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636A -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636A
KR20200058636A KR1020180142442A KR20180142442A KR20200058636A KR 20200058636 A KR20200058636 A KR 20200058636A KR 1020180142442 A KR1020180142442 A KR 1020180142442A KR 20180142442 A KR20180142442 A KR 20180142442A KR 20200058636 A KR20200058636 A KR 20200058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sunscreen
compound
formula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규
오희묵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8636A/ko
Publication of KR2020005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8

[화학식 2]
Figure pat00019

Description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UV PROTECTING SUNSCREEN COMPRISING COLESTERIC LIQUID CRYST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UV PROTECTING SUNSCREEN}
본 발명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차단제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물리적 차단제와 화학적 차단제로 분류되는데, 물리적 차단제는 자외선을 산란시켜 피부에 자외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으로는 징크옥사이드와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있다.
한편, 화학적 차단제로는 자외선을 흡수시켜 피부로의 자외선 침투를 억제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고, 화학적 차단 물질로는 아보벤존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등과 같은 화합물질이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자외선을 차단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화학적 차단제는 사용감이 좋고 백탁 현상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 특성상 자외선의 에너지를 흡수할 때 분자 구조가 파괴될 수 있고 파괴 후 생성물이 알레르기 반응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등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자외선 산란제로서는 산화티타늄과 산화아연 같은 광물에서 얻어지는 성분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에 흡수되는 자외선흡수제와 달리, 자외선을 산란 반사시켜 피부 밖으로 튕겨 냄으로써, 자외선 A, B의 모든 영역을 다 차단하는 장점이 있고 피부에 바르자 마자 바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피부 흡수 없이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피부 자극이 거의 없으며, 자외선 조사 시 변성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차단 효과에 대한 지속시간이 길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빛의 산란에 기인한 백탁 현상으로 인해 사용감이 무겁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자외선흡수제에 비하여 약하다는 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산화티타늄이나, 산화아연을 나노화하여 고분자로 표면코팅을 해주어 사용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노 산화티타늄의 나노입자의 경우 표면이 충분히 고분자로 코팅되지 않으면, 산화티타늄이 가지는 광촉매의 특성으로 인해 피부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360 nm ~ 380 nm 파장영역의 장파장 자외선 차단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063463
본 발명은 자외선을 선택 반사시킴으로 인해 화합물이 자외선에 의해서 분해되거나 반응하지 않으며, 혼합물의 조성에 따라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를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여 광범위한 파장의 자외선 차단이 가능하며,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지는 콜레스테릭 액정화합물을 캡슐화 하여 넓은 범위의 자외선을 안정적으로 차단하며, 제형화를 위해서 수반되는 다른 성분 들과의 혼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제1 화합물은 cholesteryl nonanoate(CN)일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은 cholesteryl oleyl carbonate(COC)일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과 상기 제2 화합물의 혼합비는 10wt%:90wt% 내지 50wt%:50wt%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340nm 내지 380nm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은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및 수용성 고분자 및 지용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한천(Agar), 콜라겐 펩타이드, 히알루론산, 전분(Starch), 가수분해전분(Hydrolyzed starch), 가교전분(Cross-linked starch)과 같은 변성전분(Modified Starches), 덱스트린, 감마PGA, 카라기난, 아라비아검, 산탄검과 같은 검류(Gums), 카르복실메틸셀롤로오스, 젤라틴, 펙틴, 알긴산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상기 지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젖산(Polylactic acid)으로 이루어진 바이오폴리에스터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의 콜레스테릭 액정은 1um ~ 50u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제조 방법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제1 고분자 수용액 및 제2 고분자 수용액을 각각 생성한 후, 상기 제1 고분자 수용액과 상기 제2 고분자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혼합물에 가수하는 제5 단계; 가수된 상기 제3 혼합물에 산성 용액을 첨가하는 제6 단계; 가수된 상기 제3 혼합물을 냉각하는 제7 단계; 냉각된 상기 제3 혼합물에 가교제 용액을 첨가하는 제8 단계; 냉각된 상기 제3 혼합물에 염기성 용액을 첨가하는 제9 단계; 및 상기 제3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10 단계; 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화합물은 cholesteryl nonanoate일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은 cholesteryl oleyl carbonate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화합물과 상기 제2 화합물의 혼합비는 10wt%:90wt% 내지 50wt%:50wt%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고분자 및 상기 제2 고분자 각각은 한천(Agar), 콜라겐 펩타이드, 히알루론산, 전분(Starch), 가수분해전분(Hydrolyzed starch), 가교전분(Cross-linked starch)과 같은 변성전분(Modified Starches), 덱스트린, 감마PGA, 카라기난, 아라비아검, 산탄검과 같은 검류(Gums), 카르복실메틸셀롤로오스, 젤라틴, 펙틴, 알긴산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제조 방법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 및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과 안정제(PVA)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지용성 고분자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혼합물을 안정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유화시켜 제4혼합물을 생성하는 제5 단계; 안정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을 제4 혼합물에 추가하여 유화된 제3 혼합물의 농도를 낮추는 제6 단계; 농도가 낮아진 상기 제4 혼합물을 가열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제7 단계; 유기용매가 모두 증발된 제4 혼합물을 메쉬로 여과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8 단계; 부유물이 여과된 제 4혼합물을 침전시키는 제9 단계; 침전된 제 4 혼합물의 상층액을 걷어내고 증류수로 침전된 마이크로캡슐을 세척하는 제10 단계; 세척된 마이크로 캡슐을 다시 침전시키는 제11 단계; 침전된 마이크로캡슐을 증류수로부터 분리 한 후 건조시키는 제12 단계; 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 화합물은 cholesteryl nonanoate일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은 cholesteryl oleyl carbonate일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 화합물과 상기 제2 화합물의 혼합비는 10 wt%:90 wt% 내지 50 wt%:50 wt%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지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젖산(Polylactic acid)으로 이루어진 바이오폴리에스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을 선택 반사시킴으로 인해 화합물이 자외선에 의해서 분해되거나 반응하지 않으며, 혼합물의 조성에 따라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를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여 광범위한 파장의 자외선 차단이 가능하며,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지는 콜레스테릭 액정화합물을 캡슐화 하여 넓은 범위의 자외선을 안정적으로 차단하며, 제형화를 위해서 수반되는 다른 성분 들과의 혼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콜레스테릭 액정 피치에 따른 반사 파장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혼합 조성에 따른 온도 대비 반사 파장 변화 및 콜레스테릭 상이 사라지는 온도 임계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및 편광현미경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의 UV-Vis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콜레스테릭 액정 피치에 따른 반사 파장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혼합 조성에 따른 온도 대비 반사 파장 변화 및 콜레스테릭 상이 사라지는 온도 임계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도 1과 같이 분자들이 주기적으로 꼬여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액정의 피치를 조절함에 의해 다음과 같은
Figure pat00007
(반사파장) = n(액정 굴절률)ХP(액정pitch)에 근거하여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의 굴절률을 1.5로 가정하면, 액정 피치를 253 nm 이하로 감소시키면 입사광의 선택반사파장을 340nm ~ 380nm 범위의 자외선 영역으로 시프트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액정의 피치조절은 피치가 서로 다른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다음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2 화합물로 이루어진, 2종류의 콜레스테릭 액정, cholesteryl nonanoate(CN)와 cholesteryl oleyl carbonate(COC)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8
[화학식 2]
Figure pat00009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화합물(CN)과 제2 화합물(COC)을 다음의 [표 1]과 같이 질량 분율로 혼합된 7종류의 콜레스테릭 액정 혼합물을 준비하였고, 이에 따른 물성 차이를 실험하였다.
