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774A -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774A
KR20200061774A KR1020180147462A KR20180147462A KR20200061774A KR 20200061774 A KR20200061774 A KR 20200061774A KR 1020180147462 A KR1020180147462 A KR 1020180147462A KR 20180147462 A KR20180147462 A KR 20180147462A KR 20200061774 A KR20200061774 A KR 20200061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tterns
wall
panel
base pane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구
이은섭
이정자
Original Assignee
이정자
이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자, 이은섭 filed Critical 이정자
Priority to KR102018014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774A/ko
Publication of KR2020006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6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부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탄성 슬릿을 구비하는 스터드에 압입 설치되는 벽체 마감 패널에 있어서,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의 탄성 슬릿에 압입되는 복수의 삽입부;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블럭패턴;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교번배치되는 복수의 제2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재 삽입홈을 포함하는 벽체 마감 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WALL FINISHING PANEL AND WALL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마감 패널에 발광부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및 아파트 등의 지하 구조물 벽면에는 통상 벽체 배수판이라 불리우는 벽체 마감 패널(wall finishing panel)이 설치되어 있다. 벽체 마감 패널은 지하 구조물의 벽면에 이중벽을 형성함으로서 외벽을 통해 유입되는 유수, 결로등에 기인한 미관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을 모자이크 식으로 디자인하여 유려한 벽면을 이루도록 하는 마감 목적으로 설치한다.
최근, 보다 유려한 벽면을 구현하거나, 특정 상호를 홍보하기 위해 LED와 같은 발광부재를 벽체에 설치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종래의 벽체 마감 패널에는 발광부재를 결합시킬 수 없어 고가의 발광패널을 벽면에 별도로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시공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발광부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탄성 슬릿을 구비하는 스터드에 압입 설치되는 벽체 마감 패널에 있어서,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의 탄성 슬릿에 압입되는 복수의 삽입부;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블럭패턴;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교번배치되는 복수의 제2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재 삽입홈을 포함하는 벽체 마감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벽체 마감 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3블럭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내지 상기 복수의 제3블럭패턴은 필러타입(pillar type)의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사각형이고,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원형이며, 상기 복수의 제3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삼각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벽체 마감 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하단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환기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벽체 마감 패널은 상기 베이스패널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는 반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며, 광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벽체 마감 패널은 상기 발광부재 삽입홈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옥내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옥내 상부면 및 하부면에 결속되며,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스터드; 상기 스터드에 결속되어 상기 옥내 벽면을 덮는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체 마감 패널은,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의 탄성 슬릿에 압입되는 복수의 삽입부;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블럭패턴;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교번배치되는 복수의 제2블럭패턴;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재 삽입홈; 및 상기 발광부재 삽입홈에 결속된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벽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벽체 어셈블리에서 상기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체 마감 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3블럭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내지 상기 복수의 제3블럭패턴은 필러타입(pillar type)의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사각형이고,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원형이며, 상기 복수의 제3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삼각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체 어셈블리에서 상기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체 마감 패널은, 상기 발광부재 삽입홈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벽체 어셈블리는 상기 스터드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옥내 벽면으로 조사된 광이 옥내 벽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벽체 어셈블리는 상기 스터드에 설치된 광원; 및 상기 스터드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옥내 벽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은 복수의 제1블럭패턴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을 이용하여 발광부재 삽입홈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벽체 마감 패널 상에 발광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유려한 벽면을 구현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특정 상호를 홍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어셈블리는 발광부재가 설치된 벽체 마감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유려한 벽면을 구현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특정 상호를 홍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어셈블리는 발광부재가 설치된 벽체 마감 패널에서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옥내 