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337A -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337A
KR20200057337A KR1020180141600A KR20180141600A KR20200057337A KR 20200057337 A KR20200057337 A KR 20200057337A KR 1020180141600 A KR1020180141600 A KR 1020180141600A KR 20180141600 A KR20180141600 A KR 20180141600A KR 20200057337 A KR20200057337 A KR 20200057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ubcritical
perilla
dandel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613B1 (ko
Inventor
유은숙
Original Assignee
(주)팝베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팝베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팝베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4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6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은 중성지방을 유리지방산 및 글리세롤로 분해하여 세포 밖으로 글리세롤을 배출하고, 항산화 효과를 통해 노폐물의 축적으로 생성되는 셀룰라이트를 제거하여 피부 탄력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자극이 적으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도포 시, 발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안티 셀룰라이트인 슬리밍과 피부 개선인 항산화 디톡스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limming comprising complex extracts of Taraxacum platycarpum, Lonicera japonica and Perilla frutescens}
본 발명은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지방분해, 셀룰라이트 제거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디톡스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독(detoxification)의 약자인 디톡스(detox)는 인체 내에 축적된 독소를 빼내는 것을 의미한다. 좁게는 황사, 미세먼지, 중금속 오염에 대한 독소 제거와 노폐물 배출부터 넓게는 스트레스 해소, 지방분해(lipolysis), 셀룰라이트(cellulite) 제거를 의미하는 다이어트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디톡스는 유해물질이 몸속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몸속으로 들어온 유해물질을 노폐물로 배출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한편, 비만은 에너지 공급 과잉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체내에서 사용하고 남은 여분의 에너지는 지방산을 거쳐 중성지방 형태로 지방세포(adipocyte)에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지방세포의 크기와 숫자가 증가하여 과도한 지방축적이 발생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지방축적은 지방세포의 크기 증가와 과형성을 초래하는데, 이 과형성은 전지방세포(preadipocyte)의 활발한 증식과 활성화된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으로 인해 생성된다. 3T3-L1 전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C/EBP)에 속한 C/EBPβ와 C/EBPδ를 중심으로 조절되는 초기 분화와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감마(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γ)와 C/EBPα를 중심으로 조절되는 후기 분화로 나누어진다. 글리세롤(glycerol)은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의 주성분으로 지방의 주요 저장 형태이이며, 지방분해란 지방세포에 포함되어 있는 중성지방이 분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세포는 지방 저장, 지방산 분해, 배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지방세포 주변으로 수분, 지방, 독소가 많이 유입되면 지방세포 주변 결합조직에 물과 독성 노폐물이 알갱이 또는 결절을 형성하여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보이는데, 이것이 피하지방인 셀룰라이트이다. 셀룰라이트는 피부 깊숙이 결절이 만져지거나 피부가 탄력이 없고 다른 부위의 피부보다 차갑게 느껴지기도 하며, 여성의 허벅지, 엉덩이, 복부에 주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세하게는 진피, 지방층 및 미세혈액순환계에 걸쳐 구조적인 변화가 동반되는 특징이 있는데, 셀룰라이트가 생성되면 진피층의 변화로 피하지방이 돌출된다. 피부에 존재하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콜라게나제(collagenase)와 엘라스타아제(elastase)에 의해 진피에 틈이 벌어지면서 셀룰라이트가 생성되며, 또한 셀룰라이트는 자가 중독을 방지하기 위해 독소 주변에 지방세포와 수분을 축적한다. 즉, 셀룰라이트는 대사과정을 통해서 배출되어야 할 노폐물이 피부 조직에 남아서 형성된 독소이다. 이에, 현대 여성들은 미용적인 목적으로 디톡스, 마사지, 시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셀룰라이트를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Taraxacum officinale)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포공영, 금잠로 및 지정으로 불리어진다.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는 강장, 해열, 이뇨, 건위, 거담, 해독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성분으로 루테올린(luteolin), 카페익산(caffe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비타민, 리놀산, 실리마린 등이 포함되어 있다.
