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548B1 -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48B1
KR102260548B1 KR1020180149464A KR20180149464A KR102260548B1 KR 102260548 B1 KR102260548 B1 KR 102260548B1 KR 1020180149464 A KR1020180149464 A KR 1020180149464A KR 20180149464 A KR20180149464 A KR 20180149464A KR 102260548 B1 KR102260548 B1 KR 10226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spawning
dongae
light
pup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581A (ko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Priority to KR102018014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5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은, 동애등에 번데기가 수용되어 우화 과정이 진행되는 우화실, 동애등에 성충이 수용되어 교미하고 산란하는 산란실, 및 산란실에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인공조명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우화실과 산란실 사이의 벽에는 우화실에서 우화된 성충이 인공조명 빛으로 유도되어 산란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성충이동구멍이 형성된다. 동애등에 번데기의 우화, 성충의 교미/산란 등 동애등에 생애 주기가 통합된 사육 시스템을 구축하여 원활한 종자 보급을 도모할 수 있고, 자연광을 이용하기 위한 유리온실 등 고가의 시설이 필요없어 냉난방 비용과 시설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상시 광량 조절, 온도와 습도 제어 등을 통해 언제라도 필요한 만큼의 종자를 생산할 수 있으며, 번데기 우화 및 산란실 투입 과정이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성충 손실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Life Cycle Integration System for Breeding Black Soldier Fly }
본 발명은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애등에의 알로부터 유충과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어 다시 알을 낳는 생애 주기를 통합하여 동애등에를 효율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 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렁이나 집파리 유충 등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로부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이 37∼41일이고,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약 3kg을 투입하면 1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든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다른 종자에 비하여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 증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10-1846282호(공고일: 2018.05.28.)는 외부에서 독립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우화 효율 및 산란율이 높으며, 알의 수집과 난괴의 정량적 관리가 가능한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유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 10-1846282호의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유도 장치는 동애등에 성충의 생장환경 및 교미환경 조성을 위해 자연광을 이용하며, 산란실은 케이지의 내부에 그물망으로 구성되고, 케이지는 일조량 조절을 위하여 바닥을 제외한 모든 면이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비닐 재질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케이지 내부에 그물망으로 구성되는 산란실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져 오래 사용하기 어렵고, 사용이 불편하며, 케이지를 유리 재질 등을 이용하여 온실 형태로 설치하면 제조 비용이 크게 늘어난다.
한편, 동애등에 애벌레와 번데기는 성충과 사육 환경이 반대이다.
구체적으로, 성충은 자연광이 있는 밝은 곳에서 사육되고, 유충 및 번데기는 자연광이 없는 암실에서 사육된다.
번데기 우화 조건(예: 암실, 온도 32도, 습도 10% 이하)이 적절히 조성되지 않으면, 성충 우화에 약 10일~12일 걸리던 시간이 17일~20일까지 지연될 수 있으며, 30일까지 지연되기도 한다. 번데기 우화 공간은 어두운 암실로 운영되어야 하므로, 보통 산란동이 아닌 유충을 사육하는 사육동에서 운영된다.
도 1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동애등에 사육 과정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유리온실 형태의 케이지(10) 내부에 그물망으로 산란실(11)이 설치되며, 작업자(14)는 주 출입구(13)를 통해 케이지(10)에 진입한 후, 산란실(11)의 지퍼를 열고, 번데기가 담긴 산란통(12)을 투입한다.
