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011A -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011A
KR20200061011A KR1020180146316A KR20180146316A KR20200061011A KR 20200061011 A KR20200061011 A KR 20200061011A KR 1020180146316 A KR1020180146316 A KR 1020180146316A KR 20180146316 A KR20180146316 A KR 20180146316A KR 20200061011 A KR20200061011 A KR 2020006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ate
jumper
transmission line
jump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715B1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4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7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는,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접촉개소 사이를 이질판으로 감싸줌으로써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어 과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송전소 철탑까지 올라가 접촉개소를 점검하거나 항공 점검을 통해 수시로 이물질 침투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앰과 동시에 과다한 점검 비용 발생을 없앨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DIFFERENT PLATE FOR TRANSMISSION LINE JOINT POINT}
본 발명은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접촉개소를 개선한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송전선로를 시공할 경우 송전선로의 인장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송전선로의 선단에 다수의 압축 클램프가 설치되는 바, 압축 클램프는 송전선의 선단을 지지하고, 동시에 송전선의 연결부 상태를 양호하게 보존하는 장치이다.
상기 압축 클램프는 송전선로 자체의 중량 및 풍압에 의한 진동에 대해 내구성을 유지하고, 양질의 전기를 송전할 수 있도록 도전성이 높은 고 순도의 알루미늄(Al)재로서 제작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송전선 고정용 압축 클램프(10)는, 송전선(1)의 강심(1a)(알루미늄재 소선 일부가 벗겨진 상태임)이 결합되어 미도시된 유압식 압축기(약 100톤정도의 압축력이 반경방향으로 가해짐)에 의해 압축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강심 결합부(2)와, 상기 강심 결합부(2)의 상부에 형성된 요철부(3) 및 요철부(3)와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된 연결용 고리(4)로 이루어진 강 클램프(5)와, 상기 강 클램프(5)의 외측면에 압착고정되고, 상기 송전선(1)의 일부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확보하는 파이프 몸체(6)를 포함한다.
즉, 송전소 철탑(7)에서 송전선(1)의 카테나리각이 부각인 전선의 단부를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압축 클램프(10)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 클램프(10)의 하부에는 상기 강 클램프(5)에 결합된 접촉면판(11)에 점퍼선(8)을 송전선(1)과 연결하여 도통되도록 하는 점퍼 터미널(9)이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구성된 종래의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은 접촉개소가 직접 맞닿아 면접촉되도록 포개어진 상태에서 이들 접촉개소를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12)와 너트(13) 및 와셔(1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면접촉 구조는 직접 맞닿는 접촉개소 전체가 외부 노출로 인하여 외부 이물질이 침투될 경우 과열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송전소 철탑(7)까지 올라가 접촉개소를 점검하거나 항공 점검을 통해 수시로 이물질 침투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과다한 점검 비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2506호(2009.02.02)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접촉개소 사이에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어 과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도전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는, 압축 클램프측 강 클램프와 파이프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접촉면판과, 점퍼선에 설치되는 점퍼 터미널과, 상기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의 접촉개소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접촉면판 및 점퍼 터미널의 끝단과 양측면을 동시 감싸주는 이질판과, 상기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 및 이질판을 동시 체결하는 다수의 볼트와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이질판(30, 동(銅)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이질판은, 상기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측 접촉개소의 안쪽면과 동시 면접촉되도록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면부와, 상기 중앙면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측 접촉개소의 양측면과 각각 면접촉되도록 감싸주는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와, 상기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측 접촉개소의 끝단면과 각각 면접촉되도록 감싸주는 상하 한 쌍의 끝단면부와, 상기 중앙면부의 상하 및 좌우에 대해 상기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에 형성된 체결홀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홀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는 중앙면부를 사이에 두고 전후 대칭되게 형성되면서 중앙면부의 두께보다 넓게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와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는 상기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측 접촉개소가 상기 