금은화(Lonicera japonica)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genus lonicera)에 속하는 인동덩굴(L. japonica Thunb.)의 꽃봉오리 또는 꽃이다. 건조한 약재는 각종 전통 한약 처방에 이용되고, 체열 조절, 해열, 해독 및 항염, 피부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성분으로 루테올린, 시토스테롤(sitosterol), 트리리놀레인(trilinolein), 카페오일퀸산(caffeoylquinic acid) 등이 포함되어 있다.
들깨(Perilla frutescens)는 콜레스테롤 감소와 피부미용, 항염, 변비예방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성분으로 루테올린, 팔미틴산, 리놀산, 리놀렌산, 비타민, 카페익산, 카테킨(catechin)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아임계 추출법은 압력, 온도, 시료의 양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선택적인 조건으로 추출이 가능한 추출법이다. 기존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대신 물을 사용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유기용매의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플라보노이드 같은 비극황 화합물 추출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임계 추출법과 달리 아임계 추출법은 추출물질의 적용범위가 매우 넓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서 추출이 가능해 가격 경쟁력면에서도 유리하다.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시킨 종래 문헌들이 보고된 바 있으나,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5-0140620호 (2015.12.1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를 이용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를 각각 세절하는 제 1단계; 상기 세절된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에 각각 물을 가하고, 20 내지 30℃에서 1 내지 3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추출물을 각각 3 내지 7기압 및 10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아임계 추출하여 1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1차 아임계 추출물에서 1/2 부피의 추출물을 취한 후 각각 2 내지 5기압 및 6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아임계 추출하여 2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3단계의 1차 아임계 추출물 및 제 4단계의 2차 아임계 추출물을 혼합하여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은 중성지방을 유리지방산 및 글리세롤로 분해하여 세포 밖으로 글리세롤을 배출하고, 항산화 효과를 통해 노폐물의 축적으로 생성되는 셀룰라이트를 제거하여 피부 탄력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자극이 적으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도포 시, 발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안티 셀룰라이트인 슬리밍과 피부 개선인 항산화 디톡스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3T3-L1 세포를 오일 레드 O로 염색하여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지방 분해능을 확인한 것이다(첫째줄; 무처리군, 대조군, 비교물질 7, 둘째줄: 시험물질 1 내지 3, 셋째줄: 비교물질 1 내지 3, 넷째줄: 비교물질 4 내지 6).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추출물을 특정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복합 추출물이 중성지방 분해 효과, 항산화 효과, 셀룰라이트 제거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자극이 적어 디톡스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은 1:0.6~1:0.2~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중량비로 포함 시, 추출물에 포함된 활성성분 사이의 예측할 수 없는 상승작용이 발생하여 지방분해, 안티 셀룰라이트,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지방분해 효과, 항산화 효과, 셀룰라이트 제거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2 내지 7기압 및 6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를 각각 세절하는 제 1단계; 상기 세절된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에 각각 물을 가하고, 20 내지 30℃에서 1 내지 3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추출물을 각각 3 내지 7기압 및 10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아임계 추출하여 1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1차 아임계 추출물에서 1/2 부피의 추출물을 취한 후 각각 2 내지 5기압 및 6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아임계 추출하여 2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3단계의 1차 아임계 추출물 및 제 4단계의 2차 아임계 추출물을 혼합하여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는 0.01 mm~2 cm 크기로 분쇄 또는 세절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기"는, "최대 길이", "최대 넓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민들레 및 금은화는 꽃, 잎, 줄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들깨는 잎, 줄기, 씨, 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의 추출물을 물, 부틸렌 글라이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소수 1~10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매는 에탄올 및 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일례로 에탄올 70 중량% 및 물 3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아임계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 상기 아임계 추출물의 희석액 또는 농축물, 상기 아임계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용매분획방법으로 