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899A - D2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D2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899A
KR20200062899A KR1020180148849A KR20180148849A KR20200062899A KR 20200062899 A KR20200062899 A KR 20200062899A KR 1020180148849 A KR1020180148849 A KR 1020180148849A KR 20180148849 A KR20180148849 A KR 20180148849A KR 20200062899 A KR20200062899 A KR 20200062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imer
data transmission
receiving device
data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697B1 (ko
Inventor
반태원
정무웅
류종열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97B1/ko
Priority to PCT/KR2019/013247 priority patent/WO2020111500A1/ko
Publication of KR20200062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04W72/12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앙집중적인 스케쥴링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전송 기법이 개시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각 데이터 수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각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을 산출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메트릭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는 타이머를 설정하여 각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Description

D2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SYSTEM FOR TRANSMITTING DATA IN D2D NETWORK}
하기의 실시예들은 D2D(Device-to-Device)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채널 상태에 따라 각 데이터 전송 장치들이 자율적으로 스케쥴링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기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인터넷이 대중화됨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다. 웹 서핑, 파일 전송 등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나, 음악, 동영상의 스트리밍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일반적인 셀룰러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내의 단말기들은 셀을 관리하는 기지국과 1:1로 통신한다. 따라서, 셀 내의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면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이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대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데이터 전송 장치가 수요가 많은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캐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신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 방식에서는, 데이터 수신 장치는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저장된 캐시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처리 부담이 경감되고, 전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다만, 캐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대한 스케쥴링 기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하기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중앙집중적인 스케쥴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각 데이터 전송 장치들이 자율적으로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수신 장치간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request message)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metric)을 산출하는 메트릭 산출부,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1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메트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타이머보다 길이가 짧도록 결정되는 제2 타이머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설정하는 타이머 설정부, 상기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2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응답 메시지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포기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와 잡음의 세기의 비(GINR: Generating interference to Noise Ratio)이고, 상기 제2 타이머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냄.
Figure pat00003
는 상기 제2 타이머의 길이이고,
Figure pat00004
은 상기 제1 타이머의 길이를 나타냄.
Figure pat00005
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와 잡음의 세기의 비를 나타냄.
Figure pat00006
는 양의 값을 가지는 상수임.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이고, 상기 제2 타이머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7
여기서,
Figure pat00008
는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냄.
Figure pat00009
는 상기 제2 타이머의 길이이고,
Figure pat00010
은 상기 제1 타이머의 길이를 나타냄.
Figure pat00011
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대잡음비를 나타냄.
Figure pat00012
는 양의 값을 가지는 상수임.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세기와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의 비(SGIR: Signal to Generating Interference Ratio)이고, 상기 제2 타이머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13
여기서,
Figure pat00014
는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냄.
Figure pat00015
는 상기 제2 타이머의 길이이고,
Figure pat00016
은 상기 제1 타이머의 길이를 나타냄.
Figure pat00017
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세기와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의 비를 나타냄.
Figure pat00018
는 양의 값을 가지는 상수임.
여기서, 수신 장치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메트릭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상기 메트릭들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수신 장치 선택부는 상기 각각 산출된 메트릭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들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데이터 전송 요청(request message)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메트릭이 산출되고, 상기 산출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제2 타이머가 설정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메트릭에 비례하거나, 상기 메트릭에 반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타이머보다 더 길도록 미리 결정된 제1 타이머가 상기 제2 타이머와 동시에 설정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이후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앙집중적인 스케쥴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각 데이터 전송 장치들이 자율적으로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수신 장치간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수신 장치가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중앙집중적인 스케쥴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장치가 분산적을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가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가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가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수신 장치가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셀룰러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악 스트리밍 또는 비디오 스트리밍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데이터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기지국(130)을 경유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110)로 전송된다. 만약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기지국(130)의 처리 부담이 가중된다.
만약 데이터 처리 수요가 기지국(130)의 처리 용량을 초과한다면, 기지국(130)을 경유하는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은 불가능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110) 뿐만 아니라, 셀 내의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도 더 이상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장치(14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110)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기법이 구상되고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140)는 여러 데이터 수신 장치(110)들이 빈번하게 요청하는 파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140)가 저장하는 파일,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수신된 경우, 데이터 전송 장치(140)는 기지국(130)을 경유하지 않고 해당 파일,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장치(11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데이터 트래픽은 기지국(130)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수신 장치(110)는 기지국의 처리 용량 등을 걱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중앙집중적인 스케쥴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장치가 분산적을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2에서,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는 파일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해당 파일,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는 필요한 파일,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로부터 해당 파일,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단계(230)에서,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는 제1 수신 장치(221)가 이용하려는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파일,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요청(request message)을 방송(broadcast)한다.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는 방송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231)에서,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가 요청한 파일, 데이터를 저장하는지 확인한다.
