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014A - System for alarming approach of train cooperating with working cloth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alarming approach of train cooperating with working clot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014A
KR20200058014A KR1020180142455A KR20180142455A KR20200058014A KR 20200058014 A KR20200058014 A KR 20200058014A KR 1020180142455 A KR1020180142455 A KR 1020180142455A KR 20180142455 A KR20180142455 A KR 20180142455A KR 20200058014 A KR20200058014 A KR 2020005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user terminal
work clothes
approach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윤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앤에스
Priority to KR102018014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8014A/en
Publication of KR2020005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0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linked with working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linked with working clothes comprises: work clothes worn on a worker who is present at a railway worksite and providing a warning to the worker through a warning means when a train approaches the railway worksite; and a user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working clothes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when the approach of the train is detected, transferring a control signal to the working clothes to control the warning means to be operated. Accordingly, the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linked with working clothes can secure the safety of a worker who is present in a railway worksite by operating an LED of the working clothes which is activated while being linked to a smartphone to warn the worker of the approach of a train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rain, in a visible manner, at the railway worksite in which a loud noise is generated.

Description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System for alarming approach of train cooperating with working clothes}System for alarming approach of train cooperating with working clothes}

본 발명은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철도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work cloth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work clothes that ensures the safety of workers located in a railroad workshop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a train and warning the operator. It is about.

국내의 철도작업자의 사고는 주로 철도선로점검 및 보수공사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열차운행밀도가 높아 운행 중인 열차를 차단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운행선로 작업의 비율이 높은 특성 때문에 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The accidents of railroad workers in Korea are mainly caused by railway track inspection and repair work, and because of the high train density, there is not enough time to cut off the trains in operation, and the risk of accidents is very high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work on the tracks.

특히 철도 운영 특성상 철도 작업자들은 주로 야간에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야간 운행 기관사의 부주의와 선로변 작업자의 감각차단 현상으로 인해 추돌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railroad operation, as railway workers are working at night, collision ac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train operator at night and the sensory blockage of railroad workers, and measures to prevent such safety accidents are urgently needed.

현재 철도 선로보수 작업 시 안전관리는 인력중심으로 작업공간에서 일정거리에 열차 감시원을 별도 배치하여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At the time of railroad track maintenance, safety management is centered on manpower, and a train watchman is separately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ork space.

열차 감시원은 열차의 접근 경보를 깃발이나 무전기를 통해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열차가 고속화되고 운행간격이 짧아짐에 따라 열차확인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안전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The train watchdog uses a method to transmit the approach warning of a train through a flag or a radio, and as the train speeds up and the interval between trains becomes shorter, it is difficult to secure enough train identification distances to secure worker safety.

또한, 열차 감시원의 장시간 감시로 인한 집중력저하와 야간작업 시 운행선상의 작업자들이 접근경보 신호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여 사고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due to a decrease in concentration due to long-time monitoring by train guards and workers on the operating line during night work, which do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approach warning signal.

이에, 철도 선로보수 작업 시 작업자의 열차추돌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의 대피시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원거리(1.5km 이상)에서 접근하는 열차를 자동으로 검지하여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경보를 전파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train collisions of workers during railroad track maintenance work, trains approaching from a long distance (over 1.5km) are automatically detected to prevent workers from accidents in real time, and in real time to workers. Development of a system capable of propagating alarms is requir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92411호 (발명의 명칭: 작업자용 철도차량 접근 경고장치)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492411 (Name of invention: worker's railway vehicle approach warn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철도 작업장에서 작업자가 철도의 접근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하도록,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작업복의 LED를 동작시켜 열차의 접근에 대해 경고함으로써 철도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a LED of a work clothes interlocking with a smartphone so that an operator can visually easily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railroad in a railway workshop where noise is severely generated. To provide a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work clothes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located at railroad workplaces by warning about the approach of trai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은 철도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에 착용되고, 열차가 상기 철도 작업장을 향하여 접근하면 경고 수단을 통해 상기 작업자에게 경고하도록 마련되는 작업복; 및 상기 작업복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열차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작업복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경고 수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The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the work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worn on an operator located at a railway workshop, and warns the operator through a warning means when the train approaches the railway workplace. Work clothes provided to be; And a user terminal that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work clothes by wire or wirelessly,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work clothes to control the warning means when the approach of the train is detected.

여기서 상기 작업복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선 연결되도록 커넥터를 마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유선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Here, the work clothes are provided with a connector to be wired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user terminal is wired,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작업복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납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 크기의 단말 주머니를 마련하고, 상기 주머니의 내측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clothes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pocket of the size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the user terminal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locat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pocket.