이질판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맞닿을 때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측 접촉개소에 형성된 체결홀과 이질판에 형성된 체결홀이 자동적으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는,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접촉개소 사이를 이질판으로 감싸줌으로써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어 과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송전소 철탑까지 올라가 접촉개소를 점검하거나 항공 점검을 통해 수시로 이물질 침투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앰과 동시에 과다한 점검 비용 발생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는, 이질판을 매개로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이 다수의 볼트와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때 볼트간의 유격으로 인한 접속부분 불일치 등의 시공의 어려움과 작업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와셔보다 큰 사이즈인 이질판의 사용으로 인하여 압축력을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는, 동(銅) 합금의 이질판의 사용으로 인하여 탄성력을 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접촉면판과 점퍼 터미널에 비해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도전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접촉개소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접촉개소 연결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접촉개소 연결구조를 도시한 결합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의 압축 클램프측 접속면판과 점퍼선측 점퍼 터미널의 접촉개소 연결구조를 도시한 결합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은 동일하게 부여하고 그에 따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는, 압축 클램프(10)측 강 클램프(5)와 파이프 몸체(6)의 사이에 설치되는 접촉면판(11)과, 점퍼선(8)에 설치되는 점퍼 터미널(9)과,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의 접촉개소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접촉면판(11) 및 점퍼 터미널(9)의 끝단과 양측면을 동시 감싸주는 이질판(30)과,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 및 이질판(30)을 동시 체결하는 다수의 볼트(12)와 너트(13) 및 와셔(1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질판(30)은, 동(銅)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의 안쪽면과 동시 면접촉되도록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면부(31)와, 상기 중앙면부(31)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의 양측면과 각각 면접촉되도록 감싸주는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와,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의 끝단면과 각각 면접촉되도록 감싸주는 상하 한 쌍의 끝단면부(33)와, 상기 중앙면부(31)의 상하 및 좌우에 대해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에 형성된 체결홀(11a)(9a)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홀(3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는 중앙면부(31)를 사이에 두고 전후 대칭되게 형성되면서 중앙면부(31)의 두께보다 넓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접촉면판(11)측 접촉개소의 양측면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의 양측면이 각각 면접촉되도록 감싸주게 된다.
상기 상하 한 쌍의 끝단면부(33)는 상측과 하측이 상기 중앙면부(31)를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는 대각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의 끝단과 접촉면판(11)측 접촉개소의 끝단이 각각 면접촉되도록 감싸주게 된다.
이때, 상기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와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는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가 상기 이질판(30)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맞닿을 때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에 형성된 체결홀(11a)(9a)과 이질판(30)에 형성된 체결홀(34)이 자동적으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볼트(12)와 너트(13) 및 와셔(1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접촉면판(11), 이질판(30) 및 점퍼 터미널(9)을 동시 체결할 때 체결홀(11a)(9a)(34)들을 일일이 일치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볼트(12)간의 유격으로 인한 접속부분 불일치 등의 시공의 어려움과 작업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이질판(30)의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와 상하 한 쌍의 끝단면부(33)에 의해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의 접촉개소가 뒤틀리거나 벌어지는 접촉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송전선(1)의 압축 클램프(10)측 접촉면판(11)과 점퍼선(8)측 점퍼 터미널(9)의 접촉개소 사이에 이질판(30)이 개재되어 동시 체결될 때 이질판(30)의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과 상하 한 쌍의 끝단면부(33)가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의 양측면과 끝단들과 면접촉되도록 긴밀하게 감싸주기 때문에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어 과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송전소 철탑까지 올라가 접촉개소를 점검하거나 항공 점검을 통해 수시로 이물질 침투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과다한 점검 비용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또, 동(銅) 합금의 이질판(30)의 사용으로 인하여 탄성력을 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에 비해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도전성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5 : 강 클램프 6 : 파이프 몸체
