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722A - 기관총 - Google Patents

기관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722A
KR20200060722A KR1020207009434A KR20207009434A KR20200060722A KR 20200060722 A KR20200060722 A KR 20200060722A KR 1020207009434 A KR1020207009434 A KR 1020207009434A KR 20207009434 A KR20207009434 A KR 20207009434A KR 20200060722 A KR20200060722 A KR 20200060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achine gun
last
ammunition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269B1 (ko
Inventor
파스칼 마르셀 앙리 드니 프란센
다미앵 니콜 프레디 베르하겐
로버트 베커스
폴 미쇼뜨
안토니 고비에
Original Assignee
에프엔 에르스딸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7198584.9A external-priority patent/EP3477242A1/fr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엔 에르스딸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에프엔 에르스딸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0006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29Feeding of belted ammunition
    • F41A9/32Reciprocating-slide-type belt transpo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64Mounting of breech-blocks; Accessories for breech-blocks or breech-block mountings
    • F41A3/66Breech housings or frames;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54Cartridge guides, stops or positioners, e.g. for cartridge extraction
    • F41A9/55Fixed or movable guiding means, mounted on, or near, the cartrid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54Cartridge guides, stops or positioners, e.g. for cartridge extraction
    • F41A9/58Cartridge stops; Cartridge pos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59Ejectors for clips or magazines, e.g. when emp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0Empty-cartridge-case or belt-link collectors or cat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08Cartridg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Toy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약 벨트(5)의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탄약 벨트(5) 유형의 공급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기관총(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관총
본 발명은 기관총, 공급 시스템, 및 이러한 기관총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총기의 인간공학은 총기의 중량 및 크기로부터 발사 시의 총기 조작 및 취급 조건까지 소정 수의 기준을 조합하므로 상당히 특별한 개념이다. 더 나은 인간공학이 제공된 총기가 사용자가 부대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이행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총기라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총기의 인간공학의 개선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반영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이동성 증가,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총기의 유용성 향상, 총기 사용의 용이성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관총은, 탄창으로부터 탄약이 공급되는 화기(소총 또는 권총)와 달리, 탄약 벨트를 당길 수 있는 화기인 것으로 이해된다. 탄약 벨트는 링크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련의 카트리지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들은 카트리지들이 그로부터 인출될 때 서로 탈착된다.
기관총의 프레임은 총기의 핵심 부품으로, 주요 구조 요소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총기의 작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모든 부가 또는 조립 부품들을 위치지정하기 위한 기준 베이스의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기관총에서는, 벨트 공급과 연관된 기능이 총기의 상부에 존재한다. 공급 채널 상에 수동으로 배치된 후 공급 커버 내의 상이한 요소들에 의해 유지되는 탄약 벨트. 이러한 구성의 주요 이점은, 시각적 및 촉각적인, 공급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의 양호한 접근성 및 공급 채널의 수평 위치지정을 통해 재장전 작업 및 오동작 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조의 하나의 단점은, 조준 시스템이 총신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총기의 공급 커버 상에 부분적으로(가늠자 및 가늠쇠 기계적 조준 부재들) 또는 전적으로(표준 피카티니 레일을 통해 장착되는 모듈식 조준 부재들) 통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공급 커버가 개폐될 때마다 공급 커버의 재위치지정에 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사체의 조준점 및 탄착점 정렬의 소정의 부정확성을 초래한다.
다른 단점은, 공급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주요 조준 광학계의 추가적인 크기로 인해 특정 광학 부재들(상당히 확대된 긴 스코프, 광 증폭기, 야간 투시 등)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긴 커버를 갖는 상측 공급부를 구비한 기관총의 경우, 관찰 스코프가 커버 상에 직접 장착되는데, 이는, 커버의 개방시, 관찰 스코프 자체도 기울어지므로, 광 증폭기 유형의 장치가 순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 장치는 더 이상 관찰 스코프 바로 앞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순방향으로 더 멀리 장착되기 때문에, 2개의 광학계 사이에 갭이 있어서, 광학적으로(광원으로부터의 반사) 및 물리적으로(모래, 진흙 등에 의한 오염) 쉽게 오염된다.
다수의 탄약 품목이 제한된 시간 내에 발사된 후에, 총신은 굉장히 가열된다. 긴 커버 상에 광학계를 장착하는 것의 또 다른 단점은,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때, 광학계가 총신을 향해 배향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총신의 열이 광학계에 전달되어 이를 실질적으로 훼손할 수 있고, 광학계는 이와 같은 고온을 견디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총신과 광학계 사이에 열 실드를 배치할 필요가 있고, 이는 기관총을 더 무겁게 만든다.
(Negev IMI 기관총과 같은) 일부 기관총에서는, 공급 커버의 길이를 최대한 제한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이는 프레임 뒤에 광학계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단점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총기와 호환되는 광학계의 길이를 굉장히 제약한다. 실제로, 이 경우, 광학계는 공급 커버가 개방될 수 있도록 공급 커버 위를 통과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제한은 다수의 광학 부재의 정렬에도 적용되고(종래 기술의 조준 부재 앞의 광 증폭기 등), 선두의 부재는 이 경우 커버 상에 장착되거나(공급 커버 상에 직접 장착되는 조준 부재들의 제한에 관한 상기 언급된 단점을 초래함), 또는 공급 커버 앞에 장착되어야 한다(선두의 부재를 2개의 광학 장치로부터 상당히 분리함).
