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781A -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781A
KR20200059781A KR1020180144915A KR20180144915A KR20200059781A KR 20200059781 A KR20200059781 A KR 20200059781A KR 1020180144915 A KR1020180144915 A KR 1020180144915A KR 20180144915 A KR20180144915 A KR 20180144915A KR 20200059781 A KR20200059781 A KR 20200059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 stream
stream
media playback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629B1 (ko
Inventor
유용선
김현휘
정경희
박준우
배효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14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6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8Unicasting

Abstract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스트림 수신부,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채널 전환 요청부 및 상기 복수의 채널 스트림 중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 1 채널 스트림을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채널 스트림은 상기 먹스 시스템으로부터 다중화 스위치로 전송되고,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은 상기 다중화 스위치로부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은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되어 재생된다.

Description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SERVER, MEDIA 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HANNEL STREAM}
본 발명은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란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영화와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동영상 컨텐츠와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및 통신 서비스이다. 시청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IPTV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IPTV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 10-1321703호는 개방형 아이피티비 채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IPTV에서 재생 중인 채널을 다른 채널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채널 전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끊김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시청자는 채널 전환에 의한 끊김으로 인해 TV 시청에 단절을 느끼게 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에 다중화 스위치의 하위 계위에 배치된 채널 제공 서버를 먹스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와의 관계에 있어서 다중화 스위치와 동일 계위에 배치시킴으로써 채널 전환 속도를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다중화 스위치와 별도로 구축된 채널 제공 서버를 통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한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를 재생한 후, 다중화 스위치를 통해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한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함으로써, 채널 전환 시 끊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스트림 수신부,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채널 전환 요청부, 상기 복수의 채널 스트림 중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 1 채널 스트림을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채널 스트림은 상기 먹스 시스템으로부터 다중화 스위치로 전송되고,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은 상기 다중화 스위치로부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은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되어 재생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제공 서버 및 다중화 스위치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하는 요청부, 상기 채널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다중화 스위치로부터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스트림 수신부 및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 중인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제공 서버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먹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다중화 스위치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채널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중화 스위치로부터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중인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로 전환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종래에 다중화 스위치의 하위 계위에 배치된 채널 제공 서버를 먹스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와의 관계에 있어서 다중화 스위치와 동일 계위에 배치시킴으로써 채널 전환 속도를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다중화 스위치와 별도로 구축된 채널 제공 서버를 통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한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를 재생한 후, 다중화 스위치를 통해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한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함으로써, 채널 전환 시 끊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채널 전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전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제공 서버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전환 시스템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채널 전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채널 전환 시스템은 방송 서버(100), 먹스 시스템(110), 다중화 스위치(121, 131), 채널 제공 서버(122) 및 미디어 재생 장치(123)를 포함한다.
방송 서버(100)는 리얼 타임 인코더(Real-Time Encoder)를 통해 복수의 채널에 대한 각 채널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인코딩한다.
먹스 시스템(110)은 방송 서버(100)로부터 각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여 각 채널 스트림에 대해 할당된 소정의 먹스를 통해 다중화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ch 7'의 경우, 먹스 1~4에서 해당 채널 스트림의 다중화 처리를 수행하고, 'ch 25'의 경우, 먹스 5~10에서 해당 채널 스트림의 다중화 처리를 수행한다.
먹스 시스템(110)은 다중화 처리된 채널 스트림을 각 지역에 배치된 다중화 스위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먹스 시스템(110)은 다중화 처리된 채널 스트림을 제 1 지역(120)에 위치한 다중화 스위치(121)로 전송하고, 제 2 지역(130)에 위치한 다중화 스위치(131)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지역(120)에 배치된 다중화 스위치(121), 채널 제공 서버(122) 및 미디어 재생 장치(123)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중화 스위치(121)는 먹스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123)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다중화 스위치(121)는 채널 스트림(예를 들어, ch7)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123)로 전송한다.
미디어 재생 장치(123)가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예를 들어, ch11)을 입력받은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23)는 다중화 스위치(121)로 채널 전환을 요청한다.
다중화 스위치(121)가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예를 들어, ch11)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채널 제공 서버(122)로 전송하면, 채널 제공 서버(122)는 제 1 채널 스트림(예를 들어, ch11)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123)로 전송한다. 이 때, 제 1 채널 스트림은 전환된 채널의 첫 화면이 빠르게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중화 스위치(121)는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예를 들어, ch11)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123)로 전송한다.
