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963A - 부위별 체중 값을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부위별 체중 값을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963A
KR20200058963A KR1020180143713A KR20180143713A KR20200058963A KR 20200058963 A KR20200058963 A KR 20200058963A KR 1020180143713 A KR1020180143713 A KR 1020180143713A KR 20180143713 A KR20180143713 A KR 20180143713A KR 20200058963 A KR20200058963 A KR 20200058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ell
cell unit
pressure
weight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모
안중근
백주현
박철우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8963A/ko
Publication of KR2020005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3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pressure control, e.g. with 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트롤러(300)에 입력되는 모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에어셀 어셈블리(100)를 각각 제어하는 에어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이컴(400)이 기입력된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을 부위별로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체중 추정 값의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들을 기설정된 압력까지 배기하는 단계; 및 연산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또는 밸브(v1, v2, v3)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위별 체중 값을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air cell assembly considering body weight}
본 발명은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어셀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부위별 체중 값을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압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트리스로 쿠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라텍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그리고 에어셀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등이 개시되어 있다.
에어셀을 포함하는 매트리스의 경우, 매트리스에 포함되는 에어셀에 구비된 공기 주입구에 공기를 충진시켜 일정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쿠션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셀을 포함하는 매트리스는 에어셀에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게 공기를 충진시킴으로써 에어셀의 압력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고, 공기의 누출에 의해 쿠션감이 저하되어도 사용자가 간단히 공기를 충진함으로써 원래의 쿠션감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에어셀을 포함하는 매트리스를 찾는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에어셀을 포함하는 매트리스가 개발되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매트리스의 에어셀을 구분하여 에어셀 별로 압력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매트리스를 제공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체중 값을 이용해 에어셀 매트리스 모두를 일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상이한 사용자들의 체형을 고려할 순 없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109921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693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1998-01746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부위별 체중을 고려한 에어셀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트롤러(300)에 입력되는 모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에어셀 어셈블리(100)를 각각 제어하는 에어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체중 맞춤 모드, 체형 맞춤 모드, 및 자세 변형 감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체중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은, (a1)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에어셀 유닛에서 압력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a2) 상기 마이컴(400)이 기입력된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을 부위별로 추정하는 단계; (a3)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a2)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체중 추정 값의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 (a4)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들을 기설정된 압력까지 배기하는 단계; 및 (a5)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a3) 단계에서 연산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또는 밸브(v1, v2, v3)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형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a5) 단계 이후에, (b1) 상기 (a2)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이 상기 (a3) 단계에서 산출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과 각각 비교하여 부위별 체중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b1) 단계에서 산출된 부위별 체중에 따라 상기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차이만큼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재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및 밸브(v1, v2, v3)를 다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세 변형 감지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a5) 단계 이후에, (c1)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컨트롤러(300)에서 입력된 어느 하나의 에어셀 어셈블리의 압력을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는 단계; (c2)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에어셀 유닛에서 압력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c3) 상기 마이컴(400)이 기입력된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을 부위별로 추정하는 단계; (c4)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c3)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체중 추정 값의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 (c5)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들을 기설정된 압력까지 배기하는 단계; 및 (c6)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c4) 단계에서 연산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또는 밸브(v1, v2, v3)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5) 단계 이후에, (b1) 상기 (a2)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에 대한 체중이 상기 (a3) 단계에서 산출된 체중의 평균과 각각 비교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체형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b1) 단계에서 산출된 체형에 따라 기입력된 압력과 체형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재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및 밸브(v1, v2, v3)를 다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4) 단계의 기설정된 압력은 0.3psi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을 고려하여 에어셀 어셈블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추천된 에어셀 압력을 체형(부위별 체중)을 이용하여 보정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뒤척임 또는 움직임에 따라 에어셀 어셈블리의 가압부분이 달라져도 이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의 압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중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형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변형 감지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 의해 추정된 체중 값에 따른 에어셀 유닛별 조절 압력의 예시가 개시된 테이블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에어셀 어셈블리(100)는 매트리스에 내장되며,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좌우 한 쌍(100L, 100R)으로 매트리스에 내장될 수 있다.
에어셀 어셈블리(100)는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호 이격된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에어셀 유닛(110)은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고, 제2 에어셀 유닛(120)은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고, 제3 에어셀 유닛(130)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여, 각각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상이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은 하우징(111, 121, 131), 측방 보강리브(112, 122, 132) 및 상하방 보강리브(113, 123, 133)를 포함한다.
하우징(111, 121, 131)은 길이 방향과 너비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리브들의 결합에 의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11, 121, 131)에 의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측방으로의 변형이 방지된다.
측방 보강리브(112, 122, 132)는 하우징(111, 121, 131)의 내측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과 너비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리브들의 결합에 의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다.