CN COC
실시예 1 0 100
실시예 2 10 90
실시예 3 20 80
실시예 4 30 70
실시예 5 38 62
실시예 6 42 58
실시예 7 44 56
실시예 8 46 54
실시예 9 48 5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화합물과 제2 화합물의 혼합비는 10wt%:90wt% 내지 50wt%:50wt%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화합물과 제2 화합물의 혼합비가 10wt%:90wt% 미만인 경우, 40℃ 미만의 온도에서 액정혼합물의 콜레스테릭 상이 사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택 반사로 인한 자외선 반사가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합물과 제2 화합물의 혼합비가 50wt%:50wt% 초과인 경우, 피부의 온도인 31℃ 내지 33℃ 범위 내에서 340nm ~ 380 nm영역의 자외선을 선택 반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A는 실시예 1의 액정혼합물의 콜레스테릭 상이 사라지는 온도 38℃이고, B는 실시예 2의 질량 분율로 섞인 액정혼합물의 콜레스테릭 상이 사라지는 온도 40℃이고, C는 실시예 3의 액정혼합물의 콜레스테릭 상이 사라지는 온도 45℃이고, D는 실시예 4의 액정혼합물의 콜레스테릭 상이 사라지는 온도 50℃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제1 화합물과 제2 화합물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최적의 자외선 차단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및 수용성 또는 지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은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의 기계적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콜레스테릭 액정이 유체로써 흘러내리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의 용이한 도포를 위하여 수용성 고분자로 캡슐을 형성하고, 이에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을 담지 시킴으로써 기계적 안정성, 바람직하게 도포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은 균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10% 이하의 CV값(변동계수, 표준편차에 평균값을 나눈 값), 더욱 바람직하게 5% 이하의 CV값을 갖는다.
이때, 캡슐의 CV값이 10%를 초과하는 경우, 서로 다른 캡슐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산란현상 때문에, 액정 고유한 선택반사특성이 저하되고, 불균일한 캡슐 적용 시, 사용간 적인 측면에서 롤링 효과로 인하여 피부에 도포 시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해 줄 수 없다. 이에 균일한 액정 캡슐을 형성하기 위하여 SPG(Shirasu Porous Glass) 막을 이용한 유화 장비를 구축하였다. SPG 막유화 장비는 미세한 기공을 가지는 막을 통해 유화를 시키기 때문에 보다 균일한 크기의 액적들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세기공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적의 크기 조절이 용이하다.
나아가, 캡슐의 3차원적 특성으로부터, 캡슐로 제조된 뒤에도 자외선 파장 영역의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은 상술한 바와 같이 340nm ~ 380nm의 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는 캡슐이 피부에 적용(문지르거나 누름) 시 사용된 전단력이 유지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일례로,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또는 이들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례로, 수용성 고분자는 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타입 B(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코-(메틸 메타크릴레이트)-코-(트리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체 캡슐 중량으로부터 수용성 고분자의 양(중량/중량)은 약 2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약 20 중량% 내지 약50 중량%,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바람직하게 약 20 중량% 또는 50 중량%에서 선택된 범위 내이며, 이들 간의 임의의 하위 범위 및 중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의 쉘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고,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도"는 광 투과율의 70% 이상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투명한 중합체는 빛의 70% 내지 100%를 통과시킬 것이고, 반투명은 빛의 50%까지 통과시킬 것이다.
하나의 예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캡슐 및 예를 들면 자외선 차단 제제 및 스킨 케어 제제와 같은 화장품 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국소 제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알려진 자외선 차단 제품과 관련된 화장품 결점 및 건강상 유해성을 피하고 심지어 제거하는 안전한 자외선 차단 제품을 위한 인식의 필요성의 관점에서, 그리고 증가된 광 보호지수(SPF)를 나타내는 자외선 차단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필요성의 관점에서, UV 필터링 능력의 이점, 제제 내 자외선 차단제의 낮은 농도, 장기간 보관하는 동안, 특히 피부에 적용 시 그리고 동시에, 자외선 차단제의 화학성 및 광 안정성, 및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위험과 해로운 영향을 가질 수 있는 자외선 차단 제제를 설계할 수 있다.
캡슐은 보통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차단제의 블렌드를 함유 또는 구성하는 캡슐화된(포획된) 물질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밀폐된 구조인 입자(e.g., 일반적으로 구형 입자)로 구성된다. 입자는 일반적으로 코어-쉘 구조적 특징을 가지며, 다시 말해 이는 중합성 쉘 및 쉘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거나 자외선 차단제로 구성될 수 있는 코어를 포함한다. 중합성 쉘은 종종 벽-형성 물질로 적용되며, 캡슐화된 물질용 막 역할을 한다. 캡슐은 피부에 문지르거나 누를 때 파열되지 않는다.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함유 캡슐의 쉘은 투명하다.
