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946A -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946A
KR20200060946A KR1020180146153A KR20180146153A KR20200060946A KR 20200060946 A KR20200060946 A KR 20200060946A KR 1020180146153 A KR1020180146153 A KR 1020180146153A KR 20180146153 A KR20180146153 A KR 20180146153A KR 20200060946 A KR20200060946 A KR 20200060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extract
hair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규
제갈봉식
Original Assignee
최윤규
제갈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규, 제갈봉식 filed Critical 최윤규
Priority to KR102018014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0946A/ko
Publication of KR2020006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세린, 쉐어버터, 코코넛오일, 시클로펜타실록산, 구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색 또는 펌 시술시 팽윤되어 있던 모발에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멜라닌, 산성 아미노산 성분을 침투시키고, 깨져있는 팹티드가 모발 밖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펩티드 결합을 강화하고, 큐티클을 정리해줌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막고 염색의 난반사를 막아주며,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damage of hair}
본 발명은 모발의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리세린, 쉐어버터, 코코넛오일, 시클로펜타실록산, 구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색, 펌 시술 등으로 유발되는 모발의 손상을 예방하고 손상된 모발 상태를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쉽게 손상을 받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은 모발도 하나의 패션으로 인지하면서 모발의 컬러링(염색), 펌에 대한 시술이 증가하고 있고, 생활 습관의 일종인 과도한 드라이어 사용, 환경적인 요인인 자외선 등에 의하여 모발이 많은 손상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모발이 건조해짐과 동시에 윤기, 부드러움, 매끄러움 등의 특성이 저하되고 푸석푸석하고 모발 스타일링이 어려워져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모발 시술시 사용되는 화학제품들은 강한 알카리성을 나타내는데, 강한 알카리가 모발을 팽윤시키고 모발안의 유,수분 균형을 맞춰주는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성분을 녹이게 되고, 모발의 펩티드와 멜라닌을 파괴시켜 모발의 손상을 유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중에 나와있는 많은 모발 관련 제품을 통한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각종 트리트먼트나 영양제 또는 유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염색약으로는 한번 유실된 단백질을 채우기 어려우며, 대부분의 pH발란스 또는 버퍼의 경우 모발의 펩티드 유실을 막아주는데 그치게 되고, 간층물질은 채워지지 않으므로 모발의 손상 예방, 개선효과가 미미하다. 따라서 염색, 펌 등의 시술 시 모발의 손상을 예방하고, 이미 손상된 모발을 개선할 수 있는 물질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모발 손상을 예방, 개선하는 화장료나 의약외품 조성물에 비해 보다 모발 손상 예방, 개선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노력한 결과, 글리세린, 쉐어버터, 코코넛오일, 시클로펜타실록산, 구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모발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손상된 모발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8-0045422호 일본공개특허 제 2004-0354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글리세린, 쉐어버터, 코코넛오일, 시클로펜타실록산, 구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손상을 예방 및 개선시킨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리세린(Glycerin) 5.0~20.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5.0~21.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3.0~19.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3.0~19.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3.0~19.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3.0~17.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3.0~17.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2.0~15.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1.0~13.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0.1~10.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05~3.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05~3.0 중량%;
향료(Fragrance) 0.05~3.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05~3.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Glycerin) 10.0~15.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8.0~16.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7.0~14.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7.0~14.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7.0~14.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6.0~12.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6.0~12.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5.0~10.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4.0~8.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1.0~5.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1~1.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1~1.0 중량%;
향료(Fragrance) 0.1~1.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1~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당귀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 작약추출물(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 참마뿌리추출물(Dioscorea Japonica Root Extract), 황기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지황추출물(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0.5~10.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당귀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 작약추출물(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 참마뿌리추출물(Dioscorea Japonica Root Extract), 황기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지황추출물(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3.0~5.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린(Glycerin) 5.0~20.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5.0~21.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3.0~19.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3.0~19.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3.0~19.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3.0~17.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3.0~17.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2.0~15.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1.0~13.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0.1~10.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05~3.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05~3.0 중량%;
향료(Fragrance) 0.05~3.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05~3.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글리세린, 쉐어버터, 코코넛오일, 시클로펜타실록산, 구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색 또는 펌 시술시 팽윤되어 있던 모발에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멜라닌, 산성 아미노산 성분을 침투시키고, 깨져있는 팹티드가 모발 밖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펩티드 결합을 강화하고, 큐티클을 정리해줌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막고 염색의 난반사를 막아주며,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이다.