분획한 결과물일 수 있으며, 극성 용매 분획물과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단계 이후,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물을 분획용매로 분획하여 분획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은 아임계 추출물을 증발농축 또는 감압농축하여 농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장치(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일본)에 투입하여 농축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추출물은 상기 농축물을 깔때기에 투입하고, 분획용매를 투입 및 분획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추출물은 상기 농축물을 제 1 분획 용매로 분획하여 1차 분획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분획 추출물을 제 2 분획 용매로 분획하여 2차 분획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분획 추출물을 제조 시, 루테올린을 포함한 폴리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분획 용매 및 제 2 분획 용매는 각각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분획 용매는 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분획 용매는 탄소수 1~10의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10의 알코올은 부탄올(n-BuO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6단계의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은 1:0.6~1:0.2~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지방분해 효과, 항산화 효과, 셀룰라이트 제거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의 기압, 온도 및 시간 조건을 적용 시, 추출물의 추출 효율이 우수하고, 유효성분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피부 흡수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스킨, 토너, 로션, 에센스, 선 스크린,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팩, 젤, 샴푸, 린스, 스프레이,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아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 제조
1-1.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제조
민들레 전초(두손애약초) 100 중량부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0.1~2 cm 크기로 세절하였다. 세절된 민들레 전초에 물 1000 중량부를 가하고, 상온에서 2일 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이후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5기압, 120℃의 조건으로 하루 동안 아임계 추출한 후,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여 1차 아임계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수득된 추출물의 절반은 다시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3기압 80℃의 조건으로 하루 동안 아임계 추출하여 2차 아임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1차 아임계 추출물과 2차 아임계 추출물을 혼합한 다음 회전농축장치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2.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제조
금은화 꽃(두손애약초) 100 중량부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0.1~2 cm 크기로 세절하였다. 세절된 금은화 꽃에 물 1000 중량부를 가하고, 상온에서 2일 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이후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5기압, 120℃의 조건으로 하루 동안 아임계 추출한 후,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여 1차 아임계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수득된 추출물의 절반은 다시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3기압 80℃의 조건으로 하루 동안 아임계 추출하여 2차 아임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1차 아임계 추출물과 2차 아임계 추출물을 혼합한 다음 회전농축장치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3. 들깨 아임계 추출물 제조
들깨(동강애) 100 중량부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0.1~2 cm 크기로 세절하였다. 세절된 들깨에 물 1000 중량부를 가하고, 상온에서 2일 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이후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5기압, 120℃의 조건으로 하루 동안 아임계 추출한 후,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여 1차 아임계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수득된 추출물의 절반은 다시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3기압 80℃의 조건으로 하루 동안 아임계 추출하여 2차 아임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1차 아임계 추출물과 2차 아임계 추출물을 혼합한 다음 회전농축장치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들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4. 복합 추출물 제조
상기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을 하기 표 1과 같이,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시험물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아임계 복합 추출물에 대한 비교군으로서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비교물질 1 내지 3)을 제조하였으며, 지방 분해능 분석을 위한 양성대조군으로는 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을 사용하였고, 항산화 분석을 위한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구분 추출방법 민들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들깨 추출물
