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981A - 악세서리 걸이대 - Google Patents

악세서리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981A
KR20200062981A KR1020180149044A KR20180149044A KR20200062981A KR 20200062981 A KR20200062981 A KR 20200062981A KR 1020180149044 A KR1020180149044 A KR 1020180149044A KR 20180149044 A KR20180149044 A KR 20180149044A KR 20200062981 A KR20200062981 A KR 20200062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accessory
housing
presen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902B1 (ko
Inventor
한동수
Original Assignee
한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수 filed Critical 한동수
Priority to KR102018014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902B1/ko
Priority to PCT/KR2019/011186 priority patent/WO2020111460A1/ko
Publication of KR2020006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는 내부 공간의 내주면에 상호 마주보는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어 악세서리를 복수의 돌기 사이에 끼움시키면 돌기의 마찰력과 가압력에 의해 악세서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악세서리 걸이대{Accessories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악세서리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돌기를 마주보게 배치시키는 동시에 돌기 선단이 부분 겹치도록 하여 자체 탄성력과 유연성을 통해 다양한 일상생활 또는 산업용품 등의 악세서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악세서리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컵 속에 다수의 치솔을 보관하거나, 벽에 못을 박아서 그 곳에 걸어서 보관하거나, 선반 바닥에 그냥 놓거나, 치솔통에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컵 속에 보관시는 치솔의 솔 부분이 아랫쪽일 때에는 손잡이 부분이 위로 있어서 보관 및 사용시는 편리하나, 솔 부분이 밑으로 되므로 습기 및 오물이 치솔의 솔 쪽으로 모여서 불결하여 위생적으로 좋지 않다.
또한, 치솔 부분이 윗쪽으로 되었을 때에는 보관시에 위생상으로는 좋으나, 보관 및 사용시 손으로 솔 부분을 만져야 되기에 위생상 불결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보관할 시 자기의 것을 찾기가 매우 어려워서 뒤지게 된다.
특히, 착각하여 남의 치솔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벽에 못을 박아서 치솔 조립품 구멍으로 걸 수도 있으나, 치솔 스크류에 구멍이 없을 시는 끈을 묶어서 고리를 만들어야 못에 걸 수 있으나, 솔 부분이 아랫쪽으로 되므로 사용후에 치솔을 걸어두면 습기와 오물이 밑으로 흘러서 솔 부분에 집중되므로 불결하게 되어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000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5-0024435호,(1995.09.1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는 복수의 돌기를 마주보게 배치시키는 동시에 돌기 선단이 부분 겹치도록 하여 자체 탄성력과 유연성을 통해 다양한 일상생활 또는 산업용품 등의 악세서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 재질로 마주보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악세서리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면 돌기는 끝단을 기준으로 탄력적으로 꺽어지면서 악세서리 표면을 압박하면서 밀착되어 악세서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는 결합유지를 위한 돌기를 실리콘 재질로 적용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변형이 되지 않고 오랫동안 그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실리콘 부분만을 떼어내야 고온의 끓는 물에서 소독이 가능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는 이용분야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는 내부 공간의 내주면에 상호 마주보는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어 악세서리를 복수의 돌기 사이에 끼움시키면 돌기의 마찰력과 가압력에 의해 악세서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악세서리 걸이대는 환형으로 형성되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에 마주보게 돌출시킨 돌기는 뾰족한 선단이 부분 중첩되게 겹쳐진 파지수단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단면을 수용하는 걸림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 내주면에 단턱을 형성하되, 상기 단턱은 내부면 양측에 마주보게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는 내부 공간의 내주면에 상호 마주보는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어 악세서리를 복수의 돌기 사이에 끼움시키면 돌기의 마찰력과 가압력에 의해 악세서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거치대 내부는 실리콘 재질로 마주보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악세서리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면 