또한, 상기 작업복은, 상기 경고 수단으로 LED를 마련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LED를 동작시켜 시각적으로 경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clothes, by providing an LED as the warning means,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he LED can be operated to visually warn.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작업복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열차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철도 작업장에 위치하는 다수의 작업복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다수의 경고수단이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ork clothes, and when the approach of the train is detected, the control signals ar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work clothes located in the railway workshop, so that a plurality of warning means are collectively. Can be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은 상기 철도 작업장과 일정 거리 떨어져 양측의 상행선 및 하행선에 위치하고, 상기 상행선 또는 상기 하행선을 따라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면 접근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철도 작업장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상기 접근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접근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하는 메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the work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both the upstream and downbound lines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ailway workshop, and detects an approaching signal when detecting an approaching train along the upstream or downlink. A sensor unit provided to be generated; And a main installed in the railway workshop, in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to receive the access signal from the sensor unit, to transmit the access signal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senses the approach of the train. It may further include a unit.

그리고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접근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열차의 접근을 인지하도록, 경광등을 작동하고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in unit receives the approach signal, the operator may operate the warning light and generate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so that the operator recognizes the approach of the train.

또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상기 접근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접근 신호에 대한 수신 확인 신호를 상기 센서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메인 유닛에 발신하는 접근 신호에 대한 수신 확인 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오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in unit receives the access signal from the sensor unit, it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for the access signal to the sensor unit, and the sensor unit receives the access signal transmitted to the main unit. 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an error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인 유닛 또는 상기 센서 유닛에 요청하여, 상기 메인 유닛 또는 상기 센서 유닛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전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request the main unit or the sensor unit, and receive the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main unit or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센서 유닛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solar panel that supplies power using sunlight.

이에 의해,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철도 작업장에서 작업자가 철도의 접근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하도록,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작업복의 LED를 동작시켜 열차의 접근에 대해 경고함으로써 철도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in order to visually and easily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railroad at the railroad workplace where noise is severely generated, the safety of the worker located at the railroad workplace is secured by operating the LED of the work clothes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to warn of the approach of the trai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work clothes that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 및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work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provided to describe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provided to describe a m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view provided to describe a work clothes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for sufficiently convey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10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닛(20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1 is a view provided to describe a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work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provided to describe the sensor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provided to describe the main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work clothes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provided for.

본 발명의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은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철도 작업장(A)에서 작업자(W)가 열차(T)의 접근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W)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the work cloth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W by allowing the worker W to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rain T in the railway workshop A where noise is severely generated. .

이를 위해,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은, 센서 유닛(100), 메인 유닛(200), 작업복(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the work clothe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ensor unit 100, the main unit 200, the work clothes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센서 유닛(100)은, 열차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센서 유닛(100)은, 철도 작업장(A)과 일정 거리 떨어져 양측의 상행선 및 하행선 2곳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센서부(110), 센서 제어보드(120), 통신부(130), 센서 솔라 패널(140), 배터리(150) 및 케이스(1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00 is provided to detect the entrance of the train. To this end, the sensor unit 100 may be located at two locations o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on both sides of the railway workshop A at a certain distance, and the sensor unit 110,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senso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olar panel 140, the battery 150 and the case 160.

센서부(110)는 열차(T)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적외선 센서로 마련되어 열차 진입 방향으로 적외선을 발산하고 열차(T)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진동 센서, 소음 센서, 지자계 센서가 사용되어, 열차(T)의 진입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은 작업장(A)에서 1.5km 떨어져, 열차(T)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is provided to detect a distance from the train T.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an infrared sensor to emit infrared rays in a train entrance direction and detect a distance from the train T.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10 is a vibration sensor, a noise sensor, a geomagnetic sensor is used, it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entry of the train (T). The sensor unit 100 may detect the approach of the train T by 1.5 km away from the workplace A.

그리고 적외선 센서는 외부 환경 변화에 반응하지 않도록 센서 필터링 프로그램을 삽입하고, 기타 소리, 진동 센서의 입력을 받아 연산 처리하여 최종 열차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의 센서 감조 조절은 프로그램으로 설정하여 1~4M까지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는 GUI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rared sensor can improve the accuracy of the final train detection by inserting a sensor filtering program so that it does not react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receiving and processing other sound and vibration sensors. In addition, the sensor reduction adjustment of the infrared sensor can be set by a program and a GUI capable of setting a distance from 1 to 4M can be applied.