시험물질 1 아임계 추출 1 0.9 0.9
시험물질 2 1 0.9 0.5
시험물질 3 1 0.6 0.2
비교물질 1 70% 에탄올 추출 1 0.9 0.9
비교물질 2 1 0.9 0.5
비교물질 3 1 0.6 0.2
비교물질 4 아임계 추출 1 - -
비교물질 5 - 1 -
비교물질 6 - - 1
비교물질 7
(이소프로테레놀)
- - - -
비교물질 7
(아스코르브산)
- - - -
실시예 2: 세포 독성 분석
본 발명에서 제조된 복합추출물의 세포 독성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WST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WST 분석법은 살아있는 세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mitochondrial dehydrogenase)의 활성을 측정한다. WST는 수용성의 테트라졸륨 염(tetrazolium salt)으로서 살아있는 세포와 반응하여 오렌지색 수용성의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하는데, 상기 포르마잔의 흡광도를 측정하면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ATCC)는 혈구계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3 X 104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3T3-L1 세포에 실시예 1의 실험물질 또는 비교물질을 각각 10 중량%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고, 10% 송아지혈청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인 이소프로테레놀은 20 μM 처리하고, 아스코르브산은 0.001 중량%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WST 용액(EZ-cytox)을 9: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첨가한 다음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 정도(세포 생존율)는 시험물질 및 비교물질과 같은 용매를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세포 생존율(%) = (시료물질 첨가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X 100
구분 세포 생존율(%)
대조군 100
시험물질 1 100.51
시험물질 2 97.13
시험물질 3 101.89
비교물질 1 92.79
비교물질 2 97.63
비교물질 3 99.66
비교물질 4 98.76
비교물질 5 99.01
비교물질 6 99.17
비교물질 7 99.98
비교물질 8 102.1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3T3-L1 세포의 생존율은 90% 이상으로 시험물질 및 비교물질 모두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지방 분해능 분석
3T3-L1 세포는 혈구계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3 X 104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였다. 10% 송아지혈청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adipolysis assay kit(abcam, 133115)를 이용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지방세포로 분화가 완료되면, 지방세포로 분화된 3T3-L1 세포에 실시예 1의 시험물질 또는 비교물질을 각각 10 중량%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여 교체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이소프로테레놀은 20 μM 처리하였다. 이후 Adipolysis assay kit 시약과 반응시킨 다음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방 분해능은 시험물질 및 비교물질과 같은 용매를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구분 지방 분해능(%)
대조군 100
시험물질 1 127.47
시험물질 2 121.10
시험물질 3 123.62
비교물질 1 90.61
비교물질 2 112.12
비교물질 3 102.82
비교물질 4 111.67
비교물질 5 109.91
비교물질 6 108.86
비교물질 7 132.22
상기 표 3을 참조하여 보면, 비교물질 1 내지 3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시험물질 1 내지 3을 처리하였을 때, 지방 분해 효과가 약 20% 이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 분해능, 즉 유리 글리세롤의 방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시험물질의 지방 분해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또한, 시험물질 1 내지 3은 비교물질 4 내지 6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지방 분해 효과가 약 10% 이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오일 레드 O 염색(Oil Red O staining)
배양이 끝난 3T3-L1 세포를 D-PBS로 세척하고, 4%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시킨 후, 60% 아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세척한 후 60% 오일 레드 O 용액으로 세포를 염색하였다. 이후 60% 아이소프로판올로 세포를 세척한 후 증류수를 채워 현미경으로 세포 염색 사진을 촬영하였다.
사진은 모두 200배의 동일 배율로 촬영하였으며,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가 분화되어 형성된 지방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군에서 오일 레드 O에 의해 염색된 세포의 수가 감소하면, 상기 시료가 지방 분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비교물질 1 내지 6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시험물질 1 내지 3을 처리하였을 때, 염색된 세포의 수가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대조군과 비교해서도 뚜렷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험물질 1 내지 3은 비교물질 4 내지 6과 비교하였을 때도 염색된 세포의 수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지방 분해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항산화 효과 분석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시약을 사용하여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0.1 mM DPPH 250 μl에 시험물질 또는 비교물질을 10 중량% 농도로 처리하고 4℃의 암실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20 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은 0.001 중량% 농도로 처리하였다.