이들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총기는, 총기의 하부에(예를 들어, HK 21 및 HK 23, XM 248 기관총) 또는 수직 공급 채널을 갖는 총기의 측면 상에(미국 7.92 mm 경기관총 t44, 측방향 공급부를 갖는 M60) 공급 기능을 위치지정함으로써, 대안적인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두 가지는 대안의 벨트 교환 작업 및 오동작 해결과 관련하여 주요 단점을 제시한다. 공급이 하측으로부터 일어날 때, 벨트 전진 요소들 및 약실의 접근성이 매우 제한되어, 빈 약실 확인 작업, 및 공급 또는 인출과 연계된 문제점의 해결을 복잡하게 한다.
공급이 수직 공급 채널과 함께 측방향일 때, 직면한 문제점은 주로 새로운 탄약 벨트의 배치와 관련이 있다. 실제로, 탄약 벨트는 조작자가 총기의 커버를 폐쇄할 시간을 갖기도 전에 이동하거나 심지어 떨어지는 경향이 종종 있을 것이다. 이런 다양한 단점들은, 재장전 또는 오동작 해결 작업이 최악의 순간(완전 교전, 불리한 발사)에 일어나기 쉽고 다소 긴 시간에 걸쳐 화력의 손실로 나타나기 때문에, 매우 불리하다.
대개는, 기관총의 프레임은 중간 구성요소들의 조립에 의해 제조된다. 그 목적은 상이한 부품들의 마감처리 가공을 정확하게 수행한 후 이들을 조립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밀링 또는 선삭용) 절삭 공구들의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 형태를 갖는다. 기관총의 경우, 프레임의 상부가 새로운 벨트를 제자리에 놓을 수 있도록 제거 가능한 공급 커버에 의해 덮일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개구는 일반적으로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다.
기관총의 맥락에서, 이러한 유형의 조립은 강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 충분한 강성을 보유하고 조립점의 취약 구역을 방지하기 위해, 영률 및 충분한 항복 강도를 갖는 재료가 종종 요구된다. 이는 기관총이 다른 총기보다 더 큰 발사량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총기의 온도 증가 및 그에 따른 재료의 성능 하락을 의미함)에 의해 증폭된다. 역사적 및 경제적 이유로, 이러한 적용을 위해 선호되는 재료는 항상 강이었다. 기관총의 프레임을 위해 강을 선택한 주요 결과는 총기의 중량의 상당한 증가이다. 이로 인해, 기관총은 보병 부대에 의해 사용되는 다른 견착식 총기보다 일반적으로 더 무겁고, 이는 모든 부대의 이동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또한, 기관총의 경우, 링크들의 배출(ejection)이 일반적으로 운동 중인 벨트의 역학에 의해 수행된다: 벨트가 이의 전진 메커니즘에 의해 밀릴 때, 카트리지에서 벗어난 링크는 프레임 밖으로 배출 윈도우를 향해 안내된다. 특히, 마지막 카트리지가 공급되면, 배출될 링크가 2개 남아있게 된다. 마지막 카트리지의 이러한 특별한 경우를 위한 메커니즘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 작동 모드의 주요 위험성은, 링크가 노리쇠 및 카트리지의 통과를 허용하는 공급 채널의 개구를 통해 프레임 내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링크가 프레임 내로 들어가는 경우, 이는 총기 내측에 포함되는 부품들의 메커니즘 및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오동작을 야기할 것이다. 이러한 위험성은 기관총의 공급 채널이 수평선에 대해 경사지는 경우 증가된다. 이후, 중력으로 인해, 링크가 공급 채널의 개구를 향해 안내될 것이다.
두 번째 문제점은, 마지막 링크가 일반적으로 공급 채널 상에 남아있고, 군인은 보통 공급 채널을 "비운" 후에 새로운 벨트를 위치지정해야 하므로, 관련된 시간 손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선행 기술의 기관총에는, 커버가 개방될 때 공급 채널 상에 벨트를 완벽히 (6자유도에 따라) 유지하는 수단이 없다. 기관총의 재장전은 종종 한 손을 핸들 상에 둔 상태로 수행되고, 자유로운 나머지 손으로 커버를 개방하여 그 위에 벨트를 위치지정한 후, 벨트를 해제하여 커버를 재폐쇄해야 한다. 이 장전 작업은 발사 준비가 된 위치에서 탄약 없이 노출된 위치에서 이행되기 때문에 대개 압박감 속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작업 중에, 공급 채널이 경사진 상태로 기관총이 이동되는 경우, 커버 폐쇄시 벨트가 올바르게 위치지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후, 장전 작업은 오동작(미발사)으로 이어질 것이다.
문헌 US 2,418,428은 공급 채널 내에서 탄약 벨트의 마지막 링크를 안내하는 메커니즘을 기재한다. 이 문헌은 마지막 링크들을 배출하기 위한 어떤 수단도 기재하지 않는다.