미디어 재생 장치(123)는 제 1 채널 스트림(예를 들어, ch11)을 재생하고, 제 1 채널 스트림(예를 들어, ch11)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예를 들어, ch11)으로 전환하여 재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채널 전환 시스템은 채널 제공 서버(122)가 다중화 스위치(121)에 종속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다중화 스위치(121)가 배치된 지역 별로 채널 제공 서버(122)가 구축되어야만 했다.
또한, 종래의 채널 전환 시스템은 채널 전환이 다중화 스위치(121)의 주관 하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설계됨에 따라 채널 전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예를 들어, 다중화 스위치(121)가 미디어 재생 장치(123)로부터 채널 전환을 요청받으면, 다중화 스위치(121)가 전환된 채널의 첫화면을 빠르게 띄우기 위한 제 1 채널 스트림을 채널 제공 서버(122)를 통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123)로 전송되도록 하고, 전환된 채널의 제 2 채널 스트림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123)로 전송하였다. 이는, 채널 전환 시, 제 1 채널 스트림 및 제 2 채널 스트림 모두가 다중화 스위치(121)를 통해 거치게 됨으로써, 채널 전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채널 전환 시스템은 제 1 채널 스트림을 송출한 먹스 및 제 2 채널 스트림을 송출한 먹스가 동일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채널이 전환됨에 따라, 먹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파악하여야만 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전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채널 전환 시스템(1)은 방송 서버(200), 먹스 시스템(210), 다중화 스위치(220), 채널 제공 서버(230) 및 미디어 재생 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서버(200), 먹스 시스템(210), 다중화 스위치(220), 채널 제공 서버(230) 및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채널 전환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채널 전환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다중화 스위치(220) 또는 채널 제공 서버(23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송 서버(200) 및 먹스 시스템(210)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종래의 방송 서버(100) 및 먹스 시스템(11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다중화 스위치(220)는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부터 채널을 요청받고, 요청받은 채널 스트림을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중화 스위치(220)는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부터 채널 전환을 요청받고,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채널 스트림을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중화 스위치(220)는 요청받은 채널 스트림 또는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채널 스트림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제공 서버(230)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 210)으로부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제공 서버(230)는 먹스 시스템(210)으로부터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채널 제공 서버(230)는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채널 제공 서버(230)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 중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의 채널 스트림을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제공 서버(230)는 채널 스트림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제공 서버(230)는 먹스 시스템(210) 및 미디어 재생 장치(240)와의 관계에 있어서 다중화 스위치와 동일 계위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채널 제공 서버(230)가 먹스 시스템(210) 및 미디어 재생 장치(240)와의 관계에 있어서 다중화 스위치와 동일 계위에 배치됨으로써, 채널 제공 서버(230)가 다중화 스위치(220)의 위치에 관계 없이 별도로 구축이 가능해지며, 지역 별로 구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채널 제공 서버(230)가 모든 채널 스트림을 가지고 있고,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채널 스트림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직접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채널 전환 속도가 효율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 210)으로부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제공 서버(230) 및 다중화 스위치(220)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채널 제공 서버(23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채널 제공 서버(230)로부터 제 1 채널 스트림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다중화 스위치(22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다중화 스위치(220)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 1 채널 스트림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재생 중인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제 1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제 1 시간 정보 및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시간 정보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 DTS(Decoding Time Stamp) 및 PCR(Program Clock Referen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제 2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제 2 시간 정보를 탐색하고, 제 2 채널 스트림로부터 탐색된 제 2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전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제 1 채널 스트림의 패킷으로부터 제 2 시간 정보와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탐색하고, 제 1 채널 스트림로부터 탐색된 제 1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후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제 1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후 패킷이 폐기된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전 패킷이 폐기된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제 1 채널 스트림 및 제 2 채널 스트림 각각을 송출한 각 먹스가 동일한지 여부와 관계 없이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채널 제공 서버(230)는 채널 스트림 수신부(310), 채널 전환 요청부(320) 및 전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스트림 수신부(310)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 210)으로부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스트림 수신부(310)는 먹스 시스템(210)으로부터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채널 전환 요청부(320)는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 중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 1 채널 스트림을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330)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채널 스트림은 미디어 재생 장치(240)에 의해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되어 재생될 수 있다. 