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008A -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008A
KR20200059008A KR1020180143800A KR20180143800A KR20200059008A KR 20200059008 A KR20200059008 A KR 20200059008A KR 1020180143800 A KR1020180143800 A KR 1020180143800A KR 20180143800 A KR20180143800 A KR 20180143800A KR 20200059008 A KR20200059008 A KR 20200059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absorbed dose
measuring
impedance
referenc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729B1 (ko
Inventor
김현빈
윤진문
오승환
권희정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7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1Applications i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e.g. in vivo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03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by transmission
    • G01N2223/04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by transmission and measuring absorp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방사선 피조사체와 동일한 거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참조용 액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및 이로부터 환산인자를 이용하여서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선원 유닛; 상기 방사선 선원 유닛으로부터 방사선 피조사체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참조용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유닛; 상기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임피던스로부터 환산인자를 이용하여서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하는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Method for Measuring Absorbed Dose of Irradiated Object and Device for Measuring Absorbed Dose of Irradiated Object}
본 발명은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방사선 산업에서 방사선이 조사된 피조사체가 흡수하는 선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의 산업적 이용이 증가함과 동시에, 인체의 종양 등과 같이 외과적 수술이 어려운 질병에 대해 방사선을 통한 치료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방사선 자체는 일정 수준 이상 도달하면 인체에 해가 되기 때문에, 환자의 환부 치료에 필요한 선량만 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 인체가 방사선에 지나치게 피폭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방사선이 피폭되는 인체와 같은 피조사체에 전달되는 방사선 선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조사체가 흡수하는 방사선 흡수선량의 평가는 피조사체 근처에 알라닌(Alanine)과 같은 특수한 소재를 위치시켜 방사선 조사 후에 알라닌의 저항 또는 UV 스펙트럼 분석, 전자스핀공명(ESR) 등을 이용하여 피조사체에 대한 방사선 흡수선량을 평가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알라닌 등과 같은 고가의 소모성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는 두께가 얇은 시편에 대하여는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만, 시편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방사선의 조사 방향에 대한 투과 깊이에 따라 흡수선량이 변화하게 되며, 일정 깊이 이상에서는 에너지가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특성을 분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액체 시편(그 중에서도 물)은 방사선을 이용한 암 치료에 있어서 인체에 대한 영향 평가 모사와 같은 중요성을 갖는다. 또한 산업 및 과학기술에서 나노 소재의 합성에 방사선을 이용하는 기술은 이온의 환원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수화전자(hydrated electron)의 생성을 위하여 액체 시편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두꺼운 액체와 같은 시편은 방사선이 조사되어짐에 따라 방사선 선원과 가까운 쪽은 많은 반응이 일어나게 되지만, 방사선 선원과 반대의 위치에서는 반응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액체의 특성상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반응이 많이 발생한 지점과 그렇지 못한 지점의 농도는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선원과 액체 시편의 기하학적인 문제에 따라 실제적인 흡수선량은 큰 오차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방사선을 물, 또는 그라파이트, 폴리스타일렌 등과 같은 소재의 시편에 조사하여 시편의 온도 변화에 의한 방사선 흡수선량 평가에 대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ASTM 51361). 이와 같은 방법은 방사선에 의한 시편의 고유의 열량 변화에 대한 것으로부터 흡수선량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방사선 조사 후 온도 변화에 의한 측정으로 방사선이 조사되는 시각과 측정이 진행되는 시각의 차이에 의하여 궁극적으로 방사선 흡수선량의 측정에 대한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시료의 시편이 두꺼운 경우에는 모든 부분의 온도 변화가 동일할 때까지, 즉 온도 평형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측정하는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물의 온도 변화 외에도, 방사선을 조사하는 물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양을 정량화함으로써 방사선에 의한 흡수선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물에 방사선을 조사하게 되면, 발생하는 가스(대부분 H2)의 양을 정량화하여서 얼마나 많은 화학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피조사체에 가해지는 흡수선량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발생하는 가스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스 분석을 위하여 고가의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장치를 구성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면서도, 경제적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사선 흡수선량의 측정 시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0-0048468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사선이 조사된 참조용 액체(시편)의 임피던스의 측정을 통해서, 시편의 온도 변화나 물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측정하여 방사선 흡수선량을 평가하는 방법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간편한 방법으로, 참조용 액체의 두께에 상관없이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피조사체에 흡수되는 방사선 흡수선량을 측정/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방사선 피조사체와 동일한 거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참조용 액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및 이로부터 환산인자를 이용하여서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사선 선원 유닛; 상기 방사선 선원 유닛으로부터 방사선 피조사체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참조용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유닛; 상기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임피던스로부터 환산인자를 이용하여서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하는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에 의하면, 물과 같은 참조용 액체에 방사선을 조사함에 따라 변화하는 임피던스와 흡수선량의 환산인자를 이용하여, 참조용 액체와 동일한 거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피조사체에 흡수되는 방사선 흡수선량을 매우 간편하고도 저렴한 비용만으로 높은 신뢰도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에 따라,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두께가 두꺼운 참조용 액체의 경우에도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흡수선량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방사선 흡수선량 측정에 사용되는 참조용 액체의 소모가 매우 적으면서도, 특히 참조용 액체가 증류수(또는 탈이온수)인 경우에는 그 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구입 및 교체가 매우 간단하여서,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측정에 이용된 물은 폐수처리가 용이한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측정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측정된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와 방사선 흡수선량과의 환산인자를 나타낸 도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은,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방사선 피조사체와 동일한 거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참조용 액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및 이로부터 환산인자를 이용하여서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산인자는, 사전에 상기 참조용 액체의 방사선 흡수선량과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와의 관계로부터 수립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참조용 액체의 방사선 흡수선량과 임피던스와의 관계로부터 환산인자를 계산하여 얻는다.