문헌 EP1985960, FR2849498, EP2270418, EP2107329는 총신으로부터 배출시 떨어지는 링크들의 분리를 허용하는 장치를 기재한다. 분리기의 필요성은 중구경 총기(20~50 mm)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링크 설계에 특이적이다. 이 링크들을 사용하는 벨트의 경우, 링크들을 서로에 대해 피벗시켜서 탈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 문헌에 제시된 스프링 블레이드들은 링크들을 배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이들 문헌은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기재하지 않는다.
요약하면, 종래 기술의 기관총은 하기와 같은 주요 단점을 제시한다:
- 총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동 커버는 관찰 스코프와 같은 고정 부속품들의 신뢰할 수 있는 위치지정을 방해한다;
- 벨트의 단부에서, 하나 이상의 링크가 일반적으로 채널 내에 남아있고, 사격자는 일반적으로 이들 링크를 방출한 후에야 재장전할 수 있다;
- 링크의 불량한 방출은 재장전 메커니즘의 차단에 의한 오동작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벨트의 위치지정, 특히 마지막 카트리지의 위치지정이 부정확하여, 오동작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벨트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커버가 폐쇄될 때까지 이를 잡고 있어야 하고, 이는 양 손의 사용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탄약 벨트를 위한 공급 채널 및 공급 채널을 위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폐쇄 동작은 공급 채널 내의 탄약 벨트의 종방향 위치의 조절을 유도하는, 기관총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채널 내의 벨트의 종방향 위치의 조절은, 커버의 폐쇄 동작 중에 공급 채널 내에서 벨트를 미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연이은 발사 사이클 중에 벨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요소(비복귀 래칫)를 통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비복귀 래칫은 커버에 통합되고, 상기 커버의 폐쇄 동작은 첫 번째 탄약 품목의 정확한 조절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공급 채널과 평행한 성분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커버의 폐쇄 동작의 평행 성분은 공급 채널의 평면에 대해 할선인 커버의 회전축에 의해 획득된다.
유리하게는, 공급 채널 및 이의 커버는 수직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커버의 개구의 축은 본질적으로 수직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총은 이의 상면에 고정 부속품 조립 계면을 포함하고, 이 계면은 바람직하게는 피카티니 유형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복귀 래칫을 구동시키는 연결 로드들의 시스템이 프레임 또는 커버에 통합되어, 커버가 폐쇄될 때 벨트를 장전 위치로 민다. 이 경우, 래칫을 구동시키는 연결 로드(들)는, 예를 들어, 폐쇄에 의해 구동되는 커버 또는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또는 버튼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프레임 또는 커버의 내면 상에서 돌출되는 경사면은 상보적인 내면 상의 가동부를 구동하고, 상기 가동부는 벨트의 이동과 평행한 이동을 수행하며 이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탄약 벨트의 마지막 2개의 링크를 (즉, 벨트의 단부에서) 배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탄약 벨트에 의해 공급되는 화기용 공급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이 메커니즘은, 기관총의 가동부들에 의해 구동되며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를 미는 가동 래칫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가동 래칫은 벨트 견인 메커니즘에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벨트 견인 메커니즘은 사용 중 탄약 품목을 미는 가동 래칫을 포함하고, 탄약 품목을 미는 상기 래칫 및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래칫은 기관총의 가동부들의 이동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의 동일한 레버에 의해 구동된다.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래칫 및 전진 래칫은 단일 부품으로 또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하나의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스프링 또는 스프링 블레이드와 같은 탄성부를 통해 고정되는 2개의 부품이다.
대안적으로, 벨트 견인 메커니즘은 사용 중 카트리지들 상에 계합하는 스타를 포함하고,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사용 중 링크들 상에 계합하는 제2 스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스타는 하나의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유리하게는, 2개의 스타 사이의 연결은 벨트의 전진 스타 및 배출 스타를 통과하는 탄성 재료(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핀 또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요소에 의해 보장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래칫 또는 스타와 결합하여,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은, 스프링 상에 장착되며 마지막 링크를 밀어서 이를 배출하는 가요성 클로(claw)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클로는 스프링 상에 장착되고, 이의 에너지는 마지막 링크를 배출하는 데에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링크를 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가요성 클로의 부분은, 링크가 탄약 품목에 연결되지 않을 때에만, 이 링크와 접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클로는, 더 이상 탄약 품목을 가압하지 않을 때 극단 위치를 점유하는 비복귀 래칫에 의해(즉, 벨트의 단부에 있음), 탄약 품목이 존재할 때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클로는 공급 채널 내에 탄약 품목 및 링크들을 유지하기 위한 플랩들에 탄성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가요성 클로는 탄약 품목이 공급 채널 내의 제자리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표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탄약 벨트를 위한 주요 슬립면, 사용 중 탄약 벨트를 안내하는 측면들, 및 측면들의 상부 에지에 위치되는 벨트를 위한 하나 이상의 유지면을 포함하는 공급 채널을 포함하되, 상기 유지면들은 슬립면에 대향하며 상기 유지면들은 탄약 벨트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되는, 기관총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유지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탄약 벨트의 위치지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면들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에지가 자유변이 되도록 신축성(retractable)이다.
대안적으로, 유지면(들)은 벨트의 "힘에 의한" 도입을 허용하도록 가늘고 탄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벨트의 유지면(들)은 공급 채널의 측면들의 상부 에지들을 따르는 러너들에 속하고, 이 러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신축성이다.