이와 같이 번데기 우화 및 산란망 투입 과정이 작업자의 인위적인 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산란실에 진출입하거나 방사하는 과정에서 약 10% 내외의 성충이 유실되는 등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번데기 우화 과정은 노숙유충 소분, 톱밥 투입, 전용망 씌우기, 번데기 보관 설비에 이동, 우화 후 번데기 산란망 이동, 산란망에 방사 등 여러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10-1846282호(공고일: 2018.05.28.)의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유도 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동애등에를 그 생애 주기에 따라 통합적으로 사육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대량 사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투명 온실 대신 인공조명을 사용하여 시설 구축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동절기에도 종자 생산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은, 동애등에 번데기가 수용되어 우화 과정이 진행되는 우화실; 동애등에 성충이 수용되어 교미하고 산란하는 산란실; 및 상기 산란실에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인공조명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우화실과 산란실은 가로로 나란히 배치되고, 빛이 차단되는 재질의 벽으로 구분되는 별도의 공간이며, 상기 우화실과 산란실 사이의 벽에는 인공조명 빛이 상기 우화실로 새어나오고, 상기 우화실에서 우화된 성충이 상기 산란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성충이동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은, 동애등에 알이 유충 단계를 거쳐 번데기로 되는 과정이 진행되는 유충사육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실은 넓이와 길이가 각각 1.0m 이상 2.0m 이하이고, 높이는 1.5m 이상 2.5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번데기 우화, 성충의 교미/산란 등 동애등에 생애 주기가 통합된 사육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동애등에 종자 생산을 일원화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인공조명을 이용하여 4계절 지속되는 산란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원활한 동애등에 종자 보급이 가능하고, 자연광을 이용하기 위한 유리온실 등 고가의 시설이 필요없어 냉난방 비용과 시설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상시 광량 조절, 온도와 습도 제어 등을 통해 언제라도 필요한 만큼의 종자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번데기 우화 및 산란실 투입 과정이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성충 손실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작업자가 직접 우화된 번데기를 산란실에 투입하는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의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번데기의 우화, 산란실 이동, 및 교미/산란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생애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동애등에 번데기가 수용되어 우화 과정이 진행되는 우화실(110)과, 동애등에 성충이 수용되어 교미하고 산란하는 산란실(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애등에 생애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100)은 동애등에 알이 유충 단계를 거쳐 번데기로 되는 유충사육실(1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우화실(110), 산란실(120), 및 유충사육실(130)은 각각 서로 구분되는 별도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우화실(110)은 동애등에 번데기의 우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동애등에 번데기의 우화와 관련된 환경(온도, 습도, 빛 등)으로 조절된다.
예를 들어, 동애등에 번데기의 우화를 촉진하려면, 온도는 약 32도, 습도는 약 10%의 건조한 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우화실(110)의 온도를 그 보다 낮게 조절하여 동면 상태를 유도함으로써, 우화일을 늦출 수도 있다.
산란실(120)은 동애등에 성충이 수용되는 장소로서, 동애등에 성충의 교미와 산란에 적합하도록 환경(온도, 습도, 빛 등)이 조절된다.
유충사육실(13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경우, 유충사육실(130)은 동애등에 알이 유충 단계를 거쳐 번데기로 되는 장소이므로, 이 과정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온도, 습도, 빛 등)으로 조절된다.
인공조명 처리부(140)는 산란실(120)에 인공조명을 제공한다.
이때, 1,000 와트 이상의 할로겐 램프와 같이 너무 강한 조명은 동애등에 성충에게 강한 자극을 주어 오히려 무정란 발생율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란실(1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LED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인공조명 처리부(140)는 반드시 자연광과 동일한 빛을 제공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특징을 갖는 빛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조명 처리부(140)는 490nm~530nm 파장의 초록색 광이 50% 이상 포함되고, 430nm~480nm 파장의 파란색 광이 25% 이상 포함된 인공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나머지는 백색광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초록색 광 57%, 파란색 광 29%, 백색광 14%로 구성된 인공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동애등에 성충은 생태 습성상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곤충이며, 11월부터 3월까지의 동절기 종자 생산은 하절기 대비 50% 이하로 감소한다.
동절기 종자 생산의 감소는 급격한 일교차와 하절기 대비 상대적으로 약한 자연 광량 때문인데, 인공조명 처리부(140)와 온도/습도 조절부(150)를 통해 하절기의 광 조건과 온도/습도 조건을 맞추어 주면, 365일 항상 일률적인 산란율을 확보할 수 있다.
우화실(110)과 산란실(120)의 사이에는 우화실(110)에서 우화된 성충이 산란실(1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성충이동구멍(113)이 형성된다.
우화실(110), 산란실(120), 유충사육실(130)은 종래의 유리온실 구조와는 달리 자연광이 차단되는 재질의 벽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되는 방(Room)들과 같이 각각 가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성충이동구멍(113)은 우화실(110)과 산란실(120) 사이의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인공조명 처리부(140)에 의해 산란실(120)에 제공되는 인공조명은 성충이동구멍(113)을 통해 우화실(110)으로 새어나오고, 우화실(110)에서 우화된 성충은 이 빛에 이끌려 스스로 산란실(120)로 이동하게 된다.
