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200A -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200A
KR20200061200A KR1020180146682A KR20180146682A KR20200061200A KR 20200061200 A KR20200061200 A KR 20200061200A KR 1020180146682 A KR1020180146682 A KR 1020180146682A KR 20180146682 A KR20180146682 A KR 20180146682A KR 20200061200 A KR20200061200 A KR 20200061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screen
substation
substations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678B1 (ko
Inventor
박종광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46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6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는, 복수의 변전소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계통 정보를 획득하는 감시부, 상기 감시부에 의해 획득된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변전소의 부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계통 정보 및 상기 부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전소의 동작 방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OPERATION APPARATUS FOR SUBSTA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변전소 운전 제어와 관련된 것이며, 특히 변전소의 주변압기 운전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2대 이상 변압기 운전시 손실특성은 공급전력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이에 따라 변압기 1기의 운전손실이 변압기 2기의 운전손실보다 적게 발생되는 손실분기점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손실분기점은 30MW로 설정되나, 변압기마다 철손과 동손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에 사용중인 변압기의 운전손실 절감방법은 과거의 계통실적을 바탕으로 변전소 부하변동을 추이를 고려하지 않고 변압기 통합/분리운전을 시행한다.
그러나 실제 변전소별 변압기 공급전력은 지난 1년간의 변화추이와 상이하고, 예측이 어려우므로, 기간별 통합/분리운전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실시간 변압기별 공급전력을 고려한 통합/분리운전이 불가능하여, 변전소 운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변전소 계통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변전소 운전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는, 복수의 변전소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계통 정보를 획득하는 감시부와, 상기 감시부에 의해 획득된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변전소의 부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계통 정보 및 상기 부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전소의 동작 방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는 복수의 변전소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된 팝업주기가 도래하거나,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의 부하 상태가 통합 운전의 조건을 만족하면, 통합 운전 방식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를 제어하도록 팝업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기기조작 절차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의 변압기, 차단기 및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운전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복수의 변전소의 계통 정보를 감시하는 스카다 시스템 중 스마트 미터 집중장치와, 프론트 엔드 처리장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변압기 중 손실절감 대상으로 선택된 변압기의 손실이 감소되도록,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나머지 변압기와 분리하여 운전시킬지, 또는 상기 나머지 변압기와 통합하여 운전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변전소마다 서로 다른 팝업 주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팝업 주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변압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팝업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운전 제어 방법은 복수의 변전소의 계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변전소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변압기의 부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계통정보 및 상기 부하정보를 포함하는 메인제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계통정보 및 부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변전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복수의 변전소 중 어느 하나의 변전소 상태가 통합제어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변전소의 운전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팝업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 중 운전손실 절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팝업화면에서 선택된 변압기의 탭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3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팝업화면에서 상기 탭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통합 운전 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4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내지 제4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설정된 통합운전변수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통합 운전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팝업화면은, 통합 운전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변전소의 식별정보와, 상기 변전소의 계통정보 및 상기 변전소의 현재 운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팝업화면을 미리 설정된 팝업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변전소마다 각각 팝업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팝업화면은,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식별정보, 탭 정보, 부하 정보, 운전 시간 정보, 가중치 정보, 우선순위 정보 및 전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복수의 변압기 중 통합제어 방식으로 운전시킬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팝업화면은, 상기 변압기 선택에 따른 기기조작의 절차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과, 입력된 기기조작의 절차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버튼과, 입력된 기기조작의 절차를 인쇄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선택된 변압기의 조작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압기 조작과 관련된어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의 차단기 및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운전 방식으로 변압기를 제어하기 시작한 이후, 상기 변압기의 손실 절감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획득된 변전소 및 변압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운전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특히, 변전소의 주변압기(MTR)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전력손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능화된 변전소 운전 제어가 구현되어, 정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통합 운전 방식에 따라 구동되는 변압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변전소 운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변전소 운전 제어와 관련된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변전소 운전 제어와 관련된 제1 팝업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변전소 운전 제어와 관련된 제2 팝업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변전소 운전 제어와 관련된 제3 팝업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변전소 운전 제어와 관련된 제4 팝업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변전소의 계통정보를 나타내는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변전소 운전 제어 시스템과 스카다(SCADA) 시스템의 연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변전소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가 개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형태들은 출원을 위한 법적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운전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 운전을 수행하는 변전소는 3개의 변압기에 각각 20MW, 20MW, 10MW의 전력을 할당한다.