도 2는 pH에 따른 리트머스 시험지의 색상 변화 및 pH에 따른 모발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모발상태 및 모발의 pH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글리세린(Glycerin) 5.0~20.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5.0~21.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3.0~19.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3.0~19.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3.0~19.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3.0~17.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3.0~17.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2.0~15.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1.0~13.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0.1~10.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05~3.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05~3.0 중량%;
향료(Fragrance) 0.05~3.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05~3.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Glycerin) 10.0~15.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8.0~16.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7.0~14.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7.0~14.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7.0~14.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6.0~12.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6.0~12.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5.0~10.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4.0~8.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1.0~5.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1~1.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1~1.0 중량%;
향료(Fragrance) 0.1~1.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1~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린(Glycerin)은 모발의 보습 및 가온시 단백질 이온화 역할을 하는 컨디셔닝제로 글리세린이 5.0중량% 미만의 경우 보습 효과가 없으며,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역시 보습제로서 3.0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보습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글리세린의 경우 20.0중량%, 쉐어버터의 경우 19.0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의 효과 및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은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으로 3.0중량% 미만에서는 피부 진정 효과가 미미하며 19.0중량% 이상에서는 다른 성분의 효과 및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은 알칼리산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산도 조절제로 3.0~19.0중량%에서 알칼리산도 조절 효과가 뛰어나며, 구연산(Citric Acid)은 모발에 윤기를 주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0.1중량% 미만에서는 윤기를 부여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10.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에 pH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는 계면활성제 및 모발의 정전기방지제로, 계면활성 및 정전기방지 역할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 3.0~17.0중량%가 바람직하며,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은 모발의 컨디셔닝제로 0.05중량% 미만에서는 모발의 보습효과가 없으며, 3.0 중량%를 넘을 경우 다른 성분의 효과 및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은 크림 형성에 기여하는 성분으로 3.0~17.0 중량%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세테아릴 알코올의 조성비가 3.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점성이 떨어져 크림 또는 로션 타입의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17.0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점도가 증가하여 크림이 딱딱하게 형성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는 그린노트(green note)수목, 이끼 또는 이들을 혼합한 향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0.05중량% 미만에서는 효과가 미미하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향이 지나치게 강해질 수 있고 다른 성분의 효과 및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당귀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 작약추출물(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 참마뿌리추출물(Dioscorea Japonica Root Extract), 황기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지황추출물(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0.5~10.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당귀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 작약추출물(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 참마뿌리추출물(Dioscorea Japonica Root Extract), 황기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지황추출물(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3.0~5.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귀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은 두피트러블완화 효과, 작약추출물(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은 통증완화 효과, 참마뿌리추출물(Dioscorea Japonica Root Extract)은 모발 손상 증상완화 효과, 황기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은 면역력강화 효과, 지황추출물(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은 두통완화 효과,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은 노화예방효과, 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은 진통완화 효과,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은 피부염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에 자극이 없는 천연원료인 상기 추출물들을 사용함으로써 두피와 모발의 보호, 보습 및 화학물질로 인한 피부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화장료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5중량%~ 10.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물이 10.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알칼리억제 효과가 감소하며, 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두피트러블 및 통증이 있을 수 있다.
