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244A -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 Google Patents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244A
KR20200058244A KR1020180143016A KR20180143016A KR20200058244A KR 20200058244 A KR20200058244 A KR 20200058244A KR 1020180143016 A KR1020180143016 A KR 1020180143016A KR 20180143016 A KR20180143016 A KR 20180143016A KR 20200058244 A KR20200058244 A KR 20200058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ocket
ear
patch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105B1 (ko
Inventor
홍대연
Original Assignee
홍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대연 filed Critical 홍대연
Priority to KR102018014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1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마개에 발열패치를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귀마개에 발열기능을 부여한 것으로, 귀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방한소재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귀덮개부와, 상기 한 쌍의 귀덮개부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부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귀덮개부에는 사용자의 양 귀에 대응되게 좌,우 대칭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포켓을 형성하여 발열패치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귀마개를 장착한 상태에서 발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원단과 와이어 및 포켓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띠를 봉재하여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포켓의 수용공간에 발열패치를 삽입하기 위한 투입구의 구조를 다양화하여 발열패치가 임의로 빠지지 않으면서도 수용공간 내에 발열패치를 지지할 수 있는 밀착밴드를 봉재에 의하여 구성함으로써 발열패치가 내장된 상태에서 쏠림을 방지하고 발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A warm earplug with a heating means}
본 발명은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마개에 발열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방한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 체감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방한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로 인하여 다양한 방한용품이 사용되는 것으로, 귀마개는 국소 부위에 착용됨에도 불구하고 체온상승의 효과가 크게 체감되므로 여러 방한용품중에서도 대표적으로 귀마개가 사용된다.
이러한 귀마개의 일반적인 형태는 머리에 걸쳐서 사용하는 헤드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양쪽 귀를 덮어주고, 그 내면에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소재로 마감되어 방한 기능을 갖도록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귀마개는 단순히 귀를 막아주는 역할을 할 뿐이어서 효율적인 방한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귀마개는 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칼바람에 직접 맞딱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실질적으로 바람만 차단할 뿐 체온을 직접 상승시키지는 못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귀는 신체에서 가장 체온이 낮은 부위이기 때문에 귀마개를 착용하였다 하더라도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지 않고, 사용자의 체온에 의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보온이 이루어진 이후에야 포근한 느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체형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각 체형에 따른 귀마개를 착용하지 않는 이상 귀와 마개부 사이에 틈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틈으로 찬바람이 유입되면서 한기를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서 필요에 따라 귀마개를 벗은 후 다시 착용할 경우 이미 귀마개가 차가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착용직후에는 오히려 차가운 느낌이 전달되므로 불쾌감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사람신체중에서 머리는 체온조절의 30~50%를 담당하기 때문에 귀마개는 작은 부위임에도 큰 체감과 온도상승효과를 느낄 수 있는 반면, 차가운 느낌을 받을 경우 그 체감폭이 크기 때문에 추위를 더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8070(2012.05.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가 구비되어 발열체를 내장하고 발열체를 충전식으로 작동하여 열풍을 발산하는 구조를 갖는 귀마개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귀마개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가 어렵고 가격경쟁력이 없으며, 배터리는 저온에서 전력이 급격히 소모되고 단시간에 방전되기 때문에 기온이 낮을 수록 지속효과는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상 물기에 취약하므로 겨울철 눈이 오는 날씨에서는 물기가 유입될 우려가 있어서 실용성이 매우 떨어진다.
이처럼 귀마개에도 그 방한성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제안되었으나 여전히 단순히 귀를 막아 방한기능을 하는 기초적인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귀마개의 방한성능을 높이기 위한 발열수단을 제공하되, 귀마개의 형태를 크게 변형하지 않고도 그대로 활용하여 발열수단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열수단의 사용이 불편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발열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발열패치가 귀마개에 간단한 구조로 삽탈되도록 하여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발열패치가 포켓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방한기능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귀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귀덮개부와, 상기 귀덮개부가 귀를 덮은 상태에서 양측의 귀덮개부를 연결하여 머리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귀덮개부에는 양 귀에 대응하게 수용공간을 갖는 포켓을 형성하고, 포켓에는 발열패치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귀마개를 장착한 상태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귀덮개부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일단을 연결부로 연결하고, 포켓이 귀덮개부의 외측 표면 또는 연결부의 외측 표면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발열패치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발열패치를 삽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밴드에 의하여 탄성을 갖도록 하거나 지퍼를 장착하여 투입구가 개폐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투입구에는 투입구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발열패치(400)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포켓의 내측에는 발열패치가 내장된 상태에서 쏠림을 방지하도록 밀착밴드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에 의하면, 귀마개의 귀덮개부에 발열수단이 내장됨으로써 추운 날씨에서도 효율적으로 방한 기능을 수핼할 수 있다.
