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445A -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445A
KR20200063445A KR1020180149117A KR20180149117A KR20200063445A KR 20200063445 A KR20200063445 A KR 20200063445A KR 1020180149117 A KR1020180149117 A KR 1020180149117A KR 20180149117 A KR20180149117 A KR 20180149117A KR 20200063445 A KR20200063445 A KR 20200063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polyester
yarn
rayon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269B1 (ko
Inventor
남옥선
Original Assignee
(사) 소백산천연염색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 소백산천연염색협회 filed Critical (사) 소백산천연염색협회
Priority to KR102018014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온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함께 편직하되, 레이온사가 표면조직(10)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사가 이면조직(20)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흡습성, 치수안정성, 신축성이 모두 우수한 편직물(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온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로 편직된 편직물(100)을 천연염료로 염색, 수세, 건조하여 견뢰도가 우수하고, 천연의 심미적인 색감과 촉감을 발현하는 편직물(100)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편직물(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 Polyester/Rayon knitted fabrics dyed by natural dy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표면조직은 레이온사로 형성되고, 이면조직은 폴리에스테르사로 형성되는 편직물을 쪽, 꼭두서니, 양파, 락, 코치닐, 감즙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천연염료로 염색함으로써, 신축 특성 및 견뢰도가 우수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레이온 섬유는 공정수분율이 약 11%로 높아 흡습성이 좋으며, 고유의 특성인 화려한 광택, 우수한 드레이프성, 드라이한 질감 등 천연섬유에 버금가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강도가 취약하므로 원단으로 제조시 내구성이나 치수변화율이 좋지 않은 등의 단점이 있어 용도 전개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강도, 치수변화율 등 여러 가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의류, 산업자재 및 의료 등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합성섬유 중의 하나이나, 분자구조상 소수성 특성을 나타내어 공정수분율이 약 0.4%로 낮으므로 흡습성이 좋지 않고,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어 의류로 제조하여 인체에 착용시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속옷, 운동복 등의 흡습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단면 형상을 개량하거나, 표면처리, 첨가제 등에 의하여 흡습성을 향상시키려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최근 레이온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함께 이용하여 편직 또는 제직함으로써, 흡습성, 내구성, 강도, 치수안정성 등 여러 특성이 모두 우수한 원단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이러한 편직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조직과 이면 조직으로 형성됨으로써, 신축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의류로의 제조시 편안한 착용감을 부여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편직물은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테르와, 천연의 목재펄프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친환경적으로 제조되는 재생섬유인 레이온 섬유의 장점을 함께 발현할 수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는 대표적인 편직물 소재이다.
즉,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편직물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8140호에는 레이온과 상압가염 폴리에스테르의 교직물을 트리아진을 반응기로 갖는 반응성 염료와 분산염료의 혼합욕에 침염하여 레이온 섬유의 변성 없이도 한 번의 단계로 레이온과 폴리에스테르 교직물을 염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1747에는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20d/12fila)와 레이온필라멘트(120d/30fila)를 공기압력 0.9kg/㎠, 교락갯수 80개/m로 인터레이스하여 제조된 인터레이스(ITY)사를 이용함으로써 강도 및 냉감성이 우수한 편직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레이온사와 폴리에스테르사는 물리ㆍ화학적 성질 및 염색 특성이 서로 상이하므로 원단 가공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즉, 레이온과 폴리에스테르 교직물의 염색시 섬유의 물성 저하가 발생하거나, 우수한 견뢰도를 얻기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레이온사와 폴레에스테르사의 교락가공사를 이용하여 편직물의 제조시 실의 종류에 따른 편물의 밀도를 선정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른 편직물에 불규칙한 패임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의류소재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신축성이 발현되지 아니하고 터치감이 불량히여 용도 전개에 많은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레이온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함께 편직하되, 레이온사가 표면조직(10)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사가 이면조직(20)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흡습성, 치수안정성, 신축성이 모두 우수한 편직물(100)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온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로 편직된 편직물(100)을 천연염료로 염색, 수세, 건조하여 견뢰도가 우수하고, 천연의 심미적인 색감과 촉감을 발현하는 편직물(100)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편직물(100)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방법은 