제 1 채널 스트림은 제 1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제 1 시간 정보 및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되어 재생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채널 스트림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제공 서버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채널 제공 서버(230)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전환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제공 서버(230)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에서 채널 제공 서버(230)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 210)으로부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채널 제공 서버(230)는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채널 제공 서버(230)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 중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 1 채널 스트림을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요청부(510), 채널 스트림 수신부(520) 및 재생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부(510)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 210)으로부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제공 서버(230) 및 다중화 스위치(220)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스트림 수신부(520)는 채널 제공 서버(23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 스트림 수신부(520)는 먹스 시스템(210) 및 미디어 재생 장치(240)와의 관계에 있어서 다중화 스위치(220)와 동일 계위에 배치되는 채널 제공 서버(230)로부터 제 1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스트림 수신부(520)는 채널 제공 서버(230)로부터 제 1 채널 스트림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채널 스트림 수신부(520)는 다중화 스위치(22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스트림 수신부(520)는 다중화 스위치(220)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재생부(530)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이후, 재생부(530)는 재생 중인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제 1 채널 스트림을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채널 스트림(600)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는 제 2 채널 스트림(610)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부(530)는 제 1 채널 스트림(600)의 패킷에 포함된 제 1 시간 정보(601) 및 제 1 시간 정보(601)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610)의 패킷에 포함된 제 2 시간 정보(611)에 기초하여 제 1 채널 스트림(600)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610)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시간 정보(601, 611)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 DTS(Decoding Time Stamp) 및 PCR(Program Clock Referen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생부(530)는 제 2 채널 스트림(610)의 패킷에 포함된 제 2 시간 정보(611)를 탐색하고, 제 2 채널 스트림(610)로부터 탐색된 제 2 시간 정보(611)를 기준으로 이전 패킷(612)을 폐기할 수 있다.
재생부(530)는 제 1 채널 스트림(610)의 패킷으로부터 제 2 시간 정보(611)와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601)를 탐색하고, 제 1 채널 스트림(600)로부터 탐색된 제 1 시간 정보(601)를 기준으로 이후 패킷(602)을 폐기할 수 있다.
재생부(530)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수신된 제 1 채널 스트림(600)을 먼저 재생하고, 이후, 제 1 시간 정보(601)를 기준으로 이후 패킷(602)이 폐기된 제 1 채널 스트림(600)으로부터 제 2 시간 정보(611)를 기준으로 이전 패킷(612)이 폐기된 제 2 채널 스트림(610)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생부(530)는 제 1 채널 스트림(600) 및 제 2 채널 스트림(610) 각각을 송출한 각 먹스가 동일한지 여부와 관계 없이 제 1 채널 스트림(600)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610)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미디어 재생 장치(240)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전환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240)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 210)으로부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제공 서버(230)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먹스 시스템(210)으로부터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다중화 스위치(220)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채널 제공 서버(23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다중화 스위치(220)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단계 S76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재생 중인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전환 시스템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채널 전환 시스템(1)은 방송 서버(200), 먹스 시스템(210), 다중화 스위치(220), 채널 제공 서버(230) 및 미디어 재생 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서버(200)는 채널 스트림에 대해 실시간 인코딩을 수행하고(S801), 인코딩된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먹스 시스템(210)으로 전송할 수 있다(S802).
먹스 시스템(210)은 각 채널에 할당된 먹스에서 복수의 채널 스트림에 대해다중화 처리를 수행할 수있다(S803).
먹스 시스템(210)은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다중화 스위치(220)로 전송하고(S804),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채널 제공 서버(230)로 전송할 수 있다(S805).
미디어 재생 장치(240)에서 다중화 스위치(220)로 채널 스트림을 요청하면(S806), 다중화 스위치(220)는 요청받은 채널 스트림을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S807).
이후, 미디어 재생 장치(240)에서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을 입력받으면(S808),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다중화 스위치(220)로 전송하고(S809), 동시에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채널 제공 서버(230)로 전송할 수 있다(S810).
채널 제공 서버(230)에서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하면(S811),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S812).