단계(240)에서,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는 제2 수신 장치(222)가 이용하려는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파일,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방송한다.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는 방송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241)에서,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는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가 요청한 파일, 데이터를 저장하는지 확인한다.
이하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가 요청하는 데이터 및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고,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는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 또는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저장하는 파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의 인덱스로 구성된 집합
Figure pat00019
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에 대한 데이터 수신 장치의 집합
Figure pat00020
,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에 대한 데이터 수신 장치의 집합
Figure pat00021
,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에 대한 데이터 수신 장치의 집합
Figure pat00022
,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에 대한 데이터 수신 장치의 집합
Figure pat00023
는 각각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단계(250)에서,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는 해당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수신 장치들(221, 222)간의 무선 채널을 추정한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파일럿 신호에 기반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로부터 각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까지의 무선 채널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와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들은 시분할 이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채널의 상보성(reciprocity)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로부터 각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까지의 무선 채널의 상태를 각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 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까지의 무선 채널의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요청은 파일럿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까지의 무선 채널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로부터 무선 채널의 상태를 추정한 값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251)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추정된 채널값에 기반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에 대한 메트릭을 산출한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아래의 3가지 파라미터를 메트릭으로 이용할 산출할 수 있다.
1)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와 잡음의 세기의 비(GINR: Generating interference to Noise Ratio)
이 경우에,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는 j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을 하기 [수학식 2]에 따라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28
여기서,
Figure pat00029
는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가 j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산출한 메트릭을 나타내고, U는 데이터 수신 장치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30
은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와 r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 간의 무선채널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31
은 잡음의 전력을 나타낸다.
2)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이 경우에,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는 j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을 하기 수학식 3에 따라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32
여기서,
Figure pat00033
는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가 j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산출한 메트릭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34
은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와 j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 간의 무선채널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35
은 잡음의 전력을 나타낸다.
3)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세기와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의 비(SGIR: Signal to Generating Interference Ratio)
이 경우에,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는 j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을 하기 수학식 4에 따라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36
여기서,
Figure pat00037
는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가 j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산출한 메트릭을 나타내고, U는 데이터 수신 장치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38
은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와 r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 간의 무선채널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39
은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와 j번째 데이터 수신 장치 간의 무선채널을 나타낸다.
단계(260)에서, 각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각 데이터 수신 장치들(221, 222)에 대해 산출된 메트릭들에 기반하여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들 중에서 각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선택한다.
1) 메트릭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와 잡음의 세기의 비(GINR: Generating interference to Noise Ratio)인 경우
이 경우에,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메트릭에 대응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를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선택한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수학식 5와 같다.
[수학식 5]
Figure pat00040
여기서,
Figure pat00041
는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이다.
2) 메트릭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이거나, 메트릭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세기와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의 비(SGIR: Signal to Generating Interference Ratio)인 경우
이 경우에,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메트릭에 대응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221, 222)를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선택한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수학식 6과 같다.
[수학식 6]
Figure pat00042
여기서,
Figure pat00043
는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이다.
일측에 따르면, 도 2에서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는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에 대한 데이터 수신 장치의 집합
Figure pat00044
의 원소인 1, 2를 인덱스로 가지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 및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에 대해 메트릭을 산출하고, 산출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가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를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를,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는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를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선택하고,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는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선택하지 못하였다고 가정한다.
각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최대 하나의 데이터 수신 장치를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각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서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를 설정한다. 제1 타이머는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며, 모든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서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타이머의 길이는 제1 타이머의 길이보다 짧게 결정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2 타이머는 각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1) 메트릭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와 잡음의 세기의 비(GINR: Generating interference to Noise Ratio)인 경우
데이터 전송 장치는 하기 수학식 7에 따라서 제2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pat00045
여기서,
Figure pat00046
는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47
는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가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설정한 제2 타이머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48
은 상기 제1 타이머의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49
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50
는 양의 값을 가지는 상수이다. 수학식 7에 따르면,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는 메트릭에 비례하여 제2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2) 메트릭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이거나, 메트릭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세기와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의 비(SGIR: Signal to Generating Interference Ratio)인 경우
데이터 전송 장치는 하기 수학식 8에 따라서 제2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pat00051
여기서,
Figure pat00052
는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53
는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가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설정한 제2 타이머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54
은 상기 제1 타이머의 길이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55
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56
는 양의 값을 가지는 상수이다. 수학식 8에 따르면,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는 메트릭에 반비례하여 제2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각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제2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만약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각 데이터 전송 장치(211, 212, 213, 214)는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에서는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와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가 모두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를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결정하였다. 일측에 따르면,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의 제2 타이머 보다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의 제2 타이머가 먼저 만료될 수 있다.