먼저, 상기 참조용 액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은 알라닌(alanine) 캡슐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알라닌 캡슐은 예를 들어 BRUKER 사에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참조용 액체와 알라닌을 배치하고, 참조용 액체와 알라닌에 방사선을 조사한다. 이어서, 방사선 조사 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알라닌의 저항 또는 UV 스펙트럼 분석, 전자스핀공명(ESR, Electron Spin Resonance) 등을 이용하여 알라닌이 흡수하는 방사선 흡수선량을 측정한다. 그 중에서도 전자스핀공명을 이용하는 경우에 알라닌의 짝짓지 않은 전자(또는 자유라디칼)의 스핀으로 인한 에너지 준위 차이, 즉 전자가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오는 광자를 흡수해서 전이될 때 발생하는 공명에너지를 측정하여서 알라닌이 흡수하는 방사선 흡수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알라닌이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흡수하는 흡수선량과 참조용 액체가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흡수하는 흡수선량이 그 재질, 특성 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다고 한다면, 알라닌의 흡수선량 값은 참조용 액체의 흡수선량의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으로서 대응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 값과 알라닌의 방사선 흡수선량 값을 기록한다.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는 LCR 미터, 임피던스 분석기(Impedance Analyzer) 및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는 0.1 Hz 내지 100 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4단자법으로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도 있으나, 간편하게 2단자법으로도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용 액체가 증류수(또는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경우에 방사선을 조사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H2O와 H2O2가 혼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Figure pat00001
이러한 혼합물들은 각 분자의 조성에 따라 비전도도가 변화하게 되어서, 참조용 액체(증류수 또는 탈이온수)가 흡수하는 방사선 흡수선량에 따라 변화하는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저항)를 측정할 수 있다. 방사선의 조사선량을 변화시키면서 알라닌의 방사선 흡수선량(참조용 액체의 흡수선량에 대응됨)이 다양하게 변화됨에 따라서,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는 20℃ 내지 5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온도별 검량곡선 차트를 작성할 수 있고, 얻어진 온도별 데이터/차트를 이용하여 검량곡선 데이터베이스로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다양한 온도에서의 검량곡선 차트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절한 환산인자를 도출/결정하여서, 이후에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 측정된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로부터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는 바람직하게는 상온(20℃ 내지 25℃)에서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용 액체의 방사선 흡수선량 및 임피던스로부터 얻어지는 23℃에서 산출한 환산인자를 얻기 위하여, Co-60 감마선 발생 장치로부터 약 42 cm 떨어진 곳에 배치된 증류수가 담긴 용기와 알라닌 캡슐(BRUKER 社)을 배치하고, 도 2와 같이 양 전극의 한 쪽은 리드선을 통해 LCR meter로 연결하고, 다른 한 쪽은 열전대가 전극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 Liquid Test Fixture 16452A(Agilent 社)를, 도 1과 같이 증류수에 잠기도록 설치하였다. 이어서, 상온(23℃)에서 증류수가 담긴 용기와 알라닌 캡슐에 방사선을 조사하면서 알라닌에 흡수되는 흡수선량이 0 kGy 내지 100 kGy가 되는 구간에서 증류수의 임피던스를 4단자법으로 1 MHz에서 LCR meter(E4980A, Agilent 社)로 측정한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이 때, 알라닌의 흡수선량은 ESR(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er (BRUKER 社)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참조용 액체(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의 임피던스와 방사선 흡수선량과의 상관관계는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0 kGy 내지 100 kGy 구간에서 상관관계를 가장 잘 보여주고, 특히 0 kGy 내지 50 kGy 구간에서는 정확한 흡수선량의 측정/평가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은 0 kGy 내지 50 kGy일 수 있다.