염색약의 강한 알칼리는 모발의 팽윤과 동시에 모발안의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주는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성분을 녹이게 되고 모발의 펩티드와 멜라닌을 파괴시킨다. 염색약이 모발에 묻은 상태에서 바로 샴푸를 하게 되면 강한 알칼리로 모발에 손상을 주고 있던 염색약은 물을 만나면서 더욱 활발하게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깨져있던 단백질들은 모발 밖으로 유실이 된다. 각종 트리트먼트나 영양제 혹은 유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염색약을 사용시 시술 당시에는 모발의 상태가 양호해 보일 수 있지만 한번 유실된 단백질은 쉽게 채워지기가 어려우므로 모발 손상을 예방, 개선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손상 없는 염색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염색이나 펌 시술시 팽윤되어있던 모발에 +전자의 아미노산을 침투시킴과 동시에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채워주고 깨져있는 펩티드가 모발 밖으로 유실되지 않게 하고 다시 큐티클을 정리해 줌으로써 모발을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키고 염색의 난반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즉, 모발이 팽윤되어 있을 때 펩티드사이와 염색색원체 사이에 간층물질이 들어가 컬러의 난반사를 막아주고, 펩티드를 단단히 ?잡고 있는 상태에서 모발을 수축(즉 등전화작업)하므로 모발이 가장 안정된 상태인 등전화 상태가 되어 더욱더 안정된 염색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큐티클에 유막을 형성해 더욱더 부드럽고 큐티클손상도 같이 막아준다.
모발은 물에 의한 pH로 팽윤이 일어나므로 샴푸하기전에 마른모발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희석하여 물대신 희석물을 마른머리에 적셔주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발 손상도에 따라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물을 1:1~1:20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펩티드가 모발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펩티드와 염색색원체 사이에 간층물질을 채워 단백질유실을 잡아주는 동시에 유막형성으로 인한 모발의 산소공급 차단으로 모발의 색상유지력과 건강함을 동시에 부여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과립, 분말, 용액, 크림, 연고, 에어로솔, 페이스트, 겔 또는 왁스 등의 제형일 수 있고, 용액은 유효성분이 용매에 용해된 상태뿐만 아니라, 현탁액이나 에멀젼 상태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의 제형으로, 세럼, 오일, 미스트,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 발모제, 속눈썹 영양제, 또는 애완동물용 샴푸 및 애완동물용 린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화장료 보조 첨가제 등의 성분을 0.01~5.0중량% 범위 내에서 배합할 수 있다.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린(Glycerin) 5.0~20.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5.0~21.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3.0~19.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3.0~19.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3.0~19.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3.0~17.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3.0~17.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2.0~15.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1.0~13.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0.1~10.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05~3.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05~3.0 중량%;
향료(Fragrance) 0.05~3.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05~3.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Glycerin) 10.0~15.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8.0~16.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7.0~14.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7.0~14.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7.0~14.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6.0~12.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6.0~12.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5.0~10.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4.0~8.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1.0~5.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1~1.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1~1.0 중량%;
향료(Fragrance) 0.1~1.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1~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의약외품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당귀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 작약추출물(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 참마뿌리추출물(Dioscorea Japonica Root Extract), 황기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지황추출물(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0.5~10.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의약외품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당귀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 작약추출물(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 참마뿌리추출물(Dioscorea Japonica Root Extract), 황기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지황추출물(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3.0~5.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통상 의약외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담체, 첨가제 또는 부형제 등의 다른 성분을 0.01~5.0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과립, 분말, 용액, 크림, 연고, 에어로솔, 페이스트, 겔 또는 왁스 등의 제형일 수 있고, 용액은 유효성분이 용매에 용해된 상태뿐만 아니라, 현탁액이나 에멀젼 상태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의약외품의 제형으로, 세럼, 오일, 미스트,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 발모제, 속눈썹 영양제, 또는 애완동물용 샴푸 및 애완동물용 린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탈모방지 또는 발모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예로, 샴푸의 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세정 성분인 합성 계면활성제와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 및 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탈모방지 또는 발모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통상적인 각종 성분들은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글리세린(450mg), 메칠글루세스-20(480mg), 디메치콘(240mg) 및 정제수를(580mg) 교반기로 5분간 혼합한다.
2. 쉐어버터(300mg)와 코코넛오일(300mg)을 가열하여 액체형태로 만든 후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넣어 교반기로 5분간 혼합한다.
3. 2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360mg), 세테아릴알코올(300mg) 및 세틸팔미테이트(270mg)를 넣어 교반기로 5분간 혼합한다.
4. 3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시클로펜타실록산(300mg)과 구연산(150mg)을 넣어 교반기로 5분간 혼합한다.
5. 4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30mg), 카프릴릴글리콜(30mg), 그린노트 향료(30mg), 잔탄검(30mg), 당귀추출물(150mg)을 넣어 교반기로 5분간 혼합한다.