단계(270)에서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로 전송한다.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가 전송한 응답 메시지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뿐만 아니라 제1 데이터 전송 장치(211),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로도 전송된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수신 장치의 식별자를 자신이 데이터를 전송할 데이터 수신 장치의 식별자와 비교할 수 있다.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 및 제4 데이터 전송 장치(214)의 경우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를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하고 있지 않으므로, 응답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
단계(271)에서,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11)는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11)의 식별자와 자신이 데이터를 전송할 데이터 수신 장치의 식별자를 비교한다. 식별자가 동일하므로,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11)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및 데이터 전송을 포기할 수 있다.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의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3 데이터 전송 장치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로 전송한다.
단계(290)에서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2 데이터 전송 장치(212)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221)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데이터 전송 장치(213)는 제2 데이터 수신 장치(222)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수신부(310), 채널 추정부(320), 메트릭 산출부(330), 수신장치 선택부(340), 타이머 설정부(350), 응답 메시지 전송부(360) 및 데이터 전송부(370)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들(300, 391, 392, 393)은 데이터 수신 장치(381, 382)로 전송할 데이터를 캐싱(cashing)하고, 데이터 수신 장치(381, 382)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캐싱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신부(310)는 데이터 수신 장치(381, 382)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 391, 392, 393)들과 데이터 수신 장치들(381, 382)간의 무선 채널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가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450, 460)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방송한다. 데이터 전송 요청은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수신 장치(410, 420, 430, 440)로 전송된다. 도 4에서, 무선 채널은
Figure pat00057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i는 데이터 전송 장치(410, 420, 430, 440)의 인덱스이고, j는 데이터 수신 장치(450, 460)의 인덱스이다.
데이터 전송 요청은 각 데이터 수신 장치(381, 382)가 수신하려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분석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381, 382)가 수신하려는 데이터를 자신이 캐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 도 4에서, 제1 데이터 전송 장치(410)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450) 및 제2 데이터 수신 장치(460)가 수신하려는 데이터를 모두 캐싱하고, 제2 데이터 전송 장치(420)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450)가 수신하려는 데이터를 캐싱하고, 제3 데이터 전송 장치(430)는 제2 데이터 수신 장치(460)가 수신하려는 데이터를 캐싱하고, 제4 데이터 전송 장치(440)는 데이터를 캐싱하고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i번째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저장하는 파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의 인덱스로 구성된 집합
Figure pat00058
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채널 추정부(320)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381, 382)까지의 무선 채널을 추정한다.
메트릭 산출부(330)는 추정된 채널의 값에 기반하여 데이터 수신장치(381, 382)에 대한 메트릭을 산출한다. 일측에 따르면, 메트릭 산출부는 아래의 3가지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를 메트릭으로 산출할 수 있다.
1)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와 잡음의 세기의 비(GINR: Generating interference to Noise Ratio)
2)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3)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세기와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의 비(SGIR: Signal to Generating Interference Ratio)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메트릭 산출부는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에 따라 메트릭을 산출할 수 있다.
수신장치 선택부(340)는 각 데이터 수신 장치들(381, 382)에 대해 산출된 메트릭들에 기반하여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381, 382)들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선택한다.
도 4에서,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450, 460)가 수신하려는 데이터를 모두 캐싱하고 있는 것은 제1 데이터 전송 장치(410)가 유일하므로, 제1 데이터 전송 장치만이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수신장치 선택부(340)는 메트릭에 따라 수학식 5 또는 수학식 6에 따라서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타이머 설정부(350)는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1 타이머를 설정한다. 또한, 타이머 설정부는 제1 타이머보다 짧은 길이의 제2 타이머를 설정한다. 제2 타이머의 길이는 메트릭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타이머 설정부(350)는 수학식 7 또는 수학식 8에 따라서 제2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 전송부(360)는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수신된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
이하 응답 메시지 전송부(360)가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제1 데이터 전송 장치(510)와 제2 데이터 전송 장치(520)는 모두 제1 데이터 수신 장치를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결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제1 데이터 전송 장치(510)와 제2 데이터 전송 장치(520)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550)에 대하여 각각 설정한 제2 타이머가 만료되기를 기다린다. 일측에 따르면, 제2 데이터 전송 장치(520)가 설정한 제2 타이머가 제1 데이터 전송 장치(510)가 설정한 제2 타이머보다 먼저 만료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데이터 전송 장치(520)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1 데이터 수신 장치(550)로 전송한다. 응답 메시지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550) 뿐만 아니라, 제1 데이터 전송 장치(510), 제3 데이터 전송 장치(530), 제4 데이터 전송 장치(540)로도 전송된다.