또한, 발열패치의 수납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발열패치의 교체가 용이하고, 발열패치가 얼굴에 밀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쏠림을 방지하여 열전달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발열패치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짧은 시간에도 귀 전체에 온기를 느낄 수 있게 됨은 물론, 귀마개의 전체 면적에서 신체와 밀착되는 면의 온도편차를 줄여 효과적으로 체온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귀마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귀마개의 연결부에 포켓이 형성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귀마개 내부에 와이어가 구비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피외 외피 사이에 열전도 시트가 구비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귀마개의 투입구가 지퍼로 이루어진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귀마개의 외피가 절개되어 투입구를 구현한 측면도.
도 7은 내피에 안감이 덧 대여진 상태도.
도 8은 고정수단에 의해 발열패치가 고정되는 상태도.
도 9는 고정밴드가 투입구를 가로질러 발열패치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귀덮개부(100)와, 상기 귀덮개부가 귀를 덮은 상태에서 양측의 귀덮개부를 연결하여 머리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200)와, 귀마개의 표면에 구비되는 포켓(300) 및 포켓(300)에 삽입되는 발열패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발열패치(400)에서 발생한 열을 사용자가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방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귀덮개부(100)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귀덮개부는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추위로부터 사용자의 귀를 보호하고 바람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귀덮개부(100)는 사용자의 귀를 완전이 보호될 수 있도록 원형이나 타원형 등 귀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원단(120)으로서 내피(122) 및 외피(126)를 포함하여 여러 겹의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귀덮개부(100)의 내면은 사용자가 착용시 좋은 촉감을 느끼기 위하여 귀덮개부의 내면은 부드러운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연결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면 사용자의 정수리부근에 착용하여 헤드폰 방식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연결부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후두에 연결부(200)가 지지되도록 제작되어질 수 있다.
상기 귀덮개부(100)와 연결부(200)는 귀덮개부와 연결부를 포함한 원단(120)이 구비되고, 그 둘레를 따라 와이어(140)가 내장되어 와이어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지지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원단은 와이어를 감싸도록 내피(122)와 외피(124)로 이루어지고, 외피에는 포켓시트(310)을 덧댄 상태에서 내피(122)와 외피(124) 및 포켓시트(310)를 포함하여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띠(126)에 의하여 융착 또는 봉재되도록 제작되어질 수 있다.
상기 원단은 보온력이 좋고 착용감이 우수한 재질을 주 원단으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그 원단의 표면에는 합성고무로서 내열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네오프렌 소재를 사용하거나 기본 원단에 네오프렌 소재를 덧대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덮개부(100)와 연결부(200)를 포함하는 원단(120)은 내,외피로 구성될 때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귀마개 전체 면적에 대해서 열이 전도되어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기 위하여 열전도시트(123)가 내,외피의 사이에 삽입 구성될 수 있다.
이 열전도시트(123)는 열전도율이 높은 은박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열전도시트에 의하여 열이 귀마개 전체에 전도되어 초기 발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귀마개 전체 면적에서 피부과 밀착되는 면의 온도편차를 줄이고 발열패치(400)에서 발산된 열이 효과적으로 안면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켓(300)은 발열패치(400)가 내장되는 수용공간(320)이 형성되며, 발열패치의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원단의 외측 표면에 투입구(34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320)은 발열패치(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게 발열패치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켓(300)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귀덮개부(100) 또는 그 귀덮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귀덮개부(100)가 원형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이 연결부(200)로 연결되고, 상기 포켓(300)은 귀덮개부(100)의 외측 표면에 연결부(200)측으로 투입구(340)가 형성되어 귀덮개부(100)에 발열패치(400)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덮개부(100)가 원형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이 연결부(200)로 연결되고, 상기 포켓(300)은 연결부(200)의 외측 표면에 귀덮개부(100)측으로 투입구(340)가 형성되어 연결부(200)에 발열패치(400)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귀마개 표면에 구비된 투입구(340)로 발열패치(400)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수용공간(320)의 지름은 투입구(340)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길이의 지름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발열패치(400)가 포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300)은 상기와 같이 원단을 내,외피로 구성하고 외피에 포켓시트(310)를 덧대어 구성할 수 있지만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원단이 내,외피로 구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외피를 절개하여 투입구(34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포켓(300)이 마련될 수 있다.
포켓의 투입구(34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300)의 개폐를 위한 지퍼(342)가 형성되거나 또는 투입구에 탄성력을 갖는 밴드(344)가 내장될 수 있다.