캡슐은 기타 용도 중, 국소, 예를 들면, 화장품, 화장약품 및 약제(예, 피부 과학) 적용을 위해 만든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와 같이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을 제조할 수 있고, 이로부터 효율적으로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을 나타낸 광학현미경 및 편광현미경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의 UV-Vis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의 제조 방법은 콜레스테릭 액정 준비 단계, 제1 혼합물을 생성 단계, 제2 혼합물을 생성 단계, 제3 혼합물을 생성 단계, 가수 단계, 산성 용액 첨가 단계, 냉각 단계, 가교제 용약 첨가 단계 및 염기성 용액 첨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준비 단계에서는 CN : COC = 34 : 66의 중량 분율로 혼합된 콜레스테릭 액정 혼합물을 준비한다.
제1 혼합물을 생성 단계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 준비 단계에서는 2.95g의 콜레스테릭 액정 혼합물과 0.05g의 계면활성제(Span80)를 100℃에서 혼합하여 3g의 혼합물을 만든다. 이때 온도는 50℃로 유지시킨다.
제2 혼합물을 생성 단계에서는 제1 고분자 수용액(1.5g의 아라비아검을 7.5ml의 증류수에 첨가)과 제2 고분자 수용액(1. 1.5g의 gelatin을 7.5ml의 증류수에 첨가)을 각각 생성한 후, 제1 고분자 수용액과 제2 고분자 수용액을 섞고 50℃에서 2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 고분자 또는 제2 고분자는 한천(Agar), 콜라겐 펩타이드, 히알루론산, 전분(Starch), 가수분해전분(Hydrolyzed starch), 가교전분(Cross-linked starch)과 같은 변성전분(Modified Starches), 덱스트린, 감마PGA, 카라기난, 아라비아검, 산탄검과 같은 검류(Gums), 카르복실메틸셀롤로오스, 젤라틴, 펙틴, 알긴산 및 키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분자 또는 제2 고분자는 수용성 고분자일 수 있으며, 수용성 고분자는, 캡슐의 외부 벽 또는 층 또는 쉘의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중합성 물질(예를 들어,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중합성 물질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피부에 적용되고, 제제의 다른 요소로부터 구분되고 분리되는 동안, 캡슐은 피부에 문지르고 누르는 것과 같은 전단력을 유지할 수 있고, 캡슐화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유지하기 위해 그대로 남겨 둔다. 분리, 건조, 체질 등에 의한 기술적 과정 동안에, 쉘의 파괴 및 내용물의 구현을 방지하기에 캡슐은 충분히 단단하다.
제3 혼합물을 생성 단계에서는 교반 되고 있는 제2 혼합물에 제1 혼합물을 천천히 넣어준다. 그 후 추가적으로 30분간 교반 한다.
가수 단계에서는 50℃의 증류수 15ml를 제3 혼합물에 넣는다.
산성 용액 첨가 단계에서는 10분 후에 10%(v/v) 아세트산 수용액을 가수된 제3 혼합물에 적당량 넣어 pH 4.4으로 만들어 수용성 고분자의 등전점 이하로 pH를 낮춘다.
콜라겐을 예로 들면 콜라겐은 수용액의 pH에 따라 띄는 전하가 바뀐다. 콜라겐의 아미노기(-NH2)가 등전점 이하의 pH(산성 조건)에서는 양전하를 띄며 등전점 이상의 pH(염기성 조건)에서는 음전하를 띈다.
이 때문에 항상 수용액상에서 음전하를 띄는 아라비아검이 수용액에 콜라겐과 함께 녹아 있다면, 특정 pH조건에서 서로 전기적 인력이 작용해 달라붙어 용매와의 상분리가 일어난다.
이현상을 complex coacervation이라고 한다.
냉각 단계에서는 그 후 50℃의 증류수를 15ml를 더 넣고, 용액을 10℃까지 냉각한다.
가교제 용약 첨가 단계에서는 25%농도의 글루타알데하이드 수용액 2ml를 용액에 넣어준다.
염기성 용액 첨가 단계에서는 5N농도의 NaOH 수용액을 적정량 넣어 용액을 pH8.0의 염기성으로 만든다.
특정 pH조건에서 서로 엉겨 붙어 오일상에 해당되는 액정 에멀젼 주위로 달라붙은 콜라겐과 아라비아 검은 전기적 인력으로만 캡슐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때문에 가교제를 사용해서 좀더 단단하게 마이크로 캡슐의 껍질부분을 개질해야 한다.
따라서 가교제를 (폼알데히드, 글루타알데히드 등)용액에 첨가한 후 염기성 물질을 사용해 용액의 pH를 높이고, 염기성 조건 하에서 가교제(폼알데히드, 글루타알데히드 등)는 아미노 그룹간의 가교결합을 만들어 내어 캡슐의 벽재물질간의 결합을 단단하게 만든다.
이후, 건조 단계에서는 30분 후 교반을 멈추고 침전과 증류수 세척을 반복한 후 만들어진 마이크로 캡슐을 건조하여,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을 제조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콜레스테릭 액정을 광학현미경 및 편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아래 도 5와 같이 1um ~ 50um의 직경을 가지는 콜레스테릭 액정캡슐이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캡슐의 크기가 1um 이하가 되면 콜레스테릭 액정의 광결정 구조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해, 자외선 영역에 대한 선택 반사 특성에 대한 효과가 감소하며, 50m 이상이 되면 캡슐이 터지기 쉬운 단점이 있고, 화장품 소재 적용 시 이물감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콜레스테릭 액정 캡슐을 UV-Vis spectrometer를 통해 반사 스펙트럼을 평가한 결과 도 6과 같이 340nm ~ 380nm의 자외선이 선택 반사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콜레스테릭 액정 캡슐이 340nm ~ 380nm의 자외선을 반사하는 자외선 차단제의 액티브 물질로 사용 가능함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 및 스킨케어 제제와 같은 화장품, 화장약품 또는 약학 제제, 또는 피부과학이나 다른 국소 약학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제제는 선택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첨가 활성제 및/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제는 화장품, 화장약품 또는 약제(예: 약물), 생리 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과 함께, 본원에 기술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제를 말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광노화 및 피부암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스킨 케어 제품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화장품 또는 화장약품 제제는 적용 영역 상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된다.