벽면에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옥내 벽면의 손상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의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광부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광부재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발광부재 삽입홈을 구비하는 벽체 마감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의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10)은 탄성 슬릿(224)을 구비하는 스터드(220, 도 6 참조)에 압입 설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패널(100), 베이스패널(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스터드(220)의 탄성 슬릿(224)에 압입되는 복수의 삽입부(150), 베이스패널(100) 상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복수의 제2블럭패턴(120) 및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재 삽입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패널(100)은 평면형상이 사각형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라스틱 소재는 난연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베이스패널(100)의 전면(front side) 상에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패널(10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삽입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100),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 및 복수의 삽입부(150)는 일체형(one body)일 수 있으며,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을 통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베이스패널(100)은 발광부재 삽입홈(140)의 저면 즉, 발광부재 삽입홈(140)에 대응하는 베이스패널(10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9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190)은 발광부재(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옥내 벽면으로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벽체 어셈블리에서 실시간 벽면 점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발광부재 삽입홈(140)에 발광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관통홀(190)은 옥내 벽면(200)과 벽체 마감 패널(10)을 포함하는 벽체 어셈블리(20) 사이의 공기 흐름 통로로 작용하여 옥내 벽면의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베이스패널(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스터드(220)의 탄성 슬릿(224)에 압입되는 복수의 삽입부(150)는 베이스패널(100)의 각 변마다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패널(100)의 평면형상이 사각형일 경우, 각 변마다 총 4개의 삽입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50)는 베이스패널(100)의 전면(front side)에서 후면(back side)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스터드(220)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베이스패널(100)의 폭(즉, 한 변의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고, 양측 가장자리가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150)는 복수의 결합공(152) 및 복수의 돌출부(154)가 형성되는 제1영역(150A)과 스터드(220)의 탄성 슬릿(224)에 압입되는 제2영역(15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공(152) 및 돌출부(154)는 인접한 벽체 마감 패널(10)들 사이의 결속을 위한 것으로, 삽입부(15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복수의 결합공(152) 및 복수의 돌출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5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152) 및 복수의 돌출부(154)는 동일선상에서 정렬될 수 있다. 벽체 마감 패널(10) 사이의 연속적인 결합이 용이하도록 어느 일방향으로 베이스패널(10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150)와 타측에 형성된 삽입부(150)는 복수의 결합공(152) 및 복수의 돌출부(154) 형성위치가 반대일 수 있다. 삽입부(150)의 제2영역(150B) 끝단에는 스터드(220)의 탄성 슬릿(224)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돌기(미도시)가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벽체 마감 패널(10)의 삽입방향으로 삽입부(150)의 제2영역(150B) 길이는 스터드(220)의 탄성 슬릿(224)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베이스패널(10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은 발광부재 삽입홈(140)을 제공함과 동시에 벽체 마감 패널(10)에서 발광부재(30)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재는 고가의 발광패널을 사용하지 않고도 유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라인타입의 발광부재(30)일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은 필러타입(pillar type)의 패턴일 수 있다. 제1블럭패턴(110)은 평면형상이 사각형일 수 있으며, 베이스패널(100) 상에서 바둑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블럭패턴(120)은 제2블럭패턴(120)과 이격될 수 있고, 평면형상이 원형일 수 있으며, 제1블럭패턴(110)과 마찬가지로 베이스패널(100) 상에서 바둑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블럭패턴(110) 및 제2블럭패턴(120)은 교번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블럭패턴(130)은 제1블럭패턴(110) 및 제2블럭패턴(120)과 이격될 수 있고, 평면형상이 삼각형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3블럭패턴(130)의 측면은 마주보는 제1블럭패턴(110)의 측면 및 제2블럭패턴(120)의 측면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블럭패턴(110)의 측면에 대응하는 제3블럭패턴(130)의 측면은 직선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제2블럭패턴(120)의 측면에 대응하는 제3블럭패턴(130)의 측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 각각은 베이스패널(100)에 인접한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환기공(180)을 포함할 수 있다. 