다중화 스위치(220)에서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미디어 재생 장치(240)로 전송하면(S813), 미디어 재생 장치(240)는 재생 중인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S814).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1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채널 제공 서버 및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채널 제공 서버 및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방송 서버
210: 먹스 시스템
220: 다중화 스위치
230: 채널 제공 서버
240: 미디어 재생 장치
310: 채널 스트림 수신부
320: 채널 전환 요청부
330: 전송부
510: 요청부
520: 채널 스트림 수신부
530: 재생부

Claims (20)

  1.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스트림 수신부;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채널 전환 요청부; 및
    상기 복수의 채널 스트림 중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 1 채널 스트림을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채널 스트림은 상기 먹스 시스템으로부터 다중화 스위치로 전송되고,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은 상기 다중화 스위치로부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은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되어 재생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은 상기 다중화 스위치로부터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는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와 다르게 구성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은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제 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되어 재생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시간 정보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 DTS(Decoding Time Stamp) 및 PCR(Program Clock Refer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은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후 패킷이 폐기되고,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은 상기 제 2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전 패킷이 폐기됨으로써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되어 재생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트림 수신부는 상기 먹스 시스템으로부터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제공 서버는 상기 먹스 시스템 및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와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스위치와 동일 계위에 배치되는 것인, 채널 제공 서버.
  10. 채널을 전환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제공 서버 및 다중화 스위치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하는 요청부;
    상기 채널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다중화 스위치로부터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스트림 수신부; 및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 중인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트림 수신부는 상기 채널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고, 상기 다중화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는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을 구성하는 오디오 패킷 및 비디오 패킷의 배치와 다르게 구성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 및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 각각을 송출한 각 먹스가 동일한지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제 1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시간 정보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 DTS(Decoding Time Stamp) 및 PCR(Program Clock Refer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의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 2 시간 정보를 탐색하고,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로부터 상기 탐색된 제 2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전 패킷을 폐기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의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 2 시간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탐색하고,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로부터 상기 탐색된 제 1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후 패킷을 폐기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후 패킷이 폐기된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 2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이전 패킷이 폐기된 상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트림 수신부는 상기 먹스 시스템 및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와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스위치와 동일 계위에 배치되는 상기 채널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20.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먹스(Mux)를 포함하는 먹스 시스템(Mux System)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먹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 제공 서버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먹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다중화 스위치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채널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중화 스위치로부터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채널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채널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중인 제 1 채널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채널 스트림으로 전환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채널 전환 방법.
KR1020180144915A 2018-11-21 2018-11-21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18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15A KR102184629B1 (ko) 2018-11-21 2018-11-21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15A KR102184629B1 (ko) 2018-11-21 2018-11-21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781A true KR20200059781A (ko) 2020-05-29
KR102184629B1 KR102184629B1 (ko) 2020-11-30

Family

ID=7091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915A KR102184629B1 (ko) 2018-11-21 2018-11-21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6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792A (ko) * 2006-07-28 2009-05-11 톰슨 리서치 펀딩 코포레이션 디지털 비디오에 관한 빠른 채널 변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49164A (ko) * 2008-11-03 2010-05-12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Iptv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iptv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채널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792A (ko) * 2006-07-28 2009-05-11 톰슨 리서치 펀딩 코포레이션 디지털 비디오에 관한 빠른 채널 변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49164A (ko) * 2008-11-03 2010-05-12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Iptv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iptv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채널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629B1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0408B2 (ja) 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US10263875B2 (en) Real-time processing capability based quality adaptation
CN101854533B (zh) 频道切换方法、装置及系统
US20090293093A1 (en) Content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etwork device, content distribu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20050183120A1 (en) Multi-user personalized digital multimedia distribution methods and systems
CN106507186B (zh) 一种媒体信息的切换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JP2009527148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通じて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与え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202712B2 (ja) 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752115A (zh) 直播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ES2529381A2 (es) Aparato de recepción de contenidos de vídeo y procedimiento de procesamiento correspondiente
US20110088069A1 (en) Network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ream switch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WO2009026799A1 (fr) Procédé de décalage de temps de télévision numérique, système et décodeur
KR100906981B1 (ko) 버퍼링 서버를 통한 iptv 채널 변경 속도 개선 방법
CA2638275A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KR100948686B1 (ko) 채널 전환시 지연을 줄이기 위한 iptv 방송 시스템,가속 채널 스트림의 생성 및 재생방법
JP5535267B2 (ja) サーバ、クライアント装置、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KR102184629B1 (ko) 채널 스트림을 제공하는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60120605A (ko) 하이브리드망에서의 미디어 서비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812256B1 (ko) 디지털 방송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31337B1 (ko) 방송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 서버 및 방법
KR102271686B1 (ko) 이종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미디어 자원 동기화 푸시 방법
JP2020088824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JP2013223090A (ja) サーバ、クライアント装置、送信方法、番組再生方法、および配信システム
CN102932689A (zh) 基于局域网转发数字电视信号的方法及数字电视接收终端
JP7462199B1 (ja) 番組受信表示装置及び番組受信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