우화실(110), 산란실(120), 유충사육실(130)은 사육 규모와 효율성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산란실(120)은 동애등에 성충의 자연스러운 산란을 위하여, 비행하며 교미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표 1과 2는 각각 산란실 크기별 번데기 투입량에 따른 산란 난괴 수와 난중을 조사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산란실의 크기 (W x L x H, m) 1 x 1 x 2.5 1.5 x 1.5 x 2.5 2 x 2 x 2.5 2.5 x 2.5 x 2.5
Total no. of
egg clutches
8 kg Pupae 2944 ± 20 3467 ± 13 3047 ± 25 2900 ± 22
(W x L x H, m) 1 x 1 x 2.5 1.5 x 1.5 x 2.5 2 x 2 x 2.5 2.5 x 2.5 x 2.5
Total weight of eggs (g) 8 kg Pupae 101.11 ± 4.57 127.63 ± 3.83 113.59 ± 2.62 105.1 ± 4.05
상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화실(110)에 투입되는 번데기의 총 중량이 8kg인 경우, 산란실(120)은 넓이와 길이가 각각 1.5m이고, 높이가 2.5m일 때, 가장 많은 난괴의 개수와 중량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즉, 산란실(120)을 일정 여유 공간을 감안하여 넓이와 길이를 각각 1.0m 이상 2.0m 이하로 구성하고, 높이는 1.5m 이상 2.5m 이하로 구성할 때, 한 번에 투입되는 번데기의 총 중량을 7.8kg 이상 8.2kg 이하 정도로 처리하면, 동애등에 알의 생산성을 좋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산란실(120)의 크기와 우화실(110)에 대한 번데기 투입량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온도/습도 조절부(150-1~150-3)는 각각 우화실(110), 산란실(120), 유충사육실(130)의 온도와 습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온도/습도 조절부(150-1~150-3)가 우화실(110), 산란실(120), 유충사육실(130)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온도/습도 조절부(150-1~150-3)는 냉방기, 난방기, 환풍을 위한 팬(fan), 가습기 등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조명 처리부(140)와 온도/습도 조절부(150-1~150-3)는 다양한 방식의 통신망(31)을 통해 관리자 단말(33)과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인공조명 처리부(140)와 온도/습도 조절부(150-1~150-3)는 관리자 단말(33)과 연결되어 동애등에 생애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100)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33)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온도/습도와 인공조명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관리자는 스마트 폰이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 각종 관리자 단말(33)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동애등에 생애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10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되는 정보에 따라 필요한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화된 공정으로 동애등에를 사육함에 따라 생성되는 자료들은 향후 동애등에 산업의 주요 기반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화실(110)과 산란실(120)을 통해 동애등에 번데기의 우화와 산란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로서, 우화실(110)에 배치된 동애등에 번데기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우화를 시작하고, 우화된 성충은 우화실(110)과 산란실(120)을 막는 벽에 형성되어 있는 성충이동구멍(113)에서 새어 나오는 빛에 이끌려 성충이동구멍(113)으로 유인된다.
성충이동구멍(113)으로 유인된 동애등에 성충은 계속 인공조명을 따라 산란실(120)로 이동하고, 최적 환경으로 유지되는 산란실(120) 내에서 비행하며 서로 교미하고, 구비되어 있는 산란통에 산란하게 된다.
이제 동애등에 생애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100)의 온도와 인공조명에 따른 실험 결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의 표 3은 우화한 번데기가 우화실(110, 음지)에서 산란실(120, 양지)로 이동하는 이동률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보인 것이다.
구분 단위 A B
번데기 투입량 kg 2 2
성충 이동율 % 93 % 42 %
우화실의 온도 % 평균 32도 평균 19도
우화 기간 12일 (9일차 부터 우화 시작) 26일 (23일차 부터 우화 시작)
이 결과에 대한 실험 조건은 다음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구분 단위 A B
번데기 사용량 kg 2 2
톱밥 투입량 kg 0.4 0.4
우화 케이지 사용 개수 ea 1
(450 x 274 x 120)
1
(450 x 274 x 120)
실험 기간 (18-10-02 ~ 18-10-16) (18-10-02 ~ 18-10-26)
우화실의 온도 평균 32 평균 19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름의 평균 기온인 32도에서는 대부분의 성충이 빠르게 우화하고 밝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A에서는 온도가 충분히 높아 우화 기간이 단축되고, 성충으로 우화한 후 활동성이 높아 대부분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실험 B에서는 우화 기간이 실험 A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린다. 이는 낮은 온도에서 활동성이 떨어져 밝은 곳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 실험 결과를 참고하면, 우화실(110)의 온도 조절을 통해 우화를 조절하여, 매일 수거하는 난괴의 양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공조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815115호의 동애등에 산란장치를 이용하여 동애등에 성충 산란율 측정 실험을 하였다.