그리고 적외선 센서 모듈은 송신부/수신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송신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쏘아서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수신부에서 적외선의 양 및 시간을 감지하여, 아날로그의 거리값을 MCU에서 받아 처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frared sensor module is composed of a transmitter / receiver unit. The infrared ray reflected by the object is detected by the receiver and the amount and time of the infrared ray is sensed by the microcontroller by receiving the infrared distance value from the MCU.

센서 제어보드(120)는 센서 유닛(100)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를 통해 상행선 또는 하행선으로부터의 열차(T) 진입을 감지하면, 접근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유닛(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sensor control board 120 is provided to control the whole of the sensor unit 100. For example, when sensing the entry of the train T from the ascending or descending line through the sensor unit 110, an approach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in unit 200.

그리고 센서 제어보드(120)에는 40MHz의 동작주파수로 구동되는 8bit MCU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부(130), 동작 상태 표시, 센서 입력 등과 같은 주변장치들의 동작 제어를 위해 digital I/O port를 사용하고,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UART 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n 8-bit MCU driven at an operating frequency of 40 MHz can be used for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and a digital I / O port is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peripheral devices such as the communication unit 130, operation status display, and sensor input. , UART port may be used to proces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또한, 센서 제어보드(120)는 소리, 진동 센서 값의 입력을 위해서는 분해능 10-Bit의 ADC Port를 사용하며 외부의 불안정한 전압이나 노이즈 등에 의해 MCU가 Latch-up 됐을 때 Watch-dog Timer를 이용하여 자가 복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소프트웨어적인 복구도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uses a resolution 10-Bit ADC port for input of sound and vibration sensor values, and uses the Watch-dog Timer when the MCU is latched up due to external unstable voltage or noise. It can be designed to enable self-recovery and software recovery.

센서 제어보드(120)의 MCU는 센서부(110)로부터의 신호를 Analog to Digital Coverter Port를 이용하여 수신 받아 처리하며,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접근 신호를 메인 유닛(2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MCU of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receives and processes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10 using an Analog to Digital Coverter Port, and may transmit an access signal to the main unit 200 us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그리고 센서 제어보드(120)는 메인 유닛(200)으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may receive a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main unit 200.

만일, 접근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유닛(200)으로 전달하였으나, 메인 유닛(200)이 수신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W)가 열차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는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 제어보드(120)는 메인 유닛(200)으로부터 접근 신호를 수신하였다는 확인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If, although an access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in unit 200, an error that the main unit 200 cannot receive, an operator W may be in danger of not recognizing the approach of the train. To prevent this,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may receive a confirmation signal that an access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main unit 200.

만일, 수신 확인 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 센서 유닛(100)은 사용자 단말(400) 또는 별도의 관리자 단말에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여, 작업자(W)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f the reception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sensor unit 100 transmits an error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400 or a separate administrator terminal to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 W.

물론, 센서 제어보드(120)는, 열차(T) 접근 시 접근 신호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통신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센서 유닛(100)에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수신 확인 신호를 전달받음으로써, 통신의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not only transmits an approach signal when approaching the train T, but also periodically transmits a signal to the sensor unit 100 to prevent an error in communication and receives an acknowledgment signal for this. Of cours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event communication errors in advance.

한편, 통신부(130)는 센서 유닛(100)이 메인 유닛(200), 사용자 단말(400) 등과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provided for the sensor unit 100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unit 200,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to perform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통신의 경우, 메인 유닛(200)과의 원거리 통신을 위해 CDMA Module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은 user define protocol(사용자 정의)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a CDMA module may be used for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unit 200, and a user define protocol may be used as a communication protocol.

통신 방식의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GUI를 통해 설정 가능하며, 통신상태 및 현재 통신 정보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thod can be set by a user directly through a GUI, and can be provided to monitor communication status and curr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한편, 유선 통신의 경우, 장거리 통신선 가설에 의한 문제점(단선, 노이즈, 선로가설 불편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2-wire 통신에 최적화된 RS-485 통신방식을 적용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lems caused by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line hypothesis (disconnection, noise, line hypothesis, etc.), RS-485 communication method optimized for 2-wire communication is applied in hardware.

그리고 보다 직관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2-wire를 이용한 1bit 데이터 처리 방식도 가능하며 line-1은 Ground, Line-2는 Data라인으로 설정하고 Data Line은 High 또는 Low 신호로만 사용한다.And for more intuitive data processing, 1-bit data processing using 2-wire is also possible. Line-1 is set to Ground, Line-2 is set to Data line, and Data Line is used only as High or Low signal.