레이온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편직물(100)을 제조하는 단계; 천연염료를 물에 용해하여 염욕을 제조하는 염욕제조단계; 상기 편직물(100)을 상기 염욕에 투입하여 염색하는 천연염색단계; 상기 천연염색된 편직물(100)을 수세하는 수제단계; 및 상기 수세된 편직물(100)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편직물(100)의 표면조직(10)은 레이온사이고, 이면조직(20)은 폴리에스테르사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흡한속건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75 Denier/48 Filament ∼ 150 Denier/144 Filament 이며, 레이온사는 75 Denier/30 Filament ~ 120 Denier/60Filament 이며, 상기 편직물(100)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5 ~ 20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편직물(100)은 평량이 170 ~ 220 g/㎡인 것이 바람직하고, 천연염색시 사용되는 상기 천연염료는 쪽, 꼭두서니, 양파, 코치닐, 락, 감즙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은 흡습성, 쾌적성, 신축성이 우수하고, 가벼우며, 자연스러운 색감과 감촉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은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하는 경우에 견뢰도 등이 우수하며, 표면조직(10)과 이면조직(20)의 염색성에 따른 이색성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은 이면조직(20)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에 의해 강도, 치수변화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개선되고, 표면조직(10)에 사용되는 레이온사에 의해 우수한 드레이프성, 드라이한 질감 등이 발현되는 효과를 갖고, 특히 탄성사 등의 스판소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신축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은 고감성 여성 캐주얼 의류 등의 의류용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표면사(1)와 이면사(2)로 구성되는 편직물(100)의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의 단면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사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도 1은 표면사(1)와 이면사(2)로 구성되는 편직물(100)의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의 단면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사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방법은 레이온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편직물(100)을 제조하는 단계; 천연염료를 물에 용해하여 염욕을 제조하는 염욕제조단계; 상기 편직물(100)을 상기 염욕에 투입하여 염색하는 천연염색단계; 상기 염색된 편직물(100)을 수세하는 수세단계; 및 상기 수세된 편직물(100)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기 레이온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편직물(100)을 제조하는 단계는, 레이온사가 표면조직(10)을 형성하도록 하고, 폴리에스테르사가 이면조직(20)을 형성하도록 편직하되, 도 1과 같이 표면사(1)로 구성되는 표면조직(10)과 이면사(2)로 구성되는 이면조직(20)의 양면 구조를 갖도록 편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물(100)은 표면조직(10)을 구성하는 표면사(1)와 이면조직(20)을 구성하는 이면사(2)로 구성됨으로써, 이중구조를 형성하고, 표면사(1)의 루프장과 이면사(2)의 루프장이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되어, 편직물(100)의 신축성이 우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편직물(100)의 구조에 따라 레이온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는 편직 공정 중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각 소재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단점을 보완하여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이온사는 표면사(1)로 사용되고, 폴리에스테르사는 이면사(2)로 사용된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흡습성의 향상을 위하여 흡한속건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흡한속건사의 예로는 방사시 섬유 단면 형상을 제어하여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채널을 형성한 원사를 들 수 있다. 상기 섬유 단면 형상은 채널을 구비하여 모세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한 예로는 +자형, ++자형, ∞자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의 단면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로 이면조직(20)을 형성하고, 레이온사로 표면조직(10)을 형성한 편직물(100)로 의류를 제조할 경우, 피부에 닿는 이면조직(20)의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가 신체로부터 배출된 땀을 신속히 표면조직(10)의 레이온사에 전달하게 되고, 이를 신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착용 쾌적성 및 위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조직(10)의 레이온사를 천연염료로 염색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색감과 촉감을 발현함으로써 의류의 심미성과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은 이면조직(20)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는 75 Denier/48 Filament ∼ 150 Denier/144 Filament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조직(10)으로 사용되는 레이온사는 75 Denier/30 Filament ~ 120 Denier/60 Filament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사와 레이온사를 사용하여 제조된 편직물(100)은 흡습성, 신축성,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의류 용도로 이용하기에도 적합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편직물(100)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편직물(100)의 강도와 치수안정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편직물(100)의 신축성이 감소되거나, 천연염료로 염색시 천연염색 특유의 색감과 질감 발현이 곤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은 평량이 170 ~ 220 g/㎡ 인 것이 의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즉, 상기 편직물(100)의 평량이 170 g/㎡ 미만거나 220 g/㎡ 초과하는 경우에는 의류용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거나 너무 뻣뻣하여 촉감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시 표면조직(10)을 구성하는 레이온사의 루프장은 12~13.5㎝이며, 이면조직(20)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사의 루프장은 10~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루프장을 갖는 경우에 제조되는 편직물(100)의 신축특성이 가장 우수하며, 편직 공정성이 가장 우수하게 된다. 또한 루프장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환편물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편직 공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