이때, 포켓(300)을 형성하는 원단은 다양한 소재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포켓 내측에 안감(128)을 덧댈 경우 발열패치(400)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저장되어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보온성이 우수한 모직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포켓(300)이 위치되는 귀마개의 내면에는 발열패치(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저장하여 피부에 접촉한 상태로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두껍고 부드러운 원단이 안감(128)으로 덧대어 구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소재 내의 기공에 열이 저장되고 안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수납공간(320)의 내면에는 폴리에스터 원사를 이용해 양털처럼 따뜻하면서도 부드러운 표면의 기모층을 갖는 플리스소재의 안감(128)을 사용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 안감에 의하여 사용자가 귀마개를 착용시 외부방향으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감(114)은 플리스 원단의 대체재로써 상기 발열패치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균일하게 내측으로 발생시키도록 하고 쿠션기능을 하고 열기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통기 가능한 망체의 사이에 열기 저장이 가능하면서 쿠션력을 갖는 솜체가 게재되어 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패치(400)는 산화제를 포함하는 공기와 접촉시 발열을 하도록 이루어진 발열재가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분말형 발열패치 또는 경화작용에 의하여 발열이 이루어지고, 고온에서 용해되어 재사용 가능한 액체형 발열패치로 구성될 수 있다.
분말형 발열패치는 일회용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지니는 발열패치일 수 있으며, 내측에 공기와 접속시 발열을 하도록 부직포 재질의 포 내에 산화제를 포함한 발열재가 충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 내에 내장된 발열재는 철분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과, 전해질, 물(또는, 수분), 질석 또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산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산화제로는 금속 분말의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전자의 이동 통로가 되는 전해질과, 수분을 머금어 열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활성탄 등이 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발열물질을 구성하는 금속 분자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액체형 발열패치는 아세트산나트륨과 충격발생을 위한 금속을 포함하는 발열재가 비닐팩에 담겨져 액체 상태의 아세트산 나트륨이 외부 충격을 받아 고체화되면서 열을 발산하는 것으로, 분말형 발열패치보다는 상대적으로 가열온도가 저온이지만 고온의 물에서 용해가 이루어지므로 재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포켓(300)에 수용된 발열패치(40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쏠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발열패치(400)가 포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포켓(300)을 구성하는 포켓시트(310)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켓(300)의 내측에는 포켓에 수용된 발열패치(400)가 볼에 밀착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고 정위치 유도를 위하여 유동방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유동방지수단은 밀착밴드(360)가 덧대어 봉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밴드(360)는 발열패치(400)의 형상이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여 각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밀착밴드(360)가 서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봉재되도록 함으로써 발열패치(400)의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켓(3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340)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수용공간(320)에 수용된 발열패치(400)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수단(380)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수단(380)은 고정밴드(382)의 일단이 귀덮개부(100)에 타단은 연결부(200)에 각각 고정되어 투입구(340)를 가로질러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투입구(340)의 경로를 막아 발열패치(400)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밴드(292)의 바람직한 장착 예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밴드(382)의 일단을 연결부(200)측의 외면에 봉재 등에 의한 방식으로 고정하고, 타단이 포켓의 외면 즉, 귀덮개부(100)의 표면에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고정밴드(382)의 일단 또는 타단을 탈착 가능학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발열패치(400)를 삽입할 경우에는 고정밴드(382)의 당김상태를 해제하고 반대로 발열패치(400)를 삽입한 이후에는 고정밴드를 당겨 고정함으로써 투입구를 통하여 발열패치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귀덮개부 120: 원단
122: 내피 123: 열전도시트
124: 외피 126: 테두리띠
128: 안감
140: 와이어
200: 연결부
300: 포켓 310: 포켓시트
320: 수용공간 340: 투입구
342: 지퍼 344: 밴드
360: 밀착밴드
380: 고정수단 382: 고정밴드
400: 발열패치

Claims (11)