<비교예 1> 글리세린과 쉐어버터를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1>의 제조방법에서 글리세린과 쉐어버터를 제외하고 잔량을 정제수로 채웠으며, 나머지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쉐어버터와 코코넛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1>의 제조방법에서 쉐어버터와 코코넛오일을 제외하고 잔량을 정제수로 채웠으며, 나머지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코코넛오일과 시클로펜타실록산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1>의 제조방법에서 코코넛오일과 시클로펜타실록산을 제외하고 잔량을 정제수로 채웠으며, 나머지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시클로펜타실록산과 구연산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1>의 제조방법에서 시클로펜타실록산과 구연산을 제외하고 잔량을 정제수로 채웠으며, 나머지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모발 손상 개선효과 평가 1
화학적 시술을 전혀 하지 않은 한국인 여성의 건강모에 탈색 1회 및 열펌 1회를 시술한 모발을 사용하여 모발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모발을 하기 표 1과 같이 5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및 비교예4로부터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회 도포한 후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레오메터(Reometer; CR-500DX-L)로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모발 70개의 인장강도 평균값을 측정하였으며, 각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전과 도포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인장강도의 증가율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글리세린, 쉐어버터, 코코넛오일, 시클로펜타실록산, 구연산을 모두 포함한 실시예1에서 인장강도 증가율이 56%로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비교예1 내지 비교예4의 경우 인장강도 증가율이 40% 이하로 실시예1의 인장강도 증가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물 도포 전 인장강도(N) 도포 후 인장강도(N) 인장강도 증가율(%)
실시예1 0.63 0.98 56%
비교예1 0.63 0.85 35%
비교예2 0.63 0.87 38%
비교예3 0.63 0.86 37%
비교예4 0.63 0.84 33%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모발 손상 개선효과 평가 2
염색 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한 후 모발 손상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5의 왼쪽 위 사진은 염색하기 전 모발상태로, 육안으로 보기에도 모발의 손상이 매우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왼쪽 아래 사진은 염색약을 도포하고 리트머스 종이로 pH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pH가 11정도인 것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고)
염색약을 바르고 25분경과 후 곧바로 세척을 하게 되면 pH가 12까지 올라가고 모발은 더욱더 팽창을 하게 되며 모발 안에 깨져있는 펩티드와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가 유실된다.
도 5의 오른쪽 아래 사진과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물과 1:1로 희석해서 염색약이 묻어있는 상태에서 골고루 도포하였으며, 리트머스 종이로 pH를 확인한 결과 pH 4.5~5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팽창된 모발안으로 간층물질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채워주고 펩티드를 강화시키며 모발을 가장 이상적인 상태인 등전점(pH 4.5~5)까지 수축시킨 결과이다.
도 5의 오른쪽 위 사진과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샴푸 후 건조시킨 모발을 살펴본 결과, 염색하기 전과 비교하여 모발의 상태가 눈에 띄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의 경우도 도 5와 동일한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1
1. 염색약을 모발에 도포한다.
2. 염색약을 도포하고 나서 25분 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물과 1:1로 희석해서 모발에 도포한다.
3. 1~2분간 방치한 후 샴푸 및 트리트먼트를 한다.
<실시예 3>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2
1. 모발 손상도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물과 1:10~20 비율로 희석한다.
2. 마른 모발 상태에서 희석한 화장료 조성물을 충분히 도포한다.
3. 가볍게 물로 헹구고 샴푸와 트리트먼트로 마무리한다.