상기 편직물(100) 제조 단계 이후에는 상기 편직물(100)을 염색하기 위한 천연염료를 물에 용해하여 염욕을 제조하는 염욕제조단계를 실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염색을 위해 천연염료를 이용함에 따라 자연스러운 색감 및 감촉을 살리면서도 견뢰도가 뛰어난 염색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천연염료는 동식물 추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데, 섬유를 염색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천연 염료 외에 기능성 성분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데, 기능성 성분으로서는 보온성, 약효성, 방향성, 항균성, 악취제거성, 방충성 등 각종 기능을 갖는 성분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염료로는 쪽, 꼭두서니, 양파, 코치닐, 락, 감즙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는데, 이들 성분들은 우수한 염색성과 더불어 약효성을 가지고 있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제조하려는 색상 등에 따라서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편직물(100)을 상기 염욕에 투입하여 염색하는 천연염색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을 상기 염욕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염욕에서 염색할 때 염색 욕비는 1 : 10 ~ 50으로 하는 것이 염색성이나 생산원가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염색에 소요되는 시간은 염료 성분 및 농도 등에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60~300분이 바람직하다. 염색시간이 60분 미만인 경우, 원하는 색상을 얻기 어렵거나, 염색얼룩이 발생할 수 있고, 300분을 초과하는 경우 생산성이 떨어진다.
염색 온도는 30~9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0℃ 미만에서는 염색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90℃를 초과하면 편직물(100)의 신축성 측면에서 좋지 않다.
상기 염색온도 및 시간 조건에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을 염색 처리하는 동안, 이종의 섬유간 수축 거동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상기 편직물(100)에 적절한 신축성이 부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쪽에 의해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은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표면조직(10)은 레이온사로 구성되고, 이면조직(20)은 폴리에스테르사로 구성된다. 따라서 천연염색단계에서 염색을 수행한 상기 편직물(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조직(10)에는 염색이 진행되고 폴리에스테르사로 구성되는 이면조직(20)은 염색이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면조직(10)과 이면조직(20)을 구성하는 표면사(1)와 이면사(20) 간의 염색성 차이에 의해 도 4와 같은 편직물(100)의 이색성이 발현될 수 있다. 즉, 표면사(1)로 사용되는 레이온사는 천연염료에 의해 염색이 되고, 이면사(2)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는 천연염료에 의해 염색되지 않음으로 본 발명의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은 이색성의 발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면조직(20)에 사용되는 원사를 선염된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게 되면 좀 더 다양한 이색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염색을 수행하기 전에 염색성 및 견뢰도 향상을 위하여 편직물(100)을 탄닌류로 전처리할 수 있다. 상기 탄닌류 전처리는 탄닌류를 0.1~30중량% 포함하는 수용액에 편직물(100)을 침지하고 30~80℃에서 1~1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천연염색된 편직물(100)의 견뢰도를 높이기 위해 매염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데, 매염 처리는 염색 시 천연염료와 함께 매염제를 투입하거나, 섬유의 염색 후에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매염제는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염색 후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되는 경우는 매염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편직물(100)을 침지하고 5~80℃에서 30~200분간 처리할 수 있다.
매염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염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 외에 석회, 명반, 잿물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매염제와 함께 초산 등의 유기산을 조제로서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천연염색이 완료된 편직물(100)은 수세 및 건조 단계를 거치는데, 건조는 편직물(100)의 신축성을 고려하여 70℃ 이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연 건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하는 것이다.
(실시예 1)
150D/60F 레이온사와 75D/48F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를 이용하여 레이온사가 표면조직(10)을 이루고,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가 이면조직(20)을 이루는 편직물(100)을 편직하였다. 이때, 편직물(100) 내 레이온사 함량이 90중량%,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 함량이 10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고, 제조된 편직물(100)은 평량이 220 g/㎡가 되었다.