  1. 귀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귀덮개부(100)와, 상기 귀덮개부가 귀를 덮은 상태에서 양측의 귀덮개부를 연결하여 머리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귀덮개부(100)에는 양 귀에 대응하게 수용공간(320)을 갖는 포켓(300)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300)에는 발열패치(400)가 삽입되어 귀마개를 장착한 상태에서 발열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덮개부(100)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이 연결부(200)로 연결되고, 상기 포켓(300)은 귀덮개부(100)의 외측 표면에 연결부(200)측으로 투입구(340)가 형성되어 귀덮개부(100)에 발열패치(400)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덮개부(100)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이 연결부(200)로 연결되고, 상기 포켓(300)은 연결부(200)의 외측 표면에 귀덮개부(100)측으로 투입구(340)가 형성되어 연결부(200)에 발열패치(400)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귀덮개부(100)와 연결부(200)는 귀덮개부와 연결부를 포함한 원단(120)의 둘레를 따라 와이어(140)가 삽입되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지지력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단은 와이어를 감싸도록 내피(122)와 외피(124)로 이루어지고, 외피에는 포켓시트(310)을 덧댄 상태에서 내피와 외피 및 포켓시트를 포함하여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띠(126)에 의하여 융착 또는 봉재되어 마감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패치(400)는 산화제를 포함하는 공기와 접촉시 발열을 하도록 이루어진 발열재가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분말형 발열패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패치(400)는 경화작용에 의하여 발열이 이루어지고, 고온에서 용해되어 재사용 가능한 액체형 발열패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시트(310)는 포켓(300)에 수용된 발열패치(400)가 귀에 밀착된 상태에서 움직임에 의한 쏠림을 방지하고 정위치 유도를 위하여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300)에는 수용공간(320)에 수용된 발열패치(400)가 귀에 밀착된 상태에서 움직임에 의한 쏠림을 방지하고 정위치 유도를 위하여 밀착밴드(360)가 덧대어 봉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300)에는 투입구(340)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수용공간(320)에 수용된 발열패치(400)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수단(3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80)은 고정밴드(382)의 일단이 귀덮개부(100)에 타단은 연결부(200)에 각각 고정되어 투입구(340)를 가로질러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120)의 내면에는 발열패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저장하여 안면에 접촉한 상태로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원단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고 부드러운 폴라폴리스 원단이 안감(128)으로 덧대어 구성되어 착용시 외부방향으로 이물감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KR1020180143016A 2018-11-19 2018-11-19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KR102339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016A KR102339105B1 (ko) 2018-11-19 2018-11-19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016A KR102339105B1 (ko) 2018-11-19 2018-11-19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244A true KR20200058244A (ko) 2020-05-27
KR102339105B1 KR102339105B1 (ko) 2021-12-15

Family

ID=7091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016A KR102339105B1 (ko) 2018-11-19 2018-11-19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589B1 (ko) * 2020-11-10 2021-06-04 (주)레인그래픽 컴퓨터 입력장치 조작 시 착용하는 손목 보호용 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390Y1 (ko) * 2002-04-12 2002-07-13 김신 귀마개
KR200365279Y1 (ko) * 2004-08-03 2004-10-20 전봉순 방한용 귀마개
KR20120048070A (ko) *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파랑 충전식 발열 귀마개
US20120124719A1 (en) * 2010-11-24 2012-05-24 Michlitsch Kenneth J Methods and apparatus for ear protection
KR20150128519A (ko) * 2014-05-09 2015-11-18 최성규 핫팩을 이용한 하체 찜질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390Y1 (ko) * 2002-04-12 2002-07-13 김신 귀마개
KR200365279Y1 (ko) * 2004-08-03 2004-10-20 전봉순 방한용 귀마개
KR20120048070A (ko) *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파랑 충전식 발열 귀마개
US20120124719A1 (en) * 2010-11-24 2012-05-24 Michlitsch Kenneth J Methods and apparatus for ear protection
KR20150128519A (ko) * 2014-05-09 2015-11-18 최성규 핫팩을 이용한 하체 찜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589B1 (ko) * 2020-11-10 2021-06-04 (주)레인그래픽 컴퓨터 입력장치 조작 시 착용하는 손목 보호용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105B1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3510B2 (ja) 冷却枕、冷却衣服および冷却ヘルメット
EP3229625B1 (en) Cooling assembly
KR101546327B1 (ko) 발열체가 내장된 안대
US3696814A (en) Cooling head gear
US7496968B2 (en) Absorbent eyelid protector and method
US10492543B2 (en) Heated sock to keep the wearer feet and toes warm
KR102133650B1 (ko)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마스크
US20140137310A1 (en) Chilled Cap
KR20200058244A (ko) 발열수단을 갖는 방한귀마개
JP3177287U (ja) 全天候型電熱保温ウェア
KR200472631Y1 (ko) 보냉용 목도리
KR100611231B1 (ko) 다목적 발열 이너웨어
KR20120048070A (ko) 충전식 발열 귀마개
JP3121316B2 (ja) 加熱装置付き顔マスク
KR200489803Y1 (ko) 귀마개 부착형 핫팩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KR200268065Y1 (ko) 면상발열체가 내장된 온열 보호대
JP3093350U (ja) マスク付着型紫外線遮断帽子
KR200436801Y1 (ko) 배꼽 단전 온열용 벨트
KR101032501B1 (ko) 방한 마스크
KR200446307Y1 (ko) 일회용 퍼머액 차단 헤어밴드
KR101112723B1 (ko)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200469566Y1 (ko) 마스크 일체형 편직 모자
KR20060034514A (ko) 에어 튜브가 부착된 허리보호대
KR101571017B1 (ko) 주름방지 기능성 스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