측방 보강리브(112, 122, 132)에 의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측방으로의 변형이 방지된다.
즉,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11, 121, 131)과 그의 내측에 위치하는 측방 보강리브(112, 122, 132)가 소정의 틈을 갖는 이중의 액자구조로 형성되어, 에어셀의 측방으로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하방 보강리브(113, 123, 133)는 측방 보강리브(112, 122, 132)의 내측에 하나 이상이되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며,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어 너비 방향으로의 관통홀(113a, 123a, 133a)을 갖는다.
상하방 보강리브(113, 123, 133)에 의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상하방으로의 변형이 방지된다.
상하방 보강리브(113, 123, 133)의 너비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113a, 123a, 133a)로 에어셀 어셈블리(100)에 유입된 공기들이 연통되어, 사용자의 가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처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하방 보강리브(113, 123, 133)의 관통홀(113a, 123a, 133a)이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에어셀에 형성되는 공기 주입구 및 배출구의 방향과 상응하게 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보강 리브에 의해 생길 수 있는 공기 저항력은 최소화된다(에어셀의 압력 조절 효과 증대).
일 실시예에서, 제1 에어셀 유닛(11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은 상하방 보강리브(113, 123, 133)를 각각 4개씩 포함하고, 제2 에어셀 유닛(120)은 상하방 보강리브(113, 123, 133)를 3개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의 하우징(111, 121, 131)의 상부는 연속된 상부원단(100T)에 의해 커버된다.
연속된 상부원단(100T)에 의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의 하우징(111, 121, 131)의 상부가 커버됨으로써, 유닛 간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게 된다.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의 하우징(111, 121, 131)의 하부는 분리 가능하며 상호 지퍼 체결됨으로써 연결되는 하부원단(100B)에 의해 커버된다.
바람직한 일 예에서,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의 높이는 80mm이며, 제1 에어셀 유닛(110)과 제3 에어셀 유닛(130)은 길이 방향으로 각 47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제어 방법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제어 방법은 컨트롤러(300)에 입력되는 모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에어셀 어셈블리(100)를 각각 제어하는 에어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컨트롤러(300)에 입력되는 모드는 체중 맞춤 모드, 체형 맞춤 모드, 및 자세 변형 감지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300)에 의해 모드가 입력되기 전,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좌우 한 쌍(100L, 100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에어셀 어셈블리(100L, 100R)를 컨트롤러(300)에 입력된 모드에 이하의 제어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0) 부팅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
부팅 모드는 컨트롤러(300)에 지정된 모드가 입력되기 전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100)를 일괄 제어하여 입력된 모드로의 제어를 용이하게 돕는 모드이다.
부팅 모드에 따른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도 2 및 도 3 참조).
먼저, 에어셀 어셈블리(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컴(400)이 부팅 화면을 컨트롤러(300)에 표시하거나, 기설정된 알림 음성을 재생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배기밸브(tv1, tv2)를 제외한 모든 밸브(v1, v2, v3)를 오픈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압력센서를 통해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압력을 일괄 센싱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s30 단계에서 센싱된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범위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s40 단계에서 센싱된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배기 밸브(tv1, tv2), 모든 밸브(v1, v2, v3) 및 에어 펌프를 제어하여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압력을 기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조절하는 단계(s5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센싱된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할 경우, 배기 밸브(tv1, tv2), 모든 밸브(v1, v2, v3) 및 에어 펌프의 제어를 종료하고, 부팅 화면 및 알림음 재생을 정지하는 단계(s60)가 수행된다.
1) 체중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
도 4를 참조하여 체형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마이컴(400)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에어셀 유닛에서 압력 변화를 감지하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마이컴(400)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에어셀 어셈블리(100)를 가압하는지를 감지하여 각각의 에어셀 유닛의 압력을 센싱하여 사용자의 부위별 체중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기입력된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을 부위별로 추정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러(300)에 직접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제3 에어셀 유닛(130)에 제대로 상응하게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에어셀 유닛(110)에 사용자의 몸통과 허리가 위치하는지, 제2 에어셀 유닛(120)에 사용자의 엉덩이(둔부)가 위치하는지, 제3 에어셀 유닛(130)에 허벅지를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지를 체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s120 단계에서 추정된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체중 추정 값의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예를 들면, 상관관계 테이블에 의해 제1 에어셀 유닛(110)에서 추정된 체중 값이 60kg이고, 제2 에어셀 유닛(120)에서 추정된 체중 값이 70kg이고, 제3 에어셀 유닛(130)에서 추정된 체중 값이 80kg일 경우, 연산된 체중의 평균은 70kg일 것이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들을 기설정된 압력까지 배기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이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사용자의 체압에 따라 에어셀 어셈블리(100)를 제어하기 전, 갑작스러운 압력 변화에 의해 매트리스의 사용자가 놀랄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가 체압에 따라 에어셀 어셈블리(100)가 제어될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s130 단계에서 연산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또는 밸브(v1, v2, v3)를 제어하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개시된 테이블과 같이 평균 체중에 따른 압력 제어 값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체형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
도 5를 참조하여 체형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체형(부위별)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은 체중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이 수행된 이후에 다음과 같은 제어 방법이 수행된다. 체중 맞춤 모드와 중복되는 체형 맞춤 모드의 제어 방법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150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s120 단계에서 추정된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이 s130 단계에서 산출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과 각각 비교하여 부위별 체중을 산출하는 단계(s210)가 수행된다.
