室
WO2017026567A1 (ko) 생육광선용 led 조명 시스템
KR102260548B1 (ko)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KR101828287B1 (ko) 파리목 곤충과 분변토 생산 시스템
KR20160042216A (ko) 갈색거저리 유충 발육기간 단축 방법
Glatz et al. Poultry housing and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KR20170025460A (ko) 밀폐형 식물공장 시스템에서 광질을 이용한 시금치의 재배방법
CN102322161A (zh) 一种禽类养殖与蔬菜种植的复合系统
ES2875124T3 (es) Sistema de lámpara modular para la cría de insectos, su uso para estimulación de la reproducción de insectos y procedimiento de cría de insectos
KR20200063580A (ko) 동애등에 산란 장치
CN107810927B (zh) 一种促进黑水虻交配产卵的方法
CN102067829A (zh) 一种家蝇蝇蛆的室内养殖方法
KR20160092135A (ko) 식물생산용 광원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KR101900643B1 (ko) 밀폐형 식물공장 시스템에서 광질을 이용한 시금치의 재배방법
KR20210035674A (ko) 음식물 폐기물 원점처리 시스템
CN109429838A (zh) 一种尺蠖的防治方法
CN113016723A (zh) 一种提高黑水虻产卵率的养殖方法
CN108617890B (zh) 一种铜绿丽金龟幼虫用饲料及其制备方法和无土饲养方法
ZIEgLER et al. First captive breeding of the blue tree monitor Varanus macraei Böhme & Jacobs, 2001 at the Plzen and Cologne Zoos
KR20190052878A (ko)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의 산란 유도방법
KR102209139B1 (ko) 곤충사육사용 조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