제제는 수성, 유성 또는 실리콘-기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술된 제형이 크림, 연고, 페이스트, 겔, 로션, 밀크, 오일, 현탁액, 용액, 에어로졸, 스프레이, 폼, 또는 무스의 형태이다.
연고는 전형적으로 바셀린 또는 바셀린 유도체에 기초한, 반고형 제제이다. 사용되는 특정한 연고 기제는 특정 제제로 선택된 활성제에 대한 최적의 전달을 위해 제공하고, 바람직하게 기타 원하는 특성(예를 들어, 연화) 또한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담체 또는 부형제와 마찬가지로, 연고 기제는 비활성, 안정성, 비자극성 및 비감작성이여야 한다.
연고 기제는 4 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유지성 기제; 유화성 기제; 유화 기제; 수성 기제. 유지성 연고 기제는 예를 들어 식물유, 동물로부터 얻은 지방 및 바셀린으로부터 얻은 반고형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흡수 연고 기제로 알려진 유화성 연고 기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 스테아린 설페이트, 무수 라놀린 및 친수성 바셀린을 포함하고 물은 거의 또는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유화 연고 기제는, 유중 수적형(W/O) 에멀젼 또는 수중유적형(O/W) 에멀젼이며, 예를 들면 세틸알코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라놀린 및 스테아르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수성 연고 기제는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제조된다.
로션은 마찰 없이 피부 표면에 적용할 수 있는 제제이다. 로션은 전형적으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함유 캡슐을 포함하는 고체 입자가 물 또는 알코올 베이스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액상 또는 반액상 제제이다. 로션은 더 유동적인 조성물을 적용하기 용이하므로 큰 바디 영역을 커버/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로션은 일반적으로 고체의 현탁액이며, 종종 수 중유적형 에멀젼 유상액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로션 내 불용성 물질이 미세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로션은 보통 메틸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피부와 접촉하는 활성제를 국한시키고 홀딩하기에 유용한 화합물뿐만 아니라 더 나은 분산을 위한 현탁제를 포함한다.
크림은 점성 액체 또는 수중유적형 또는 수중유적형의 반고형 에멀젼이다. 크림 기제는 일반적으로 수세성이고, 유상, 유화제 및 수상을 함유한다. 오일상은 또한 "내상"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바셀린 및/또는 세틸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과 같은 지방 알코올로 구성된다. 수상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유상을 부피 내 초과하고, 일반적으로 습윤제를 포함한다. 크림 제형 내의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다.
페이스트는 생물 활성제가 적합한 기제에 현탁되는 반고형 투약 형태이다. 기제의 성질에 따라, 페이스트는 지방 페이스트 또는 단일상 수성 겔로부터 만들어진 페이스트로 구분된다. 지방 페이스트 기제는 일반적으로 바셀린, 친수성 바셀린 등일 수 있다. 단일상 수성 젤로 만들어진 페이스트는 일반적으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기타 기제 등을 포함한다.
겔 제형은 반고형, 현탁형 시스템이다. 단일상 겔은 일반적으로 수성인 담체 액체를 통해 대체로 균일하게 분포된 유기 마크로분자를 포함하나, 또한 바람직하게 알콜 및 선택적으로 오일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유기 고분자, 즉, 겔화제(gelling agents)는 예를 들면 상표 카보폴? 하에 상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카르복시폴리알킬렌 등의 카보머 중합체 부류와 같은 가교 아크릴산 중합체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바람직한 중합체의 다른 형태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 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및 메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트라가칸트 및 잔탄검과 같은 검; 알긴산 나트륨; 및 젤라틴이다. 균일한 겔을 제조하기 위해서 알코올이나 글리세린과 같은 분산제를 첨가할 수 있거나, 겔화제는 이의 분쇄, 기계적 혼합 또는 교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스프레이는 일반적으로 전달을 위해 피부에 뿌릴 수 있는 수용액 및/또는 알코올 용액 내 활성제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프레이는 다음 전달될 투여 부위에서 활성제 용액의 농도를 제공하기 위해 제형화된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스프레이 용액은 주로 활성제를 용해시킬 수 있는 알코올 또는 기타 휘발성 액체로 구성될 수 있다.
피부로 전달 시 투여 부위에 농축 활성제를 두고 담체는 증발한다.
폼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단일상 또는 다중상 액체 형태로 제형화하고 알맞은 용기에 용기로부터 조성물의 방출을 촉진시키는 분사제와 함께 저장되어 적용 시 폼으로 변환한다. 다른 폼 형성 기술은 예를 들어 "Bagina-can" 제제 기술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형화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 저비점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체온에 이러한 조성물이 적용되고 섞임으로써 이소프로판이 증발하고 가압 에어로졸 발포 시스템과 유사하게, 폼을 생성하도록 야기한다. 폼은 수계 또는 히드로알코올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적용 시, 처리 부위에 상부 피부층을 통해 활성 성분을 움직이면서 신속하게 증발시키는 높은 알코올 함량으로 제형화된다.
제제의 제조는 혼합하고 자외선 차단제 캡슐을 제외한 모든 성분을 균질화하고, 마지막에 자외선 차단용 캡슐을 첨가함으로써 혼합물의 균질화가 실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경우에, 제제의 제조는 제제의 다른 성분과 자외선 차단용 캡슐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균질화함으로써 수행되는데, 제형의 다른 성분은 균질화 용액을 얻기 위해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고, 혼합물을 균질화함으로써 수행하고, 캡슐의 첨가 전에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은 예컨대 피부 또는 경피 적용을 위한 활성제를 약제학적으로 포함하는 국소 적용을 위한 약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제제에서, 부가제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이전트 및/또는 첨가제는 캡슐화 또는 비캡슐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들 하나 이상의 에이전트 및/또는 첨가제는 캡술화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이전트 및/또는 첨가제는 미국 특허 제6,932,984호 및 제7,838,037호 및 국제 공개 제2009/138978호 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여 캡슐화된다.