응답 메시지는 데이터를 수신할 제1 데이터 수신 장치(55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데이터 전송 장치(530)와 제4 데이터 전송 장치(540)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550)로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해당 응답 메시지는 무시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전송 장치(510)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550)로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포기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데이터 전송 장치는 자신이 설정한 제1 타이머 또는 제2 타이머를 리셋할 수 있다.
이하 제3 데이터 전송 장치(530)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제1 데이터 전송 장치(610)는 데이터 전송을 포기하였고, 제2 데이터 전송 장치(620)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65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며, 제4 데이터 전송 장치(6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3 데이터 전송 장치(630)가 제2 데이터 수신 장치(660)에 대하여 설정한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3 데이터 전송 장치(630)는 제2 데이터 수신 장치(66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3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전송한 응답 메시지는 다른 전송 장치(610, 620, 640)로도 전송되나, 다른 전송 장치(610, 620, 640)는 제2 데이터 수신 장치(660)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무시한다.
응답 메시지의 전송에 성공하고,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데이터 전송부(370)은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하 데이터 전송부(370)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가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데이터 전송 장치(710)는 제2 데이터 전송 장치(72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데이터 수신 장치(710)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및 데이터 전송을 포기한다.
제2 데이터 전송 장치(720)는 제1 데이터 수신 장치(750)로 응답 메시지 전송이 성공한 후 제1 데이터가 만료되면, 제1 데이터 수신 장치(75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3 데이터 전송 장치(730)는 제2 데이터 수신 장치(760)로 응답 메시지 전송이 성공한 후 제1 데이터가 만료되면, 제2 데이터 수신 장치(76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4 데이터 전송 장치(740)는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결정하지 못하여, 응답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800)는 전송부(810) 및 수신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810)는 데이터 전송 장치(830, 840, 850, 860)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요청은 데이터 수신 장치(800)가 수신하려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830, 840, 850, 860)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데이터수신 장치가 수신하려는 파일, 데이터를 자신이 저장 또는 캐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해당 파일, 데이터를 자신이 저장 또는 캐싱하고 있는 경우에, 데이터 전송 장치(830, 840, 850, 860)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각 데이터 전송 장치(830, 840, 850, 860)는 데이터 수신 장치(800)에 대한 메트릭을 산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 장치(800)에 대한 메트릭은 데이터 수신 장치(800)와 데이터 전송 장치(830, 840, 850, 860) 사이의 무선 채널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 장치(800)에 대하여 산출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데이터 수신 장치(800)에 대한 제2 타이머가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전송 장치(830, 840)가 데이터 수신 장치(8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에, 각 데이터 전송 장치(830, 840)는 데이터 수신 장치(800)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2 데이터를 설정한다.
제2 타이머를 설정한 데이터 전송 장치들(830, 840) 중에서, 먼저 제2 타이머가 만료된 데이터 전송 장치(840)가 데이터 수신 장치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84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데이터 전송 장치(830)는 데이터 수신 장치(800)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포기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데이터 전송 장치(840)는 이후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데이터 수신 장치(8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820)는 데이터 전송 장치(84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데이터 수신 장치
120: 데이터 전송 장치
130: 기지국
140: 데이터 서버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request message)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metric)을 산출하는 메트릭 산출부;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1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메트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타이머보다 길이가 짧도록 결정되는 제2 타이머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설정하는 타이머 설정부;
    상기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2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응답 메시지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포기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와 잡음의 세기의 비(GINR: Generating interference to Noise Ratio)이고,
    상기 제2 타이머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서 결정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59


    여기서,
    Figure pat00060
    는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냄.
    Figure pat00061
    는 상기 제2 타이머의 길이이고,
    Figure pat00062
    은 상기 제1 타이머의 길이를 나타냄.
    Figure pat00063
    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와 잡음의 세기의 비를 나타냄.
    Figure pat00064
    는 양의 값을 가지는 상수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이고,
    상기 제2 타이머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서 결정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수학식 2]

    Figure pat00065


    여기서,
    Figure pat00066
    는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냄.
    Figure pat00067
    는 상기 제2 타이머의 길이이고,
    Figure pat00068
    은 상기 제1 타이머의 길이를 나타냄.