RS-485 통신방식을 사용할 경우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하게 사용자 정의 protocol을 사용한다.When using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the user-defined protocol is used in the same way as the protocol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통신의 최대통신거리는 휴대폰 통신 기지국이 있는 곳이면 이론상 무제한이며, 유선통신의 최대 설정 거리는 1.2km이며, 중간지점에 증폭기를 설치할 경우 통신 최대 설정 거리가 증가 될 수 있다. 유선/무선 통신 속도는 9600bps ~ 19200bps사이를 선정하여 통신의 에러율을 낮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maximum communication dista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is theoretically unlimited where there is a mobile phon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maximum setting distance of wired communication is 1.2 km, and if the amplifier is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int, the maximum communication distance can be increase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peed can be designed to reduce the error rate of communication by selecting between 9600bps ~ 19200bps.

센서 솔라 패널(14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센서 유닛(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ensor solar panel 140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sensor unit 100 using sunlight.

센서 유닛(100)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충전 배터리(150)를 내장할 수 있고, 센서 솔라 패널(140)을 이용한 태양광 충전으로 배터리(150)를 충전하고 동시에 센서 유닛(100)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sensor unit 100 is not smoothl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the charging battery 150 may be built in, and the solar cell charging using the sensor solar panel 140 charges the battery 150 and simultaneously the sensor unit ( 100) can be driven.

여기서 배터리(150)는 산업용에 적합한 Lead Acid Chemistries Battery를 사용하며, 용량은 5A 이상 10A 이내로 하여 완충된 배터리만으로도 연속구동 70HR 이상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Lead Acid Chemistries Battery의 충전방식은 CCCV(Constant Current Constant Voltage) 방식으로 하며, 안전사양으로 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을 자체 메인 보드에 내장하고,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해 AC Adaptor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battery 150 uses a Lead Acid Chemistries Battery suitable for industrial use, and the capacity is 5A or more and less than 10A, so that even a fully charged battery can be driven continuously for 70HR or more. The charging method of the Lead Acid Chemistries Battery is CCCV (Constant Current Constant Voltage) method, and as a safety specification, the 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built into its own main board,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it is prepared for situations where solar power cannot be generated. It can be configured to be charged by using an AC adapter.

케이스(160)는 메인회로, 부속장치, 전원장치 등을 안전하게 수납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제어보드(120), 배터리(150) 등을 수납할 수 있다. The case 160 is provided to safely store a main circuit, an accessory device, and a power supply devic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the battery 150, and the like may be stored.

그리고 케이스(160)는 우천 등과 같이 외부 기후 조건에서도 내부로 빗물이나 먼지 등이 스며들지 않고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견고한 형태의 밀폐형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160 may be designed in a sturdy closed structure so that the system can be stably driven without rain or dust impregnating therein even in external climatic conditions such as rain.

한편, 메인 유닛(200)은 열차(T)의 접근이 감지되면, 시각과 청각을 이용하여 작업자(W)에게 경고하고, 사용자 단말(400)에 접근 신호를 전달하여, 작업자의 작업복(300)에도 LED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roach of the train T is detected, the main unit 200 warns the worker W using vision and hearing, and transmits an approach signal to the user terminal 400, so that the worker's work clothes 300 Edo is provided to make the LED work.

이를 위해, 메인 유닛(200)은 메인 제어보드(210), 경광등(220), 스피커(230), 통신부(240), 메인 솔라 패널(250), 배터리(260) 및 케이스(2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ain unit 200 includes a main control board 210, a warning light 220, a speaker 230, a communication unit 240, a main solar panel 250, a battery 260 and a case 270 Can be configured.

메인 제어보드(210)는 메인 유닛(200)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main control board 210 is provided to control the whole of the main unit 200.

이를 위해 메인 제어보드(210)는 센서 제어보드(120)와 마찬가지로, 40MHz의 동작주파수로 구동되는 8bit MCU가 사용되며, 통신부(240), TOUCH TFT LCD Display, 스피커(220), 경광등(230) 등과 같은 주변장치들의 동작 제어를 위해 digital I/O port를 사용하며.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UART 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For this, the main control board 210, like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uses an 8-bit MCU driven at an operating frequency of 40 MHz, a communication unit 240, a TOUCH TFT LCD display, a speaker 220, a warning light 230 Digital I / O ports are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peripheral devices. The UART port may be used to proces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그리고 메인 제어보드(210)는, 외부의 불안정한 전압이나 노이즈 등에 의해 MCU가 Latch-up 됐을 때 Watch-dog Timer를 이용하여 자가 복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소프트웨어적인 복구도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board 210 may be designed to enable self-recovery by using a watch-dog timer when the MCU is latched up due to external unstable voltage or noise, and software recovery is also possible.