Claims (5)

  1. 글리세린(Glycerin) 5.0~20.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5.0~21.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3.0~19.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3.0~19.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3.0~19.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3.0~17.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3.0~17.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2.0~15.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1.0~13.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0.1~10.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05~3.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05~3.0 중량%;
    향료(Fragrance) 0.05~3.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05~3.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글리세린(Glycerin) 10.0~15.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8.0~16.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7.0~14.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7.0~14.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7.0~14.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6.0~12.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6.0~12.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5.0~10.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4.0~8.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1.0~5.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1~1.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1~1.0 중량%;
    향료(Fragrance) 0.1~1.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1~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당귀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 작약추출물(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 참마뿌리추출물(Dioscorea Japonica Root Extract), 황기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지황추출물(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0.5~10.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당귀추출물(Angelica Gigas Root Extract), 작약추출물(Paeonia Albiflora Root Extract), 참마뿌리추출물(Dioscorea Japonica Root Extract), 황기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지황추출물(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 복령추출물(Poria Cocos Extract) 및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3.0~5.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글리세린(Glycerin) 5.0~20.0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5.0~21.0 중량%;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3.0~19.0 중량%;
    코코넛 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3.0~19.0 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3.0~19.0 중량%;
    베헨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3.0~17.0 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3.0~17.0 중량%;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2.0~15.0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 1.0~13.0 중량%;
    구연산(Citric Acid) 0.1~10.0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Caprylhydroxamic Acid) 0.05~3.0 중량%;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05~3.0 중량%;
    향료(Fragrance) 0.05~3.0 중량%;
    잔탄검(Xanthangum) 0.05~3.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80146153A 2018-11-23 2018-11-23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0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53A KR20200060946A (ko) 2018-11-23 2018-11-23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53A KR20200060946A (ko) 2018-11-23 2018-11-23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46A true KR20200060946A (ko) 2020-06-02

Family

ID=7109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153A KR20200060946A (ko) 2018-11-23 2018-11-23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09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196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인코스팜 두피 개선 및 탈모 완화용 펩타이드 조성물
KR102412167B1 (ko) 2021-11-03 2022-06-23 한국콜마주식회사 탈모방지 및 손상모발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고형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663058B1 (ko) 2023-04-05 2024-05-10 한국콜마주식회사 컨디셔닝 효과를 가지는 탈모방지 고형 모발 세정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426A (ja) 2002-07-01 2004-02-05 Ajinomoto Co Inc 新規化粧料組成物
KR20180045422A (ko) 2016-10-25 2018-05-04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관리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426A (ja) 2002-07-01 2004-02-05 Ajinomoto Co Inc 新規化粧料組成物
KR20180045422A (ko) 2016-10-25 2018-05-04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관리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196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인코스팜 두피 개선 및 탈모 완화용 펩타이드 조성물
KR102412167B1 (ko) 2021-11-03 2022-06-23 한국콜마주식회사 탈모방지 및 손상모발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고형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526944B1 (ko) 2021-11-03 2023-04-28 한국콜마주식회사 탈모방지 및 손상모발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고형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663058B1 (ko) 2023-04-05 2024-05-10 한국콜마주식회사 컨디셔닝 효과를 가지는 탈모방지 고형 모발 세정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3792A (en) System for customized hair products containing surfactants
KR102165565B1 (ko) 기미, 잡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13315B1 (ko) 모발을 스트레이트화하기 위한 새로운 조성물
BR112016026378B1 (pt) Método para o branqueamento dos cabelos e uso de um agente ativo que é ácido maleico para reduzir ou prevenir o dano ao cabelo
CN105813626A (zh) 含有碳二亚胺类化合物的组合物
KR20200060946A (ko)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303467B1 (ko) 컬러 트리트먼트 및 샴푸용 조성물
CN115006285A (zh) 冰沙状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147307A (ko) 자연에서 유래한 성분이 함유된 약산성 샴푸, 약산성 트리트먼트 및 약산성 헤어팩 그리고 이를 이용한 두피 및 모발 개선 방법
US10420962B2 (en) Organic hair formulation and treatment
RU2481819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EP3542863B1 (de) Haaröl und seine verwendung
KR101732027B1 (ko) 모발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065274A1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US7722681B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hair and methods of use
KR102526944B1 (ko) 탈모방지 및 손상모발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고형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JP4979126B2 (ja) 毛髪化粧料
KR20160149472A (ko) 손상 모발 케어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276289B1 (ko) 모발용 조성물
US7833288B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 and methods of use
JP5788372B2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US20220273544A1 (en) Composition for delaying and dyeing grey hair
JPH0469319A (ja) 毛髪処理剤
US20200188255A1 (en) Hair conditioning spray treatment
KR102223332B1 (ko) 리포좀 포장된 l-아르기닌 및 유기 지방산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