유리하게는, 신축성 러너(들)는 탄성 수단에 의해 공급 채널의 측면들을 따라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신축성 러너(들)는 러너의 상부 경사면에 대해 탄약 벨트를 단지 가압함으로써 탄약 벨트를 제자리에 놓을 수 있도록 상부 경사면을 구비한다.
유리하게는, 신축성 러너(들)는 탄약 벨트를 비틀어서 벨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급 채널로의 벨트의 진입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챔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본질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는 화기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화기는 공급 채널, 및 수직선에 대해 외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의 개구의 축은 본질적으로 수직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기는 이의 상면에 고정 부속품 조립 계면을 포함하고, 이 계면은 바람직하게는 피카티니 유형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모든 양태들은 서로 호환되며, 최종 탄약 품목이 발사될 때 공급 채널을 비우고, 커버가 개방될 때 채널 내에 벨트를 유지하며, 커버가 폐쇄될 때 벨트를 올바르게 위치지정하고, 공급을 측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모두 공급 채널 내에 벨트를 배치하는 용이성의 획득에 기여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총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커버가 개방되어 있고 탄약 벨트가 제자리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채널의 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커버가 개방되어 있고 탄약 벨트가 존재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채널의 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커버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커버가 폐쇄되어 있는 도 4의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기관총의 발사 및 재장전 사이클 중의 도 4의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기관총의 탄약 벨트의 마지막 카트리지의 발사 사이클 중의 도 4의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공급 채널의 단부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벨트를 전진시키고 마지막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클로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총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채널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채널 커버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벨트 재위치지정 수단을 포함하는 공급 채널의 다른 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18의 채널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20 및 도 21은 커버의 폐쇄에 의해 유도된 이동을 도시하는, 도 18 및 도 19의 채널을 포함하는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벨트의 마지막 2개의 링크를 구비한 벨트의 마지막 탄약 품목을 나타낸다.
본 설명은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모든 양태를 실시하는 총기의 예를 기술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상이한 양태들이 각각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예에 비추어 그리고 몇몇 기술된 변형예에 비추어 명확히 드러나는 시너지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설명에서, 일반적으로,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 탄약 품목"은 제자리에 있거나 공급될 준비가 된 탄약 품목을 나타낼 것이다. 링크들이 물론 동일한 방식으로 명명될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벨트의 마지막 2개의 링크의 배출의 경우, 이는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 2개의 링크 및 마지막 카트리지와 관련될 것이다. 이는 이후 상기 벨트 또는 벨트의 단부의 마지막 2개의 링크인지 또는 마지막 카트리지인지 명시될 것이다.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공급 채널 또는 탄약 벨트의 이동과 관련될 때, 벨트 공급 변위의 방향에 관한 것이며, 그에 따라 총신은 종방향 총기 공급 방향에 대해 횡방향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총의 예를 나타낸다. 이 기관총은 프레임 바디(22)의 상측에서 연속적이며 고정되어 있는 피카티니 유형의 레일(21)의 사용을 허용하는 측방향 공급부를 구비한다. 상측은 총기가 종래 기술의 위치에서 사용될 때의 상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른 유형의 부속품 고정 계면이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2는 탄약 벨트(5)가 위치되어 있고 커버(2)가 개방되어 있는 공급 채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커버는 프레임(22)의 대응하는 수단과 협력하는 폐쇄 수단(19)을 포함한다.
도 3은 탄약 벨트(5)가 존재하지 않는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고, 이는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탄약 품목의 앞부분, 및 (주로 벨트의 단부에 있는) 벨트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의 중앙부(10)를 각각 미는 래칫들(15, 14)을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래칫들(15, 14)은 탄약 벨트(5)를 위한 슬립면(3)으로부터 돌출된다. 이후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칫(14)의 중앙 위치는 벨트의 마지막 링크를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공급 채널의 슬립면(3) 및 커버(2)의 대응하는 면이 45° 경사진 반면, 이들 두 조립체의 공통축(4)은 수직인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탄약 슬립 평면에 대한 커버의 회전축의 이러한 할선 변위는 커버가 탄약 품목들(18)의 슬립 이동과 평행한 이동 성분을 폐쇄 중에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성분은 비복귀 래칫(12)이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탄약 품목(또는 대신에 여기서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의 중앙부)을 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지정 이동은 도 4 및 도 5의 단면도에 더 잘 도시된다.
도 4에서, 커버는 아직 폐쇄되지 않고, 벨트는 벨트 전진 래칫들(16, 15) 상에 안착되어 있다.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이러한 래칫들(15, 16)은 벨트(5)의 정확한 위치지정을 허용하지 않는다. 특히, 도 4는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 탄약 품목의 지나치게 낮은 위치지정을 도시한다(즉, 탄약 품목은 공급 채널의 개구의 중간에 위치되는 "제자리"에 있지 않다). 최종적으로, 전진 래칫들의 위치는 노리쇠(17) 및 가동부들의 위치에 따라 좌우되는데, 이는 특히 총개머리가 개방된 상태로 작동되는 총기의 경우, 벨트의 배치에 있어서 명확하지 않다: 노리쇠(17)는 약실이 비고 잠긴 상태로 전방 위치에 놓일 수 있거나, 또는 노리쇠(17)는 약실이 빈 상태로 후방 위치에 놓인다. 경우에 따라(그리고 벨트 구동 메커니즘에 따라), 전진 래칫들(15, 16)은 상이한 위치에 있을 것이다.