    Figure pat00069
    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대잡음비를 나타냄.
    Figure pat00070
    는 양의 값을 가지는 상수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세기와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의 비(SGIR: Signal to Generating Interference Ratio)이고,
    상기 제2 타이머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서 결정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수학식 3]

    Figure pat00071


    여기서,
    Figure pat00072
    는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를 나타냄.
    Figure pat00073
    는 상기 제2 타이머의 길이이고,
    Figure pat00074
    은 상기 제1 타이머의 길이를 나타냄.
    Figure pat00075
    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메트릭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세기와 다른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세기의 비를 나타냄.
    Figure pat00076
    는 양의 값을 가지는 상수임.
  5. 제1항에 있어서,
    수신 장치 선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메트릭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상기 메트릭들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수신 장치 선택부는 상기 각각 산출된 메트릭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수신 장치들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 수신 장치를 선택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6.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데이터 전송 요청(request message)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 메트릭이 산출되고, 상기 산출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한 제2 타이머가 설정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메트릭에 비례하거나, 상기 메트릭에 반비례하도록 설정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머보다 더 길도록 미리 결정된 제1 타이머가 상기 제2 타이머와 동시에 설정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이후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KR1020180148849A 2018-11-27 2018-11-27 D2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309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849A KR102309697B1 (ko) 2018-11-27 2018-11-27 D2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
PCT/KR2019/013247 WO2020111500A1 (ko) 2018-11-27 2019-10-10 D2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849A KR102309697B1 (ko) 2018-11-27 2018-11-27 D2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899A true KR20200062899A (ko) 2020-06-04
KR102309697B1 KR102309697B1 (ko) 2021-10-07

Family

ID=7085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849A KR102309697B1 (ko) 2018-11-27 2018-11-27 D2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9697B1 (ko)
WO (1) WO202011150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261A (ko) * 2012-06-29 201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중화를 수행하는 멀티 홉 네트워크에서 대상 송신 노드 및 대상 수신 노드의 페어를 분산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협력 헤더를 통하여 중앙 집중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US20150201392A1 (en) * 2014-01-14 2015-07-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KR101706618B1 (ko) * 2015-12-31 2017-02-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단말간 직접 통신 네트워크에서 분산적으로 스케쥴링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03546A (ko) * 2015-04-08 2018-01-0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간(d2d) 통신을 위한 모바일 릴레이 구현
US20180332647A1 (en) * 2014-03-21 2018-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prior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261A (ko) * 2012-06-29 201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중화를 수행하는 멀티 홉 네트워크에서 대상 송신 노드 및 대상 수신 노드의 페어를 분산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협력 헤더를 통하여 중앙 집중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US20150201392A1 (en) * 2014-01-14 2015-07-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20180332647A1 (en) * 2014-03-21 2018-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priority
KR20180003546A (ko) * 2015-04-08 2018-01-0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간(d2d) 통신을 위한 모바일 릴레이 구현
KR101706618B1 (ko) * 2015-12-31 2017-02-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단말간 직접 통신 네트워크에서 분산적으로 스케쥴링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697B1 (ko) 2021-10-07
WO2020111500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4676B2 (ja) ピア・トゥ・ピ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受信機ビームフォーミングおよび放棄閾値調節のための技術
JP6017305B2 (ja) 無線ピアツーピア(p2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wan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リソースの再使用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4021325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ing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ing method
US908407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ex based peer discovery
US10687271B2 (en) Network accessing method
KR20090004185A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드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00127A (ko) 업링크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채널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들의 통신 방법
JP2011502420A (ja) ピアツーピア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データ伝送のユーザ・スケジューリングに関係する通信方法及び装置
JP6781857B1 (ja) Ran補助のレートアダプテーションの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
CN110547000B (zh) 直连通信的功率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556704B (zh) 路径规划方法及通信装置
KR20180137254A (ko)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20511032A (ja) コーデックレートアダプテーションのためのビットレート要求の無線状態トリガ
CN111866791A (zh) 一种直通链路传输方法和终端
KR20150096502A (ko)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들 및 사용자 장비들을 위한 효율적 캐시 선택
US20210226741A1 (en) Dynamic user grouping i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 networks
KR101662505B1 (ko) 단말간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09697B1 (ko) D2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35823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윈도우 값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32153A (ko) 멀티 라디오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WO2022001667A1 (zh) 天线确定方法、装置、终端、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111234B2 (en) Frequency assignment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therefor
EP3518576A1 (en) Data flow manager for distributing data for a data stream of a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2575361B1 (ko)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KR102141007B1 (ko) 간헐적 간섭 환경에서 기회적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