또한, 메인 제어보드(210)는 경광등(230)이나 스피커(240) 등과 같은 고출력 장치들의 구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20Ah 용량의 전원 공급장치를 사용하고, 전원 공급장치는 입력 전압 AC 100~220V 50/60Hz, 출력 100W 이상의 고출력 SMPS를 사용하며 Over voltage protection, Over Current protection, Short circuit protection 등의 안전 보호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board 210 uses a power supply with a capacity of 20 Ah to enable smooth operation of high output devices such as a warning light 230 or a speaker 240, and the power supply is an input voltage AC 100 ~ 220V It uses high power SMPS of 50 / 60Hz, output power of 100W or more, and can incorporate safety protection functions such as over voltage protection, over current protection, and short circuit protection.

무선통신과 유선통신 방식은 센서 제어보드(120)의 MCU와 같은 유무선 송수신 기술을 사용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methods use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technology such as an MCU of the sensor control board 120.

그리고 메인 제어보드(210)는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접근 신호가 수신되면 시각적 경고를 위한 경광등(220)과 청각적 경고를 위한 스피커(2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pproa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the main control board 210 may operate the warning light 220 for visual warning and the speaker 230 for audible warning.

또한, 메인 제어보드(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접근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센서 유닛(100)에 재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control board 210 may generate an acknowledgment signal and re-deliver it to the sensor unit 100 when an approa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to prevent an error in communication. .

경광등(220)은 시인성과 내구성, 전력소모가 적은 LED 경보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warning light 220, an LED warning light with low visibility, durability, and low power consumption may be used.

그리고 스피커(230)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스피커(230)는 최대 90dB이상의 출력을 내며, 방수가 가능한 장치를 사용하며, 음량 조절과 2가지이상의 사이렌 종류를 출력 가능하도록 하고, 철도 현장의 소음에도 현장 작업자(W)가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향성 스피커를 적용한다.And the speaker 230 is provided to generate a warning sound. The speaker 230 outputs a maximum of 90 dB or more, uses a waterproof device, enables volume control and outputs of two or more types of siren, and the field worker (W) can reliably recognize the noise of the railway site. So apply directional speakers.

통신부(240)는, 센서 유닛(100), 사용자 단말(400) 등과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24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nsor unit 100,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like.

무선 통신의 경우, 센서 유닛(100)과의 원거리 통신을 위해 CDMA통신 모듈을 이용하며, 통신 프로토콜은 user define protocol(사용자 정의)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a CDMA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for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unit 100, and a user define protocol may be used as a communication protocol.

통신 방식의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GUI를 통해 설정 가능하며, 통신상태 및 현재 통신 정보 모니터링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method can be set by the user directly through the GUI, and the communication status and curr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can be monitored.

유선 통신의 경우 장거리 통신선 가설에 의한 문제점(단선, 노이즈, 선로가설 불편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2-wire 통신에 최적화된 RS-485 통신방식을 적용한다. RS-485 통신방식을 사용할 경우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하게 사용자 정의 protocol을 사용한다.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RS-485 communication method optimized for 2-wire communication is applied in hardware to minimize problems caused by the hypothesis of long-distance communication lines (disconnection, noise, and line hypothesis). When using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the user-defined protocol is used in the same way as the protocol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통신의 최대통신거리는 휴대폰 통신 기지국이 있는 곳이면 이론상 무제한이며, 유선통신의 최대 설정 거리는 1.2km이며, 중간지점에 증폭기를 설치할 경우 통신 최대 설정 거리가 증가 될 수 있다. 유선/무선 통신 속도는 9600bps ~ 19200bps사이를 선정하여 통신의 에러율을 낮출 수 있도록 설계된다.The maximum communication dista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is theoretically unlimited where there is a mobile phon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maximum setting distance of wired communication is 1.2 km, and if the amplifier is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int, the maximum communication distance can be increase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peed is selected between 9600bps ~ 19200bps to reduce the error rate of communication.

메인 솔라 패널(25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메인 유닛(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main solar panel 250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main unit 200 using sunlight.

메인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배터리(260)를 내장할 수 있고, 메인 솔라 패널(250)을 이용한 태양광 충전으로 배터리(260)를 충전하고 동시에 메인 유닛(200)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in unit 200, like the sensor unit 100, may have a built-in battery 260, charge the battery 260 by solar charging using the main solar panel 250, and simultaneously drive the main unit 200 Make it possible.

여기서 배터리(260)는 메인 유닛(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Here, the battery 260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main unit 200.

배터리(260)는 산업용에 적합한 Lead Acid Chemistries Battery를 사용하며, 용량은 5A 이상 10A 이내로 하여 완충된 배터리만으로도 연속구동 70HR 이상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battery 260 uses a Lead Acid Chemistries Battery suitable for industrial use, and the capacity is 5A or more and 10A or less, so that even a fully charged battery can be continuously driven for 70HR or more.