도 5에서는, 커버의 폐쇄 후에,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탄약 품목 상의 비복귀 래칫(12)의 압력이 벨트(5)를 올바르게 재위치지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벨트의 재위치지정은 다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되, 중요한 것은 커버 폐쇄 동작이 슬립과 평행한 벨트의 재조절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임을 주목한다.
이와 같은 대안적인 예가 도 18 내지 도 21에서 수평 공급 채널(100)에 대해 나타난다. 이 예에서, 벨트(5)는 수평면(102)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커버(107)의 폐쇄에 의해 구동되는 비복귀 래칫들(101)에 의해 올바르게 위치지정된다. 이를 위해, 비복귀 래칫들(101)은 커버(107)의 대응하는 경사면(106)과 협력하는 경사면(105)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블록(103) 상에 고정된다.
벨트의 이동이 벨트 전진 메커니즘에 의해 유도되는 모든 경우에서, 비복귀 래칫들(101, 12)은 연속적인 탄약 품목들(18)이 공급의 법선 방향(42)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유보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의 공급의 측방향 위치지정, 및 수직축 상의 공급 채널 및 커버(2)의 개구의 방향도 역시 프레임의 상면을 해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고정 레일(21)이 본질적으로 관형의 프레임 바디(22) 상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공급 채널의 슬립 평면(3)의 45° 경사는, 커버의 수직 회전축(4)과 결합하여, 탄약 품목을 제자리에 조절하는 것을 허용하는 앞서 인용된 이점을 제안한다. 게다가, 이러한 경사는, 총기를 수직으로 유지하거나(수직 공급 채널을 갖는 총기에는 가능하지 않음), 또는 총기를 단지 45° 경사지게 하여 채널을 수평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진 래칫들(15, 16) 상에 벨트를 걸어서, 벨트의 위치지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측방향 크기가 충분히 제한되고, 슬립 평면(3)의 수평 성분이 총기를 경사지게 하지 않으면서 전진 래칫들(15, 16) 상에 벨트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면, 다른 경사각도 물론 가능하다. 적절한 경사각은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예의 공급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기관총은 이른바 "개방 총개머리" 사이클에 따라 작동한다(즉, 발사할 때를 제외하면, 약실이 개방되고 빈 상태로, 노리쇠(17) 및 가동부들이 후방 위치에 있는 장치). 이후, 완전한 발사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 방아쇠의 트리거는 가동부들 및 노리쇠(17)를 해제하고, 이는 유로 내로, 스너그(20)를 통해, 탄약 품목(18)을 약실 내로 유도한다. 순방향 이동의 끝에, 노리쇠는 총신의 약실 뒤에서 잠금 링 상에 잠금된다. 이러한 순방향 이동은 가동부들의 역방향 복귀 이동시 압축되는 반동 스프링에 의해 유도된다. 이후, 탄약 품목은 타격되고, 총신의 마지막 섹션의 가스의 회수는 반동 스프링을 압축함으로써 가동부들을 역방향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 탄약 품목이 발사된 후, 벨트의 단부에서, 방아쇠는 일반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고, 가동부들은 최종 순방향 이동을 수행하며, 총기는 총개머리가 폐쇄되고 약실이 빈 상태로 복귀된다. 사용자가 탄약 벨트를 배치하기 전 또는 후에 메커니즘을 재장전하는지 여부에 따라, 가동부들은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 있게 된다.
도 5는 대기 위치에 있는 총기를 도시하되, 가동부들이 후방을 향하고, 탄약 품목이 제자리에 있으며, 노리쇠(17)의 스너그(20)가 제자리에 있는 탄약 품목 뒤에 배치되어 있다. 벨트 전진 래칫들(15, 16)은 마지막에서 두 번째 탄약 품목 뒤의 낮은 위치에 있고, 벨트는 비복귀 래칫(12) 상에 안착되며, 링크들에 의해 지지되는 유지 플랩들(11)이 노리쇠(17)에 의해 공급될 준비가 된 탄약 품목을 공급 채널의 개구의 중간에서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배출 클로(13)가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의 앞쪽 측방향 부분들(9)을 민다.
발사가 트리거될 때,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 탄약 품목은 노리쇠(17)의 스너그(20)에 의해 약실 내로 들어간다. 이러한 이동시, 탄약 품목이 링크로부터 완전히 탈착되자마자, 전진 래칫들(15, 16)이 전진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들의 순방향 이동시, 전진 래칫들(15, 16)은 벨트(5)를 새로운 제자리 위치로 민다. 도 7에서,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 링크는 링크 및 다음 탄약 품목에 의해 밀리는 벨트의 이동에 의해 배출된다. 배출 클로(13)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의 측방향 부분들(9)을 통과시 밀었지만, 이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탄약 품목에 연결되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배출 클로는 사실상 벨트의 마지막 2개의 링크(즉, 벨트의 단부에 있음)의 배출에만 작용하게 된다. 도 8은 가동부들의 반동 이동시 전진 래칫들(15, 16)의 복귀 이동을 도시한다. 이러한 이동 중에, 벨트(5)는 비복귀 래칫(12)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사이클의 끝에, 도 5의 상황이 복원된다.