도 3의 추세선으로부터 증류수의 임피던스(R)는 방사선 흡수선량(A)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식 (1)을 유도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2
이로부터, 하기 식 (2)의 유도가 가능하다.
식 (2)
Figure pat00003
이에 따라, 참조용 액체(물)의 임피던스(R)를 측정함으로서 흡수선량(A)에 대한 환산인자를 도출해 낼 수 있다. 본 수식에서 임피던스(저항)는 전극의 크기 및 간격에 따른 비저항으로 환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에 따른 방사선 흡수선량의 상관관계(환산인자)를 얻은 후에는, 이를 이용하여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있는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의 측정만으로도, 임의의 방사선 피조사체가 흡수하는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o-60 감마선 선원로부터 증류수가 담긴 용기와 동일한 거리에 임의의 방사선 피조사체를 배치하고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이 때 주변 온도는 상온(23℃)으로 설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증류수가 담긴 용기 내의 증류수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앞서 구한 도 3의 환산인자를 통해 구해진 상기 식 (2)에 대입하여서, 증류수가 흡수한 흡수선량을 통해, 방사선 피조사체에 조사된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가 흡수하는 방사선 흡수선량은, 일반적인 경우 상기 참조용 액체가 흡수하는 방사선 흡수선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피조사체의 밀도에 따라 흡수선량의 보정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는, 방사선 선원 유닛; 상기 방사선 선원 유닛으로부터 방사선 피조사체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참조용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유닛; 상기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임피던스로부터 환산인자를 이용하여서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하는 산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산인자는, 사전에 상기 참조용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유닛에 수용된 참조용 액체에 조사된 방사선 흡수선량에 따른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이들의 관계로부터 수립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에서 설명한 내용이 원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참조용 액체가 방사선을 흡수하는 경우에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흡수하는 양에 따라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방사선 흡수선량과 임피던스와의 상관관계(환산인자)를 이용하여, 임의의 방사선이 조사되는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을 측정/평가하는 장치이다.
상기 참조용 액체의 수용 유닛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의 참조용 액체를 수용하는 것이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유닛의 재질은 임의의 방사선에 의하여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와 반응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선원 유닛은 감마선, 전자선, 알파입자, 중성자, X-ra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선원을 발생하는 장치이면 이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은 LCR 미터, 임피던스 분석기(Impedance Analyzer) 및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 유닛의 주파수는 0.1 Hz 내지 100 GHz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유닛의 온도는 20℃ 내지 5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온(20℃ 내지 25℃)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선(lead line), 임피던스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유닛은 방사선으로부터 방사선 차폐재를 이용하여 보호 받아야 하며, 측정 유닛과 수용 유닛 사이의 리드선에 의한 저항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4단자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 유닛의 전극 재질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며, 물, 또는 기타 용매에 의한 부식에 강하고 내방사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에서 절연이 필요한 부분은 세라믹 계열, 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과 리드선의 연결부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금-구리 또는 은-구리 합금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측정 유닛은 임피던스 측정 시 온도를 기록하기 위하여 열전대(thermocouple)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극과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참조용 액체로부터 환산인자가 얻어진 후에는, 방사선 흡수선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방사선 피조사체에 인접하도록 참조용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유닛을 배치한다. 이 경우,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와 상기 수용 유닛은 방사선 선원 유닛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방사선 선원 유닛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함으로써, 거리에 따라 방사선 조사선량 및 흡수선량이 달라지는 문제를 처음부터 배제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와 동일한 거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용 유닛의 참조용 액체가 임의의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흡수한 방사선 흡수선량에 따른 임피던스 값을 측정함으로써, 사전에 얻어진 하기 도 3과 같은 환산인자를 통해서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을 산출하여 평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는, 방사선에 피폭될 수 있는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을 산출해내기 위하여, 보다 저렴하면서 쉽게 교체가 가능한 참조용 액체를 이용함에 따라, 간편한 방법으로 신뢰성이 높은 방사선 흡수선량의 평가가 가능하다.