돌기는 끝단을 기준으로 탄력적으로 꺽어지면서 악세서리 표면을 압박하면서 밀착되어 악세서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는 결합유지를 위한 돌기를 실리콘 재질로 적용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변형이 되지 않고 오랫동안 그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실리콘 부분만을 떼어내야 고온의 끓는 물에서 소독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는 이용분야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 100는 하우징 110과 파지수단 120으로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 110은 환형으로 형성되도록 내부공간 111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110은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유선형 이외에 다른 형상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110은 상기 공간 내주면에 단턱 112을 형성하되, 상기 단턱 112은 내부면 양측에 마주보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턱 112은 후술 될 파지수단 120과 단턱 112끼리의 결합을 통해 보다 긴밀하게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단턱 112은 하우징 110 내주면에 상부 또는 하부에 번갈아 형성될 수도 있고, 내주면 양쪽 상부 또는 하부 위치에 상호 엇갈린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 110은 내부공간 111에 복수의 단턱 112을 형성하여 상기 파지수단 120이 하우징 110 내주면에 결합시 단턱 112끼리의 결합을 통해 보다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턱 112은 하우징 110 내부면에서 파지수단 1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파지수단 120은 상기 하우징 11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돌기 124를 형성하되, 내부에 마주보게 돌출시킨 돌기 124는 뾰족한 선단이 부분 중첩되게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지수단 120은 실리콘 재질로 적용된다. 이를 통해,실리콘 재질의 특성상 내한성과 내열성이 강하고 무독성으로 이루진다.
즉, 실리콘은 인체에 무해한 불활성 물질이기 때문에 인체에 직접 맞닿는 악세서리인 칫솔 등과 직접 접촉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내약품성의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의 산.염기 염류등의 무기약품, 알코올, 동시물 류와 같은 극성 유기화합물에는 우수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파지수단 120은 복수의 돌기 124가 자체 탄력적인 유연성을 갖고 재질의 특성상 마찰계수가 높다.
상기와 같은 파지수단 1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파지수단 120은 상기 하우징 110의 단면을 수용하는 걸림공간 122이 형성되고 상하단에 걸림턱 123을 형성한 몸체부 121와, 상기 몸체부 121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124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 121는 하우징 1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 111 내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 121의 상부에 각각 형성한 걸림턱 123이 하우징 110의 상하단을 수용하여 걸림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 121의 걸림공간 122에 하우징 110의 측면 및 단턱 112이 내입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 124는 단면 형상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을 제한하지 않으며, 돌기 124의 선단이 뾰족한 형태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돌기 124는 선단으로 갈수록 자체 유연성이 높아지고, 끝단의 경우 단면의 단면적이 넓어 상대적으로 탄력적인 강성을 갖을 수 있다.
이는, 악세서리를 복수의 돌기 124 사이로 밀어서 결합시키면 악세서리와 마찰되는 돌기 124는 끝단을 기준으로 탄력적으로 꺽어지면서 악세서리 표면을 압박하면서 밀착되어 악세서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악세서리 걸이대 100는 상기 하우징 110의 내부 공간의 내주면에 상호 마주보는 복수의 돌기 124가 마련되어 악세서리를 복수의 돌기 124 사이에 끼움시키면 돌기 124의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마찰력과 가압력에 의해 악세서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악세서리 걸이대 100의 이용분야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화장실 집기류 꽂이용으로는 화장실 변기 청소용 솔, 운동화 솔, 바닥청소용 솔 등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주방기구 꽂이으로는 국자, 뒤집개, 가위, 집개 등을 거치할 수 있다.
아울러, 우산거치 또는 공구꽃이용은 매장 입구에 설치하여 비오는 날 대부분 둥그런 통에 넣어서 다른 우산들과 섞이게 되는데, 일렬로 꽂을 수 있도록 하여 아래에 물받이 통을 넣어 떨어진 빗물을 모아서 버릴 수 있는 형태의 꽂이 형태로 적용할 수 있고, 작업실에서 작업할 때 필요한 각종 공구들을 꽂아 놓아 편하게 쉽게 뽑아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꽂아서 정리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걸이대 110 : 하우징
111 : 내부공간 112 : 단턱
120 : 파지수단 121 : 몸체부
122 : 걸림공간 123 : 걸림턱
124 : 돌기