천연염료인 쪽을 물에 용해하여 염욕을 제조하되, 욕비 1:50, 농도 0.5%o.w.f., pH 5가 되도록 하였고, 매염제로서 명반을 섬유 100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 투입하였다.
상기 편직물(100)을 상기 염욕에 침지하여 상온에서 80℃까지 40분에 걸쳐 승온한 후, 80℃에서 3시간 동안 염색을 수행하고, 수세 및 건조하여 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사로서 흡한속건사가 아닌 원형 단면의 일반 원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염욕 제조시 매염제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천연염료로서 꼭두서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편직물(100) 내 레이온 함량이 80중량%,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 함량이 20중량%가 되도록 편직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대한 시험편의 물성 즉, 일광견뢰도, 세탁견뢰도, 마찰견뢰도, 신축성 및 wicking성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일광견뢰도
일광견뢰도는 KS K 0700 염색물의 일광견뢰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페이드 오 메터(fade-O-meter)를 사용하여 크세논 아크등(Xenon arc lamp)으로 40시간 광조사하여 측정하였다.
2) 세탁견뢰도
세탁견뢰도는 KS K 0430 A1 법으로 측정하였다
3) 마찰견뢰도
마찰견뢰도는 KS K 0650의 크로크미터법으로 측정하였다.
4) 신축성
원단의 신축성은 KES-FB System(KATO TECH Co., Ltd., Japan)의 KES-FB 1 Tester를 이용하여 표준계측조건에서 직물의 인장특성을 측정하여 얻은 EM(%, extensibility, 신장성) 값으로 평가하였다.
5) Wicking성
흡수속도는 KSK 0815의 B법(바이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험편을 20 cm × 2.5 cm 의 스트립 형태로 시료를 준비하여 시료의 한쪽 끝단을 27 ± 2 ℃의 증류수가 담겨있는 수조에 침지한 후 10분 후의 wicking된 길이(mm)를 측정하였다.
상기 wicking성은 원단 내부에서 섬유와 섬유다발 사이의 공간이 모세관을 형성함으로서, 이를 통해 수분이 이동하는 형상을 평가하는 측정방법이다.
신축성(%) 세탁견뢰도 일광견뢰도 마찰견뢰도 Wicking
(mm)
실시예 1 15 5 5 4.5 72
실시예 2 12 5 5 4.5 63
실시예 3 13 4 4 3 70
실시예 4 14 5 5 4.5 71
실시예 5 14 4.5 4 4.5 72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5의 시험편의 경우에 신축성(%)은 모두 10%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통상적으로 KES-FB System에 의한 원단의 신축성은 10 % 이상일 때 고신축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5는 모두 고신축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견뢰도의 경우에도 모두 4급 이상으로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다만 염욕 제조시 매염제를 투입하지 않은 실시예 3의 시험편의 경우 견뢰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흡한속건성을 나타내는 wicking성에 대한 측정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5의 시험편에서 wicking 높이가 모두 60 mm 이상으로서 흡한속건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폴리에스테르 흡한속건사가 아닌 원형 단면의 일반 원사를 사용한 실시예 2의 시험편의 경우에 wicking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은 레이온사가 표면조직(10)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사가 이면조직(20)을 형성하는 편직물(100)로서, 상기 레이온사와 폴리에스테르사의 장점이 모두 발현됨으로써, 신축특성과 흡한속건성이이 우수하고, 우수한 드레이프성, 드라이한 질감이 발현된다. 또한 천연염색한 후에 견뢰도가 우수하고, 천연의 심미적인 색감과 촉감을 발현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표면사
2 : 이면사
10 : 표면조직
20 ; 이면조직
100 : 편직물

Claims (8)

  1. 레이온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편직물(100)을 제조하는 단계;
    천연염료를 물에 용해하여 염욕을 제조하는 염욕제조단계;
    상기 편직물(100)을 상기 염욕에 투입하여 염색하는 천연염색단계;
    상기 염색된 편직물(100)을 수세하는 수세단계; 및
    상기 수세된 편직물(100)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100)의 표면조직(10)은 레이온사이고, 이면조직(20)은 폴리에스테르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흡한속건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75 Denier/48 Filament ∼ 150 Denier/144 Filament이며, 레이온사는 75 Denier/30 Filament ~ 120 Denier/60 Filamen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5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100)은 평량이 170 ~ 22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염료는 쪽, 꼭두서니, 양파, 코치닐, 락, 감즙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100).