일부 첨가제 및/또는 에이전트의 비제한적인 대표 예는 보습제, 방취제, 발한억제제, 선리스 태닝제, 모발 컨디셔닝제, pH 조절제, 킬레이트제, 보존제, 유화제, 차단제, 피부연화제, 증점제, 가용화제, 침투 증진제, 자극방지제, 착색제, 분사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보습제의 대표적인 예는 구아니딘, 글리콜산 및 글리콜레이트 염(예, 암모늄 슬랫 및 4급 알킬 암모늄 염),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알로에 베라 (예를 들어, 알로에 베라 겔), 알란토인, 우라졸, 소르비톨, 글리세롤, 헥산트리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 폴리에틸렌 글리콜, 당류 및 전분, 설탕 및 전분 유도체 (예를 들어, 알콕실화 글루코오스), 히알루론산, 락타마이드 모노에탄올아민, 아세트아미드 모노에탄올아민 및 이들 임의의 조합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적절한 pH 조절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아디프산, 글리신, 시트르산, 칼슘 수산화물, 마그네슘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버퍼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탈취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디이소부틸 페녹시 에톡시 에틸 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소듐 N-라우릴 사르코신, 소듐 N-팔미틸 사르코신, 라우로일 사르코신, N- 미리스토일 글리신, 포타슘 N-라우릴 사르코신,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소듐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록시 락테이트 트리세틸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L-리신 헥사데실 아미드와 같은 디아미노알킬 아미드, 시트레이트의 중금속염, 살리실레이트, 및 피록토오스, 특히 아연염 및 이의 산, 피리티온의 중금속염, 특히, 징크 피리티온과 징크 페놀설페이트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다른 탈취제로는 예를 들면 탄산염 및 중탄산염과 같은 냄새 흡수 물질,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탄산염 및 중탄산염, 암모늄 및 테트라알킬암모늄 카보네이트(탄산염) 및 바이카보네이트(중탄산염), 특히 나트륨 및 칼륨 염,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발한억제제로는 가용화 또는 미립자 형태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입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지르코늄 아스트리젠트 염 또는 복합체를 포함한다.
선리스 태닝제의 대표적인 예는 디히드록시아세톤, 글리세르알데히드, 인돌 및 이의 유도체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선리스 태닝제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또는 자외선 차단용 캡슐과 병용될 수 있다.
방부제 또는 방부제 시스템을 향상시키도록 킬레이팅제를 선택적으로 첨가한다. 바람직한 킬레이팅제는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EDTA 유도체,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중성화제이다.
적합한 방부제로는 하나 이상의 알칸올, 디소듐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염, EDTA 지방산 접합체, 이소티아졸리논,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과 같은 파라벤,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베이트, 디아졸리디닐 우레아와 같은 우레아 유도체,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적합한 유화제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소르비탄류, 알콕실화된 지방 알코올,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비누, 알킬 설페이트, 모노알킬 및 디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아실 이소티오네이트,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차단제로는, 예를 들면 바셀린, 광유, 비즈왁스, 실리콘 오일, 라놀린 및 지용성 라놀린 유도체, 베헤닐알코올과 같은 포화 및 불포화 지방 알코올, 스쿠알란과 같은 탄화수소, 및 아몬드 오일, 땅콩 오일, 밀 배아오일, 아마씨 오일, 호호바 오일, 살구 피트, 호두, 팜 너트, 피스타치오 너트, 참깨, 유채, 케이드유, 옥수수유, 복숭아 피트 오일, 양귀비씨 오일, 파인 오일, 피마자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홍화유, 코코넛유, 헤이즐넛 오일, 올리브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씨유와 같은 각종 동식물유를 포함한다.
적합한 피부연화제로는 예를 들어, 도데칸, 스쿠알란, 콜레스테롤, 이소헥사데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PPG 에테르, 바셀린, 라놀린, 홍화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목화씨유, 팜핵유, 야자유, 땅콩 기름, 대두유, 폴리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이의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증점제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상표 Natrosol.RTM. 250 또는 350로 시판)와 같은 비이온 수용성 중합체, 폴리쿼트 37(상표 Synthalen.RTM. CN으로 시판)과 같은 양이온 수용성 중합체, 지방 알코올, 지방산 및 이의 알칼리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가용화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시트르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소듐 메타-포스페이트, 석신산, 우레아, 사이클로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에틸암모늄-오르토-벤조에이트와 같은 복합체-형성 가용 화제, 트윈류 및 스판류, 예를 들어 트윈 80과 같은 미셀-형성 가용화제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가용화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n-알킬 에테르, n-알킬 아민 n-옥사이드, 폴록사머, 유기 용매, 인지질 및 사이클로덱스트린류이다.
적합한 침투 증진제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 포름아미드(DMF), 알란토인, 우라졸, N, 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 데실메틸설폭사이드(C10 MSO),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PEGML), 프로필렌글리콜(PG),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PGML),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GML), 레시틴, 1-치환된 아자사이클로헵탄-2-온류, 특히 1-n-도데실사이클아자사이클로헵탄-2-온(버지니아 휘트연구법인 리치몬드의 상표 Azone RTM 시판), 알코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침투 증진제는 또한 식물성 오일일 수 있다. 이러한 오일에는 예를 들어, 홍화유, 면실유 및 옥수수유를 포함한다.