환기공(180)은 베이스패널(100) 및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 각각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옥내 벽면과 벽체 마감 패널(10)을 포함하는 벽체 어셈블리 사이의 공기 흐름 통로를 제공하여 옥내 벽면(200)의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에 의해 제공되는 발광부재 삽입홈(140)은 발광부재(3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은 발광부재(30)의 직선부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복수의 제2블럭패턴(120)은 발광부재(30)의 곡선부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은 발광부재(30)의 곡선부를 가이드 및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10)은 커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70)는 발광부재(30)가 결속된 벽체 마감 패널(10)의 미관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발광부재(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사용자에게 보다 유려하게 제공하여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70)는 반투명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제로는 실리카(silic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poly-butyl-methacrylate, PBMA), 탄산칼슘(CaCO3), 글래스 비드(glass bead)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커버(170)는 평면형상이 사각형일 수 있으며, 베이스패널(100)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커버(170)의 후면(back side)에는 커버(170)의 결합 및 고정을 위한 복수의 커버고정부(172)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고정부(172)는 제1블럭패턴(110) 또는 제2블럭패턴(120)에 형성된 커버결합공(160)에 압입되어 결속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70) 전체가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로서, 커버(170)는 서로 다른 투광도를 갖는 복수의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170)는 발광부재(30)를 활용하여 소정의 문자 또는 기호를 나타내기 위해 배경이 되는 영역과 문자 또는 기호에 대응하는 영역의 투광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10)은 복수의 제1블럭패턴(110) 내지 복수의 제3블럭패턴(130)을 이용하여 발광부재 삽입홈(140)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벽체 마감 패널(10) 상에 발광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유려한 벽면을 구현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특정 상호를 홍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어셈블리(20)는 옥내 벽면(2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옥내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고정된 상부런너(202) 및 하부런너(204),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부런너(202) 및 하부런너(204)에 고정되고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스터드(220) 및 스터드(220)에 압입되어 결속되고 옥내 벽면(200)을 벽면을 덮는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들(21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런너(202) 및 하부런너(204)는 단면형상이 'ㄷ'자 이고, 일방향으로 연장된 라인타입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부런너(202) 및 하부런너(204)는 경량철골일 수 있다. 상부런너(202)는 옥내 상부면 즉, 천장에 다이렉트로 고정될 수 있다. 하부런너(204)는 옥내 하부면 즉,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로(208)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닥면과 하부런너(204) 사이에 삽입된 간격재(206)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간격재(206)는 옥내 하부면에도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벽체 어셈블리(20)에서 배수 통로 및 공기 흐름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 예컨대, 고무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스터드(220)는 탄성 슬릿(224)을 포함하는 중공관 형상의 몸체(222)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연장된 라인타입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스터드(220)는 경량철골일 수 있다. 스터드(220)의 몸체(222)는 탄성 슬릿(224)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탄성 슬릿(224)의 탄성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터드(220)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상부런너(202) 및 하부런너(204)에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터드(220)는 옥내 상부면 및 옥내 하부면에 고정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들(210, 240)은 복수의 제1마감패널(210) 및 복수의 제2마감패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마감패널(210)은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의 마감패널 또는 벽체 배수판일 수 있고, 복수의 제2마감패널(2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10)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들(210, 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마감패널(240)일 수 있다. 즉, 벽체 어셈블리(20)에서 제2마감패널(240)은 옥내 벽면(200)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옥내 벽면(200)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 어셈블리(20)에서 제2마감패널(240)이 옥내 벽면(200)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며,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 패널(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어셈블리(20)는 옥내 벽면(2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너터링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재(230)는 발광부재(30)가 설치된 제2마감패널(240)에 기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터드(220)의 몸체(2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들(210, 240)을 등지고 옥내 벽면(200)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감지부재(230)가 스터드(220)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부재(230)는 조도센서일 수 있으며, 제2마감패널(240)에 설치된 발광부재(30)에서 베이스패널(100)의 관통홀(190)을 통해 옥내 벽면(200)으로 조사된 광이 옥내 벽면(200)으로부터 반사되는 정도 즉, 반사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옥내 벽면(200)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옥내 벽면(200)에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감지부재(230)에서 측정된 조도값을 기준으로하여 ±15% 내외의 조도값 변화가 발생할 경우에 해당 감지부재(230)가 위치하는 주변 옥내 벽면(2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재(230)를 통해 측정된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옥내 벽면(200)에 크랙이 발생한 것임을 알 수 있고,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는 옥내 벽면(200)에 결로가 발생하였거나, 또는 유수가 유입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마감패널(240)이 관통홀(190)을 구비하지 않거나, 제2마감패널(240)이 설치되지 않은 벽체 어셈블리(20)에서는 옥내 벽면(200)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별도의 광원(250)을 설치할 수도 있다. 광원(250)은 감지부재(230)와 마찬가지로 스터드(220)의 몸체(2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들(210, 240)을 등지고 옥내 벽면(200)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광원(250)으로는 제2마감패널(240)에 설치되는 발광부재(30)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적외선 광원(25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250)이 스터드(22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어셈블리(20)는 발광부재(30)가 설치된 제2마감패널(240)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유려한 벽면을 구현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특정 상호를 홍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재(30)가 설치된 제2마감패널(240)에서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옥내 벽면(200)에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옥내 벽면(200)의 손상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벽체 마감 패널 20 : 벽체 어셈블리