[계산식 2]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 100 - (시험물질 첨가군 흡광도/ 대조군 흡광도) X 100
구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대조군 0
시험물질 1 90.25
시험물질 2 84.99
시험물질 3 85.53
비교물질 1 62.26
비교물질 2 71.70
비교물질 3 84.59
비교물질 4 75.86
비교물질 5 81.24
비교물질 6 78.42
비교물질 8 71.67
상기 표 4를 참조하여 보면, 비교물질 1 내지 6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시험물질 1 내지 3을 처리하였을 때,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한 바, 그 중 시험물질 1번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
<제제예 1-1> 로션의 제조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부, 카르복시폴리머 0.1 중량부, 방부제 미량과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폴리솔베이트60 1.0 중량부,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부, 유동 파라핀 10.0 중량부,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EG-400 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를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열 냉각한 뒤 향료 미량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색소 미량을 투입하고, 35℃에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제제예 1-2> 크림의 제조
카르복시폴리머 0.3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5.0 중량부, 글리세린 3.0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스테아린산 2.0 중량부, 세틸알콜 2.0 중량부, 글리세릴모노 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왁스 1.0 중량부, 유동파라핀 4.0 중량부, 스쿠알란 4.0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부를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부를 투입하여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한 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은 1:0.6~1:0.2~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분해 효과, 항산화 효과, 셀룰라이트 제거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임계 추출은 2 내지 7기압 및 6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6.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를 각각 세절하는 제 1단계;
    상기 세절된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에 각각 물을 가하고, 20 내지 30℃에서 1 내지 3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추출물을 각각 3 내지 7기압 및 100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아임계 추출하여 1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1차 아임계 추출물에서 1/2 부피의 추출물을 취한 후 각각 2 내지 5기압 및 6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아임계 추출하여 2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3단계의 1차 아임계 추출물 및 제 4단계의 2차 아임계 추출물을 혼합하여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의 민들레 아임계 추출물, 금은화 아임계 추출물 및 들깨 아임계 추출물은 1:0.6~1:0.2~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지방분해 효과, 항산화 효과, 셀룰라이트 제거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41600A 2018-11-16 2018-11-16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102177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00A KR102177613B1 (ko) 2018-11-16 2018-11-16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00A KR102177613B1 (ko) 2018-11-16 2018-11-16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337A true KR20200057337A (ko) 2020-05-26
KR102177613B1 KR102177613B1 (ko) 2020-11-12

Family

ID=7091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600A KR102177613B1 (ko) 2018-11-16 2018-11-16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222A1 (ko) * 2022-06-10 2023-12-14 (주)보인바이오컨버젼스 포공영 및 인동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710B1 (ko) * 2015-05-14 2015-10-16 주식회사 더마랩 구기자, 녹차, 국화, 율무, 생강, 오미자, 감잎, 민들레, 귤피, 모과, 대추, 산수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개선 및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0620A (ko) 2015-11-30 2015-12-1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대추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3543A (ko) * 2016-07-29 2018-02-07 김윤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101910857B1 (ko) * 2012-04-20 2018-10-23 (주)아모레퍼시픽 발아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857B1 (ko) * 2012-04-20 2018-10-23 (주)아모레퍼시픽 발아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60710B1 (ko) * 2015-05-14 2015-10-16 주식회사 더마랩 구기자, 녹차, 국화, 율무, 생강, 오미자, 감잎, 민들레, 귤피, 모과, 대추, 산수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개선 및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0620A (ko) 2015-11-30 2015-12-1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대추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3543A (ko) * 2016-07-29 2018-02-07 김윤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222A1 (ko) * 2022-06-10 2023-12-14 (주)보인바이오컨버젼스 포공영 및 인동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613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032B1 (ko)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415199B2 (ja) 皮膚外用剤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JPH0717846A (ja) 皮膚外用剤
Kaur et al. Novel herbs used in cosmetics for skin and hair care: A review
KR20100123456A (ko) 피지생성 억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지루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2006257056A (ja) 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KR20090131399A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의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2960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JP2003212749A (ja) AGEs生成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2177613B1 (ko)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102498980B1 (ko)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3648B1 (ko) 체지방 축적억제 및 분해 효과를 동시에 갖는 천연물 다이어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465138B1 (ko) 약용식물 혼합 발효추출물(Phytoestrogenbi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3098B1 (ko)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6862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8510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3837B1 (ko) 특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함유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CN111773149A (zh) 一种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20013224A (ko) 쌀추출물, 귀리커넬추출물 및 코코넛야자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840190A (zh) 一种草本舒活液
CN115212150B (zh) 密花荚蒾提取物及以其为活性成分的化妆品和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