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223A -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승강식 자동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승강식 자동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223A
KR20200061223A KR1020180146750A KR20180146750A KR20200061223A KR 20200061223 A KR20200061223 A KR 20200061223A KR 1020180146750 A KR1020180146750 A KR 1020180146750A KR 20180146750 A KR20180146750 A KR 20180146750A KR 20200061223 A KR20200061223 A KR 20200061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heating
food
automatic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한스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스팝 filed Critical (주)한스팝
Priority to KR102018014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223A/ko
Publication of KR2020006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기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본체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센서부의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에 따라 본체부의 전원부 또는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조리 장치{AUTOMATIC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가열을 중단할 수 있는 자동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료에 열을 가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법에는 불꽃을 포함하는 가스 불, 연탄 불, 숯불 등이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불꽃이 재료에 직접적으로 닿게 되면 재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등을 포함하는 유해가스가 발생하고, 발생한 유해가스는 실내 공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해로울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는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불꽃이 다른 물건에 옮겨 큰 화제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이 불꽃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종래 조리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적외선을 이용한 조리 장치는 조리 과정에서 연기가 발생하지 않아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험성도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조리 장치는 재료의 상부에서 열을 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재료의 익힘 정도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다만, 적외선을 이용하는 조리 장치의 경우에도 높은 열을 이용하여 재료를 가열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신체의 일부분이 적외선을 방출하는 부분에 노출되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나, 이런 장치는 실제로 불꽃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의 경우, 호기심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부분을 직접적으로 만지거나 건드려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4872호(2016.05.2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 등의 위험 요소를 감지하는 경우 스스로 작동을 중단할 수 있는 자동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기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본체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센서부의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에 따라 본체부의 전원부 또는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는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는 전원부 또는 가열부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센서는 중력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는 가열부 또는 가열부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가열부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의 온도 센서 또는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는 가열부의 가열 온도를 낮추거나 가열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는 가열부와 음식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부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조리 장치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고, 특히 진동 센서를 통해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여 스스로 작동을 중단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화재나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기기로 이루어진 자동 조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에서 조리 중 외부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된다는 것은 이들이 직접 맞닿아 이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서로 이어지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자동 조리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기기로 이루어진 자동 조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 및 서버(3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0)는 음식물(S)의 위쪽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음식물(S)을 조리하며, 음식물(S)로부터 적외선을 조사하는 부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식 조리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0)는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음식물마다 사전 설정된 조리 방식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 방식으로 장치를 직접 조작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음식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자동 조리 장치(100)를 작동할 때 사용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 태플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직접 조리 조건을 설정하여 자동 조리 장치(100)를 작동하거나, 또는 조리할 음식물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음식물의 종류 및 양 등)와 선호하는 조리법 내지 조리 상태(예를 들어, 음식물의 굽기 정도 등)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고 사전 설정되어 있는 조리 조건 중 최적의 조리 조건에 의해 자동 조리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서버(300)는 매장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자동 조리 장치(100)와 연결되어, 사용자는 서버(300)를 통해 매장 내에 자동 조리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매장 직원은 서버(300)를 통해 매장에 방문한 고객을 보다 신속하게 빈 자리로 안내할 수 있고, 또한 매장 내에 위치하는 특정 자동 조리 장치(10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300)는 매장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CCTV)와 연결되어 매장 내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매장 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하나의 서버(300)를 통해 여러 매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매장 외의 별도의 시설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음식물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기초로 각 음식물마다 사전 설정된 조리 방식을 통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기기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0)는 본체부(110), 통신부(120), 센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상부가 매장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부는 식탁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는 음식물(S)의 위쪽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음식물(S)을 가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가열부(111), 구동부(112) 및 전원부(113)를 포함한다.
가열부(111)는 음식물(S)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적외선 램프(111a)를 포함하고, 적외선 램프(111a)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음식물(S)을 가열한다. 가열부(111)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음식물(S)을 위쪽에서 가열할 수 있도록 음식물(S)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가열부(111)에 연결되어 가열부(111)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112)는 체인(112a), 모터(112b), 가이드(112c) 및 체인 수용부(112d)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12)의 체인(112a)은 가열부(11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모터(112b)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면서 가열부(1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가이드(112c)는 가열부(111)의 이동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자동 조리 장치(100)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익힘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부(112)의 모터(112b)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인(112a)을 감아 가열부(111)를 음식물(S)로부터 멀리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감긴 체인부(112a)는 체인 수용부(112d)에 저장된다. 반대로, 자동 조리 장치(1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부(112)의 모터(112b)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인을 풀고, 가열부(111)를 음식물(S)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만, 구동부가 모터와 체인 등을 이용하여 가열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구동부는 가열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른 공지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13)는 가열부(111)와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13)는 가열부(111) 및 구동부(112)에 연결되어 가열부(111)의 적외선 램프(111a), 구동부(112)의 모터(112b) 등을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자동 조리 장치(100)가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20)는 와이파이(Wi-Fi),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40)로부터 자동 조리 장치(10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나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0)의 센서부(130)는 본체부(110)가 외력에 의하여 충격을 받아 진동하거나 기울어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0)의 센서부(130)는 진동 센서(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 센서(131)는 중력 센서일 수 있다. 중력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에 걸리는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물체의 기울기 등을 측정할 수 있고, 따라서, 본체부(110)가 진동하거나 기울어지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30)는 가열부(11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32)나 가열부(111)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2)는 본체부(110)의 가열부(111)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가열부(111)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가열부(111)에 의해 가열된 음식물 내지 음식물이 놓인 구이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촉식 온도 센서를 가열부(111) 상에 설치하여 가열부(11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또는 비접촉식 온도 센서를 가열부(111) 상에 설치하여 가열부(111)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의 표면 온도나 음식물이 놓여 지는 구이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류 센서(133)는 가열부(111), 전원부(113)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전선에 설치되어 가열부(111)로 흐르는 전류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12)와 전원부(113) 사이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전류 센서(133)가 설치되어 구동부(112)에 인가되는 전류의 값을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통신부(120) 또는 센서부(130)와 연결되어, 이들 장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된 음식물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조리 방식을 선택하여 사전 설정된 조리 방식으로 본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본체부(110)와 연결되어, 조리 중 센서부(130)에 의하여 측정된 진동의 세기, 온도, 전류 등의 값을 전달받아 이를 기초로 가열부(111)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가열부(11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동시에 구동부(112)를 통해 가열부(111)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외부 충격 감지 시 자동 조리 장치의 작동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에서 조리 중 외부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또는 자동 조리 장치(100)를 직접 조작하는 방식으로 조리 방식을 선택한다(S100). 사용자는 조리할 음식물의 종류, 양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설정된 조리 방식이 결정된다. 또는, 사용자가 조리 방식을 직접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리 방식이 선택되면 그에 따라 조리가 시작된다(S200). 자동 조리 장치(100)의 통신부(12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제어부(140)에서 수신된 조리 방식에 따라 본체부(110)를 제어하여 조리를 시작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사전 설정된 조리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도 자동 조리 장치(100)를 원하는 방식으로 직접 작동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식물의 조리가 시작되면, 제어부(140)는 구동부(112)를 통해 가열부(111)를 음식물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열부(111)의 가열 온도, 가열 시간, 가열 주기 등을 사전 설정된 조리 방식에 의해 제어한다.
자동 조리 장치(100)가 음식물을 조리하는 중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동 조리 장치(100)의 센서부(130)는 자동 조리 장치(100)의 작동 중 외부 충격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S300).
만일, 센서부(130)에서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센서부(130)는 이를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제어부(140)에 의해 가열이 중지된다(S400). 즉, 센서부에(130)의 진동 센서(131)에 의해 측정된 값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전원부(113)를 통해 가열부(111)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가열을 중지한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가열을 즉각적 중단할 수도 있으나, 측정된 값(즉, 감지되는 충격의 크기)에 따라 가열부(111)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센서부(130)에서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가열을 중단하는 동시에 제어부(140)는 구동부(112)를 통해 가열부(111)의 위치를 음식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시킬 수도 있다.
이후 지속적으로 센서부(130)를 통해 감지되는 값을 통해, 또는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리를 재개할 수 있고 반대로 장치에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있다고 판단되거나 장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자동 조리 장치(10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S700).
한편, 외부 충격이 감지되지 않거나 센서부(130)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감지되더라도 측정된 값이 사전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열을 중지하지 않고, 지정된 조리 방식에 따라 조리를 완료하고(S600), 이후 조리가 완료된 후 자동 조리 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700).
지금까지 자동 조리 장치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 진동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제어부가 본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황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부는 진동 센서뿐만 아니라 온도 센서나 전류 센서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나 전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세기가 사전 설정된 전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등에도 동일한 제어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자동 조리 장치가 음식점에 설치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자동 조리 장치가 가정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자동 조리 장치
110: 본체부
120: 통신부
130: 센서부
140: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서버