KR1020180149117A 2018-11-28 2018-11-28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7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17A KR102157269B1 (ko) 2018-11-28 2018-11-28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17A KR102157269B1 (ko) 2018-11-28 2018-11-28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45A true KR20200063445A (ko) 2020-06-05
KR102157269B1 KR102157269B1 (ko) 2020-10-23

Family

ID=7108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117A KR102157269B1 (ko) 2018-11-28 2018-11-28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90A (ko) * 2001-12-06 2002-03-29 김재훈 봉숭아로부터 천연염료 추출방법 및 이 염료를 이용한섬유제품의 염색방법
KR20020028051A (ko) * 2002-03-19 2002-04-15 고경찬 일방향 초고속 흡습속건성 소재의 제조방법
KR200301001Y1 (ko) * 2002-10-17 2003-01-15 이재만
KR101331988B1 (ko) * 2011-12-19 2013-11-25 (주)빗살무늬 꼭두서니 염색 방법
KR101343297B1 (ko) * 2013-01-10 2014-01-06 영덕물산(주)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혼방 편직물의 염색방법
KR20160083714A (ko) * 2015-01-02 2016-07-12 강효숙 섬유의 친환경 빈티지 염색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90A (ko) * 2001-12-06 2002-03-29 김재훈 봉숭아로부터 천연염료 추출방법 및 이 염료를 이용한섬유제품의 염색방법
KR20020028051A (ko) * 2002-03-19 2002-04-15 고경찬 일방향 초고속 흡습속건성 소재의 제조방법
KR200301001Y1 (ko) * 2002-10-17 2003-01-15 이재만
KR101331988B1 (ko) * 2011-12-19 2013-11-25 (주)빗살무늬 꼭두서니 염색 방법
KR101343297B1 (ko) * 2013-01-10 2014-01-06 영덕물산(주)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혼방 편직물의 염색방법
KR20160083714A (ko) * 2015-01-02 2016-07-12 강효숙 섬유의 친환경 빈티지 염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69B1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28622A (ja) 翡翠含有繊維、糸および吸水性冷却生地
US8424118B2 (en) Undergarment
CN115366495B (zh) 凉感面料、纺织方法及应用
CN110528161A (zh) 一种天然抗菌护肤针织面料的制造方法
JP2009535528A (ja) 水着用途のために好適な伸縮性布地
CN109423767B (zh) 一种吸水速干经编面料及其生产方法和用途
US8959666B2 (en) Undergarment
KR20090079667A (ko) 흡수속건 및 발수성을 갖는 이중구조의 다기능성 원단
JP2004044059A (ja) 複合糸および複合織編物
CN108118434A (zh) 一种高密度功能性针织面料及其用途
KR100467226B1 (ko) 기능성 타월 및 그 제조방법
KR102157269B1 (ko) 천연염색된 레이온/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338586A (zh) 一种吸湿发热经编割绒面料生产工艺
KR20160096737A (ko) 복합 스트레치사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되는 복합 스트레치사 및 고신축성 원단
JP6408973B2 (ja) 脱水性に優れる編地
KR101695354B1 (ko)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편직물의 제조방법
KR101864362B1 (ko) 면-한산모시 혼방사의 천연염색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염색된 혼방사
Pavko-Čuden et al. Knitted Fabrics from Bamboo Viscose.
KR20180024776A (ko) 냉감기능이 우수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757361B1 (ko) 애슬레저용 기능성 복합편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7859A (ko) 신축성이 향상된 이중직 횡편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5684B1 (ko)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포함하는 트리코트 원단의 제조방법
CN108823773A (zh) 一种无氨纶高弹纬编针织布的加工方法
CN220564831U (zh) 一种多功能针织面料
CN109576883A (zh) 一种亚麻竹多纤混纺针织面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