Claims (3)

  1. 내부 공간의 내주면에 상호 마주보는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어 악세서리를 복수의 돌기 사이에 끼움시키면 돌기의 마찰력과 가압력에 의해 악세서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걸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 걸이대는,
    환형으로 형성되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에 마주보게 돌출시킨 돌기는 뾰족한 선단이 부분 중첩되게 겹쳐진 파지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걸이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단면을 수용하는 걸림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걸이대.
KR1020180149044A 2018-11-27 2018-11-27 악세서리 걸이대 KR102155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044A KR102155902B1 (ko) 2018-11-27 2018-11-27 악세서리 걸이대
PCT/KR2019/011186 WO2020111460A1 (ko) 2018-11-27 2019-08-30 악세서리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044A KR102155902B1 (ko) 2018-11-27 2018-11-27 악세서리 걸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981A true KR20200062981A (ko) 2020-06-04
KR102155902B1 KR102155902B1 (ko) 2020-09-14

Family

ID=7085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044A KR102155902B1 (ko) 2018-11-27 2018-11-27 악세서리 걸이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5902B1 (ko)
WO (1) WO2020111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31862B4 (de) 2021-12-02 2023-08-03 Christian Matheis Halterung für Hygieneprodukte in der Dusch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435A (ko) 1994-01-03 1995-08-21 엘리 웨이스 동기신호 발생 방법 및 장치, 주기적 신호 발생 방법 및 장치
US6669031B1 (en) * 1999-08-16 2003-12-30 Miroslav Badonic Plug-in elastic holder
US20050161354A1 (en) * 2003-02-21 2005-07-28 Blue Ocean Capital, Llc Bathroom accessory holder and method therefor
KR20150075657A (ko) * 2013-12-26 2015-07-06 광주광역시 광산구 착탈식 칫솔꽂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8743A (en) * 1986-08-26 1988-09-06 Frost Richard A Container holder
DE4320592A1 (de) * 1993-06-22 1995-01-12 Parat Werk Schoenenbach Gmbh Aufnahmevorrichtung für Werkzeuge, Instrumente od.dgl.
DE20013447U1 (de) * 2000-08-02 2000-11-30 Engert Winfried Reiniger für Toilettenbürst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435A (ko) 1994-01-03 1995-08-21 엘리 웨이스 동기신호 발생 방법 및 장치, 주기적 신호 발생 방법 및 장치
US6669031B1 (en) * 1999-08-16 2003-12-30 Miroslav Badonic Plug-in elastic holder
US20050161354A1 (en) * 2003-02-21 2005-07-28 Blue Ocean Capital, Llc Bathroom accessory holder and method therefor
KR20150075657A (ko) * 2013-12-26 2015-07-06 광주광역시 광산구 착탈식 칫솔꽂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902B1 (ko) 2020-09-14
WO2020111460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8533B2 (ja) 歯ブラシ収納装置付き歯ブラシ充電ステーション
US9291301B2 (en) Support device
US20040021045A1 (en) Holder for supporting a cleaning utensil
US20090242442A1 (en) Draining holder
US5238106A (en) Kitchen-sink organizer
US7552498B2 (en) Brush
KR20200062981A (ko) 악세서리 걸이대
GB2484367A (en) A mop and bucket arrangement
KR101648375B1 (ko) 착탈식 칫솔꽂이
US20130230349A1 (en) Toothpaste tube clip attachment device for storing a toothbrush unto stand-up cap toothpaste tube
CA2698050C (en) Dentifrice container with oral care implement holder
US20040163979A1 (en) Bathroom accessory holder and method therefor
US20050161354A1 (en) Bathroom accessory holder and method therefor
KR200331746Y1 (ko) 세면대용 선반
KR20170006942A (ko) 치간칫솔 보관이 가능한 칫솔걸이.
KR20100003428U (ko) 진공흡판이 체결된 일체형 칫솔
KR200205437Y1 (ko) 식기세척용 수세미
JP3114775U (ja) 歯ブラシ支持付きカップ
RU2039487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KR200385343Y1 (ko) 칫솔꽂이대
US20060265826A1 (en) Outdoor broom
KR20200141111A (ko) 구멍 뚫린 고무장갑
JP2002320586A (ja) 摺洗具ホルダー
KR200256506Y1 (ko) 컵걸이대용 컵꽂이
JP3126592U (ja) 摺洗具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