Lead Acid Chemistries Battery의 충전방식은 CCCV(Constant Current Constant Voltage) 방식으로 하며, 안전사양으로 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을 자체 메인 보드에 내장하고,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해 AC Adaptor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charging method of the Lead Acid Chemistries Battery is CCCV (Constant Current Constant Voltage) method, and as a safety specification, the 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built into its own main board,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it is prepared for situations where solar power cannot be generated. It is configured to be charged by using an AC adapter.

메인 솔라 패널(250) 및 배터리(260)를 통해, 메인 유닛(2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Power may be supplied to the main unit 200 through the main solar panel 250 and the battery 260.

케이스(270)는 메인 회로부와 주변 장치 등을 수납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case 270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main circuit unit and peripheral devices.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보드(210) 및 배터리(260)을 수납할 수 있으며, 넉넉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높이 40Cm, 너비 30cm, 깊이 20cm 이상의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main control board 210 and the battery 260 may be stored, and may be provided in a size of 40 cm in height, 30 cm in width, and 20 cm or more in depth so that they can be accommodated abundantly.

첨언하면, 메인 유닛(200)에는 메인 유닛(200)의 전체적인 동작 상태와 설정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기 위해 Back Light 기능을 포함하는 터치형 TFT LCD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cidentally, the main unit 200 may include a touch-type TFT LCD display (not shown) including a back light function to display to the user the overall operating state and setting state of the main unit 200.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센서 유닛(100)과 메인 유닛(200)의 상태, 각 시스템과의 통신 및 통신 데이터 등과 시스템 설정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알림 음량제어, 무선/유선통신 설정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Through the display (not show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e of the sensor unit 100 and the main unit 200, the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data with each system, and the system setting status, and the user directly controls the notification volume and wireless / wired communication. Make settings possible.

한편, 작업복(300)은 작업자(W)가 열차(T)의 접근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작업복(300)은 단말 주머니(310) 및 경고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고 수단은 열차의 접근을 알리기 위하여 마련되며, 시각적 수단, 청각적 수단, 촉각적 수단 등 다양한 경고 수단을 통해 작업자(W)가 열차의 접근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고 수단으로서, LED(320)가 마련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workwear 300 is provided to allow the worker W to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rain T. To this end, the workwear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pocket 310 and warning means. The warning means is provided to inform the approach of the train, and the operator W can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rain through various warning means such as visual means, audible means, and tactile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LED 320 is provided as a warning means will be described.

작업복(300)은 작업 현장에서 착용되는 안전 조끼 등일 수 있으며, 작업자(W)에게 착용되는 옷이라면 점퍼, 바지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work clothes 300 may be safety vests worn at the work site, and, of course, clothes worn by the worker W may be jumpers or pants.

단말 주머니(310)는 사용자 단말(400)을 수납하여, 작업복(300)과 사용자 단말(400)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조끼 등의 작업복(300)의 가슴 부분 쪽에 사용자 단말(300)을 수용하도록 단말 주머니(3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pocket 310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user terminal 400 and connect the work clothes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terminal pocket 31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user terminal 300 on the chest portion of the workwear 300 such as a safety vest.

그리고 단말 주머니(310)는 커넥터(311) 및 주머니 마개(3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pocket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or 311 and a pocket plug 312.

커넥터(311)는 작업복(300) 내측을 통해 LED(320)와 유선 연결될 수 있고,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300)이 연결되도록, 단말 주머니(310) 내측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주머니(310)에 사용자 단말(400)이 수납되면, 사용자 단말의 하단의 연결부에 커넥터(311)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or 311 may be wiredly connected to the LED 320 through the inside of the work clothes 300, and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inside the terminal pocket 310 so that the user terminal 300 such as a smartphone is connected. Therefore, when the user terminal 400 is stored in the terminal pocket 310, a connector 311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user terminal to be connected.

커넥터(311)는 안드로이드 USB 마이크로 5핀 단자, 애플 8핀 단자, 30핀 단자 또는 안드로이드 신형 USB 3.1 C타입 커넥터 등 사용자 단말(400)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 단말(400)이 직접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이 전술한 종류의 다양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도록 USB포트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onnector 311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400, such as an Android USB micro 5 pin terminal, an Apple 8 pin terminal, a 30 pin terminal, or an Android new USB 3.1 C type connector, and the user terminal 400 can be directly connected. , A USB por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terminal 400 is connected through various cables of the aforementioned type.