8 : 점퍼선 9 : 점퍼 터미널
9a : 체결홀 10 : 압축 클램프
11 : 접촉면판 11a : 체결홀
12 : 볼트 13 : 너트
14 : 와셔 30 : 이질판
31 : 중앙면부 32 : 양측면부
33 : 끝단면부 34 : 체결홀

Claims (5)

  1. 압축 클램프(10)측 강 클램프(5)와 파이프 몸체(6)의 사이에 설치되는 접촉면판(11)과,
    점퍼선(8)에 설치되는 점퍼 터미널(9)과,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의 접촉개소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접촉면판(11) 및 점퍼 터미널(9)의 끝단과 양측면을 동시 감싸주는 이질판(30)과,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 및 이질판(30)을 동시 체결하는 다수의 볼트(12)와 너트(13) 및 와셔(1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질판(30)은, 동(銅)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질판(30)은,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의 안쪽면과 동시 면접촉되도록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면부(31)와,
    상기 중앙면부(31)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의 양측면과 각각 면접촉되도록 감싸주는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와,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의 끝단면과 각각 면접촉되도록 감싸주는 상하 한 쌍의 끝단면부(33)와,
    상기 중앙면부(31)의 상하 및 좌우에 대해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에 형성된 체결홀(11a)(9a)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홀(3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는 중앙면부(31)를 사이에 두고 전후 대칭되게 형성되면서 중앙면부(31)의 두께보다 넓게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와 좌우 한 쌍의 양측면부(32)는 상기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가 상기 이질판(30)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맞닿을 때 접촉면판(11)과 점퍼 터미널(9)측 접촉개소에 형성된 체결홀(11a)(9a)과 이질판(30)에 형성된 체결홀(34)이 자동적으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KR1020180146316A 2018-11-23 2018-11-23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KR10219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16A KR102196715B1 (ko) 2018-11-23 2018-11-23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16A KR102196715B1 (ko) 2018-11-23 2018-11-23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11A true KR20200061011A (ko) 2020-06-02
KR102196715B1 KR102196715B1 (ko) 2020-12-30

Family

ID=7109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316A KR102196715B1 (ko) 2018-11-23 2018-11-23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7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602Y1 (ko) * 2001-09-13 2002-03-18 김태형 히트 싱크
KR100882506B1 (ko) 2007-08-10 2009-02-06 김동철 송전선 고정용 압축클램프
KR101674436B1 (ko) * 2016-09-08 2016-11-09 김남홍 에어백 재봉용 지그
KR20170018132A (ko) * 2015-08-05 2017-02-16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602Y1 (ko) * 2001-09-13 2002-03-18 김태형 히트 싱크
KR100882506B1 (ko) 2007-08-10 2009-02-06 김동철 송전선 고정용 압축클램프
KR20170018132A (ko) * 2015-08-05 2017-02-16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KR101674436B1 (ko) * 2016-09-08 2016-11-09 김남홍 에어백 재봉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715B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4153A1 (en) Spring Loaded Parallel Pad Clamp
KR102365477B1 (ko)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CA2965161C (en) Pad extending member
JPWO2014189054A1 (ja) 端子金具の接続構造
US20130028683A1 (en) Bolt support structure
JP2012005181A (ja) Pgクランプ
WO2013019540A1 (en) A grounding connector
KR101210518B1 (ko) 가공 송배전 선로 지지용 절연 완철
KR20200061011A (ko) 송전선로 전선접속개소 이질판 연결구조
US20110147540A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Connecting Components To A Machine
CN205622178U (zh) 用于输电线路钢管杆的电缆固定装置
CN202534802U (zh) 抱杆式设备线夹
KR101069275B1 (ko)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지지금구
RU2317621C1 (ru) Натяжной клиновой зажим
US7001226B2 (en) Connecting cable
JP3195558B2 (ja) プレハブカマレス工法用連結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連結金具類
JP2010125961A (ja) 電車線路用コネクタ金具
CN105356096A (zh) 线缆保护夹及具有其的绝缘子
KR101796114B1 (ko) 대용량 전력 단자대
CN210326175U (zh) 一种铜铝过渡接线端子用防护线夹
KR102536385B1 (ko) 클램프활용 안전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JP2017016889A (ja) き電分岐装置
KR200493060Y1 (ko) 전선용 현수클램프
CN220753778U (zh) 适配型线夹
WO2019011136A1 (zh) 一种线缆外导体焊件和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