반면, 통합 운전을 수행하는 변전소는 3개의 변압기 중 하나의 변압기를 차단시키고, 나머지 두 개의 변압기에 각각 20MW, 30MW의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변압기의 부하상태에 따라, 변전소에 배치된 모든 변압기를 구동시키는 일반 운전 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변압기에 할당되었던 전력을 하나의 변압기로 통합하는 통합 운전이, 변전소 전체의 운전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변전소와 변압기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함으로써, 통합 운전 또는 분리 운전을 수행할지 여부를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운전 제어 시스템은, 스카다(SCADA) 시스템, 프론트 엔드 처리 장치(FEP), 단말장치,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분산 네트워크 프로토콜 장치(DNP)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에서는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의 동작 화면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는, 복수의 변전소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계통 정보를 획득하는 감시부와, 상기 감시부에 의해 획득된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변전소의 부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계통 정보 및 상기 부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전소의 동작 방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는 복수의 변전소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된 팝업주기가 도래하거나,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의 부하 상태가 통합 운전의 조건을 만족하면, 통합 운전 방식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를 제어하도록 팝업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기기조작 절차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의 변압기, 차단기 및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운전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복수의 변전소의 계통 정보를 감시하는 스카다 시스템 중 스마트 미터 집중장치와, 프론트 엔드 처리장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변압기 중 손실절감 대상으로 선택된 변압기의 손실이 감소되도록,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나머지 변압기와 분리하여 운전시킬지, 또는 상기 나머지 변압기와 통합하여 운전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변전소마다 서로 다른 팝업 주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팝업 주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변압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팝업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운전 제어 방법은 복수의 변전소의 계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변전소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변압기의 부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계통정보 및 상기 부하정보를 포함하는 메인제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계통정보 및 부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변전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복수의 변전소 중 어느 하나의 변전소 상태가 통합제어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변전소의 운전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팝업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 중 운전손실 절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팝업화면에서 선택된 변압기의 탭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3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팝업화면에서 상기 탭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통합 운전 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4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내지 제4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설정된 통합운전변수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통합 운전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팝업화면은, 통합 운전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변전소의 식별정보와, 상기 변전소의 계통정보 및 상기 변전소의 현재 운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팝업화면을 미리 설정된 팝업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변전소마다 각각 팝업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팝업화면은,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식별정보, 탭 정보, 부하 정보, 운전 시간 정보, 가중치 정보, 우선순위 정보 및 전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복수의 변압기 중 통합제어 방식으로 운전시킬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팝업화면은, 상기 변압기 선택에 따른 기기조작의 절차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과, 입력된 기기조작의 절차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버튼과, 입력된 기기조작의 절차를 인쇄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선택된 변압기의 조작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압기 조작과 관련된어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의 차단기 및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운전 방식으로 변압기를 제어하기 시작한 이후, 상기 변압기의 손실 절감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획득된 변전소 및 변압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운전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특히, 변전소의 주변압기(MTR)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전력손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능화된 변전소 운전 제어가 구현되어, 정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복수의 변전소의 계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변전소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변압기의 부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통정보 및 상기 부하정보를 포함하는 메인제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계통정보 및 부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변전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복수의 변전소 중 어느 하나의 변전소 상태가 통합제어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변전소의 운전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팝업화면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 중 운전손실 절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팝업화면에서 선택된 변압기의 탭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3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3 팝업화면에서 상기 탭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통합 운전 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4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4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설정된 통합운전변수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통합 운전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팝업화면은,
    통합 운전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변전소의 식별정보와, 상기 변전소의 계통정보 및 상기 변전소의 현재 운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팝업화면을 미리 설정된 팝업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전소마다 각각 팝업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팝업화면은,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식별정보, 탭 정보, 부하 정보, 운전 시간 정보, 가중치 정보, 우선순위 정보 및 전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복수의 변압기 중 통합제어 방식으로 운전시킬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팝업화면은,
    상기 변압기 선택에 따른 기기조작의 절차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과,
    입력된 기기조작의 절차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버튼과,
    입력된 기기조작의 절차를 인쇄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선택된 변압기의 조작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조작과 관련된어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의 차단기 및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전 방식으로 변압기를 제어하기 시작한 이후, 상기 변압기의 손실 절감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11. 복수의 변전소의 계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변전소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변압기의 부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통정보 및 상기 부하정보를 포함하는 메인제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계통정보 및 부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변전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복수의 변전소 중 어느 하나의 변전소 상태가 분리 운전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변전소의 운전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팝업화면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 중 운전손실 절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팝업화면에서 선택된 변압기의 탭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3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3 팝업화면에서 상기 탭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분리 운전 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4 팝업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4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설정된 분리운전변수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분리 운전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제어 방법.