적합한 자극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또는 알로에 베라, 카모마일, 알파-비사보롤, 콜라 니티다 추출물, 녹차 추출물, 티트리 오일, 리코릭 추출물, 알란토인, 카페인 등의 다른 물질 또는 다른 크산틴, 글리시리진산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예시적인 추가 활성제로는, 하나 이상 또는 항생제의 임의의 조합, 항미생물제, 항여드름제, 노화 방지제, 주름 감소제, 피부 미백제, 피지 환원제, 항균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계 소염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 마취제, 항소양제, 항원충제, 항산화제, 항신생물제, 면역조절제, 인터페론, 항우울제, 항히스타민, 비타민, 호르몬 및 비듬방지제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이들의 예로는 알파-히드록시 산류 및 에스테르류, 베타-히드록시 산류 및 에스테르류, 폴리히드록시 산류 및 에스테르류, 코직산 및 에스테르류, 페룰산 및 페룰레이트 유도체류, 바닐린산 및 에스테르류, 디온 산류(예, 세바시드 및 아졸렌산) 및 에스테르류, 레티놀, 레티날, 레티닐 에스테르류, 히드로퀴논, t-부틸 히드로퀴논, 뽕나무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레조르시놀 유도체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여드름제로는, 살리실산, 황, 리콜산, 피루브산, 레조르시놀 및 N-아세틸시스테인과 같은 각질용해제 및 레티노산 및 이의 유도체와 같은 레티노이드(예, 시스 및 트랜스, 에스테르류)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생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옥토피 록스, 에리스로마이신, 아연, 테트라사이클린, 트리클로산, 아젤라산 및 이의 유도체, 페녹시 에탄올, 페녹시 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린다마이신 및 메클로사이클린; 플라비노이드류와 같은 세보스타트류; 알파 및 베타 히드록시산; 및 스킴놀설페이트 및 이의 유도체류, 데옥시콜레이트 및 콜레이트와 같은 담즙 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피록시캄, 이속시캄, 테녹시캄, 서독시캄, 및 CP-14,304과 같은 옥시캄류; 아스피린, 디살시드, 베노릴레이트, 트릴리세이트, 사파프린, 솔프린, 디플루니살, 및 펜도살과 같은 살리실레이트; 디클로페낙, 펜클로페낙, 인도메타신, 설린닥, 톨메틴, 이속세팍, 티오피낙, 지도메타신, 아세마타신, 펜티아작, 조메피락, 클린다낙, 옥세피낙, 펠비낙 및 케토롤락과 같은 아세트산 유도체류; 메페나믹, 메클로페나믹, 플루페나믹, 니플루믹, 및 톨페나믹 산과 같은 페나메이트류;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베녹사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케토프로펜, 페노프로펜, 펜부펜, 인도프로프펜, 피르프로펜, 카프로펜, 옥사프로진, 프라노프로펜, 미로프로펜, 티옥사프로펜, 알미노프로펜, 및 티아프로페닉과 같은 프로피온산 유도체류; 페닐부타존, 옥시펜부타존, 페프라존, 아자프로판존, 및 트리메타존과 같은 피라졸류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이러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혼합물로는 또한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들 제제의 에스테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토페나메이트인 플루페나믹산 유도체는 국소 적용에 특히 유용하다.
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히드로코르티손, 히드록시트리암시놀론, 알파-메틸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포스페이트,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클로베타솔 발레레이트, 데소나이드, 데속시메타손, 데속시코르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 덱사메타손, 디클로리손, 디플로라손 디아세테이트, 디플루코르톨론 발레레이트, 플루아드레놀론, 플루클로롤론 아세토나이드, 플루드로코르티손, 플루메타손 피발레이트,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플루오시노나이드, 플루코르틴 부틸에스테르류, 플루오코르톨론, 플루프레드나이덴(플루프레드닐리덴)아세테이트, 플루란드레놀론, 할시노나이드, 히드로코르티손 아세테이트, 히드로코르티손 부티레이트, 메틸프레
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코르티손, 코르토독손, 플루세토나이드, 플루드로코르티손, 디플루오로손 디아세테이트, 플루란레놀론, 플루드로코르티손, 디플루로손 디아세테이트, 플루라드레놀론 아세토나이드, 메드리손, 암시나펠, 암시나파이드, 베타메타손 및 이의 에스테르, 클로로프레드니손, 클로르프레드니손 아세테이트, 클로코르텔론, 클레스시놀론, 디클로리손, 디플루르프레드네이트, 플루클로로나이드, 플루니솔라이드, 플루오로메탈론, 플루페롤론, 플루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발레레이트, 히드로코르티손 사이클로펜틸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코르타메이트, 메프레드니손, 파라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암시놀론 및 이의 혼합물을 제한없이 포함한다.
적합한 항소양제로는 메트디알진 및 트리메프라진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제한적 마취제의 예로는 리도카인, 부피바카인, 클로르프로카인, 디부카인, 에티도카인, 메피바카인, 테트라카인, 디 클로닌, 헥실카인, 프로카인, 코카인, 케타민, 프라목신, 및 페놀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하기 위한 항균, 항진균, 항원충 및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적절한 항미생물제로는, 베타-락탐 약물, 퀴놀론 약물, 시프로플록사신, 노르 플록사신,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아미카신, 트리클로산, 독시사이클린, 카프레오마이신,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클린다마이신, 에탐부톨, 메트로니다졸, 펜타미딘, 젠타마이신, 카나마이신, 리네오마이신, 메타사이클린, 메테나민, 미노사이클린, 네오마이신, 네틸마이신, 스트렙토 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및 미코나졸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또한, 테트라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파르네솔, 에리트로마이신 에스톨레이트, 에리스로마이신 스테아레이트(염), 아미카신 설페이트, 독시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히드로클로라이드,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클린다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에탐부톨 히드로클로라이드, 메트로니다졸 히드로클로라이드, 펜타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젠타마이신 설페이트, 카나마이신 설페이트, 리네오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 메타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메테나민 히프푸레이트, 메테나민 만델레이트, 미노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네오마이신 설페이트, 네틸마이신설페이트, 파로모마이신 설페이트,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 토브라마이신 설페이트, 미코나졸 히드로클로라이드, 아만파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아만파딘 설페이트, 트리클로산, 옥토피록스, 파라클로로메타크실레놀, 니스타틴, 톨나프테이트 및 클로트리마졸 및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산화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및 그 염, 지방산의 아스코르빌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 코르빌 소르베이트), 토코페롤(비타민 E), 토코페롤 소르베이트,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의 다른 에스테르, 부틸레이트된 히드록시 벤조산류 및 이의 염, 6-히드록시-2,5,7,8-테트라메틸크로만-2-카르복실산(시판 상품명 Trolox R), 갈산 및 그 알킬 에스테르류, 특히 프로필 갈레이트, 요산 및 그 염 및 알킬에스테르류, 소르브산 및 그 염, 리포산, 아민류(예, N, N-디에틸하이드록시아민, 아미노-구아니딘), 설프히드릴 화합물(예, 글루타치온), 디히드록시 푸마르산 및 그 염, 리사인 피돌레이트, 아르기닌 필로레이트, 노르디 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바이오 플라보노이드류, 커큐민, 리신, 메티오닌, 프롤린,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실리마린, 