Claims (15)

  1.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방사선 피조사체와 동일한 거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참조용 액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및
    이로부터 환산인자를 이용하여서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산인자는, 사전에 상기 참조용 액체의 방사선 흡수선량과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와의 관계로부터 수립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선원은 감마선, 전자선, 알파입자, 중성자, X-ra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참조용 액체는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산인자는 20℃ 내지 50℃에서 측정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는 LCR 미터, 임피던스 분석기(Impedance Analyzer) 및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는 0.1 Hz 내지 100 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측정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은 0 kGy 내지 50 kGy인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9. 방사선 선원 유닛;
    상기 방사선 선원 유닛으로부터 방사선 피조사체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참조용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유닛;
    상기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임피던스로부터 환산인자를 이용하여서 상기 방사선 피조사체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산출하는 산출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환산인자는, 사전에 상기 참조용 액체의 방사선 흡수선량과 상기 참조용 액체의 임피던스와의 관계로부터 수립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선원 유닛은 감마선, 전자선, 알파입자, 중성자, X-ra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선원을 발생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참조용 액체는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LCR 미터, 임피던스 분석기(Impedance Analyzer) 및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0.1 Hz 내지 100 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은 0 kGy 내지 50 kGy인 것인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KR1020180143800A 2018-11-20 2018-11-20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KR102172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800A KR102172729B1 (ko) 2018-11-20 2018-11-20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800A KR102172729B1 (ko) 2018-11-20 2018-11-20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08A true KR20200059008A (ko) 2020-05-28
KR102172729B1 KR102172729B1 (ko) 2020-11-02

Family

ID=7092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800A KR102172729B1 (ko) 2018-11-20 2018-11-20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7251A (zh) * 2023-05-10 2023-06-06 四川晟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核退役仿真模拟的辐射环境编辑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022A (ja) * 1994-12-05 1996-08-20 Hitachi Ltd 材料検査装置
KR19990064186A (ko) * 1995-10-12 1999-07-26 피터 이. 외팅거 방사선량 분포의 측정방법과 장치
WO2006104046A1 (ja) * 2005-03-25 2006-10-05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電気絶縁性高分子材料を使った放射線の線量測定素子および放射線の線量測定装置
KR20100048468A (ko) 2008-10-31 2010-05-11 (주)쎄트렉아이 다수의 드레인 전류 변화 값을 측정하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방사선량 측정을 위한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3506126A (ja) * 2009-09-29 2013-02-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流体ストリームのuv線量のセンシン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022A (ja) * 1994-12-05 1996-08-20 Hitachi Ltd 材料検査装置
KR19990064186A (ko) * 1995-10-12 1999-07-26 피터 이. 외팅거 방사선량 분포의 측정방법과 장치
WO2006104046A1 (ja) * 2005-03-25 2006-10-05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電気絶縁性高分子材料を使った放射線の線量測定素子および放射線の線量測定装置
KR20100048468A (ko) 2008-10-31 2010-05-11 (주)쎄트렉아이 다수의 드레인 전류 변화 값을 측정하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방사선량 측정을 위한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3506126A (ja) * 2009-09-29 2013-02-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流体ストリームのuv線量のセンシ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7251A (zh) * 2023-05-10 2023-06-06 四川晟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核退役仿真模拟的辐射环境编辑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729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raki et al. X-ray fluorescence and energy dispersive x-ray diffraction for the quantification of elemental concentrations in breast tissue
JP6786401B2 (ja) 透過スペクトル次いで散乱スペクトルを使用して2つのステージで物体を解析する方法
WO2016082294A1 (zh) 空气比释动能约定真值测定方法
JPH02228515A (ja) コーティング厚さ測定方法
JP2017142232A (ja) X線回折により物体を分析する方法
Boivin et al. Reference dosimetry during diagnostic CT examination using XR‐QA radiochromic film model
Coote et al. A rapid method of obsidian characterisation by inelastic scattering of protons
KR102172729B1 (ko)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방법 및 방사선 피조사체의 흡수선량의 측정 장치
Larsson et al. Transmission ionization chambers for measurements of air collision kerma integrated over beam area. Factors limiting the accuracy of calibration
Andersson et al. On the property of measurements with the PTW microLion chamber in continuous beams
BR112020025909A2 (pt) Sistema e método de medição de umidade
JPH0228819B2 (ja) Metsukiekibunsekisochi
Mierzwinska et al. Alanine/EPR dosimetry as a potential tool for quality assurance in proton beam radiotherapy
Räisänen A rapid method for carbon and oxygen determination with external beam proton induced gamma-ray emission analysis
JPWO2018062308A1 (ja) X線ct装置、電子密度及び実効原子番号の測定方法、ct検査方法、検査方法
RU2573667C1 (ru) Поточный анализатор серы
Potiens et al. Non-invasive transfer system to calibrate kVp meters
Cincu A practical method for accurate measurement of radionuclide activities in environmental samples
EP3035082A1 (en) Method for measuring x-ray energy of an accelerator in an inspection system
CN113050151B (zh) 一种识别放射性核素的方法以及测量系统
Büermanna Non-Invasive X-ray Multimeters used in Diagnostic Radiology
Freund Novel Ta2O5 Thin-Film Radiation Sensors for Applications in Diagnostic Imaging and Radiotherapy
Tarim et al. The energy spectrum of 662 keV photons in a water equivalent phantom
World Health Organization Calibration of dosimeters used in radiotherapy. A manual
Tromans et al. A scatter model for use in measuring volumetric mammographic breast den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