배출 래칫(14)은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 링크의 중앙 루프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이 루프는 일반적으로 탄약 품목 상에 클램핑되지 않으므로, 이 루프의 지지가 카트리지의 충분히 정확한 위치지정을 허용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주목한다. 게다가, 2개의 루프 간의 중공부와 이의 피크 사이의 발생 가능한 이동의 진폭은 벨트 상의 신뢰할 만한 지지를 허용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런 이유로, 배출 래칫(14)은 바람직하게는 벨트의 중간에서 작동 중 약간 후퇴되고, 바람직하게는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 링크의 배출시에만 중앙 루프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진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의 측방향 구역들(40, 41) 상에서 카트리지의 직접적인 지지에 의해 수행된다.
도 9 내지 도 12는 벨트의 마지막 탄약 품목의 발사시,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 2개의 링크의 배출을 도시한다. 도 9에서, 사이클의 시작시, 벨트의 마지막 탄약 품목은 제자리에 있으며, 벨트의 마지막 링크의 중앙부(10)는 비복귀 래킷(12) 상에 안착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 측방향 전진 래칫들(15, 16)은 더 이상 탄약 품목 상에 안착되지 않으며 더 이상 벨트의 나머지 부분을 밀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한다. 중앙 래칫(14)만이 사이클의 시작시 비복귀 래킷(12) 상에 안착되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의 중앙부(10)에 여전히 대향한다. 도 10에서, 탄약 품목은 약실 내에 장전된다.
이후, 중앙 래칫(14)은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를 도 11의 위치로 민다. 이 도면에는, 벨트의 단부에 있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 링크 배출기(13), 및 슬립면(3)만이 도시된 확대도를 삽입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이 삽입그림은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의 앞쪽 측방향 부분들(9) 상에 배출기(13)에 의해 인가되는 힘(F)을 도시한다. 이 힘은 링크의 표면에 대한 수직력(Fn) 및 접선력(Ft)으로 분할된다. 특정 위치를 넘어서, 접선력(Ft)은 정지 마찰 임계치를 초과하는 반면, 수직력(Fn)은 슬립면(3)과 사실상 평행하다. 이때, 링크는 돌연히 배출되며, 또한 그 앞에 있는 링크를 민다.
최종적으로, 마지막 링크가 배출될 때, 클로(13)는 더 이상 탄약 품목 상에 안착되지 않고, 이로 인해, 탄약 벨트의 존재시의 사이클 중에는 절대 점유하지 않는 극단 위치를 점유하게 된다. 이러한 극단 위치 이동은 벨트의 부재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는 벨트 표지를 변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공급 채널의 측면들(8, 23)의 상부 에지를 덮는 유지 러너들(6, 7)을 도시한다. 도 13은 탄약 품목이 제자리에 있는 공급 채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벨트의 슬립면(3)에 대향하는 면들(25, 29)을 통해 공급 채널 내에 탄약 품목(18)을 유지하는 앞쪽 러너(6) 및 뒤쪽 러너(7)가 구분된다.
이 러너들(6, 7)은 스프링들(24)에 의해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이 스프링들은 2개의 러너를 분리함으로써 벨트의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분리는 유리하게는 러너들의 상면에 있는 경사면들(27, 28)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후 분리는 단지 벨트를 러너들에 밀어서 달성된다. 벨트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단일 러너가 이동성이면 충분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그럼에도, 후자의 경우, 취급 유연성이 낮아질 것이다(기정의된 방향에 따라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음).
대안적으로, 신축성 러너들(6, 7)은 공급 채널의 측면들(23, 8)(의 고른 성형부)에 직접 고정되는 슬립면(3)에 대향하는 유지면들로 대체될 수 있되, 공급 채널의 벽들 또는 이러한 면들은 벨트의 "힘에 의한" 배치를 허용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이다.
이 유지 수단의 이점은, 벨트가 채널로부터 떨어짐 없이, 총기의 배향과 무관하게 공급 채널의 커버(2)를 개방하거나 벨트를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도 13에서는 챔퍼(26)가 뒤쪽 러너(7)의 에지에 존재하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이 챔퍼는 단지 마지막 탄약 품목에 대향하도록 존재하며, 챔퍼에 의해 뒤쪽 러너(7)를 역방향으로 미는, 공급 채널로의 벨트의 진입부에 대응하는 탄약 품목의 뒷부분의 상승 이동, 또는 비틀림 이동에 의해 벨트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이전 도면들에서 보이지 않을 수도 있는 부품들을 명확히 하기 위해 별개의 상이한 요소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벨트 구동 클로를 도시한다. 이 클로는 3개의 래칫(14, 15, 16)을 구비한다. 2개의 측방향 래칫은 각각 마지막에서 세 번째 링크의 앞쪽 측방향 부분들(9) 전에 또는 후에, 마지막에서 두 번째 탄약 품목에 직접 지지된다. 래칫(14)은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의 중앙부(10)를 민다.