첨언하면, 사용자 단말(400)이 커넥터(311)를 통해 유선 연결되어 전원 공급하도록 하는 예를 들었으나, 사용자 단말(400)은 작업복(300)과 무선 통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Incidentally, although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terminal 400 is wired through the connector 311 to supply power is provided, the user terminal 400 may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workwear 30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작업복(300)과 무선 통신하여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센서 유닛(100) 등을 통해 열차(T)의 접근이 감지되면 철도 작업장(A)에 위치하는 다수의 작업복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LED(320) 등의 다수의 경고 수단이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 중 한명만이 사용자 단말(400)을 소지하게 되면, 작업장(A) 내의 모든 작업자가 열차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400 allow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orkwear 300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and when the approach of the train 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the location of the railway station A A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work clothes, so that a plurality of warning means such as the LED 320 may be coll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is, if only one of the workers has the user terminal 400, all workers in the workshop A can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rain.

주머니 마개(312)는 사용자 단말(400)이 단말 주머니(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pocket stopper 312 is provided to prevent the user terminal 4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terminal pocket 310.

예를 들어, 주머니 마개(3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단말 주머니(310)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단말 주머니(310)의 상단에 마련되는 밸크로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the pocket stopper 312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pocket 310, the other side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Velcro provided on the top of the terminal pocket 310 Can be.

주머니 마개(312)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 시에도, 사용자 단말(40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pocket stopper 312, even when the operator is work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terminal 400 from flowing down.

한편, 사용자 단말(400)은 메인 유닛(200)으로부터 접근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복(300)에 마련되는 경고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400 is provided to receive an access signal from the main unit 200, to control the warning means provided in the work clothes 300.

사용자 단말(400)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스마트 기기로 마련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0 may be provided as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작업복(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W)는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400)을 단말 주머니(310)에 넣어, 단말 주머니(310) 하단의 커넥터(311)에 연결하면, LED(320) 등의 경고수단과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workwear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For example, when the worker W puts the portable user terminal 400 in the terminal pocket 310 and connects it to the connector 311 at the bottom of the terminal pocket 310, it connects with warning means such as an LED 320. Power supply.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메인 유닛(200)과 근거리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메인 유닛(200)과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 유닛(200)으로부터 접근 신호를 수신하면, 연결된 작업복(300)의 LED(3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이외의 무선 원거리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short-range with the main unit 2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e main unit 20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and when an acces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unit 200, the LED 320 of the connected work clothes 30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wireless telecommunications other than short-range communication can be used.

사용자 단말(400)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작업자(W)가 메인 유닛(200)과 통신하도록 연결하거나, LED(320)를 수동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이 작업장(A)에 위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메인 유닛(200)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A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400 to connect the operator W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unit 200 or to manually control the LED 320.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operated, when the user terminal 400 is located in the workshop A, it can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main unit 200.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열차(T)의 접근 위치를 인식하여, LED(3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may control the LED 320 to selectively operate by recognizing the approach location of the train T.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메인 유닛(300)으로부터 상행선 또는 하행선으로부터 접근하는 열차(T)의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작업복(400)을 좌우로 구분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LED를 동작시키거나 우측에 위치하는 LED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자이로 센서를 통해 회전을 인식하여, 작업자(W)의 방향과 상관 없이, 상행선으로부터 열차가 접근하는 경우에는 상행선 방향의 LED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고, 하행선으로부터 열차가 접근하는 경우에는 하행선 방향의 LED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400 may receive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T approaching from the ascending or descending line from the main unit 300, dividing the work clothes 400 left and right, and LED located on the left side You can operate or control the LED located on the right to operat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recognizes the rotation through the gyro sensor, so that,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operator W, when the train approaches from the ascending line, the LED in the ascending direction may operate, and the train approaches from the descending line If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the 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메인 유닛(200) 또는 센서 유닛(100)과 통신하여, 메인 유닛(200) 또는 센서 유닛(100)의 배터리 상태, 충전률 등의 체크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unit 200 or the sensor unit 100 to check the battery status, charging rate, etc. of the main unit 200 or the sensor unit 10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usu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having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센서 유닛
110: 센서부 120: 센서 제어보드
130: 통신부 140: 센서 솔라 패널
150: 배터리 160: 케이스
200: 메인 유닛 210: 메인 제어보드
220: 경광등 230: 스피커
240: 통신부 250: 메인 솔라 패널
260: 배터리 270: 케이스
300: 작업복 310: 단말 주머니
311: 커넥터 312: 주머니 마개
320: LED 400: 사용자 단말
A: 작업장 T: 열차
W: 작업자
100: sensor unit
110: sensor unit 120: sensor control board
130: communication unit 140: sensor solar panel
150: battery 160: case
200: main unit 210: main control board
220: warning light 230: speaker
240: communication unit 250: main solar panel
260: battery 270: case
300: work clothes 310: terminal pocket
311: connector 312: pocket stopper
320: LED 400: User terminal
A: Workshop T: Train
W: Worker