차 추출물, 포도 껍질/씨 추출물, 멜라닌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신생물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이다루비신, 암루비신, 피라루비신, 에피루비신, 미톡산트론, 에토포사이드, 테니포사이드,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미토마이신 C, 5-FU,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아크티노마이신 D, 콜키친, 토포테칸, 이리노테칸, 젬시타빈, 사이클로스포린, 베라파밀, 발스포도르, 프로베네시드, MK571, GF120918, LY335979, 비리코다르, 테르페나딘, 퀴니딘, 페르빌레인 A 및 XR957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우울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노르에피네프린-재흡수 억제제류("NRIs"), 선택적-세로토닌-재흡수 억제제류(SSRIs), 모노아민-옥시다제 억제제류(MAOIs), 세로토닌-및-노르아드레날린-재흡수 억제제류("SNFIs), 코르티코트로핀-방출 인자(CRF) 길항제류, a-아드레노리셉터 길항제류, NK1-수용체 길항제류, 5-HT1A-수용체 작용제류, 길항제류, 및 부분적 작용제류 및 비전형적 항우울제뿐만 아니라 아미트립틸린, 데스메틸아미트립틸린, 클로미프라민, 독세핀, 이미프라민, 이미프라민-옥사이드, 트리미프라민 등과 같은 노르에피네프린-재흡수 억제제류; 아디나졸람, 아밀트립틸린옥사이드, 아목사핀, 데시프라민, 마프로틸린, 노르트립틸린, 프로트립틸린, 아미넵틴, 부트립틸린, 데멕십틸린, 디벤제핀, 디메타크린, 도티에핀, 플루아시진, 이프린돌, 로페프라민, 멜티트라센, 메타프라민, 노르클로리프라민, 녹십틸린, 오핍라몰, 페르라핀, 피조틸린, 프로피제핀, 퀴누프라민, 레복세틴, 티아넵틴, 및 바이네달린, m-클로로피페라진, 시탈로프람, 둘록세틴, 에토페리돈, 페목세틴,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인달핀, 인델록사진, 밀나시프란, 네파조돈, 옥사플라존, 파록세틴, 프롤린탄, 리탄세린, 세르트랄린, 탄도스피론, 벤라팍신 및 지멜딘 등과 같은 세로토닌-재흡수 억제제류를 포함한다.
항비듬제의 예로는 징크 피리티온, 설폰화된 쉐일 오일, 셀레늄 설파이드, 황과 같은 쉐일 오일 및 이의 유도체; 살리실산, 콜 타르, 포비돈-요오드, 케토코나졸, 디클로로페닐 이미다졸로디옥살란, 클로트리마졸, 이트라코나졸, 미코나졸, 클림바졸, 티오코나졸, 설코나졸, 부토코나졸, 플루코나졸, 미코나졸니트릴과 같은 이미다졸; 및 이의 가능한 입체 이성질체 및 안트랄린, 피로크톤 올라민(옥토피록스), 셀레늄 설파이드 및 시클로피록스 올라민과 같은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비타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비타민 A 및 이의 유사체 및 유도체: 레티놀, 레티날,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틴산, 트레티노인, 이소-트레티노인(레티노이드로 통칭), 비타민 E(토코페롤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C(L-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에스테르 및 기타 유도체), 비타민 B3(나이아신아미드 및 이의 유도체), 알파 하이드 록시산(예컨대 글리콜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등) 및 베타 하이드 록시산(예, 살리실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피부 활성 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호호바 오일 및 메틸 살리실레이트, 윈터그린, 페퍼민트, 베이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시트러스 오일과 같은 방향족 오일뿐만 아니라 암모늄 페놀설포네이트, 비스무트 섭갈레이트, 징크 페놀설포네이트 및 징크 살리사일레이트를 포함한다. 항진균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부토코나졸, 펜티코나솔, 티코나졸, 테르코나졸, 설코나졸, 플루코나졸, 할로프로긴, 케토나졸, 케토코나졸, 옥시나졸, 에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테르비나핀, 니스타틴 및 그리세오풀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클로르페니라민, 브롬페니라민, 덱스클로르페니라민, 트리폴리딘, 클레마스틴, 디펜히드라민, 프로메타진, 피페라진류, 피페리딘류, 아스테미졸, 로라타딘 및 테르페나딘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이 등방성 상(isotropic phase)을 띄는 온도 이상에서 혼합하여 심물질로 사용될 2g의 질량을 가진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용매인 디클로로메탄(DCM) 10ml에 용해시켜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2 단계, 마이크로캡슐의 벽재로 사용될 폴리카프로락톤 1.5g을 용매인 디클로로메탄(DCM) 10ml에 용해시켜 제3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제2 혼합물과 제3 혼합물을 섞어 균질한 소수성 용액인 제4 혼합물 20ml를 생성하는 제4단계, 증류수 150ml에 분산상인 제4 혼합물의 안정제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PVA) 1.5g 을 용해시켜 연속상으로 사용될 제5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 5단계, 상온의 제5 혼합물에 제4 혼합물을 넣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해 3000rpm의 교반속도로 두 혼합물을 20분간 유화시켜 제6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6 단계, 제6 혼합물을 섭씨38도로 승온하고 마그네틱바를 이용한 교반을 300rpm의 속도로 10시간 동안 수행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생성하는 제7 단계, 상온,상압 하에서 제6 혼합물을 방치하여 제7 단계에서 생성된 마이크로 캡슐을 침전시키고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8 단계, 침전된 마이크로 캡슐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세척하는 제9 단계, 제8 단계와 제9 단계를 3회 반복 한 후 거름종이로 증류수에 혼입되어 있는 마이크로 캡슐을 여과하여 수득하는 제10 단계, 수득한 마이크로 캡슐을 진공 데시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제1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0
[화학식 2]
Figure pat00011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2

    [화학식 2]
    Figure pat0001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합물은 cholesteryl nonanoate인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상기 제2 화합물은 cholesteryl oleyl carbonate인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합물과 상기 제2 화합물의 혼합비는 10wt%:90wt% 내지 50wt%:50wt%의 범위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340nm 내지 380nm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수용성 고분자 및 지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한천(Agar), 콜라겐 펩타이드, 히알루론산, 전분(Starch), 가수분해전분(Hydrolyzed starch), 가교전분(Cross-linked starch)과 같은 변성전분(Modified Starches), 덱스트린, 감마PGA, 카라기난, 아라비아검, 산탄검과 같은 검류(Gums), 카르복실메틸셀롤로오스, 젤라틴, 펙틴, 알긴산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지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젖산(Polylactic acid)으로 이루어진 바이오폴리에스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의 콜레스테릭 액정은 1um ~ 50um의 직경을 갖는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제1 고분자 수용액 및 제2 고분자 수용액을 각각 생성한 후, 상기 제1 고분자 수용액과 상기 제2 고분자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혼합물에 가수하는 제5 단계;
    가수된 상기 제3 혼합물에 산성 용액을 첨가하여 수용성 고분자의 등전점 이하로 pH를 낮추는 제6 단계;
    가수된 상기 제3 혼합물을 냉각하는 제7 단계;
    냉각된 상기 제3 혼합물에 가교제 용액을 첨가하는 제8 단계;
    냉각된 상기 제3 혼합물에 염기성 용액을 첨가하여 가교결합을 일으키는 제9 단계; 및
    상기 제3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10 단계; 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4