이 단계로 인해, 제1 에어셀 유닛(110)에 사용자의 몸통과 허리가 위치하는지, 제2 에어셀 유닛(120)에 사용자의 엉덩이(둔부)가 위치하는지, 제3 에어셀 유닛(130)에 허벅지를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지를 체크한 후 각 부위별 체중을 산출하고 s130 단계에서 산출된 평균 값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달 부위를 확인하고, 발달 부위를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s210 단계에서 산출된 부위별 체중에 따라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차이만큼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재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및 밸브(v1, v2, v3)를 다시 제어하는 단계(s220)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기존 s150단계에서 제어된 에어 어셈블리(100) 중 사용자의 발달 부위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기설정된 방법을 이용해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3) 자세 변형 감지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
도 6을 참조하여 자세 변형 감지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자세 변형 감지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은 체중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이 수행된 이후에 다음과 같은 제어 방법이 수행된다. 체중 맞춤 모드와 중복되는 자세 변형 감지 모드의 제어 방법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150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마이컴(400)이 컨트롤러(300)에서 입력된 어느 하나의 에어셀 어셈블리의 압력을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는 단계(s310)가 수행된다.
이 단계의 어느 하나의 에어셀 어셈블리는, 컨트롤러(300)에 의해 모드가 입력되기 전,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좌우 한 쌍(100L, 100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것이다.
S310 단계의 기설정된 시간 간격은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시간, 예를 들면 5분, 10분, 1시간, 3시간 등과 같은 단위시간에 의한 것이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에어셀 유닛에서 압력 변화를 감지하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s32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기입력된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을 부위별로 추정하는 단계(s33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c3) 단계에서 추정된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체중 추정 값의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s34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들을 기설정된 압력까지 배기하는 단계(s350)가 수행된다. 자세 변형 감지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에선 마이컴(400)이 컨트롤러(300)의 추가 정보를 인가 받아 정보에 따라 s350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면상태인 경우, s350 단계로 인해 수면상태가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s340 단계에서 연산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또는 밸브(v1, v2, v3)를 제어하는 단계(s360)가 수행된다.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제어 가능한, 자세 변형 감지 모드에 의해 사용자의 뒤척임 또는 본 발명에 에어셀 매트리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증원 등의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여도, 그에 알맞은 에어셀 어셈블리(100)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s360 단계 이후에, s120 단계에서 추정된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에 대한 체중이 s130 단계에서 산출된 체중의 평균과 각각 비교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체형을 산출하는 단계(s37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이컴(400)이 s210 단계에서 산출된 체형에 따라 기입력된 압력과 체형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제1 에어셀 유닛(110),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재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및 밸브(v1, v2, v3)를 다시 제어하는 단계(s380)가 수행된다.