다음의 표 5는 실험 조건, 표 6은 1차 실험과 2차 실험에 사용된 구체적인 LED 인공조명의 개수, 표 7은 실험 결과를 보인 것이다.
구분 단위 1차 실험 2차 실험
산란망의 크기 set 1500*1500*2000(H) 1500*1500*2000(H)
산란목 투입개수 set/회 2 2
번데기 사용량 kg 4.5 4.5
산란배지 습식 사료의 양 kg 약 5 약 5
케이지 사용개수 우화배지 ea 3
(450*274*120(H))
3
(450*274*120(H))
산란배지 ea 1
(595*385*150(H))
1
(595*385*150(H))
실험기간 18-09-09~18-09-27 18-10-02~18-10-28
유지온도 약 31
구분 1구 3구
개수(구) 비율(%) 비고 개수(구) 비율(%) 비고
백색 6 30 - 12 14 -
파란색 7 35 - 24 29 -
초록색 7 35 - 48 57 -
와트(w) - 50 - - 150
구분 단위 1차 2차
번데기 투입량 kg 4.5 4.5
난괴 수거량 g 5.7 37.8
산란율 % 약 12.6 약 84.0
조명 개수 1 3
1차 실험과 2차 실험은 모두 약 31도의 온도에서 실행되었으며, 2차 실험에서는 1차 실험에 비해 인공조명의 파워가 3배 증가하였다(50W->150W). 또한, 1차 실험에서 인공조명의 색 비율은 초록색 : 파란색 : 백색이 35:35:30이었고, 2차 실험에서는 57:29:14이었다.
1차 실험에서 1개의 인공조명을 사용하였을 때는 약 12.6%의 산란율과, 5,7g의 난괴 수거량을 보였으며, 2차 실험에서 3개의 인공조명을 사용하였을 때는 약 84%의 산란율과 37.8g의 난괴 수거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보면, 기본적으로 산란실(12)의 온도 설정이 중요하지만, 적절한 인공조명을 인가해 줌으로써, 산란율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애등에 종자는 생육 설비 운영과 동시에 음식물 사료 처리, 부산물 생산을 위한 연구개발에 근간이 되는 부분이며, 지속적인 종자를 공급할 수 있는 종자생산설비는 요구되는 물량의 난괴 생산을 위해 필수적이다.
기존에는 번데기가 우화하면 산란실에 작업자가 직접 방사하여 성충의 교미 산란을 유도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동애등에의 생리를 이용하여 번데기 우화와 교미/산란을 하나의 공정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인위적인 우화 공정과 교미/산란 공정이 아닌, 동애등에 생태 활성과 흡사한 성충 생애 주기를 조성함으로써, 성충의 유실을 막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31: 통신망
33: 작업자 단말
100: 동애등에 생애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110: 우화실
113: 성충이동구멍
120: 산란실
130: 유충사육실
140: 인공조명 처리부
150-1~150-3: 온도/습도 제어부

Claims (3)

  1. 동애등에 번데기가 수용되어 우화 과정이 진행되는 우화실;
    동애등에 성충이 수용되어 교미하고 산란하는 산란실;
    상기 산란실에 인공조명을 제공하는 인공조명 처리부; 및
    동애등에 알이 유충 단계를 거쳐 번데기로 되는 과정이 진행되는 유충사육실을 포함하며,
    상기 우화실과 산란실은 가로로 나란히 배치되고, 빛이 차단되는 재질의 벽으로 구분되는 별도의 공간이며,
    상기 우화실과 산란실 사이의 벽에는 인공조명 빛이 상기 우화실로 새어나오고, 상기 우화실에서 우화된 성충이 상기 산란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성충이동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산란실은 넓이와 길이가 각각 1.0m 이상 2.0m 이하이고, 높이는 1.5m 이상 2.5m 이하로 구성되며,
    상기 인공조명 처리부는 490nm~530nm 파장의 초록색 광이 57%, 430nm~480nm 파장의 파란색 광이 29%, 나머지는 백색광으로 이루어진 인공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동애등에 생애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149464A 2018-11-28 2018-11-28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KR10226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464A KR102260548B1 (ko) 2018-11-28 2018-11-28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464A KR102260548B1 (ko) 2018-11-28 2018-11-28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581A KR20200063581A (ko) 2020-06-05
KR102260548B1 true KR102260548B1 (ko) 2021-06-04

Family

ID=7108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464A KR102260548B1 (ko) 2018-11-28 2018-11-28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94A (ko) 2021-10-13 2023-04-20 배지환 동애등에 자동 사육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8078A (zh) * 2020-07-20 2020-10-30 李乐档 一种用于垃圾处理的黑水虻及蜡螟幼虫混合养殖方法