    [화학식 2]
    Figure pat00015

  9.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이 등방성 상(isotropic phase)을 띄는 온도에서 제1 화합물과 제2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 1혼합물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2 단계;
    마이크로 캡슐의 벽재물질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3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제2 혼합물과 제3 혼합물을 섞어 균질한 소수성 용액인 제4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증류수에 분산상인 제4 혼합물의 안정제로 사용될 물질을 용해시켜 제5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5 단계;
    제5 혼합물에 제4 혼합물을 넣고 유화시켜 제6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6 단계;
    제6 혼합물을 승온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마이크로캡슐을 만드는 제7 단계;
    제6 혼합물의 마이크로캡슐을 침전시키고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8 단계;
    침전된 마이크로 캡슐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세척하는 제9 단계;
    제8 단계와 제9 단계를 반복한 후 증류수에 혼입되어 있는 마이크로 캡슐을 여과하여 수득하는 제10 단계;
    수득한 마이크로 캡슐을 건조시키는 제11 단계; 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6

    [화학식 2]
    Figure pat00017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화합물은 cholesteryl nonanoate인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상기 제2 화합물은 cholesteryl oleyl carbonate인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화합물과 상기 제2 화합물의 혼합비는 10wt%:90wt% 내지 50wt%:50wt%의 범위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고분자 및 상기 제2 고분자 각각은 한천(Agar), 콜라겐 펩타이드, 히알루론산, 전분(Starch), 가수분해전분(Hydrolyzed starch), 가교전분(Cross-linked starch)과 같은 변성전분(Modified Starches), 덱스트린, 감마PGA, 카라기난, 아라비아검, 산탄검과 같은 검류(Gums), 카르복실메틸셀롤로오스, 젤라틴, 펙틴, 알긴산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제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지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젖산(Polylactic acid)으로 이루어진 바이오폴리에스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제조 방법.
KR1020180142442A 2018-11-19 2018-11-19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 KR20200058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42A KR20200058636A (ko) 2018-11-19 2018-11-19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42A KR20200058636A (ko) 2018-11-19 2018-11-19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636A true KR20200058636A (ko) 2020-05-28

Family

ID=7092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442A KR20200058636A (ko) 2018-11-19 2018-11-19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86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878B1 (ko) * 2021-03-11 2022-06-30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콜레스테릭 액정이 봉입된 복합 코아세르베이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463B1 (ko) 2008-03-03 2011-09-08 주식회사 엔에스텍 TiO₂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463B1 (ko) 2008-03-03 2011-09-08 주식회사 엔에스텍 TiO₂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878B1 (ko) * 2021-03-11 2022-06-30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콜레스테릭 액정이 봉입된 복합 코아세르베이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1827A1 (en) Microcapsules comprising sunscreen agents
Purohit Nano-lipid carriers for topical application: Current scenario
CA2940090C (en) Active agent-containing microcapsules
US11564395B2 (en) Formulations with colloidal silver
KR20140134712A (ko) 시클로덱스트린 기재의 마이크로에멀젼 및 그의 피부과용 용도
KR20100125278A (ko) 향상된 피부 미백 조성물
DE10226990A1 (de) Topisch applizierbare Mikro-Emulsionen mit binärer Phasen- und Wirkstoffdifferenzierbarkeit,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Versorgung der Haut mit bioverfügbarem Sauerstoff
Malik et al. Nanostructured gel for topical delivery of azelaic acid: Designing, characterization, and in-vitro evaluation
AU2013269566A1 (en) Microcapsules containing retinoids,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JP2023513098A (ja) レチノール系包含物、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Cerqueira-Coutinho et al. Comparing in vivo biodistribution with radiolabeling and Franz cell permeation assay to validate the efficacy of both methodologies in the evaluation of nanoemulsions: a safety approach
JP2005162729A (ja) 局所用途のための展着可能組成物、これを作成する改良プロセス、およびこれを用いる方法
KR20200058636A (ko)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 방법
CN115381723B (zh) 一种水包油包多元醇的多重液晶乳液及其制备方法、应用
Kaur et al. Solid lipid nanoparticles in dermaceuticals
KR101830180B1 (ko) 생체 유래 콜레스테릭 액정,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용 캡슐,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150195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skin irritation-reducing method
US20200171083A1 (en) Compositions of silver and cannabinoids
WO2023229563A1 (en) Development of unique microemulsion formulations loaded with naringenin and anti-aging effect thereof
WO2022140467A1 (en)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skin diseases and conditions with such compositions
CN115969711A (zh) 一种酚酸纳米醇质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00036296A (ko) 나노유화입자를 이용한 보조효소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040105169A (ko) 알부틴을 이용하여 제조한 안정한 나노유화입자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E202011100483U1 (de) Applikationssystem für Pflegeprodukte mit Schwammapplik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