s140단계와 s350 단계에서의 기설정된 압력은 0.3psi일 수 있으나, 이는 실험에 의해 정해진 값이어서, 사용자의 설계 변경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R, 100L: 에어셀 매트리스
100T: 상부원단
100B: 하부원단
110: 제1 에어셀 유닛
120: 제2 에어셀 유닛
130: 제3 에어셀 유닛
tv1, tv2: 배기밸브
v1, v2, v3: 압력 조절 밸브
300: 컨트롤러
400: 마이컴

Claims (5)

  1. 컨트롤러(300)에 입력되는 모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에어셀 어셈블리(100)를 각각 제어하는 에어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체중 맞춤 모드, 체형 맞춤 모드, 및 자세 변형 감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체중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은,
    (a1)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에어셀 유닛에서 압력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a2) 상기 마이컴(400)이 기입력된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을 부위별로 추정하는 단계;
    (a3)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a2)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체중 추정 값의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
    (a4)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들을 기설정된 압력까지 배기하는 단계; 및
    (a5)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a3) 단계에서 연산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또는 밸브(v1, v2, v3)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형 맞춤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a5) 단계 이후에,
    (b1) 상기 (a2)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이 상기 (a3) 단계에서 산출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과 각각 비교하여 부위별 체중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b1) 단계에서 산출된 부위별 체중에 따라 상기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차이만큼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재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및 밸브(v1, v2, v3)를 다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형 감지 모드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a5) 단계 이후에,
    (c1)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컨트롤러(300)에서 입력된 어느 하나의 에어셀 어셈블리의 압력을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는 단계;
    (c2)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에어셀 유닛에서 압력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
    (c3) 상기 마이컴(400)이 기입력된 압력과 체중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압력에 대한 체중 추정 값을 부위별로 추정하는 단계;
    (c4)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c3)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의 체중 추정 값의 평균을 연산하는 단계;
    (c5)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들을 기설정된 압력까지 배기하는 단계; 및
    (c6)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c4) 단계에서 연산된 체중 추정 값의 평균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또는 밸브(v1, v2, v3)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 이후에,
    (b1) 상기 (a2)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에 대한 체중이 상기 (a3) 단계에서 산출된 체중의 평균과 각각 비교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체형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마이컴(400)이 상기 (b1) 단계에서 산출된 체형에 따라 기입력된 압력과 체형의 상관관계 테이블을 이용해 기설정된 압력 값으로 상기 제1 에어셀 유닛(110), 상기 제2 에어셀 유닛(120) 및 상기 제3 에어셀 유닛(130) 각각을 개별적으로 재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펌프(p1, p2, p3) 및 밸브(v1, v2, v3)를 다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의 기설정된 압력은 0.3psi인,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KR1020180143713A 2018-11-20 2018-11-20 부위별 체중 값을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KR20200058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13A KR20200058963A (ko) 2018-11-20 2018-11-20 부위별 체중 값을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13A KR20200058963A (ko) 2018-11-20 2018-11-20 부위별 체중 값을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963A true KR20200058963A (ko) 2020-05-28

Family

ID=7092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13A KR20200058963A (ko) 2018-11-20 2018-11-20 부위별 체중 값을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89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608A1 (ko) * 2020-12-28 2022-07-07 주식회사 인더텍 사용자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WO2022145609A1 (ko) * 2020-12-28 2022-07-07 주식회사 인더텍 사용자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636A (ja) 1996-12-18 1998-06-30 Aisin Seiki Co Ltd 空気循環式エアーマットレス
KR20170069312A (ko) 2015-12-10 2017-06-21 (주)엠아이티 공기압력 유지용 에어쿠션
KR20170109921A (ko) 2016-03-22 2017-10-10 김진규 면상 발열체와 압력 및 온도 제어시스템을 구비한 침대용 에어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636A (ja) 1996-12-18 1998-06-30 Aisin Seiki Co Ltd 空気循環式エアーマットレス
KR20170069312A (ko) 2015-12-10 2017-06-21 (주)엠아이티 공기압력 유지용 에어쿠션
KR20170109921A (ko) 2016-03-22 2017-10-10 김진규 면상 발열체와 압력 및 온도 제어시스템을 구비한 침대용 에어 매트리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608A1 (ko) * 2020-12-28 2022-07-07 주식회사 인더텍 사용자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WO2022145609A1 (ko) * 2020-12-28 2022-07-07 주식회사 인더텍 사용자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369B1 (ko) 에어 매트리스 시스템 및 에어 매트리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
AU2012349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a mattress
KR102650512B1 (ko) 수면케어 매트리스
KR20200058963A (ko) 부위별 체중 값을 고려한 에어셀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CA3034287C (en) Inflatable cellular cushioning device for body support
KR102096599B1 (ko)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
CN109124160B (zh) 软硬度可调的音乐按摩床垫
JP6557107B2 (ja) エアマット装置及びエアセルの内圧制御方法
KR101959031B1 (ko)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
KR102537565B1 (ko) 목 또는 어깨 위치에 따른 안마의자 초기위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안마의자
CN112586931B (zh) 一种功能联动的智能床垫及控制方法
KR20210059848A (ko) 압력 분할 조절형 매트리스
JP663689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及び車両シートの空気圧制御方法
CA3137052A1 (en) Body-positioning apparatus
JP7174129B2 (ja) エアマットレス
KR20160002484A (ko) 경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JP2009183490A (ja) マット装置
US20210227991A1 (en) Controllable beds
JP2022022403A (ja) エアマット装置及びエアセルの内圧制御方法
KR101423423B1 (ko) 파워 시트
CN112205794A (zh) 防久坐装置及办公椅
KR20200055515A (ko) 에어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이의 제조 및 제어 방법
KR20160097004A (ko)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CN205682855U (zh) 一种基于物联网调控技术的可调式沙发椅
KR102273575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