이 3개의 래칫(14, 15, 16)은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래칫(14)이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을 통해 다른 2개의 래칫에 탄성 연결된다. 실제로, 탄약 품목들 사이에는, 중앙 래칫보다 측방향 래칫들(15, 16)에 대해 더 큰 이동 진폭을 허용하는 공간이 존재하고, 이는 연속적인 링크들을 연결하는 면에 의해 차단된다. 이로 인해, 중앙 래칫(14)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는 덜 신뢰할 만한 지지를 제공하며, 잠재적으로는 측방향 래칫들이 최적의 위치를 취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중앙 래칫(14)의 분리는 측방향 래칫들(15, 16)에 대한 최적의 이동 진폭을 허용한다.
마지막 링크의 배출시, 중앙 래칫(14)은 더 이상 연속적인 링크들을 연결하는 면에 의해 차단되지 않으며, 이는 이후 보다 신뢰할 만한 지지면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때에도 역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측방향 래칫들(15, 16)은 더 이상 탄약 품목 상에 안착되지 않으므로, 더 이상 벨트의 변위에 관여하지 않는다.
도 15는 관형 프레임 바디(22)를 도시한다. 이러한 폐쇄된 형상은 개방 프로파일보다 더 나은 강성, 특히 더 나은 비틀림 저항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급 채널의 측방향 위치는 고정 피카티니 레일(21)의 고정을 허용한다. 게다가, 커버 내부가 아닌 프레임측에 벨트 전진 메커니즘을 위치지정하는 것은 짧은 길이의 측방향 개구를 허용하고, 이는 조립체의 기계적 특성을 추가로 개선한다.
도 16은 공급 채널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러너들(6, 7)을 위한 2개의 유지 스프링(24)이 여기서 구분된다.

Claims (17)

  1. 탄약 벨트(5)의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탄약 벨트(5) 공급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기관총(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총(1)의 가동부들에 의해 구동되며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를 미는 가동 래칫(14)을 포함하는, 기관총(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가동 래칫(14)은 벨트(5) 견인 메커니즘에 고정되는, 기관총(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5) 견인 메커니즘은 사용 중 탄약 품목을 미는 가동 래칫(15, 16)을 포함하고, 상기 탄약 품목을 미는 상기 래칫(15, 16) 및 상기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래칫(14)은 상기 기관총(1)의 상기 가동부들의 이동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의 동일한 레버에 의해 구동되는, 기관총(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래칫(14) 및 상기 전진 래칫(15, 16)은 단일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기관총(1).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래칫(14) 및 상기 전진 래칫(15, 16)은, 하나의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스프링 또는 스프링 블레이드와 같은 탄성부를 통해 고정되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기관총(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5) 견인 메커니즘은 사용 중 상기 탄약 품목(18) 상에 계합하는 스타를 포함하고, 상기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메커니즘은 사용 중 상기 링크들(10) 상에 계합하는 제2 스타를 포함하는, 기관총(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타는 하나의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관총(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타 사이의 연결은 상기 벨트(5)의 상기 전진 스타 및 상기 배출 스타를 통과하는 탄성 재료(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핀 또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요소에 의해 보장되는, 기관총(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스프링 상에 장착되며 마지막 링크 또는 바람직하게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링크를 밀어서 이를 배출하는 가요성 클로(13)를 포함하는, 기관총(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클로(13)는 스프링 상에 장착되고, 이의 에너지는 상기 마지막 2개의 링크를 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관총(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를 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상기 가요성 클로의 부분은, 링크가 탄약 품목에 연결되지 않을 때에만, 상기 링크와 접촉하게 되는, 기관총(1).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클로(13)는 상기 공급 채널 내에 상기 탄약 품목(18) 및 상기 링크들을 유지하기 위한 플랩들(11)에 탄성 연결되는, 기관총(1).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클로(13)는 탄약 품목이 상기 공급 채널 내의 제자리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표지(30)에 연결되는, 기관총(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약 품목(18) 벨트(5)를 위한 공급 채널 및 상기 공급 채널을 위한 커버(2)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폐쇄 동작은 상기 공급 채널 내의 상기 탄약 품목(18) 벨트(5)의 종방향 위치의 조절을 유도하는, 기관총(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약 벨트(5)를 위한 주요 슬립면(3), 사용 중 상기 탄약(18) 벨트(5)를 안내하는 측면들(8, 23), 및 상기 측면들(8, 23)의 상부 에지에 위치되는 상기 벨트(5)를 위한 하나 이상의 유지면(25, 29)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면들(25, 29)은 상기 슬립면(3)에 대향하며 상기 유지면들(29, 25)은 상기 탄약(18) 벨트(5)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되는, 기관총(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 바디(22)를 포함하는, 기관총(1).