30 : 발광부재 100 : 베이스패널
110 : 제1블럭패턴 120 : 제2블럭패턴
130 : 제3블럭패턴 140 : 발광부재 삽입홈
150 : 삽입부 150A : 제1영역
150B : 제2영역 152 : 결합공
154 : 돌출부 160 : 커버결합공
170 : 커버 172 : 커버고정부
180 : 환기공 190 : 관통홀
200 : 옥내 벽면 202 : 상부런너
204 : 하부런너 206 : 간격재
208 : 배수로 210 : 제1마감패널
240 : 제2마감패널 220 : 스터드
222 : 몸체 224 : 탄성 슬릿
230 : 감지부재 250 : 광원

Claims (12)

  1. 탄성 슬릿을 구비하는 스터드에 압입 설치되는 벽체 마감 패널에 있어서,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의 탄성 슬릿에 압입되는 복수의 삽입부;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블럭패턴;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교번배치되는 복수의 제2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재 삽입홈
    을 포함하는 벽체 마감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3블럭패턴을 더 포함하는 벽체 마감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내지 상기 복수의 제3블럭패턴은 필러타입(pillar type)의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사각형이고,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원형이며, 상기 복수의 제3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삼각형인 벽체 마감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하단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환기공을 더 포함하는 벽체 마감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반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며, 광확산제를 포함하는 벽체 마감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 삽입홈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벽체 마감 패널.
  7. 옥내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옥내 상부면 및 하부면에 결속되며,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스터드;
    상기 스터드에 결속되어 상기 옥내 벽면을 덮는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체 마감 패널은,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의 탄성 슬릿에 압입되는 복수의 삽입부;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블럭패턴;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교번배치되는 복수의 제2블럭패턴;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재 삽입홈; 및
    상기 발광부재 삽입홈에 결속된 발광부재
    를 포함하는 벽체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체 마감 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3블럭패턴을 더 포함하는 벽체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내지 상기 복수의 제3블럭패턴은 필러타입(pillar type)의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제1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사각형이고, 상기 복수의 제2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원형이며, 상기 복수의 제3블럭패턴 각각의 평면형상은 삼각형인 벽체 어셈블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체 마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체 마감 패널은,
    상기 발광부재 삽입홈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벽체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옥내 벽면으로 조사된 광이 옥내 벽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체 어셈블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에 설치된 광원; 및
    상기 스터드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옥내 벽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벽체 어셈블리.
KR1020180147462A 2018-11-26 2018-11-26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 KR20200061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62A KR20200061774A (ko) 2018-11-26 2018-11-26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62A KR20200061774A (ko) 2018-11-26 2018-11-26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74A true KR20200061774A (ko) 2020-06-03

Family

ID=7108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462A KR20200061774A (ko) 2018-11-26 2018-11-26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7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200202114T2 (tr) Mekanik panel bağlantısı
JP3152147U (ja) 組立式床材
TR201903132T4 (tr) Bir dizi yapı paneli.
DE502005009261D1 (de) Paneel, insbesondere Fussbodenpaneel
US7634881B2 (en) Cross panel
RU2010119043A (ru) Система покрытия пола, имеющая множество мест совмещения
US9062463B2 (en) Construction set for covering substrate, in particular floor substrate
US20090107077A1 (en) Modular flooring
KR20200061774A (ko) 벽체 마감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벽체 어셈블리
US20170350119A1 (en) Lighting Arrangement for a Suspended Ceiling Grid System Containing Decorative Co-Planar Ceiling Components
KR101260052B1 (ko) 도광판 적용 광고를 위한 간판 프레임 장치
KR101364905B1 (ko) 방화문용 후면판 구조 및 방화문 제작방법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JP3014258U (ja) 通風口付ドア
IT201900015545A1 (it) Sostegno/appoggio per pavimenti sopraelevati
KR102574961B1 (ko) 창호 일체형 투명 안전 난간시스템
JP7089378B2 (ja) 床吹出空調用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の表面部材
ES2310100B1 (es) Parquet.
JP7246022B2 (ja) 引戸装置
KR101419310B1 (ko) 이중 접합형 투명 방음판
KR200481493Y1 (ko) 스토퍼 구비 조립식 외장재
KR101668608B1 (ko) 복층판 고정틀
KR20200126312A (ko)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JP2003253855A (ja) 建築用板材
PT1484195E (pt) Placa de reviestimentos compreendendo uma faixa colori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