CN112167180A (zh) * 2020-10-27 2021-01-05 许庭军 一种便于清理蝇蛆养殖装置
CN113455469A (zh) * 2021-07-12 2021-10-01 四川恒云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黑水虻饲养用自动分虫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21B1 (ko) * 2006-05-01 2007-12-17 주식회사 한국유용곤충연구소 파리포식천적 대량사육장치
KR100952085B1 (ko) 2009-07-27 2010-04-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사육장치
KR101838201B1 (ko) 2016-03-02 2018-04-27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CN108012996A (zh) 2018-02-07 2018-05-11 西安洁姆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黑水虻成虫繁育方法及其适用的人工光源
KR101846282B1 (ko) 2017-11-20 2018-05-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유도 장치
CN105340843B (zh) * 2015-12-10 2018-08-17 段永改 一种黑水虻养殖装置和养殖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21B1 (ko) * 2006-05-01 2007-12-17 주식회사 한국유용곤충연구소 파리포식천적 대량사육장치
KR100952085B1 (ko) 2009-07-27 2010-04-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사육장치
CN105340843B (zh) * 2015-12-10 2018-08-17 段永改 一种黑水虻养殖装置和养殖方法
KR101838201B1 (ko) 2016-03-02 2018-04-27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KR101846282B1 (ko) 2017-11-20 2018-05-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유도 장치
CN108012996A (zh) 2018-02-07 2018-05-11 西安洁姆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黑水虻成虫繁育方法及其适用的人工光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94A (ko) 2021-10-13 2023-04-20 배지환 동애등에 자동 사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581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548B1 (ko) 동애등에 생애 주기 통합 사육 시스템
CA2871196C (en) Contained systems to provide reproductive habitat for hermetia illucens
CN207531712U (zh) 一种大型连栋黑水虻成虫繁殖温室
WO2014065148A1 (ja) 有機肥料及び飼料製造システム
KR20130037992A (ko) 여치 인공 사육 방법
KR101828287B1 (ko) 파리목 곤충과 분변토 생산 시스템
CN106035247A (zh) 一种适用于水虻连续养殖和转化餐厨剩余物的小型化装置
Glatz et al. Poultry housing and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CN103535328B (zh) 一种工厂化繁殖智利小植绥螨方法
KR20160042216A (ko) 갈색거저리 유충 발육기간 단축 방법
CN105875522A (zh) 一种蚕养殖技术
KR20150076572A (ko) 지네 대량 사육 장치
CN208836748U (zh) 一种立体种养大棚
CN105875519A (zh) 以米蛾蛹作为寄主高效繁殖广大腿小蜂的方法
KR102363800B1 (ko) 유충 사육 및 가공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CN112913787B (zh) 一种黑水虻成虫强化培育装置及其培育方法
CN111183960B (zh) 一种提高蠋蝽产卵量及蠋蝽卵收集方法
David Breeding Pieris brassicae L. and Apanteles glomeratus L. as experimental insects
CN205830834U (zh) 一种适用于水虻连续养殖和转化餐厨剩余物的小型化装置
KR20200063580A (ko) 동애등에 산란 장치
KR100306441B1 (ko) 가축분퇴비화용파리알접종및부화자동장치
CN210382307U (zh) 一种黄粉虫蛹的养殖消毒室
KR20180044239A (ko) 축사용 채널 환기장치
Gençoğlan et al. Determination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heat requirements in rearing room of village house for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CN104756960A (zh) 大斑黄小蜂饲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