Claims (7)

  1.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기 장치로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전원부 또는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를 포함하는 자동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 또는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자동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는 중력 센서인, 자동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열부 또는 가열부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부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자동 조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온도 센서 또는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의 가열 온도를 낮추거나 상기 가열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자동 조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가열부와 상기 음식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조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는, 자동 조리 장치.
KR1020180146750A 2018-11-23 2018-11-23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승강식 자동 조리 장치 KR20200061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50A KR20200061223A (ko) 2018-11-23 2018-11-23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승강식 자동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50A KR20200061223A (ko) 2018-11-23 2018-11-23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승강식 자동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23A true KR20200061223A (ko) 2020-06-02

Family

ID=7109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750A KR20200061223A (ko) 2018-11-23 2018-11-23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승강식 자동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2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872B1 (ko) 2015-09-07 2016-05-27 (주)한스팝 승강식 로스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872B1 (ko) 2015-09-07 2016-05-27 (주)한스팝 승강식 로스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8472B2 (en) Cook top, range hood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10344984B2 (en) Safety burner system with automatic shut-off
US11317754B2 (en) System interworking between a cooking apparatus and a kitchen device
US10660474B2 (en) Geo-fence enable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outdoor cooking and smoking
KR101534514B1 (ko) 거리 감지수단을 구비한 인덕션 렌지
KR20160012849A (ko) 지능형 전기레인지
JP2007205666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2015133117A (ja) 調理器具の安全使用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632742B1 (ko) 인덕션 조리기
ES2817424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funcionamiento de un electrodoméstico y electrodoméstico
JP2006242481A (ja) コンロ
JP2017133722A (ja) コンロ監視装置
KR20140140370A (ko) 조리중 자리 비움 감지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8194284A (ja) 加熱調理器の操作システム
AU2017321701B2 (en) Remote flame-producing appliance control
KR101612017B1 (ko) 음식 조리 기기
EP2985531A1 (en) Fireplace apparatus having remote automatic control function
KR20200061223A (ko)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승강식 자동 조리 장치
JP2017203570A (ja) 調理システム
KR101166904B1 (ko) 중화 렌지용 컨트롤러
JP2008215741A (ja) レンジフード
JP6670169B2 (ja) 加熱調理器
JPH11294810A (ja) 換気扇の制御装置
JP2008251200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21073427A (ja) 加熱調理器の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