  12. 복수의 변전소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계통 정보를 획득하는 감시부;
    상기 감시부에 의해 획득된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변전소의 부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계통 정보 및 상기 부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변전소의 동작 방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변전소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된 팝업주기가 도래하거나,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의 부하 상태가 통합 운전의 조건을 만족하면, 통합 운전 방식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를 제어하도록 팝업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팝업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구비된 복수의 변압기의 기기조작 절차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고,
    상기 제어부는,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의 변압기, 차단기 및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운전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변전소의 계통 정보를 감시하는 스카다 시스템 중 스마트 미터 집중장치와, 프론트 엔드 처리장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변압기 중 손실절감 대상으로 선택된 변압기의 손실이 감소되도록, 상기 선택된 변압기를 나머지 변압기와 분리하여 운전시킬지, 또는 상기 나머지 변압기와 통합하여 운전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변전소마다 서로 다른 팝업 주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팝업 주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변압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팝업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KR1020180146682A 2018-11-23 2018-11-23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94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82A KR102594678B1 (ko) 2018-11-23 2018-11-23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82A KR102594678B1 (ko) 2018-11-23 2018-11-23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00A true KR20200061200A (ko) 2020-06-02
KR102594678B1 KR102594678B1 (ko) 2023-10-26

Family

ID=7109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682A KR102594678B1 (ko) 2018-11-23 2018-11-23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6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8825A (zh) * 2021-02-28 2021-05-28 太原理工大学 应用于变电站跨线的可变荷载模拟试验装置及方法
KR20220167420A (ko) * 2021-06-11 2022-12-21 한국전력공사 능동형 변압기 통합 운전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0837A (ja) * 2010-09-10 2012-03-22 Toshiba Corp 変圧器並列運転防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変電所監視制御システム
JP2017034751A (ja) * 2015-07-29 2017-02-09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736669B1 (ko) * 2016-06-01 2017-05-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시스템
KR101825225B1 (ko) * 2011-09-27 2018-02-05 한국전력공사 지능형 전력망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0837A (ja) * 2010-09-10 2012-03-22 Toshiba Corp 変圧器並列運転防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変電所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825225B1 (ko) * 2011-09-27 2018-02-05 한국전력공사 지능형 전력망 운영 시스템
JP2017034751A (ja) * 2015-07-29 2017-02-09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736669B1 (ko) * 2016-06-01 2017-05-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8825A (zh) * 2021-02-28 2021-05-28 太原理工大学 应用于变电站跨线的可变荷载模拟试验装置及方法
KR20220167420A (ko) * 2021-06-11 2022-12-21 한국전력공사 능동형 변압기 통합 운전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678B1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16499B (zh) 机柜与其电源控制方法
CN106688155B (zh) 在公用电力断电中将电气系统切换到备用电力的系统和方法
US8648607B2 (en) Monitoring power usage
EP3549227B1 (en) A smart socket an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said socket
CN103493323A (zh) 中间总线架构电力系统中的动态总线电压控制
US20190079571A1 (en) Pow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uxiliary power systems
CN102324838A (zh) 均流电源电压调节方法、装置及网络设备
CN103107693A (zh) 测试电源装置
KR20200061200A (ko)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RU2654514C2 (ru) Способ питания и пита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силовой нагрузки
JP2016092881A (ja) ブレーカおよびブレーカ装置制御
US9263897B2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CN104993582A (zh) 电力系统的控制方法和装置
CN109560556A (zh) 一种基于柔性多状态调节开关调节的电压调节系统
DE102013217743A1 (de)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Begrenzen einer elektrischen Belastung in einem Netzzweig eines elektrischen Netzes
US11349335B2 (en) Power supplying device
CN101416134B (zh) 用于抽头变换器的通用输入装置
US10483748B2 (en) Junction box and network for distributing energy
KR102127731B1 (ko) 지능형 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법
US20160126786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trengthening energy-saving and electrical safety
KR101645244B1 (ko) Plc 네트워크 기반의 원방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8054902B (zh) Dc/dc变换装置及其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EP3563458B1 (en) Smart power monitoring for a welding and cutting apparatus
CN108152725B (zh) 一种电气开关脱扣性能试验装置
KR101433046B1 (ko) 다채널 부하전류 감지 및 타이머 차단 기능을 가지는 대기전력 절전제어장치 내장형 스마트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