KR1020207009434A 2017-09-11 2018-09-10 기관총 KR102511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90388 2017-09-11
EP17190388.3 2017-09-11
EP17198584.9 2017-10-26
EP17198584.9A EP3477242A1 (fr) 2017-10-26 2017-10-26 Mitrailleuse
PCT/EP2018/074285 WO2019048669A1 (fr) 2017-09-11 2018-09-10 Mitraille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722A true KR20200060722A (ko) 2020-06-01
KR102511269B1 KR102511269B1 (ko) 2023-03-17

Family

ID=6345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434A KR102511269B1 (ko) 2017-09-11 2018-09-10 기관총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156415B2 (ko)
EP (1) EP3682184B1 (ko)
JP (1) JP7155252B2 (ko)
KR (1) KR102511269B1 (ko)
AU (1) AU2018328047A1 (ko)
CA (1) CA3075344A1 (ko)
DK (1) DK3682184T3 (ko)
ES (1) ES2928903T3 (ko)
IL (1) IL273138A (ko)
SG (1) SG11202002205RA (ko)
WO (1) WO2019048669A1 (ko)
ZA (1) ZA2020022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6523B2 (en) * 2020-05-31 2022-12-27 Textron Systems Corporation Sliding feed tray cover for belt-fed weapon
US11268774B1 (en) * 2021-02-01 2022-03-08 Ohio Ordnance Works, Inc. Firearm top cover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of mo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1886A (en) * 1954-04-05 1958-02-04 Harvey H Friend Feeding mechanism for automatic firear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859A (en) * 1901-11-01 1902-07-01 Vickers Sons & Maxim Ltd Feeding mechanism for automatic guns.
US2098264A (en) * 1937-04-28 1937-11-09 Norman K Turnbull Cartridge stop for machine guns
US2121794A (en) * 1937-05-12 1938-06-28 Samuel G Green Cartridge guide and stop for machine guns
US2367488A (en) * 1939-11-08 1945-01-16 Dobremysl Josef Automatic firearm
US2418428A (en) * 1945-09-14 1947-04-01 Gen Motors Corp Cartridge feeding mechanism
US2655837A (en) * 1947-09-16 1953-10-20 Melvin M Johnson Jr Automatic gun
BE510157A (ko) * 1949-11-18
CH319271A (de) * 1952-07-18 1957-02-15 Oerlikon Buehrle Ag Vorrichtung zum Zerlegen von Zerfallgurten automatischer Feuerwaffen
US2857813A (en) * 1953-04-27 1958-10-28 Hughes Tool Co Pneumatic cartridge feeder
US3035495A (en) * 1958-07-03 1962-05-22 Fairchild Engine & Airplane Cartridge feeding mechanism
DE1428686A1 (de) * 1964-12-05 1969-06-26 Heinrich Huelter Jun Fa Gurtglied zum Aneinanderreihen von Patronen zu Patronengurte
US3955469A (en) * 1974-09-20 1976-05-11 Maremont Corporation Feed transfer mechanism
US4942802A (en) * 1987-09-24 1990-07-24 Ares, Inc. Convertible, belt/clip-fed automatic gun with positive shell casing ejection
IL92040A0 (en) * 1989-10-18 1990-07-12 Israel State Machine gun with belt and magazine feed
FR2849498B1 (fr) 2002-12-26 2006-08-18 Giat Ind Sa Dispositif de separation des maillons d'une chaine de maillons
JP3947167B2 (ja) 2004-01-13 2007-07-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外部駆動式のベルト給弾式火器
FR2911181B1 (fr) 2007-01-10 2009-04-10 Nexter Systems Sa Dispositif de separation des maillons d'une bande d'emport de munitions
FR2929699B1 (fr) 2008-04-02 2010-04-23 Nexter Systems Dispositif de separation des maillons d'une bande d'emport de munitions.
DE102009031286A1 (de) 2009-06-30 2011-01-05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Trennvorrichtung für Gurtglieder
US8607683B1 (en) * 2012-03-06 2013-12-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ctive ammunition magazine
WO2014120317A2 (en) * 2012-11-15 2014-08-07 Slide Fire Solutions, Lp Belted ammunition feeding device
US10180296B2 (en) * 2016-07-01 2019-01-15 Timothy J. Polston Firearm adapted to use linked ammunition and kit for converting magazine-fed firearm to same
KR102543339B1 (ko) * 2017-09-11 2023-06-14 에프엔 에르스딸 소시에떼아노님 기관총
US11002501B2 (en) * 2017-11-05 2021-05-11 WHG Properties, LLC Ammunition retaining feed tray
US10746493B1 (en) * 2019-08-19 2020-08-18 Sig Sauer, Inc. Recoil assembly for a machine gu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1886A (en) * 1954-04-05 1958-02-04 Harvey H Friend Feeding mechanism for automatic fire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2184B1 (fr) 2022-07-20
SG11202002205RA (en) 2020-04-29
IL273138A (en) 2020-04-30
DK3682184T3 (da) 2022-10-24
US20200284536A1 (en) 2020-09-10
KR102511269B1 (ko) 2023-03-17
US11156415B2 (en) 2021-10-26
JP7155252B2 (ja) 2022-10-18
WO2019048669A1 (fr) 2019-03-14
EP3682184A1 (fr) 2020-07-22
ES2928903T3 (es) 2022-11-23
CA3075344A1 (en) 2019-03-14
AU2018328047A1 (en) 2020-03-12
JP2020533549A (ja) 2020-11-19
BR112020004258A2 (pt) 2020-09-29
ZA202002257B (en)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1264B1 (ko) 기관총
US7287456B2 (en) Breech-block system for a firearm
KR102543339B1 (ko) 기관총
KR102511269B1 (ko) 기관총
KR102552818B1 (ko) 기관총
US11879702B2 (en) Machine gun
BR112020004258B1 (pt) Metralhadora
BR112020004259B1 (pt) Metralhadora
BR112020004261B1 (pt) Metralhadora
EP3477242A1 (fr) Mitraille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