Claims (6)

철도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에 착용되고, 열차가 상기 철도 작업장을 향하여 접근하면 경고 수단을 통해 상기 작업자에게 경고하도록 마련되는 작업복; 및
상기 작업복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열차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작업복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경고 수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A work clothes worn on a worker located in a railroad workshop, and provided to warn the worker through a warning means when a train approaches the railroad workshop; And
A user terminal that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work clothes by wire or wireles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work clothes to control the warning means when the approach of the train is detected;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work clothe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복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선 연결되도록 커넥터를 마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유선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clothes are provided with a connector to be wired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user terminal is wired, a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the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user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복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납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 크기의 단말 주머니를 마련하고, 상기 주머니의 내측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work clothes, so that the user terminal is accommodated, to prepare a terminal pocket of the size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loca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pocket, the train access linked to the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work clothes Alarm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복은, 상기 경고 수단으로 LED를 마련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LED를 동작시켜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clothes, by providing an LED as the warning means,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operating the LED to visually warn the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the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작업복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열차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철도 작업장에 위치하는 다수의 작업복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다수의 경고 수단이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ork clothes, and when the approach of the train is detected, the control signals ar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work clothes located in the railroad workshop to control a plurality of warning means in a batch.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possi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작업장과 일정 거리 떨어져 양측의 상행선 및 하행선에 위치하고, 상기 상행선 또는 상기 하행선을 따라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면 접근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철도 작업장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상기 접근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접근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하는 메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과 연동되는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unit which is located on both sides of an upward and downward line at a distance from the railway workshop,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access signal when detecting an approaching train along the upward or downward line; And
The main unit installed in the railway workshop, in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the access signal from the sensor unit, transmits the access signal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detects the approach of the train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interlocked with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80142455A 2018-11-19 2018-11-19 System for alarming approach of train cooperating with working clothes KR202000580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55A KR20200058014A (en) 2018-11-19 2018-11-19 System for alarming approach of train cooperating with working clot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55A KR20200058014A (en) 2018-11-19 2018-11-19 System for alarming approach of train cooperating with working cloth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014A true KR20200058014A (en) 2020-05-27

Family

ID=7091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455A KR20200058014A (en) 2018-11-19 2018-11-19 System for alarming approach of train cooperating with working cloth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801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7874A (en) * 2022-07-27 2022-11-01 丛国奇 Operation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11B1 (en) 2014-04-10 2015-02-13 석정건설(주) Warning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nearing of railroad c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11B1 (en) 2014-04-10 2015-02-13 석정건설(주) Warning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nearing of railroad c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7874A (en) * 2022-07-27 2022-11-01 丛国奇 Operation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802B1 (en) System of safety supervision using hard hat
CN201339487Y (en)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coal mine underground environmental safety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CN103729953A (en) Automatic-walking device remote monitoring system, remote monitoring method, alarming system and alarming method
KR101890283B1 (en) Indoor and Outdoor Positioning Apparatus and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40033545A1 (en) Safety Harness Motion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CN108155595A (en) Cable duct of substation intelligent patrol system
CN210825287U (en) Forklift safety monitoring system
KR20200058014A (en) System for alarming approach of train cooperating with working clothes
CN204922538U (en) Multi -functional information -based miner's lamp
KR20210072376A (en) Intelligent system for detecting approach of train
CN203492853U (en) Multifunctional wireless visual talkback safety helmet based on wifi technology
EP4153328A1 (en) Safety harness motion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CN205154258U (en) Colliery personnel in pit's positioning device
CN104989457A (en) Mine safety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based on mine operating personnel
CN111007430A (en) Temporary grounding wire stat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CN213875600U (en) Underground construction intelligent protection device based on electronic fence and harmful gas detection
CN205451366U (en) Intelligence fire monitoring system
CN106375388A (en) Big data-based gas monitoring data wireless transmission and alarm device and method
CN206360721U (en) Getting working face man-machine safety monitoring system
CN207732756U (en) A kind of intercom system with vital sign detection function
CN205025500U (en) Mine safety synthesizes monitored control system based on mine work personnel
CN205397813U (en) Mine winding cage radio control apparatus based on radio frequency technology
KR20170100130A (en) Out door parking guiding system
CN205881110U (en) Personnel's position area management system
CN211851823U (en) Equipment shutdown al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